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발표자 : 6조 화학공학과 김옥겸 황은길 발표일 : (목)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발표자 : 6조 화학공학과 김옥겸 황은길 발표일 : (목)"— Presentation transcript:

1 발표자 : 6조 화학공학과 김옥겸 199903306 황은길 199903561 발표일 : 04. 11. 4(목)
20장/ 대기오염과 시민건강에 미치는 영향 발표자 : 6조 화학공학과 김옥겸 황은길 발표일 : (목)

2 개요 서론 : 대기오염의 의미 본론 : 대기오염의 사례 대기오염 관련 법의 변천 오염물질의 허용 농도
오염물질의 표준지수와 대기의 질 기준오염물질 배출량의 변화 광화학스모그의 생성 메커니즘 광화학스모그에 대한 탄화수소/일산화탄소 영향 결론

3 서론 - 대기오염의 의미 대기오염 인위적 발생원에서 배출된 물질이 생물이나 기물에 직접적 대기오염에 의한 공해의 주범
인위적 발생원에서 배출된 물질이 생물이나 기물에 직접적 으로 해를 끼칠 만큼 다량으로 대기 중에 존재하는 상태. 대기오염에 의한 공해의 주범 아황산가스(공장, 발전소), 유황스모그(매연), 광화학스모그(자동차), 미량의 방사성 라돈가스(건물, 지하실), 각종 온실가스와 오존층 파괴가스

4 본론 - 대기오염의 사례1 뮤즈계곡사건(1930) - 벨기에의 수도 Belium에서 발생한 smog사건
본론 - 대기오염의 사례1 뮤즈계곡사건(1930) - 벨기에의 수도 Belium에서 발생한 smog사건 - 100m의 뮤즈계곡에 위치한 금속, 유리, 아연, 제철의 공장에서 배출되는 , 에 의해 기온역전으로 연무 등과 같은 현상이 3일간 지속됨 - 3일동안 평상시 사망수의 10배인 약 60명이 사망, 심장이나 폐에 만성병을 가진 노인들의 피해가 큼. 기침과 호흡이 곤란증세 . 동물에는 치명적인 피해

5 본론 - 대기오염의 사례2 Tokyo-Yokohama 사건(1946)
본론 - 대기오염의 사례2 Tokyo-Yokohama 사건(1946) - 일본 제 2의 해안 공업도시인 오사까 등에서 대기오염이 약간의 문제가 됨 - 일본의 공업도시 요꼬하마, 무풍상태인 밤과 이른 새벽 사이에 동경과 요꼬하마에서 방출된 대기오염물질로 발생. - 과거에 기관지염을 앓던 환자에게 피해가 심했으며, 특히 9월∼3월 사이에 천식과 기관지염의 피해가 컸음

6 본론 - 대기오염의 사례3 Donora 사건(1948)
본론 - 대기오염의 사례3 Donora 사건(1948) - 펜실바니아주 피츠버그시의 남쪽 약 25km 되는 곳에 당시 인구 약 13,000명의 도노라 시에서 발생 - 미국 동북부의 광대한 지역이 고기압권에 들어 역전층이 형성되었으며 대기가 매우 안정되고 무풍상태가 되자 계곡의 공장(제철, 아연, 황산공장)에서 배출가스가 안개와 함께 대기오염을 가속시킴 - 20여명이 사망하고 6,000여명이 호흡기 질병을 일으킴

7 본론 - 대기오염의 사례4 Poza Rica 사건(1950)
본론 - 대기오염의 사례4 Poza Rica 사건(1950) - 분지지역임 멕시코의 Poza Rica에서 기온 역전시, 공장 작업 중 사고로 대량의 황화수소가스 누출 - 계란 썩은 냄새를 가진 독가스에 의해 320명이 급성중독에 걸려 끝내 22명 사망. 기침, 호흡곤란, 점막 자극. (주민 22,000명 중 320명 급성중독에 걸림)

8 본론 - 대기오염의 사례5 London smog(1952)
본론 - 대기오염의 사례5 London smog(1952) - 영국의 수도 런던에서 주로 60%가 가정난방용, 기타 공장, 발전소의 석탄 연소시 발생한 매연과 SO2가 지표면에 축적되어 발생한 사건 - 사망자수가 평상시보다 약 2.6배인 4000명 이상이 사망 했으며,1953년 2월 중순까지 8000명의 사망자를 낸 사건. 호흡기 질환과 심장 질환 만성 기관지염, 천식, 기관확장증, 폐섬유증, 폐염 등을 유발.

