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의무기록학 제2장 의료의 발전과 의무기록의 역사.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의무기록학 제2장 의료의 발전과 의무기록의 역사."— Presentation transcript:

1 의무기록학 제2장 의료의 발전과 의무기록의 역사

2 의무기록의 발달과정 이집트 시대(Egyptian period) 1. Thoth(토트) - 문자, 발명 및 지혜의 신
- 42권의 책 저술, 그 중 6권은 의학서적(인체, 질병, 기구, 약, 안질 및 부인병 등) - 2. Imhotep(임호텝) - Edwin Smith Papyrus(최초의 정식 의무기록)의 저자로 추정 48건의 임상수술내용이 제목, 검사, 진단, 치료 등의 일정한 형식에 의하여 기록 뉴욕 의학학술원 보관 3. Papyrus Ebers - 고대 의학논서 - 1872년 독일의 고고학자 Georg-Ebers에게 팔림 - 오늘날의 치료법과 부합하는 면도 있음

3 의무기록의 발달과정 1. 특징 : 보다 과학적이고 진보적인 치료법 발전 2. Aesculapius
- 사경에 이른 많은 환자를 소생시킨 의학자 - 이집트 임호테에 상응 - ( )으로 묘사 - 의료의 상징 2. Aesclepiadae - 3. Aesculapia - 치료소 및 의무기록의 저장고로 계승

4 의무기록의 발달과정 4. Hippocrates(B.C. 460년경) - - 과학적인 근거 위에서 의술 시행
- 히포크라테스 선서 저술(환자에게서 얻은 의료정보는 비밀로 지켜야 한다는 윤리개념 효시) - 인정된 대표적 이론 ① 졸증은 40~60세 사이에서 가장 많이 발생 ② 황달 환자에게 간경화증이 수반되면 예후가 불량 ③ 산욕열에 관한 이론 ④ 변이나 요의 색깔을 통한 진단, 침전물 검사법

5 의무기록의 발달과정 그리스 로마 시대(Greeco-Roman Period) 1. Galen - 황제를 치료하여 유명 -
- 담석증의 통증이론 발표 - 환자의 침상 곁에서 병력을 기록하는 그림 현존 2. Romana Acta Diurna 3. Jerome에 의해 "Hospital"이란 용어가 처음 사용

6 의무기록의 발달과정 유태 시대(Jewish period) 1. 성경 - 예방조치 강조 → ( )
- 예방조치 강조 → ( ) - 유태인들은 예방의학(prophylaxis) 선구자 - ‘레위기’는 산후의 위생, 음식섭취 등 위생문제 논함 2. 탈무드 : 자세한 의학 기록

7 의무기록의 발달과정 모하메드 시대(Mohammedan period)
1. Hippocrates와 Galen의 업적을 아랍어로 번역 -의학연구를 하도록 자극 2.Rhazes ( ) - 저서 <천연두와 홍진에 관한 이론>(최초 감염성 연구, 두 질병 구분 연구) - 처음으로 양의 창자를 꼬아 봉합사로 사용 - 알코올로 상처 소독 3. Avicenna( ) - ( )

8 의무기록의 발달과정 중세기(Medieval period)
1. St. Bartholomew's Hospital(성 바르톨로뮤 병원) - ( ) - 개원 당시부터 환자들의 기록을 작성하여 현재까지도 보관 것이 있음 - 1667년 의학도서관 설치:( )

9 의무기록의 발달과정 문예부흥시기(Renaissance period) 1. St. Bartholomew's Hospital
- 병원상황 개선 및 행정규율 재정 - ( )와 ( )의 중요성 강조 2. Andreas Vesalius( , 벨기에) - ( ) - 1543년 "Fabrica"란 해부학책 저술 및 대학강의 - 1556년 로마 교황이 법적으로 인체해부 실시 허가 - 해부학 본격적 연구

10 의무기록의 발달과정 17세기 1. 의사들은 자신이 치료한 증례기록(특히 order)을 남기도록 제도화
2. William Harvey에게 의사지시사항 기록하게 함 - St. Bartholomew 병원 년 Captain John Graunt - ( ) - 처음으로 의료통계 개념 대두(통계학의 아버지)

11 의무기록의 발달과정 18세기 1. 미국에서 병원을 법인화하려는 운동 일어남
2. Pennsylvania Hospital 개원(1752년, Philadelphia) - ( ) - ( ) 사무장이 병원기록 관리 - 처음 50년간은 환자 이름, 주소, 병명, 입퇴원, 치료결과 등의 내용이 등록부에 기재 - 1803년부터는 그림까지 곁들인 자세한 기록 작성 - 1873년부터는 병력기재와 환자명 색인 시작 3. New York Hospital 개원(1771년) - 1779년에 ( ) - 1808년부터 오늘날의 의무기록과 유사한 기록 작성(진단명, 연령, 입원일, 직업, 질병상태, 치료내용, 경과기록 등) - 1862년부터 최초로 ( ) - 1914년 이후 정식 의학용어 사용

