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한국 조선산업 과제와 대응 한국조선협회 상무 유 병 세.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한국 조선산업 과제와 대응 한국조선협회 상무 유 병 세."— Presentation transcript:

1 한국 조선산업 과제와 대응 한국조선협회 상무 유 병 세

2 목 차 조선산업의 현황 및 전망 01 한국조선산업의 발전 및 위상 02 주요 조선국 동향(중국,일본,유럽) 03
04 한국조선산업의 과제 05 한국조선산업의 대응방향

3 01 조선산업 현황 및 전망

4 01 세계 조선산업 현황(수주) 세계 경제와 밀접한 경기 순환 산업
1980년대 평균 15백만GT, 2000년 이후 평균 75백만GT로 약 5배 증가 2003~2008년간 최대 호황, 세계금융위기 이후 경기(수주) 급락 <세계 선박 수주량 추이> 자료 : 로이드 자료 : 로이드

5 01 세계 조선산업 현황(수주) 2009년 세계 수주량: 전년대비 77.5% 감소한 11.6만CGT
- 2003~2008년간 최대 호황을 보였으나, 세계 금융위기 이후 발주량 급감 중국의 시장 점유율 급증: ’06년 28.5% → ’08년 35% → ’09년 44.8% - ’09년의 경우, 선박금융 등의 정부지원 및 자국발주 물량으로 중국의 점유율이 50%에 육박하나 전체물량이 워낙 작아 큰 의미는 없음 < 세계 국별 수주량 > (단위 : 백만CGT) 국 별 2008 점유율(%) 2009 한 국 18.4 35.6 3.9 33.6 일 본 9.2 17.8 1.3 11.2 중 국 17.9 34.6 5.2 44.8 유 럽 2.9 5.6 0.5 4.3 총 계 51.6 100.0 11.6 자료 : 클락슨 2010년 5월 기준

6 02 세계 조선산업 현황(건조) 1980년대 평균 15백만GT, 2000년 이후 약 43백만GT로 약 3배 증가
52백만GT, ’07년 56백만GT, ’08년 66백만GT로 건조량 급증 ’09년을 피크(80백만GT)로 이후 건조량 감소 전망 <세계 선박 건조량 추이> 자료 : 로이드

7 02 세계 조선산업 현황(건조) ’09년 세계 건조량: 전년동기대비 5.4% 증가한 44.8백만CGT
- 저조한 수주실적에도 불구, 견실한 수주잔량을 바탕으로 증가세 - 중국의 건조량 점유율 증가세: ’06년 15% → ’08년 21% → ’09년 27% ※ ’09년말 세계 수주잔량: 전년대비 19.6% 감소한 1억62.8백만CGT < 세계 국별 건조량 > (단위 : 백만CGT) 국 별 2008 점유율(%) 2009 한 국 15.5 36.4 34.6 일 본 9.8 23.0 9.5 21.2 중 국 9.0 21.1 12.2 27.2 유 럽 6.1 14.3 5.1 11.3 총 계 42.5 100.0 44.8 자료 : 클락슨 2010년 5월 기준

8 본격적인 회복은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전년대비 수주규모는 대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
03 세계 조선산업 전망 세계 공급과잉 경기 및 물동량 회복에 따라 선박수요 회복 전망 선주들의 계약변경(발주취소, 인도지연)에 따른 공급 감소 해양플랜트 발주 계획 → 해양부문 주력 전망 기타 대내외 여건 예상보다 빠른 경기회복세(’10년 경제성장률 3.1% 전망, IMF) 세계 교역량 반등 전망(’09년 -12.2% → ’10년 1.0%, IMF) 조선용 후판가 안정세 2010년 세계 조선 시황은 서서히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본격적인 회복은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전년대비 수주규모는 대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 2010년 수출금액 전년대비 6.5% 감소한 430억 달러 전망, 건조량 10% 상당 감소 전망

