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사업장 설명회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배출원·배출량 조사.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사업장 설명회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배출원·배출량 조사."— Presentation transcript:

1 사업장 설명회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배출원·배출량 조사

2 목 차 1 POPs 배출원 ·배출량 조사 목적 2 POPs 배출원·배출량 조사 사업계획 3 POPs 발생량 산정방법 4
5 배출원 조사양식 작성방법 6 질의응답 및 토론

3 1.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배출원·배출량조사 목적
목 적 스톡홀름협약에 의한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국가배출목록 작성 제출 국가배출목록 작성을 위한 배출원 및 배출량 조사 추진배경 스톡홀름협약 당사국의 다이옥신 등 잔류성유기오염물질 적정관리 및 의무사항 이행 정부 잔류성유기오염물질관리 기본계획 수립 2006년부터 매 2년마다 다이옥신 국가배출목록(Inventory) 작성·발표 POPs 배출량산정 및 목록화에 필요한 배출원별 배출농도, 활동도 자료생산

4 2.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배출원·배출량조사 사업계획
사업개요 조사기간 : ’08. 4 ~ ’08. 12 대상시설 : 법적 배출시설 및 비법적 배출시설(열화학공정, 화장장 등) 대상매체 : 배가스, 폐수, 폐수(공정)오니, 분진 대상항목 : Dioxin, Co-PCBs, HCB 사업내용 실측 배출시설 : 시료채취 및 분석, 활동도 등 자료조사 비 실측시설 : 배출시설 현황 및 활동도 등 자료조사 의무측정 대상시설 측정결과 및 배출량 조사 국가배출목록(Inventory) 작성

5 2.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배출원·배출량조사 사업계획
업무 흐름도 환경부(화학물질과) ○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 배출원 지도․감독 총괄 업무위탁 업무위임 시․도 ○ 배출원 현황 확보 ○ 배출원 측정결과 접수 ○ 배출원 지도․감독 배  출  원 ○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배출시설 관련사항 통보 ○ 측정기관 POPs 측정의뢰 ○ 배출량 및 활동도  보고 공     단 ○ POPs 배출원 실측조사 ○ 배출원 관련사항 조사 ○ 배출원 활동도 조사 ○ POPs 배출량 조사 배출량/활동도 보고 배출원 정보 통보 배출량 통보 행정처분 측정결과 보고 측정의뢰 측정기관 POPs 배출원 법적측정 측정결과 보고 측정결과 통보 지정 측정결과 보고 국립환경과학원 ○ POPs 측정기관 지정고시 ○ 소각시설 및 소각량 현황 확보

6 3.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발생량 산정방법 연간 다이옥신 발생량 산정방법 발생량 산정 계산식 실측시설
- 시료채취 및 분석→배출량 및 배출계수 산정→발생량 추정(방지시설효율 적용) 비실측시설 - 시행규칙 별표6. 배출계수 적용 → 발생량 추정(방지시설효율 적용) 발생량 산정 계산식 발생량 = 다이옥신 배출계수/{1-(방지시설 설계효율)/100} ×최대 연간활동도 다이옥신 배출계수 = 다이옥신 실측농도×최대 일일유량(시설용량)/최대 일활동도 최근 2년이내 1회이상 4회미만의 실측값이 있는 경우 업종별 다이옥신 평균배출계수 적용 최근 2년이내 실측값이 없을 경우 : 시행규칙 별표6의 업종별 배출계수 적용

7 업종별 평균 다이옥신 배출계수(시행규칙 별표 6)
3-1.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발생량 산정적용 배출계수 업종별 평균 다이옥신 배출계수(시행규칙 별표 6) 배출시설 배출계수(㎍-TEQ/톤) 제철 및 제강시설 소결로 0.9 전기아크로 1.0 동 제련,정련 및 합금제조 1.5 용융/용해로 건조로 0.5 동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 25.0 알루미늄 제련, 정련 및 합금제조 6.0 알루미늄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 시멘트 제조시설 소성로 0.1

