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베트남 내 외국투자 현황 기획투자부 해외투자국 호치민, 2012.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베트남 내 외국투자 현황 기획투자부 해외투자국 호치민, 2012."— Presentation transcript:

1 베트남 내 외국투자 현황 기획투자부 해외투자국 호치민, 2012

2 내용 베트남 내 외국투자 현황 2012년 5개월 베트남 경제 베트남 내 한국직접투자 경제 및 외국투자 환경 개선 정책

3 2012년 5개월 베트남 경제 2012년 제1분기 경제 성장율: 4% (2012년 목표: 6%)
금년 5개월 산업생산지수 2011년 동기에 비해 4.2% 증가 금년 5개월 소비자물가지수 (CPI)는 2011년 12월 대비 2.78%, 전년 동기대비 13.3% 총 수출입 금액은: 864억 달러 그 중에 금년 5개월의 총 수출금액은 429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24.1% 증가. 총 수입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무역적자 6억 2,200만 달러) 환율은 안정적 수준에서 유지되고 베트남동에 대한 신뢰가 증가하며 베트남 신뢰성 평가 수준은 B+에서 유지 국내 제품 소비는 회복 조짐. 재고는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상품 및 서비스의 소매 매출액은 약간 상승하고 있음. 3 3

4 2012년 5월까지 외국직접투자 현황 2012/5월 까지 총 외투건수는 13,727 건의 프로젝트가 있으며 등록 투자 자본 총액은2천 31억 6천만 달러. FDI 등록자본 유치 3대 업종은 제조 가공업, 부동산, 요식업 및 서비스 분야가 각각 48%, 24%, 5% 차지. 금년 5개월 전국은 283 건의 외국직접투자(FDI) 프로젝트 있으며 등록 투자 자본 총액은 41억 2,400만 달러, 그 중 일본은 81건, 투자금 31억 7,900만 달러로 1위(69,1%).

5 2012년 5월까지 외국직접투자 현황 금년 5개월 외국투자 평가
등록된 외국직접투자 자본은 41억 2,400만 달러로 2011년 동기에 비해 68.2% 달성, 그 중에 실 집행금액은 45억 천만 달러로 2011년 동기에 비해 99.% 기록 외투법인의 수출총액은 261억 달러로 동기에 비해 36.9% 증가 (휴대폰 및 부품: 110.9%; 차량 및 부품: 150%; 전자, 컴퓨터: 99.3% 증가) 제조 및 가공업 투자 증가세, 부동산 투자 감소세 보임

6 2012년 5월까지 외국직접투자 현황 베트남 지역별 외국직접투자 순위 지역 프로젝트 건수 투자 자본 총액 (백만 달러) 1
투자 자본 총액 (백만 달러) 1 홍강 평야 3,788 49,103 2 내륙부 및 북부 산지역 354 2,887 3 북중부 및 중부 연안 829 41,665 4 고원 139 794,414 5 동남부 7873 33,662 6 구롱강 평야 699 10,440 7 석유 및 가스 45 2.596 총계 13,727 203,164

7 2012년 5월까지 외국직접투자 현황 순위 분야 프로젝트 수 등록 자본 총액 (백만 달러) 1 제조 및 가공업 7.789
97,162 2 부동산 경영 379 49,356 3 건설 326 10,525 4 요식업 서비스업 879 10,382 5 전기, 가스, 수도, 에어컨? 생산 및 유통 77 7,402 6 정보통신 751 5,718 7 예술 및 엔터테인먼트 133 3,603 8 물류 찬고 325 3,439 9 농림어업 500 3,284 10 광산개발 73 3,019 기타 2.494 9,266 총계 13.727 203,160

8 2012년 5월까지 외국직접투자 현황 베트남 10대 투자파트너 (2012/5월까지)

9 베트남 내 한국 직접투자 한국 – 베트남 협력 관계
베트남 내 외국직접투자에 대한 일본 뒤 제2위 국가: 3,020 건의 프로젝트, 239억 3천만 달러의 등록 자본금(금년 5개월 한국의 FDI는 상당히 감소) 투자 분야: 제조업, 인프라 건설, 부동산, 경공업 (대표 기업: 삼성, 금호, GS, 포스코, 엘지, 롯데, CJ…).. 한국 – 베트남 간의 양자 투자보호협정 및 이중과세방지협정 서명 한국은 아세안 – 한국 협정 체결 한국은 베트남의 큰 후원자: 한-베 공적개발원조 (ODA) 협력전략(CPS) 의 지원규모 30억 달러로 대비 2.5배 증가

10 베트남에 대한 한국의 직접투자 구조 CƠ CẤU ĐẦU TƯ CỦA HÀN QUỐC

11 베트남 내 한국 직접투자 한국투자 유치 10대 지역 지역 프로젝트 건수 투자자본 총액 (USD) … 48 총계 3.020
한국투자 유치 10대 지역 지역 프로젝트 건수 투자자본 총액 (USD) 1 Hà Nội 606 4,702,978,506 2 TP. Hồ Chí Minh 822 3,717,304,315 3 Bà Rịa – Vũng Tàu 53 3,460,184,724 4 Đồng Nai 256 3,252,280,649 5 Bình Dương 460 1,381,916,381 6 Hải Phòng 39 1,113,749,937 7 Quảng Ngãi 724,900,000 8 Đà Nẵng 26 695,231,219 9 Long An 66 613,121,734 10 Bắc Ninh 89 529,126,067 …. 48 기타 574 3,709,306,815 총계 3.020 23,927,587,924

