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사례관리 개입기술.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사례관리 개입기술."— Presentation transcript:

1 사례관리 개입기술

2 사례관리 성공의 영향요인 클라이언트 나이, 사회적 배경, 최근 위기 경험(퇴직, 이혼, 죽음, 자녀 결혼 등), 치료계획의 적절성, 보호수준을 관리할 수 있는 기관의 존재, 치료계획에 동조하는 클라이언트와 그의 가족, 클라이언트와 그 가족의 신체적 심리정서적 안정성, 외부자원의 동원 가능성, 다른 프로그램 수혜 가능성 여부 등

3 사례관리 실천 개입기술 직접 서비스와 관련된 기술 간접 서비스와 관련되 기술

4 직접 서비스와 관련된 기술 간접 서비스와 관련된 기술 사례관리자가 클라이언트와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기술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다른 기관과의 연계 등과 관련된 기술

5 1. 직접적 서비스 개입 기술 직접적 서비스 개입을 위한 기술 관계형성을 위한 기술 지지의 제공 상담과 치료 인터뷰 기술
정보수집 기록 질문하기(여러 가지 형태의 질문기법, 초점과 좀 더 나아가기) 듣기(재 기술, 재구조화, 요약, 심리학적 해석) 상담과 치료에 대한 이해 상담과 치료의 사용 클라이언트 동기화하기 클라이언트의 참여를 촉진하기 생존기술교육과 실제적 정보 제공 시작하기 : 클라이언트 알기 자기정당화 단서가 될 만한 중요한 특성에 주목 감정이입 권위와 권한 저항에 대한 통제 직접적 서비스 개입을 위한 기술 관계형성을 위한 기술 지지의 제공 상담과 치료 인터뷰 기술 1. 직접적 서비스 개입 기술

6 1. 관계형성을 위한 기술 클라이언트와 사례관리자의 관계 중요성 원만한 관계 형성 중요
클라이언트 : 도움에 대한 기대와 자신의 문제를 다른 사람에게 드러내야 하는 스트레스 가지고 서비스 제공을 기다림 초기에 사례관리자는 질문보다는 자기의 소개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holt) 탐색과 사정의 과정

7 사례관리자의 소개는 클라이언트에게 불확실하게 의심한 부분이나 불안하게 생각한 점에서 해방, 자신의 문제를 이야기하기 쉬워짐.
초기 관계 형성이 원만하게 이루어 질 경우 이후 사례관리 서비스 진행에 도움 양자간의 신뢰유지를 위한 노력 클라이언트가 배제되어 있다는 느낌이 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

8 1) 시작하기: c’t에 대해 알기 호기심으로 시작하는 간단한 질문 사회적 관계로 경직되기 쉽다
가벼운 질문(기후, 음악, 스포츠 등) 도움 클라이언트에 대해 알기를 원하는 과정은 무엇인가를 찾아냄으로써 알게 됨 클라이언트의 문화, 관심사, 취미, 행위들 마다 관계 형성 서로에 대해 공통관심, 비슷한 점 접근

9 사례관리자의 경험은 클라이언트와 함께 공유할 수 있다
사례관리자의 경험은 클라이언트와 함께 공유할 수 있다.(개인적 경험 공유는 장점과 동시에 단점: 클라이언트가 오히려 전문가를 위로하는 경우) 슈퍼바이저는 클라이언트와 개별적인 이야기를 하지 말고 혹 개인적 이야기는 클라이언트에게 도움이 될 때, 지나치지 않는 선에서 간단하게 제공 관계는 지속 만남을 통해 형성 됨

10 전통적인 임상 실천과 달리 사례관리에서는 폭넓은 개입 활동에 의해 생생한 체험 속에서 알고 관계는 더욱 두터워 짐.
전통 실천에서는 사무실, 상담실에서 진행

11 2) 자기정당화 관계 성립을 위해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에게 높은 존중감을 나타내어야 한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 클라이언트가 유일하게 가질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느낌, 생각, 경험, 목표에 대해 정당화 해주어야 한다. 현재의 클라이언트의 상황은 모든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매우 정상적인 상황이며 클라이언트 혼자서 이러한 어려움을 겪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설명함으로써 긴장 완화

