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거시경제학 강의 1 거시경제학에의 초대.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거시경제학 강의 1 거시경제학에의 초대."— Presentation transcript:

1 거시경제학 강의 1 거시경제학에의 초대

2 1. 거시경제학의 기초개념 ■ 거시경제학이란 ■ 경제성장과 경기변동 경제성장의 모습 경기변동의 모습 ■ 거시지표들의 계산 방법
명목 vs. 실질 물가상승률, 경제성장률

3 1. 거시경제학의 기초개념 소비자 행동, 기업 행동 산업구조, 시장의 효율성 시장기능의 이해
■ 거시경제학이란 국가 경제 전체의 동향과 변화를 설명하려는 분야 ■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 ■ 미시경제학(Microeconomics)은 각 경제주체들의 행동을 분석하는 분야 소비자 행동, 기업 행동 산업구조, 시장의 효율성 시장기능의 이해 ■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은 나라경제 전반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분야 국민소득, 실업, 경제성장, 국제수지, 물가 등

4 한국의 GDP 2005년 한국의 총생산은: 1953년 수준의 30배 이상 1970년 수준의 10배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5 한국의 국민 일인당 GDP, 근로자 일인당 GDP
2005년: 국민 일인당 총생산은 1963년에 비해 11배 이상, 근로자 일인당 총생산은 1963년에 비해 6.5배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6 한국의 국내총생산

7 한국의 국내총생산

8 외환위기와 경제성장 (1998년의 지표) 경제성장률 -7% 실업률 7% 금융기관 및 산업의 구조조정
동남아 국가들에서 동시에 나타남.

9 외환위기와 경제성장 (1998년의 지표)

10 분기별 경제성장률 추이

11 국내총생산의 지출 구성

12 주요국의 일인당 국민총소득($)

13 경제규모 및 1인당 GNI

14 내수 및 수출의 성장기여도

15 세계 각국의 소비 패턴

16 주요 거시경제 이슈 생산성 2004년 미국의 평균적인 근로자는 1900년의 근로자보다 6배 더 많이 생산할 수 있다.
평균 노동생산성:

17 주요 거시경제 이슈 생산성 미국의 근로자 일인당 총생산의 증가율 추이 한국의 근로자 일인당 총생산의 증가율 추이
: 2.3%/년 : 1.1%/년(생산성 증가율 둔화) : 2.1%/년(회복) 한국의 근로자 일인당 총생산의 증가율 추이 : 5.1%/년 : 4.7%/년 : 3.1%/년(생산성 증가율 둔화)

18 주요 거시경제 이슈 미국, 중국, 한국의 생산성과 생활수준 비교 미국(2004) 중국(2004) 한국(2005)
미국(2004) 중국(2004) 한국(2005) 총생산 조 3,750억달러 7조 2,910억달러 조 1,010억달러 인구 억 9,400만명 억명 ,830만명 취업자 억 3,900만명 억 5,200만명 ,286만명 국민 일인당 총생산 $39, $5, $22,600 평균 노동 생산성 $84, $9, $48,171 출처: CIA

19 한국의 총생산, 경기침체: 1974-’75; 1979-’80; 1984-’85; 1988-’89; 1992-’93; 1996-’98; 2000-’01

20 한국의 총생산, 경기확장: 1975-’79; 1980-’84; 1985-’88; 1989-’92; 1993-’96; 1998-’2000

21 거시경제학 기초 경기순환의 여러 국면 정점 저점

22 거시경제학 기초 우리나라의 경기변동 GDP갭(%) 8 6 4 2 -2 -4 -6 -8 1970 1972 1974 1976
-2 -4 -6 -8 1970 1972 1974 1976 1978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3 한국의 실업률, 1963-2005 실업률: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의 비율 특징: 경기침체 기간 중 실업률 상승
항상 0보다 크다. 주: 1주 기준 실업률

24 미국의 실업률,

25 주요 거시경제 이슈 실업률은 나라마다 다르다: 최근 20년 동안 유럽 경제활동인구의 약 10%가 실업자였다.
유럽의 실업률은 미국의 실업률의 두 배 정도이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유럽의 실업률이 미국의 실업률보다 낮았다. 한국의 실업률은 1970년대 4.3%, 1980년대 3.8%, 1990-’97 2.4%로 낮아지는 추세였으나 외환위기 이후 2000년대에는 3.6%로 다시 높아졌다.

26 한국의 물가상승률

27 한국의 인플레이션율, 한국의 인플레이션율 1970년대에는 높았으나 1980년대 중반 이후 낮아졌다.

28 주요 거시경제 이슈 국가 경제들은 점점 더욱 상호의존적이 되고 있다: 2004년 미국: 2005년 한국
수출은 총 재화와 서비스 생산량(GDP)의 10.0%를 차지하였고 수입은 14.4%를 차지하였다. 2005년 한국 수출은 총 재화와 서비스 생산량(GDP)의 42.5%를 차지하였고 수입은 40.0를 차지하였다.

29 주요 거시경제 이슈 국제 거래들은 다음과 같은 정치적 경제적 이슈를 만들어냈다: 일자리에 대한 무역의 영향 무역 불균형
철강산업, 섬유산업 자유무역협정 (FTA) 무역 불균형 수출과 수입이 크게 차이가 있을 때 무역적자: 수출 < 수입 무역흑자: 수출 > 수입

30 한국 총생산 중 수입과 수입비중,

31 미국 총생산 중 수입과 수입비중,

32 주요 거시경제 이슈 주요 거시경제 이슈 경제성장과 생활수준 생산성 경기침체와 경기확장 실업 인플레이션 국가간 경제적 상호의존성

33 거시경제정책 통화정책(monetary policy) 한 나라의 통화공급의 결정 중앙은행에 의해 수행된다.
한국의 경우 한국은행이, 미국의 경우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 Fed)가 수행한다.

34 거시경제정책 재정정책(fiscal policy) 정부지출과 정부수입의 양과 구성을 포함하는 정부의 예산을 정하는 정책결정
정부지출의 결정과 조세수입과 관련된 정책결정

35 거시경제정책 재정정책은 정부지출과 조세 사이의 균형에 영향을 준다:
정부지출이 조세수입보다 클 때 재정적자 (deficit)가 발생한다. 정부지출이 조세수입보다 작을 때 재정흑자(surplus)가 발생한다.

36 거시경제정책 구조정책(Structural Policy)
한 나라 경제의 기반이 되는 경제구조와 제도를 변화시키는 목적을 가진 정부의 정책

37 거시경제정책 거시경제정책의 실증적 분석과 규범적 분석 실증적 분석
특정 사건이나 정책이 가져오는 경제적 결과에 대한 분석; 그러한 결과가 바람직한 것인가에 대한 것은 분석하지 않는다.

38 거시경제정책 거시경제정책의 실증적 분석과 규범적 분석 규범적 분석
정책의 당위성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분석; 규범적 분석은 불가피하게 분석을 행하는 사람의 가치판단을 포함한다.

39 집계 집계 경제 전체의 총계를 얻기 위해 개별 경제변수들을 합하는 것
경제의 개관(bird’s-eye view)을 얻기 위해 사용한다.

40 집계 집계 달러가치에 의한 집계적 측정으로 경제학자들이 예를 들면 수출과 수입과 같이 재화와 서비스의 넓은 범위를 비교할 수 있게 해 준다. 집계의 방법은 종종 경제 상황의 세부적인 측면을 알기 어렵게 한다.


Download ppt "거시경제학 강의 1 거시경제학에의 초대."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