9 03 세계 조선산업 전망 세계 중단기 수주량 전망

10 02 한국 조선산업의 발전 및 위상

11 01 한국조선산업, 세계 속의 위치 변화 세계금융위기로 인한 세계시장점유율 감소
(1995년 23%→2008년 38%→2009년 21%) 세계 Top10에 현대중공업 등 국내업체 7사 유지(그 외 중국 3사) 고부가제품 비율 확대(2009년말 세계 수주잔량 기준) : LNG선 72%(세계 33척 중 24척), 초대형컨선 82%(8,000TEU이상), 드릴쉽 35척 중 33척 차지 구 분 1995 2000 2007 2008 2009 세계시장 규모 18,517 28,932 82,312 41,386 16,580 수주규모 (천CGT) 한 국 4,228 10,459 32,794 15,833 3,443 일 본 5,858 7,449 9,694 6,525 3,895 중 국 848 1,935 27,163 13,148 6,987 시장 점유율(%) 22.8 36.2 39.8 38.3 20.8 31.6 25.7 11.8 15.8 23.5 4.6 6.7 33.0 31.8 42.1 자료 : 로이드(잠정치)

12 자료 : 지식경제부 무역통계 MTI 4단위, 2009년 12월 기준
02 한국조선산업, 국민경제적 위상 외환위기 이후 5대 핵심수출산업으로 확고한 자리 매김 - 2008년 수출 1위, 무역수지 흑자 1위 품목, 2009년 1위 유지 - 2009년 수출금액 451억불 기록하여 사상최대 실적 달성, but 부실 조선사의 선박건조 중단, 선주들의 계약변경 발생 등으로 연초전망(544억불) 대비 부진 단위 : 백만불 구 분 수출현황(A) 수입현황(B) 무역수지 (A-B) 금액 증가율 선 박 42,287 5.9 2,794 -15.8 39,493 해양구조물 196 -81.0 30 -26.6 166 선박용엔진 2,518 20.7 957 -9.1 1,561 선박용부품 127 23.5 1,192 16.4 -1,065 45,128 4.5 8,754 64.3 36,374 구 분 2009 선 박 42,287 무선통신기기 30,986 반 도 체 31,042 평판디스플레이 25,578 자 동 차 25,411 전체수출 363,534 자료 : 지식경제부 무역통계 MTI 4단위, 2009년 12월 기준

13 *참고> 경쟁우위요소의 핵심 요소 → 가격경쟁력(진입) → 신기술채용(리더) 조선산업의 경쟁구조 – 시장 주도국의 변화
혁신공법 최적설계 → 가격경쟁력(진입) 한국 1990년대 중반 ~ 현재 → 신기술채용(리더) 용접공법 대형블록 일본 1960년대 ~ 1990년대 중반 리벳건조 추진기술 ‘09 영국/유럽 2차 대전 ~ 1950년대 한국 33.6% 중국 44.8% 일본 11.2% 미국 ~ 2차 대전 중국 2000년대 이후 ‘90 일본 43% 한국 22% 유럽 18%

14 *참고> 한국조선 성장동인 한국조선산업의 성장 동인 치열한 기업간 자유경쟁 한국적 기술교류문화 적극적 신시장 창출
시장논리에 의한 독자화/전문화 전문 분야별 특화된 협의체 핵심제품 및 고객서비스 차별화 공동 R&D 추진 및 수행 한국조선 성장동인 적극적 신시장 창출 도전적 기업가 정신 선진국 견제↔후발경쟁국 틈새 시장 창출 및 확대 위기를 시장개척의 Timing 역발상의 기술 개발 및 채용 전후방산업 동반 발전 수직적 분업화 구조를 순환적 협력 관계화 안정적 수급을 위한 기자재 산업 클러스터화

15 03 주요 조선국 동향 (중국, 일본, 유럽)