12 3) 단서가 될 만한 중요한 특성 단서가 될 만한 특성을 놓치지 말고 질문으로 이어질 수 있어야 함.
클라이언트 여성의 눈가에 고인 눈물, 장애 정도가 심하게 눈에 뛴다거나, 표정이나 반응이 평소와 다르거나 격할 때 등 이러한 경우 사례관리자는 질문을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주목하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안도감과 자기에게 집중되어 있는 사례관리자에 대한 느낌 우호적 반응

13 4) 감정이입 다른 사람의 경험에 자신을 대입하여 자신이 그 사람의 경험을 하는 것을 감정이입(empathy)
클라이언트의 주관적 감정에 사례관리자는 자신이 그 경험을 한 것과 같이 동감 이러한 반응은 클라이언트의 마음을 안정화하고 격한 감정을 누그러뜨리거나 쉽게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다. 사례관리자가 자신에게 비심판적으로 다가오는 것에 대해 안도감 가짐

14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클라이언트에게 더욱 효과적
즉, 노화과적을 부인하거나 정신적이나 신체적 결함을 수용하기 부인하기 때문에 도움요청에 익숙하지 않은 노인을 대할 때 장기용양 보호를 받고 있는 오인들의 경우 감정이입이 매우 유일한 경험(이들은 때때로 중요하지 않은 사람으로, 치료가 되지 않는 사례로 낙인찍혀 왔음)

15 긍정적인 태도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신념에 강점 제공
동정(sympathy)과 감정이입을 구분 동정의 경우 다른 사람들의 스트레스 원의 깊은 정도를 느끼는 것 감정이입은 다른 사람들의 느낌 상태를 인식하는 것, 고통을 당하고 있는가에 대한 인식

16 5) 권위와 권한 권위(authority)와 권한(power) 고려
권위는 사회적 인정을 통해 전문가가 가지는 것,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심리적 도움 요청에서 나옴 권한은 법적으로 전문가가 갖게되는 서비스에 대한 영향력 사례관리자는 도움을 제공하고 도움을 제공하기 위한 자원을 관리하는 역할 수행, 반면 클라이언트는 도움을 제공받는 입장

17 사례관리자는 권위와 권한을 가짐, 클라이언트는 권위와 권한을 따르는 입장이 되기 쉽다.
파트너십 중요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 중심에서 적절한 권위와 권한 사용 중요

18 6) 저항에 대한 통제 저항은 변화를 방해하는 힘 저항을 다루는 기술 개발해야 함.
저항의 유형 : 침묵, 핵심에서 벗어난 주제, 무력감의 표현, 문제 축소, 지각 행동 저항의 원인 : 새로움을 바라면서 동시에 변화에 대한 두려움, 사례관리자와 서비스에 대한 잘못된 이해

19 저항을 다루는 방법(양옥경) 저항의 저변에 있는 클라이언트의 현재 감정에 초점을 두고 클라이언트와 대화하여 부정적 감정을 효과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변화를 두려워하는 클라이언트에게 긍정적 관점을 제공 비현실적 클라이언트의 반응을 찾아내 현실적인 관점을 가지도록 한다.

20 2. 상담과 치료 상담과 치료에 대한 이해 상담과 치료의 사용 클라이언트 동기화하기 클라이언트 참여를 촉진하기
생존 기술 교육과 실제적 정보 제공

21 1) 상담과 치료에 대한 이해 직접적인 서비스 기능 : 상담(counseling)과 치료(therapy)
클라이언트 기능 촉진, 종합적인 기능 클라이언트의 정서적이고 인지적인 내면의 세계에 초점(연계는 환경에 초점) 1: 1관계 상담과 치료는 동일한 이론적 배경을 가지며, 클라이언트 외적인 지역사회의 지지도 받도록 지원

22 상담과 치료의 목적 : 상처받기 쉬운 클라이언트의 내적 자원을 강화시켜 주는 것이며, 개인적 자원이 지역사회에서 기능하도록 하는데 있음
치료란 : 병리적인 것에 초점을 두고 병리상태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것, 심리역동적이고 내면적인 것 강조 : 말하기(talking)방법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내부의 근본적이고 영속적인 마음의 문제 치료