8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오염물질 제거효율(제6조 관련)
3-2.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발생량 산정적용 방지시설 효율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오염물질 제거효율(제6조 관련) 방지시설명 대기오염물질 제거효율(%) 먼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1. 중력 및 관성력 집진시설 50 - 2. 원심력 집진시설 60 3. 세정집진시설 70 30 10 4. 여과집진시설 90 5. 전기집진시설 6. 흡수에 의한 시설중 배연탈황시설 80 7. 흡수ㆍ흡착을 이용한 배가스 처리시설 8. Low-NOx 버너 및 배가스 재순환시설(FGR) 20 9. 선택적 비촉매 환원시설(SNCR) 10. 선택적 촉매 환원시설(SCR) 11. 환경부장관이 인정하는 연소보조장치 40 출처 :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 호. 배출시설의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 고시 상기자료는 방지시설 설계효율이 없을 경우 적용하며 먼지제거효율을 다이옥신 제거효율로 준용

9 3-3. 잔류성유기오염물질 측정주기 매체 시설분류 구분 측정주기 배가스 소각 처리능력 2톤/시 이상 1회/6개월
처리능력 0.2톤/시 이상 2톤/시 미만 1회/12개월 처리능력 25kg/시 이상 0.2톤/시 미만 1회/24개월 비소각시설 다이옥신발생량 25 g-TEQ/년 이상 다이옥신발생량 4 g-TEQ/년 이상 25 g-TEQ/년 미만 다이옥신발생량 4 g-TEQ/년 미만 폐수 법적 배출시설 이염화에틸렌,염화비닐 제조시설 상기시설 이외

10 3-4. 잔류성유기오염물질 측정주기별 측정기한 다이옥신 발생량 4 g-TEQ/년 미만 시설 4g-TEQ 미만 다이옥신 발생량 4 g-TEQ/년 이상 25 g-TEQ/년 미만 시설 4g-TEQ~ 25g-TEQ 소각처리능력 25 kg/시 이상 0.2톤/시 미만 생활폐기물 이외 폐기물소각시설` 0.2톤/시~ 25kg/시 소각 다이옥신 발생량 25 g-TEQ/년 이상 시설 25g-TEQ 이상 소각처리능력 25 kg/시 이상 0.2톤/시 미만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0.2톤/시~25 kg/시 소각

11 4.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절차 Bottom - Up Top - Down 다이옥신 배출량 산정
다이옥신 배출원 ( 법적 & 비법적 시설 ) 배출계수 산정 실측사업을 통한 배출계수 도출 및 배출량산정 Bottom - Up Top - Down 실측시설 비실측 시설 개별업체별 배출량 산정 배출계수를 활용 배출량 산정 법적시설 의무측정자료 각종협회 포스코 활 동 도 조 사 업체단위 활동도 조사 보건복지부 다이옥신 배출량 산정 (g-TEQ/yr, ○ ○ ○ ○ 년) 한국전력공사 통계청 환경부

12 4-1.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배출원 조사 협회 (철강,비철,양회 등) 실측대상시설 조사 배출원 정보 배출원 선정 현 장 확 인
배출시설 조사표

13 4-2.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배출원 분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1. 폐기물 처리 5. 화학제품 제조
페기물소각 생활 사업장(일반,지정) 기타폐기물처리 매립, 하·폐수처리 2. 철강산업 일관제철 소결로, 코크스, 전기로 제철 제강 전기로, 합금철 합금철 전기로 철강주조 선철주물, 강주물주조 3. 비철금속 산업 제련, 정련, 합금 동, 알루미늄, 연· 아연 압연, 압출, 연신 동, 알루미늄, 기타 비철금속주조 알루미늄, 동, 기타 4. 비금속광물 제품제조 유리및유리제품 1차유리,산업용유리 요업 내화, 비내화 시멘트, 석회제조 시멘트, 석회 기타 아스콘제조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5. 화학제품 제조 유기화학 EDC, VCM, PVC 무기화학 염산,가성소다,프레온,클로로벤젠 등 염소계화학제품 제조 펄프.제지제조 펄프제조, 종이제조 타이어 6. 에너지 산업연소 공공발전시설 고체연료, 액체연료 지역난방시설 7. 기타 화장장