16 01 중 국 현황 추진전략 주요 조선국 동향 (중국) 1980년대 이후 현대화 산업기반 구축, 본격적으로 수출선 수주
중 국 현황 1980년대 이후 현대화 산업기반 구축, 본격적으로 수출선 수주 낮은 임금, 군함 건조기술, 안정적 내수시장이 성장의 기반 최근 조선시황의 호황으로 인한 기술습득 및 학습 효과 배가 세계경제위기 이후 신조선 발주취소 및 인도연기 다수 발생 추진전략 자국에서 필요한 선박은 자국에서 조달한다는 원칙 유지 조선산업 육성책 발표(2009.2) - 3년내 신규 조선소 건설 불허, 2011년 중국의 세계 점유비 35% 목표, 2011년까지 고기술 선박 세계 점유비 20% 목표, R&D/해양설비분야 지원확대 등 조선소측에 충분한 운영자금 공급, 선주들에 대한 금융지원 확대를 통한 정부의 조선산업 지원 19

17 02 일 본 현황 추진전략 주요 조선국 동향 (일본) 내수선박 비율 증가(1990년대 40~50% →2006년 72%)
일 본 현황 내수선박 비율 증가(1990년대 40~50% →2006년 72%) 건조설비 규모의 변화 (도크수 1979년 315기 →2005년 195기) 조선인력의 변화(1975년 16만 1천명 →2009년 5만 2천명) (SAJ 회원사 기준) 추진전략 30%대의 시장점유비 유지를 위해 정부지원 및 산.학.관의 제휴· 협력 지속 전망 조선인력 고령화로 기능인력 확보를 위해 민.관 합동으로 다양한 인력유치 활동 전개 IMO, 국제표준화 등 국제협약활동에 적극적 참여 20

18 03 유 럽 현황 추진전략 주요 조선국 동향 (유럽) 국제경쟁력 약화에 따른 산업생산기반의 축소
유 럽 현황 국제경쟁력 약화에 따른 산업생산기반의 축소 대형여객선 건조시장의 독점 유지 건조설비축소로 건조능력 감소 고용인력의 변화(1975년 46만명 → 2009년 약 14만명) (CESA회원사 기준) 덴마크 오덴세 조선소 폐업, 수주가뭄으로 일감부족 추진전략 LeaderSHIP 2015 : 유럽 공동의 조선분야 경쟁력 강화전략 첨단선박 건조 유지전략을 위한 기술개발 투자 및 기술보호 강화 수요확대 및 신규발주 유도차원의 정부 지원 요청 숙련 기능인력 유치를 위한 조선산업 이미지 개선활동 전개 21

19 04 한국 조선산업 과제

20 01 [국가 단위] [기업 단위] 산업 주도권∙위상 변화 주도기업 재편 불황기 산업구조개편
중국의 추격에 따른 양국간 경쟁 심화 [국가 단위] 산업 주도권∙위상 변화 [기업 단위] 주도기업 재편 불황기 산업구조개편 2,3위 기업: 불황은 역전의 기회 - 캐논: 복사기 후발주자에서 역량 집중, IT 불황기에 1위 부상(’01) 자동차: 日, 오일쇼크 이후 소형차 로 세계시장 공략 성공 조선: 日 불황기(78년), 설비능력 35% 삭감으로 호황기 수요 대응 실패 → 한국에 주도권 상실 1위 기업: Winner Takes All - 외환위기시, 2∼3위 기업 몰락 (기아차, 대우전자 등) 중국 주력 선종 변화 가능성에 따라 양국간 수주 경쟁 심화 - 중국은 최근 13,000TEU급 컨테이너 건조 및 LNG 설계에 성공 ☞ 구조조정 후, 양국 대형사간 충돌 본격화 예상 19

21 02 As Is To Be 핵심 기술 전문 인력 ☞ 확고부동한 세계 1위를 지속하기 위한 필수 요소
핵심기술 확보 및 전문인력 관리시급 As Is To Be 대형 기자재의 수입 의존 심화 - 대형 단조품, 일본에 의존 핵심 부품 제조 기술 미확보 - 로열티 지불에 의한 수익 감소 기술 협력 및 제품 공동 개발 신규 공급사 적극 개발 핵심 기술 산학협력 확대 - 예: 대우조선의 거제대학 인수 기존 인력 관리 및 기술 전수 - 관리 시스템 구축 생산직 고령화 (평균 43세) - 능력 배양에 상당 시간 소요 은퇴 인력에 대한 방치 - 해외 유출 시 기술 유출 효과 전문 인력 ☞ 확고부동한 세계 1위를 지속하기 위한 필수 요소 19