23 상담이란 : 문제의 해결과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치료적 모형에서 예방과 전인적 발달과업의 성공적인 성취를 위한 실질적인 도움 제공
목적과 역할의 다양성 상담은 매일의 삶과 관련, 지금 현재(here-and-now) 관심

24 2) 상담과 치료의 사용 클라이언트가 지역사회에 적응해서 잘 살수 있도록 능력을 개발하는데 목적
클라이언트가 기본적인 삶의 과제에 대처할 수 있도록 중점(클라이언트 치료가 중점이지 않음) 제한된 시간에 심리적 도움을 제공할 것을 제안 : 단기간의 개입 프로그램들이 재발방지와 효과 높음

25 실제적이고 구체적 도움 확장 : 아이돌보는 사람 찾기, 식사를 사는것 등
2-1) 직접서비스 제공 중요요소 매일의 삶의 기술 교육, 대인관계기술 정서적 지지 제공, 용기, 동기화 인지적 지지 제공, 기관과 자원이용 실제적이고 구체적 도움 확장 : 아이돌보는 사람 찾기, 식사를 사는것 등 위기개입방법 적용 ; 스트레스 대처 등

26 3) 클라이언트 동기화하기 동기화를 통해 내적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내적 자원을 끌어낼 수 있게 됨
동기화를 위해서는 행동에 대한 보상 중요 동기화 전략 변화를 위해 목표하는 특정문제에 정확히 집중하도록 격려 클라이언트 능력과 관심영역에서 “행할 수 있는” 과제를 정의 마스터하기 위해 과제를 연습한다

27 4) 클라이언트 참여를 촉진 강점 개입과 효과적인 개입을 위해 매우 중요 어떻게 참여를 촉진할 것인가?
클라이언트가 참여적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개인적 가능성과 제한점에 대해 사정 서비스 세팅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경험과 이해 숙지 : 클라이언트가 상담과 치료의 규칙에 익숙하다고 단언하는 것은 잘못

28 클라이언트의 경우 자신들이 무엇을 기대했는지 모를 수 있음.
클라이언트에게 적극적인 느낌의 표현, 관심, 선호도 등을 표현하는 것은 언제나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림. 사례관리자는 구조화된 행동기법을 사용(모델링, 역할연기 등)

29 5) 생존기술 교육과 실제적 정보 클라이언트 생존기술 :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로 알 수 있으며, 실제적 정보로는 소비자로서의 기술 대인관계기술, 지역사회 기술 Liberman 과 Mueser, Wallace : Social and Independent Living Skills Modules(SILS) : 레크레이션, 몸단장, 일자리찾기, 자산관리, 시간관리

30 5-1) Rothman & Sager 개인적 기술
대인관계 기술 : 사회화/ 여가활동 계획/ 시간관리/ 의사결정/ 집안의 허드렛일 공유/ 갈등의 조정/ 공격성 지역사회기술 : 지역사회 자원의 활용/ 정신건강과 비상구급 서비스에 대해 알기/ 의사소통 기술과 인식 개발/ 자조집단과 지역 서비스에 대해 알기/ 지역과 정치 인식 기술 개발/ 참여 기회 탐색해보기 소비자기술 : 식사를 위한 계획, 요리/ 장보기/ 에산, 은행/ 집안관리 주택(housing) : 공공주택 신청/ 관리회사와 협상하기

31 3. 지지의 제공 사례관리자의 두 가지 의무 : 사정의 과제를 완성하는 것과 클라이언트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
긍정적인 지지 : 칭찬 칭찬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무엇을 하도록 격려하는 효과 발생 행동수정이론 : 긍정적인 지지는 새로운 행위의 동기가 됨, 인내를 가지고 일관되게 긍정적인 보상 필요

32 3-1. 행동수정 이론 행동수정이론의 이론적 가정 행동이 핵심적 관심사다. 대부분의 행동은 학습된 것이다.
행동은 환경자극에 의해 결정된다. 행동의 현재적 결정요인을 중시한다. 행동은 맥락 속에서만 의미를 갖는다. 행동수정이론은 개인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데 응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행동원리와 법칙을 실험적 절차에 따라 발견하려고 노력