14 4-3.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접근방법 접근방법 Bottom Up Approach Top Down Approach
특 징 실측 데이터 있는 경우 개별시설별 배출량 산출 실측 데이터 없는 경우 법적 배출계수(또는 평균배출계수)이용 통계자료 실측데이터 계산과정 배출량산정 배출시설수, 활동도 분류별 배출시설수, 분류별 활동도 각 시설별 실측농도 조사데이터, 문헌, 통계자료 각 시설별 배출량 계산 배출계수 × 활동도 각 시설별 배출량 → 총 배출량 총 배출량

15 4-4.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별실측에 의한 배출량 산정방법 배출계수에 의한 산정방법
대기 : 배출계수[실측농도(ng-TEQ/Sm3) × 유량(Sm3/일 또는 시간)/활동도(톤/일 또는 시간)] × 연간활동도(톤/년) ×10-9 수질 : 실측농도(pg-TEQ/L) × 연간배수량(L/년) ×10-12 일일(연간)활동도:측정일 당시(또는 연간) 측정 배출시설의 연료(또는 원료) 사용량, 제품생산량 각 개별시설에서 다이옥신 측정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경우에 적용 생산품, 폐수, 잔재물(분진, 오니) 중의 다이옥신 배출량을 산정할 때 적용 배출계수에 의한 산정방법 배출계수(㎍-TEQ/단위활동도) × 연간활동도(활동도/년) 배출계수(㎍-TEQ/단위활동도) : 처리된 원료 또는 생산된 제품 당 PCDD/DF 배출량 연간활동도 : 측정 배출시설의 해당 측정일 소속 연간 연료(또는 원료) 사용량, 제품생산량 일반적으로 측정하지 않은 배출원 추계에 사용

16 4-5.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배출원 현황 (기준년도 : 2006년) 구분 총계 권역별 철강 비철 비금속 광물 화학 에너지 화장장
전체 배출사업장 (시설) 1337 (31,842) 소계 150 (2,454) 194 (1,632) 654 (7,389) 217 (19,965) 75 (318) 47 (84) 수도권 336 (6921) 25 (260) 73 (489) 135 (1036) 63 (4975) 35 (141) 5 (20) 중부권 337 (5099) 26 (271) 29 (126) 214 (2985) 46 (1628) 12 (72) 10 (17) 호남권 200 (5972) 16 (544) 14 (40) 113 (822) 34 (4512) 11 (42) (12) 영남권 464 (13850) 83 (1379) 78 (977) 192 (2546) 74 (8850) 17 (63) 20 (35) POPs 대상사업장 156 (531) 15 (78) 124 (332) (54) (67) - 51 (128) 2 48 (113) 1 (3) (83) (32) 9 (48) (81) (22) 4 (11) (1) (47) 71 (239) (41) 57 (176) (5)

17 4-6.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배출량조사결과 (단위 : g-TEQ/yr) 구 분 한국 일본 (2005)
Dioxin+Co-PCBsWHO 미국 (2000) 2001 DXNITEQ DXNWHO DXN+Co-PCBsWHO 총계 1020.5 1125.4 1219 ~1246.6 323 ~345 670.3 709.6 소각시설 891.6 987.4 1065.4 ~1093 209 ~231 448.5 477.2 (소각장제외) 128.9 138.0 153.6 114.0 ~ 116.9 221.8 232.4 철강산업 96.4 103.3  113.6 79.4 24.4 27.6 비철금속 15.0 15.7  19.8 24.3 16.3 16.9 비금속광물 3.1 3.3 3.6 5.4 35.0 37.9 화학산업 0.6 0.5 0.3 10.2 10.3 에너지 9.8 10.4 11 2.2 135.6 139.4 화장장 4.1 4.8 5.1 2.4~5.3  *출처 : 일본 다이옥신류 배출량 목록(2005, 환경성)            미국 An Inventory of Sources and Environmental Releases of Dioxin-Like Compounds in the United States for the Years 1987, 1995, and 2000 : EPA/600/P-03/002F November 2006(NCEA, US EPA)

18 4-7.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배출량조사결과(2001)