9 본론 - 대기오염의 사례6 LA smog(1954) -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LA에서 자동차 등의 화석 연료연소시 방출되는 올레핀계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등과 태양광선 중 자외선에 의해서 발생한 신종 광화학 smog사건 - 눈, 코, 기도 , 점막의 지속적, 반복적 자극으로 , 식물 손상, 고무제품 노화, 건물 손상 등

10 본론 - 대기오염의 사례7 인도 보팔사건(1984) - 인도 마디아프라데시주 보팔시의 살충제 공장에서
본론 - 대기오염의 사례7 인도 보팔사건(1984) - 인도 마디아프라데시주 보팔시의 살충제 공장에서 독가스 누출로 일어난 재난 - 인근지역주민 70만명 중 20만명이 가스를 흡입, 2만명 이상이 응급치료, 가축의 떼죽음

11 본론 - 대기오염의 사례8 멕시코시티 smog(1987) - 멕시코시티의 하늘을 날던 수천마리 새가 죽음
본론 - 대기오염의 사례8 멕시코시티 smog(1987) - 멕시코시티의 하늘을 날던 수천마리 새가 죽음 - 4000~5000m높이의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도시인 멕시코시티는 인구 2천만 명이 넘는 거대도시로 도시내부에는 정유공장, 화력발전소를 비롯한 많은 공장과 자동차 매연이 심각함. - 두통, 불면증, 무기력, 구토 증세. 죽은 새에서는 심장,폐, 간에서 납, 카드뮴, 수은의 중금속 검출

12 본론 - 대기오염 방지법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과 리우환경회의 이후의 환경보호의식의 확산 등으로 대기질 개선에 대한 국민적 욕구의 증가 대기환경기준은 대기오염에 의한 피해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행정 목표치로서, 인체와 동식물에 해로운 영향을 유발하는 폭로량을 기준으로 하여 장·단기 기준치를 설정.

13 본론 - 대기오염 정책(영국) 1956년 공기청정법(Clean Air Act, CAA)를 제정하여 연기규제를 시작
본론 - 대기오염 정책(영국) 1956년 공기청정법(Clean Air Act, CAA)를 제정하여 연기규제를 시작 1968년 공기청정법을 개정하며 환경청을 신설 1990년 환경보호법(Environmental Protection Act)으로 개칭.

14 본론 - 대기오염 정책(미국) Dorona 사건 이후로 1955년 처음으로 대기오염방지법 반포 1963년 공기청정법을 제정
본론 - 대기오염 정책(미국) Dorona 사건 이후로 1955년 처음으로 대기오염방지법 반포 1963년 공기청정법을 제정 1970년 공기청정법을 개정하며 환경청 신설 1971년 대기질 기준을 처음으로 공표하여 6개의 대기오염물질( , , , CO, Pb, 부유먼지)에 대한 환경기준을 설정 1990년 오존에 대한 전구물질(precursor)에 대한 규제 강화

15 본론 - 대기오염 정책(일본) 1967년 공해대책 기본법 제정 1971년 환경청 발족
본론 - 대기오염 정책(일본) 1967년 공해대책 기본법 제정 1971년 환경청 발족 1969년 의 대기환경기준을 처음으로 설정 1970년 CO, 1972년 부유먼지, 1973년 와 광화학옥시단트에 대한 환경기준을 설정 1973년 , 1978년 의 환경기준을 개정

16 본론 - 대기오염 정책(한국) 1971년 공해방지법 제정 1977년 환경보전법 제정 1978년 기준 설정
본론 - 대기오염 정책(한국) 1971년 공해방지법 제정 1977년 환경보전법 제정 1978년 기준 설정 1983년 를 포함한 6대 대기오염물질( , , , CO, 탄화수소, 부유먼지)에 대한 대기환경 기준을 제정 1990년 Pb 기준 추가, 환경청이 환경처로 승격 1994년 미세먼지 기준 추가, 환경처가 환경부로 승격