33 4. 인터뷰 기술 정보수집에 관한 기술과 기록에 대한 기술 질문과 듣기 기술
인터뷰 시 말에 대한 음색은 사용하는 말보다 더 큰 영향력 정보수집 기록 질문하기 듣기

34 1) 정보수집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이 클라이언트 정보를 충분히 얻는 것 상담은 정보를 얻기 위해 이루어짐.
적절한 의뢰와 서비스 제공을 위해 매우 중요 좋은 관계에서 좋은 정보 얻을 수 있음. 사례관리자는 초기 인터뷰를 통해 문제파악과 정보에 대한 적절한 수집 확인 필요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다수의 사람에게서 수집, 정보의 점검과 재확인 과정 필요

35 2) 기록 어떻게 기록할 것인가? 수집한 정보를 잘 정리하고 보관하는 과정
개인의 정보를 비밀보장하에서 잘 관리하는 것은 전문가의 윤리 기록하는 과정에서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 눈을 마주쳐야 하며, 이를 위해 가능한 빨리 기록하는 습관 필요 대화상의 키워드나 요점을 간단히 메모하는 방식, 면담 과정 잠깐의 시간에 기록하는 방식

36 클라이언트에 대한 내용을 기억하고 있다가 클라이언트 떠난 후 모든 내용 기록(기억의 한계)
가능한 빨리 기록으로 남겨야 함. 간단히 이야기 전개에 대한 메모를 사전에 해놓는 것도 방법

37 4. 인터뷰 기술 정보수집에 관한 기술과 기록에 대한 기술 질문과 듣기 기술
인터뷰 시 말에 대한 음색은 사용하는 말보다 더 큰 영향력 정보수집 기록 질문하기 듣기

38 1) 정보수집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이 클라이언트 정보를 충분히 얻는 것 상담은 정보를 얻기 위해 이루어짐.
적절한 의뢰와 서비스 제공을 위해 매우 중요 좋은 관계에서 좋은 정보 얻을 수 있음. 사례관리자는 초기 인터뷰를 통해 문제파악과 정보에 대한 적절한 수집 확인 필요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다수의 사람에게서 수집, 정보의 점검과 재확인 과정 필요

39 2) 기록 어떻게 기록할 것인가? 수집한 정보를 잘 정리하고 보관하는 과정
개인의 정보를 비밀보장하에서 잘 관리하는 것은 전문가의 윤리 기록하는 과정에서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 눈을 마주쳐야 하며, 이를 위해 가능한 빨리 기록하는 습관 필요 대화상의 키워드나 요점을 간단히 메모하는 방식, 면담 과정 잠깐의 시간에 기록하는 방식

40 클라이언트에 대한 내용을 기억하고 있다가 클라이언트 떠난 후 모든 내용 기록(기억의 한계)
가능한 빨리 기록으로 남겨야 함. 간단히 이야기 전개에 대한 메모를 사전에 해놓는 것도 방법

41 3) 질문하기 개방형과 폐쇄형 당신의 자녀는 몇 명입니까?와 당신의 자녀에 대해 말씀해 주시겠습니까?의 차이
폐쇄형 질문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의 한계가 단점이면서도 가장 명확한 답변을 얻을 수 있는 장점 개방형의 경우 많은 정보를 얻는다는 장점과 함께 주어진 상담시간에 정확한 정보수집의 어려움 예상(단점)

42 질문 대신 진술을 통해 정보수집 당신의 부모님과 당신의 관계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개방형 질문과 마찬가지로 많은 정보수집 폐쇄형과 같이 원하는 정보를 정확히 얻을 수 없다는 단점도 있음.