12 의무기록의 발달과정 19세기 1.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개원(1821년)
- 개원시부터 모든 환자의 임상기록 작성 - 1893년부터 환자별 카드목록 작성 - 1897년 최초의 의무기록 사서 ( ) 채용 - 북미주 의무기록협회 초대 회장

13 의무기록의 발달과정 20세기 1. 20세기 초 모든 병원들이 의무기록에 관심, 중요성 제기
년 미국 병원협회 연차 총회에서 처음으로 의무기록에 대해 토의 년 미국외과학회 창설 년 ( )을 통한 의무기록 발전 년 미국 외과학회에서 의무기록과 그 관리방법을 주제로 임상학회 개최 - Mrs. Grace Whiting Myer 북미주의무기록사협회 초대회장

14 의무기록의 발달과정 년 이후 잡지 출간 - Bulletin of the Association of Record Librarians of North America 년 병원부속 ( ) 교육과정이 4곳에 개설 년 병원부속 ( ) 교육과정이 4곳에 개설 년 ( ) 주관 자격시험 시작 년 병원신임합동위원단(JCAH)으로 심사업무이관, “표준화”제도에서 “인가”제도로 바뀜 년 DRG(진단명별 환자군) 등장

15 미국 의무기록의 발달과정 1. 1953년 ( ) 교육과정 개설 2. 1965년 ( ) 졸업자만 자격시험
년 ( ) 교육과정 개설 년 ( ) 졸업자만 자격시험 3.미국AHIMA에서 발급하는 의무기록정보관리 전문직의 자격종류 1)Registered Health Information Administrator(RHIA) - 등록된 보건정보행정가 - 과거의 RRA(등록된 의무기록행정가)의 새명칭 - 환자진료데이터의 수집,분석,해석의 전문가,역할 수행 에 필요한 행정능력을 인정받은 전문가 2)Registered Health Information Technician(RHIT)

16 미국 의무기록의 발달과정 -등록된 보건정보기사 -과거 ART(인가된 의무기록기사)의 새명칭
-의무기록 입력 사항의 정확성과 완전성을 검토하여 정보의 질을 확인하는 능력 가진자 -진료데이터의 수집,coding,진료비 상환 관련하여 자료분석,암등록 등의 실무를 담당하는 전문가 4.의무기록 전문직 교육제도 -1953년 병원부설로 교육과정 개설 -1960년 2년제 초급대학과정으로 독립

17 우리나라의무기록의 발달과정 의무기록의 역사 1884년 Allen 최초의 서양식 왕립병원 ( ) 설립
1962 년 Murray 단일번호제도, 질병분류 및 색인, 환자색인 제도 도입 1965 년 Murray 의학기술 수련원(연세대학교 부설 교육기관)에 의무기록사서 과정 개설 1978년 의무기록사 교육과정 설치 1980년 병원표준화사업 실시 1982년 ( ) 법제화 1985년 ( ) 실시 1995년 의료기관서비스평가,병원인증평가 실시 1997년 (DRG ) 시범사업 시작

18 의무기록에 대한 국제적 관심 1952년 영국런던 제1차 국제회의 개최(매3년) 1980년 우리나라 정식회원국 가입
2007년 제15차 총회 우리나라에서 열림 International Federation of Health Record Organization(IFHRO ; 국제보건기록연맹) - 보건기록 전문인들이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도입,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원

19 의무기록에 대한 국제적 관심 -목표 모든 나라 보건기록/정보의 개발과 사용증진 국제보건기록/정보관리 표준의 개발과 사용 증진
보건기록/정보 교육에 필요한 사항과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교환의 장을 제공 모든 나라의 보건기록/정보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교육과 의사소통의 기회 제공 정보기술과 전자의무기록의 사용 증진

20 대한의무기록협회 목적 회원상호간의 협력을 통하여 의료기관에서의 의 무기록 행정업무의 향상 발전과 보급 및 의료정보
회원상호간의 협력을 통하여 의료기관에서의 의 무기록 행정업무의 향상 발전과 보급 및 의료정보 체계 발전에기여하여 국민보건향상에 이바지 함 활동내용 - 의무기록행정업무의 개선 및 기술 보급 - 의무기록정보 관련 업무에 관한 연구,개선 및 기 술 보급 - 회원의 친목도모 및 복지증진

21 대한의무기록협회 - 의무기록사 보수교육 - 협회보, 학술기 및 간행물 발간 - 의무기록에 관한 국내외 정보 및 기술교류
- 전문심화교육과정을 통한 전문의무기록사 양성 - 개인정보보호관리 및 보안에 관한 기술 연구 및 교육 - 기타 대한의ㅜ기록협회 목적달성에 필요한 사항


Download ppt "의무기록학 제2장 의료의 발전과 의무기록의 역사."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