22 *참고> 시장환경의 변화, 새로운 경쟁 패러다임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 시장 Volume 축소 → 원가우위경쟁시장
시장수요 2009 2001 11% 35% 29% 33.6% 44.8% 11.2% 한국 일본 중국 가격경쟁력 국제 규제 강화 → 해사안전/환경보호 → 인프라 우위시장 정책수요 국제해사기구(IMO), 신조선 규제 확대 → 선박구조강화 / 오염물질 최소화 비가격경쟁력 블루오션 신시장 수요 → 해양구조물시장확대 → 극한지역/省 에너지 → 기술경쟁우위시장 신선종 수 요 해양 제품 발주 예상액, 약 1,000억불 북극 운항 개발, 기존 운항로 1/3 단축

23 05 한국 조선산업 대응방향

24 01 Private Strategic Plan Public Strategic Plan 전략 도출 포지션 살아남은 자들의 경쟁
패러다임의 변화, 경쟁전략의 도출 전략 도출 포지션 살아남은 자들의 경쟁 Volume 시장의 고부가화 후발경쟁국 기술종속화 신시장 수요 창출 공급자에 의한 시장 창출 융복합 기술 채용, 시장 Boundary 확대 국제 규제의 강화 선제적 R&D 개발전략 Global Rule Maker Private Strategic Plan 창조적 차별화 혁신 능력 강화 전후방 산업 동반발전 Public Strategic Plan 체계화된 정책 지원

25 02 지금의 위기는 한국조선산업’ 미래의 기회 경쟁전략도출 창조적 차별화 혁신 능력 강화 전후방산업 동반발전 체계적 정책 지원
경쟁전략과 Action Plan 지금의 위기는 한국조선산업’ 미래의 기회 경쟁전략도출 창조적 차별화 혁신 능력 강화 전후방산업 동반발전 체계적 정책 지원 미래기회창출 신개념 선박 시장 니즈 주도 융복합 기술 채용 지속성장 기존제품의 질적 변화 공급자 주도 시장 창출 핵심원천기술 개발의 확대 R&D↔특허↔Rule & Standard 상생 순환의 동반발전 관계 Idea Share를 통한 신기술 개발 장기 인프라 활성화 구축 산업과 호흡하는 정책 개발

26 친환경, 운항 경제성과 연계한 시장수요 창출형 핵심원천기술 확보 국내IT, 첨단소재산업과 연계 융복합기술 개발확대
03 조선산업 발전 세부전략 전략 1> 핵심원천기술 기반 차세대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친환경, 운항 경제성과 연계한 시장수요 창출형 핵심원천기술 확보 국내IT, 첨단소재산업과 연계 융복합기술 개발확대 조선해양산업의 주력기술개발 분야 Smart Ship Green Ship Extreme Ocean Plant Leisure Boat LNG운반선 LPG 운반선 ULCS 빙해선박 Cruiser CNG운반선 초고속선 해상 LNG터미널 시추플랫폼 FPSO 해양탐사/작업장비 모터 보트 세일 요트

27 03 조선산업 발전 세부전략 전략 2> 조선.해양기자재 산업의 고도화 및 수출확대
조선기자재 산업 핵심기술 국산화 및 고도화 기자재산업 규모확대 위한 기술집약적 공동연구개발 전략 3> 정책/제도개선 및 국제위상 강화 조선통상,정책(불합리법규개선) 일류화 전략수립 국제해사분야 Rule-making 활동 강화 전략 4> 우수인력 확보를 위한 인력개발 체계 강화 조선해양공학 전공 홍보강화 취업기피 기능분야 장기 인력수급계획 수립

28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한국 조선산업 과제와 대응 한국조선협회 상무 유 병 세."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