43 좀 더 나아가기(furthering) 초점(focusing) 기술 폐쇄형 질문과 진술형 질문을 사용할 때 주의할 점 초점 : 본질에서 벗어나 다른 길로 가려고 할 때, 직접적인 방법과 간접적인 방법 좀 더 나아가기 : 초점과 함께 사용되는 관계에 있는 기술, 클라이언트가 충분히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약간의 정보만 제공하였을 때

44 4) 듣기 Eagan의 5가지 가이드라인 클라이언트를 정면으로 쳐다보라(face the client squarely)
열린 자세를 취하라(adopt an open posture) 인터뷰 시간은 다른 사람을 통해 배울 수 있는 시간이라는 점을 기억하라(remember that it is possible at times to learn toward the other) 눈 접촉을 지속하라(maintain good eye contact) 긴장을 풀도록 하라(try to be relatively relaxed)

45 (1) 재기술 적극적 듣기를 위한 두 가지 기술 : 재기술(restating)과 재구조화(reframing)
재기술 ; 클라이언트가 말한 것을 다시 한번 말해달라는 것, 사례관리자가 재기술함으로서 주의깊게 듣고 있음을 보여줄 수 있음 : 클라이언트가 무엇인가 화가 났을 때 사용하면 좋음.(화의 발생원인과 시기 정확히 알 수 있음) : 적당한 시간을 두고 재기술 사용, 지나치게 자주 또는 너무 긴 시간은 인내와 기억력의 문제 발생

46 (2) 재구조화 사레관리자가 들은 내용과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을 가지고 재구조화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이야기 하는 것
“저는 이번 주 다이어트에 완전히 실패했어요, 일요일에 식용을 못 참고 그만 먹고 말았어요”의 이야기에 대해 재기술보다는 재구조화하여 “ 당신은 다이어트 실패에 대해 몹시 화가 나셨군요. 하지만 토요일에는 성공적인 다이어트였네요” : 다른 인식 갖도록 주의전환

47 (3) 요약 긴 시간 재기술하지 않았을 경우 요약(summarizing)의 기술 사용
사례관리자가 이제까지의 이야기를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핵심적인 내용을 말해주는 것 이야기 도중 몇 차례 요약 요약에는 재기술과 재구조화 포함

48 (4) 심리학적 해석 때때로 재구조화는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다른 곳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 : 심리학적 해석(psychological interpretation) 재구조화와 심리학적 해석의 차이는 사례관리자의 반응이 보다에 뒷받침되는지, 클라이언트 과거사에 집중하는지, 사례관리자의 현재 관찰에 의존하는지, 사례관리자의 에 의존하는지에 따라 다름.

49 어떤 전문가가 어떤 전문적 임상훈련을 받았느냐에 따라 해법이 달라짐
: 아동의 파괴적인 행동은 가족의 문제와 관련이 있음을 알려줄 때, 이는 가족 치료의 훈련을 받은 사례관리자가 제안할 수 있음 : 심리학적 훈련을 받은 전문가에서는 ADHA로 인해 아동의 행동에 문제가 있다고 약물치료와 행동치료를 권유할 수 있다.

50 간접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술 공식적 기관에 클라이언트 연계하기 연계의 정의 연계에서 사례관리자의 역할 연계를 방해하는 요인
비공식적 네트워크에 3. 연계를 방해하는 비공식적 네트워크

51 1. 공식적 기관에 연계하기 연계 : 클라이언트가 가용한 자원을 찾게 되거나 수혜를 받게 되는 과정
전문적 연계는 의뢰(referral)만이 아니라 서비스가 제대로 연결되어 제공되는지,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도움이 실제로 주어지는지 확인하는 것을 포함 적절한 자원이 활용되기까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과정 연계를 위해 지역사회 기관, 서비스 절차, 프로그램 정책 등 충분한 지식 업데이트 필요

52 다양한 서비스 기관과의 관계, 서비스 결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관간의 관계성 증진 필요
연계는 지속적으로 일어난다. 욕구가 변화하면 또 다른 서비스 희망 병원 퇴원 정신질환자, 초기 주가보호센터 희망, 이후 일자리 희망, 직업재활훈련 등 시간을 두고 연이어서 이루어지는 행위

53 1) 연계에서의 사례관리자 역할 전문적이고 잘 훈련된 전문가의 능숙한 연계 : 지역사회의 자원과 의뢰절차, 과정에 대해 잘 알고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서비스를 결정하고 이를 실제화 할 수 있어야 한다. 복합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일수록 의뢰 이상의 서비스 욕구