19 5. 배출원 조사양식 작성방법 1. 사업장 일반사항 2-1. 배출시설에 관한 사항
(1)사업장명 (2)대표자 (3)연락처 (4)사업장 소재지 TEL FAX 담당자 및 (5) 관할기관 (6) 사업자등록번호 (7) 주생산품 (8) 연간생산량 (톤/년) (9) 연간 가동일수 (10) 일 가동시간 (11) 업종(표준산업분류) 인천시청 형강, 철근 등 3,559,914톤 365일 24시간 제1차 금속제조업 (12) 대기/수질 종별 구분 (13) 지역별코드 (14) 다이옥신 배출원 분류코드 기재하지 마십시요. 2-1. 배출시설에 관한 사항 (14)* 배출공정 (15)* 원료 (연료 또는 투입물) (16) 원료투입량 (톤/h) (17) 로 type /제작사 (18) 용량 (톤/h, 톤/일) (19) 시설최대 용량(단위) (20) 로 온도 (℃) (21)* 가동방식 (22) 가동시간 (23) 배출공정별 최종생산품 또는 폐기물 소각량 (h/일) (일/년) 명칭 양(톤/일) 양(톤/년) 60-120 1500 회분식 21 365 형강 철근 * (14)배출공정 란에는 시설형식 기입. ex)소각시설,소성시설,제강시설 등 * (17)로타입에는 반사로, 건조로 등의 로명칭을 기입하고 전기유도로, 전기아크로를 반드시 구분하여 명기 * (23)최종생산품은 시설별로 기입하고 실제 용융/용해공정 등을 통해 나오는 생산품을 별도 표시할것. Ex)전기동 300톤(용융/용해 250톤)

20 배가스 처리용량(Sm3/h)또는 폐수 처리능력(톤/일)
5. 배출원 조사양식 작성방법 2-2. 방지시설에 관한 사항 (14)* 배출공정 (24)* 방지시설 공정도 (25) 방지시설별 개요 (26) 굴뚝명/방류구 명칭 및 번호 (TMS번호) (27) 평균 배출가스량 (Sm3/h 또는 Sm3/일) 또는 폐수배출량(톤/일 또는 리터/일) 매체구분 방지시설명 (처리방법) 배가스 처리용량(Sm3/h)또는 폐수 처리능력(톤/일) 설계효율 (%) 온도 (℃) 입구 출구 -대기 : CC ⇒ WHB ⇒ SDR ⇒ BF ⇒ SGH ⇒ SCR ⇒ ID FAN ⇒ Stack -수질 : CC⇒ WHB⇒ 활성슬러지⇒ 방류 대기 SDR BF SCR 수질 * (25)설계효율은 방지시설 설치업체가 제시한 오염물질 제거효율값을 적용 2-3. 폐기물 및 폐수발생에 관한 사항 (14)* 배출공정 (28) 집진재 발생량 (톤/일) (29) 폐수 방류 (30) 슬러지 발생량 (kg/일) (31) 기타폐기물 발생량 (톤/h) Slag 집진 Ash 방류량 (톤/일 또는 리터/일) 방류 하천명 또는 해양명 평균 pH 평균 수온(℃)

21 5. 배출원 조사양식 작성방법 3. 다이옥신 측정실적 (최근 2년간) 4. 조사내용 작성자
(14)* 배출공정 측정매질 측정기관 측정일자 측정결과 (ng-TEQ/Sm3) 측정당시 배가스량 (Sm3/h) 일가동시간 (h) 일일활동도 (톤/일) 방지시설별 효율 (%) 배출계수 (㎍-TEQ/톤) 연간 다이옥신 발생량 (g/년) 비  고 4. 조사내용 작성자 부   서 직   위 성   명 연  락  처 비    고 TEL : FAX : 본 조사양식은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관리법에 의한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배출원(시행규칙 별표 1의 배출시설 및 법적 배출시설 이외 다이옥신 발생가능성이 있는 배출시설 포함)과 배출량을 파악하여 국가배출목록을 작성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 자료는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의 배출계수 산정, 저감가능분야 파악, 저감계획 수립, 국제협약에 의한 POPs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환경관리공단 홈페이지 에서 다운로드 가능)

22 6. 질의응답 및 토론

23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사업장 설명회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배출원·배출량 조사."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