12 경제 및 투자환경 개선 정책 경제개발 전략의 3가지 주요 목표 (2011-2020) 거시경제 안정화 2012년 외국투자 정책
FDI 유치 목표 및 정책

13 경제 개발 전략의 세 가지 주요 목표(2011-2020) 공정한 경쟁환경 조성 및 행정 개선
인적자원 특히 고품질 인적자원 개발, 국민교육의 근본적이고 전면적인 쇄신, 과학기술의 발전 및 응용과 인적자원 개발을 연계. 통일성 있고 현대화된 인프라 시스템 구축. 특히 도로교통 및 대도시 인프라 구축 및 개선에 집중

14 거시경제 안정화 우선 인플레이션 억제, 거시경제 안정화, 합리적 수준에서 성장 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성장모형을 개선하고 경제 구조조정을 시행 질, 효율성, 경쟁력 증대 사회복지 보장 및 국민 생활수준 개선 정치안정, 국가보안 및 사회안전 보장 대외활동의 효율성 제고 및 국제사회(기구) 편입

15 거시경제 안정화 공공지출 개선, 사회투자 중 공공투자의 비중을 점차 줄이고 국내외 자본 유치를 통한 인프라 개선
국영기업 구조 조정, 분야별, 경영전략, 재무구조, 경영관리의 구조를 조정하고 정책규제 및 법률 체계를 완성 국제적 수준에 적합한 선진화된 은행 관리기법을 기반으로 규모, 종류, 소유주를 다양화 하며 건전하고 안전하며 효과적이고 현대적인 경영을 지양하며 경쟁력을 고취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은행 시스템 구조조정

16 거시경제 안정화 부가가치세, 법인세 납부 기간 연장, 우대 그룹으로 분류된 기업체, 개인 사업자의 토지임대료 그룹과 개별 기업에 대한 토지 임대료 면세 및 감세에 대한 13/NQ-CP호 의결문 발표 농업, 수출관련 분야, 부품소재산업에 우선하여 대출금리를 인하하고 신용관리를 완화한다. 정부는 세금 면세, 대출금리 인하, 부실채권 인수 등을 포함한 29조 베트남동 규모의 기업지원책 승인.

17 FDI 관련 해결책 외국인직접투자의 질 및 효율성 증대 투자사업의 질과 효율 증대 투자금 집행 촉진 법률 및 정책 완성
투자 촉진 국가의 관리를 강화 긍정적인 대외정책 실행 외국투자 정보 시스템 수립

18 기간 외국직접투자 유치 우대 분야 국내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여건을 조성할 수 있는 선진 기술 및 친환경 프로젝트, 천연자원, 광물과 토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사업 부품소재 산업, 서비스 및 농업 관련 수준 높은 기술을 사용하는 산업, 정보통신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 우대 과학기술, 교육훈련, 인프라 개발 서비스 화학, 제련, 에너지 분야, 첨단기술 분야, 제조 가공업 분야를 선별적으로 선정 글로벌 생산 체인 및 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상품, 경쟁력 있는 상품을 생산하는 프로젝트 우대 비생산 분야, 무역적자를 가중시키는 분야, 에너지 손실이 높은 분야, 가공과 연계되지 않는 개발 분야의 투자사업 제한. 에너지, 자원 낭비 산업, 낙후된 기술을 사용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분야의 투자허가서 발급하지 않음.

19 2011-2020 기간 주요 정책 외국투자유치 방향 2011-2020에 적합한 투자우대정책 수립
효율성 있고 품질력 있는 계획업무 실시 효율성 있는 외국인투자 관리제도 완성 외국인 투자 자본흐름을 관리업무의 효율성 제고 외투기업의 이전가격 제한 및 방지를 위한 규제, 정책을 연구, 수립, 완성 외투기업 활동에 대한 국가의 관리업무 강화 투자허가서 조정에 대한 심사 역량 강화 투자허가서 발급의 근거가 되는 각종 지표, 기술표준 발행모니터링, 검사, 감찰

20 외국투자국 연락처 외국투자국 6B Hoàng Diệu, Hà Nội
남부지역 투자진흥센터 178 Nguyễn Đình Chiểu, Hồ Chí Minh . Tel: Fax: Website: 중부지역 투자진흥센터 102 Quang Trung, Đà Nẵng Tel: Fax: Website: 북부지역 투자진흥센터 65 Văn Miếu, Hà Nội Tel: Fax: Website: 외국투자국 6B Hoàng Diệu, Hà Nội Tel: Fax: Website:


Download ppt "베트남 내 외국투자 현황 기획투자부 해외투자국 호치민, 2012."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