54 공식 서비스 기관에 대한 이해/ 계획속에 자원에 대한 표시 클라이언트 욕구에 기반된 연계활동 주의노력
지역사회의 서비스 제공체계에 대한 이해 공식 서비스 기관에 대한 이해/ 계획속에 자원에 대한 표시 클라이언트 욕구에 기반된 연계활동 주의노력 클라이언트의 낯설움, 두려움 등 장벽에 대해 심리적극복 도움제공 - 자원의 부재, 서비스 자격의 제한, 특정 클라이언트에 대한 법적 편견 등 물리적 장벽과 극복에 도움 제공 - 의뢰를 위한 편지, 새로 도움을 제공할 기관의 초기 인테이크 양식 작성, 교통수단 실제로 연계가 발생할 경우 클라이언트와 동행, 적절한 서비스가 가능한지 모니터링과 관찰 - 동행이 어려울 경우 동행할 사람에 대한 배려 필요 - 언제 연계할 기관과 접촉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 지역사회의 자원이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때 전문적인 상담 연계서비스보다 직접적인 서비스 제공 현 상황에서 사례관리자들은 많은 사례 수로 직접서비스 제공보다 연계에 의존하는 경향 연계에서 지역사회 기관들과 함께 참여, 지역사회의 자원들이 서로 협력하도록 격려 수동적 참여기관에 대해 인센티브 제공, 어떤 자원과 책임성을 가지고 있는가(법적 강제력을 가질 경우 연계 강화) 기관들의 연계 형태에 대한 연구 필요(구두로 참여시 느슨해질 우려 있음), 적합한 연계의 방법 모색

55 연계의 형태 파악 전혀 연계가 없는 상태 정보와 의뢰만 서로 제공받고 제공해 주는 상태 특정한 서비스에 대해 재정적 권위를 부여하는 형태 특정한 서비스에 대한 선별과 통제에 대해 종합적인 서비스 제공하는 형태

56 2) 연계를 방해하는 요인 잘못된 의사소통 기관간 경쟁 과다한 사례수 클라이언트 자신 사례관리자 소속기관

57 잘못된 의사소통 : 의사소통 사례관리자에 대함 명확한 선정과 기준 모호, 전달 부진
기관의 자기 실적 높이기, 클라이언트를 자기 기관에만 등록, 기관간 정보 공유 안됨 고도의 전문적인 연계활동에 사례수의 많음은 연계과정 지속적인 모니터링 불가 클라이언트 자신의 낮은 자존감, 서비스 자격 조건에 대한 낮은 인지, 문맹, 주저함. 기관이 엄격한 자격기준을 제시하여 의뢰되어 온 클라이언트 서비스 제공을 거부, 실적을 위해 과거 경험있는 대상 선별적 적용

58 2. 비공식적 네트워크에 연계 비공식적 네트워크 : 공식적 연계와 달리 클라이언트 삶에 이미 존재하는 사회적 지원망(social network)을 의미 사회적 지원망 : 관계망, 지지망, 연계망 가족, 친구, 이웃 등의 비공식적 도움체계 공식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 등 지지체계도 포함 개인과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지지체계들과의 사회적 관계가 유지되고 구조적이고 목적적인 하나의 울타리(정순둘)

59 사회적 지지체계 : 지원망을 구성하는 가족, 친척, 친구, 동료 또는 전문가 등의 개인, 집단으로 이루어진 체계
사회적 지지체계가 제공하는 도움을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도움의 종류는 도구적, 정서적, 정보적 도움 이미 존재하는 관계속의 친척과 소원한 친구 등 모두를 포함하여 이들이 클라이언트를 위해 기능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연계라 함.