17 본론 - 환경부 대기보전국 대기보전국 대기관리과 대기총량 제도과 대기정책과 교통환경 기획과 교통환경 관리과 생활공해과
본론 - 환경부 대기보전국 대기보전국 대기관리과 대기총량 제도과 대기정책과 교통환경 기획과 교통환경 관리과 생활공해과

18 본론 - 기준물질의 허용 농도 기준오염물질선정 -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오존, 아황산가스,
본론 - 기준물질의 허용 농도 기준오염물질선정 -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오존, 아황산가스, 먼지, 납의 6가지(미국, 한국) 허용농도치 선정 - 오염물 배출원의 가동이 시간대에 따라 달라 대기중 농도 변동

19 본론 - 기준물질의 허용 농도 표1. 국내대기환경기준 * 일부터 적용되는 기준임.

20 본론 - 기준물질의 허용 농도 여러 지역의 대기오염도(04. 11. 2 22:00 기준)
본론 - 기준물질의 허용 농도 여러 지역의 대기오염도( :00 기준) - 대전 : (0.003), (0.014), (0.018), CO(0.3), (3) - 대구 : (0.001), (0.009), (0.015) CO(0.6), (9) - 의정부 : (0.005), (0.01), (0.023) CO(0.6), (39)

21 본론 - 오염물질 표준지수와 대기의 질 PSI(Pollutants Standards Index)
본론 - 오염물질 표준지수와 대기의 질 PSI(Pollutants Standards Index) - 미국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가 개발한 오염물질 표준지수 시스템 표2. 오염물질 표준지수와 대기의 질

22 본론 - 미국의 오염물질 배출량 변화 * : 10µ미만의 분진, VOC : Volatile Organic Compound
본론 - 미국의 오염물질 배출량 변화 표3. 미국의 기준오염물의 연별 배출량, 100만톤 * : 10µ미만의 분진, VOC : Volatile Organic Compound

23 본론 - 한국의 오염물질 배출량 변화 * TSP(Total suspended partiecles) : 총 부유물질
본론 - 한국의 오염물질 배출량 변화 그림1. 한국의 기준오염물질 연별 배출량 * TSP(Total suspended partiecles) : 총 부유물질

24 본론 - NOx의 주요 발생 원인(수송) 그림2. 전국 자동차 연도별 자동차 등록 현황

25 본론 - 광화학스모그의 생성 메커니즘1

26 본론 - 광화학스모그의 생성 메커니즘2

27 본론 - 광화학스모그에 대한 탄화수소 와 일산화탄소의 영향1
본론 - 광화학스모그에 대한 탄화수소 와 일산화탄소의 영향1

28 본론 - 광화학스모그에 대한 탄화수소 와 일산화탄소의 영향2
본론 - 광화학스모그에 대한 탄화수소 와 일산화탄소의 영향2

29 본론 - 광화학스모그에 대한 탄화수소 와 일산화탄소의 영향3
본론 - 광화학스모그에 대한 탄화수소 와 일산화탄소의 영향3

30 본론 - 광화학스모그에 대한 탄화수소 와 일산화탄소의 영향4
본론 - 광화학스모그에 대한 탄화수소 와 일산화탄소의 영향4

31 결론 - 환경보존은 인식이 관건 물고기가 물을 떠나 살 수 없듯이 인간은 대기를 떠나선 살 수 없다.
결론 - 환경보존은 인식이 관건 물고기가 물을 떠나 살 수 없듯이 인간은 대기를 떠나선 살 수 없다. 대기오염의 영역은 공장이나 자동차, 공업시설을 인한 오염을 넘어서 우리의 호흡기를 자극하는 모든 것이다. 금연구역 준수에서부터 시작하는 대기오염방지의 실천이 필요하다.

32 문제 1. 미국, 한국 등이 선정한 기준오염물질 6가지는 무엇인가? 2. PSI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문제 1. 미국, 한국 등이 선정한 기준오염물질 6가지는 무엇인가? 2. PSI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3. 광화학스모그의 생성 메커니즘을 쓰시오. 4. 1기압, 25C에서 470 µg/ 를 ppm단위로 고치시오. 5. 우리가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는 사소한 방안들에 대해 논하시오.


Download ppt "발표자 : 6조 화학공학과 김옥겸 황은길 발표일 : (목)"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