60 공식적 서비스 제공의 갭을 메우는 기능 비공식 네트워크는 공식적 서비스 제공기관들이 모두 제공할 수 없는 서비스를 제공 도구적 도움 : 청소, 시장봐주기, 식사만들기 등, 동행, 교통수단 제공 정서적 도움 : 우정과 사회화, 수시로 말벗, 지지, 스트레스 완충 역할

61 1) 연계에서 사례관리자 역할 클라이언트 비공식 네트워크에 어떤 종류의 사람들이 포함되고 얼마나 자주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동기화되어 있는지 사정 : 비공식 네트워크 종류를 파악, 관계가 원활한지, 왕래는 활발한지 등 도움 제공이 가능한 비공식적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에게 가장 적절한 도움을 제공할 성원을 찾고 선정하는것 : 정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얼마나 자주 접촉가능한지, 얼마나 오랫동안 가능한지 등 확인

62 도움을 제공할 성원과 합의가 이루어진 후 클라이언트와 비공식적 네트워크 성원과 연계가 지속되도록 모니터링
: 비공식 도움 제공 성원이 피치못할 일로 서비스 제공이 되지 않을 경우 대처방법 마련과 변화내용 등을 체크 비공식 네트워크 성원이 도움을 제공할 능력을 진작시켜 주는 역할 : 긍정적인 의사소통 장려, 특정 문제 해결 방법 교육, 대화방법, 칭찬, 추가적인 교육과 정보등

63 2) 연계를 방해하는 요인 저극적 참여 미흡, 참여 거부, 정신적 빌병, 심리적 문제, 부적합한 자원 등
일상생활 기술 어려움, 상호작용 어려움, 자존심, 희망싱실, 절망의 감정, 경제난 등 클라이언트 자신 비공식성원의 도움 제공거부나 능력 부족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로 인해 도움 제공을 거부하는 상황 등 비공식 네트워크 성원

64 이론적 접근(Rothman & Sager)
자아심리학 위기개입 이론적 접근 (Rothman & Sager) 인지행동주의 실천

65 1. 자아심리학 EGO PSYCHOLOGY 클라이언트의 인성과 기능이 어린 시절의 경험에 크게 의존
클라이언트의 자아에 결점이 있다고 가정 정상적 발달이 되지 않으면 고착 환경에 생존하기 위해 부정이나 투사같은 비정상적 방어기제 사용 환경과 상호작용에 부정적인 패턴을 창조

66 장아의 적응능력 고무 자아에게 지지적인 기술사용 환경속 개인의 반영 클라이언트의 강점을 강조하고 수용하는 태도, 지지를 제공하고 성장기에 결여되었던 특성들을 정당화, 그 상황에서 빠져나오도록 지지

67 2. 인지행동모델 Cognitive-behavioral model 비합리적인 행동은 감소시키고 합리적인 행동을 증가시킴
현재의 문제가 핵심고려 대상 무의식적 정서나 어린시절 발달단계 강조하지 않음. 비기능적인 행위, 적응적 행동을 촉진시키는 현재의 환경에 초점 뜻하지 않은 사건에 대한 분석, 사건에 대한 관리

68 행동수정이론, 강화이론 모델링기법에 의존 : 관찰과 경험을 통해 행위의 패턴 변화 모델화와 역할연기 기법 : 사회학습의 도구, 행동주의 접근 인지적 접근 : 인간의 잘못된 사고체계를 바꾸자는 것, 비적응적 행위는 정신적 통제와 행동적 학습 기법을 통해 교정될 수 있다. 역기능적 행위는 학습된 것으로, 잘못된 사고과정을 통해 발생, 이를 재구조화

69 사례관리자는 비합리적인 사고를 찾아내고 비적절한 행위 패턴을 촉진시키는 동기를 찾아낸다.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자기진술하게 함으로써, 환경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인식과 자신의 가치를 느끼게 함. 인지의 재구조화 과정

70 3. 위기개입 Crisis intervention 중대한 위기의 갑작스런 사건과 연속적인 내부의 중대한 위기 모두에 주목
사건으로 항상성의 균형이 깨졌을 때 현 상황에 대한 무기력, 무희망, 열등감, 불안감 고조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 인식시키고, 라포형성, 바르게 사정하고 방법을 찾으며, 클라이언트와 협력관계를 통해 구체적인 일련의 과제 수립, 해결책 마련


Download ppt "사례관리 개입기술."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