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조사연구의 성격 - 조사연구방법의 결정 - 조사연구의 단계 - 조사연구의 목적 - 조사연구의 분석단위 - 조사연구와 결정주의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조사연구의 성격 - 조사연구방법의 결정 - 조사연구의 단계 - 조사연구의 목적 - 조사연구의 분석단위 - 조사연구와 결정주의"— Presentation transcript:

1 조사연구의 성격 - 조사연구방법의 결정 - 조사연구의 단계 - 조사연구의 목적 - 조사연구의 분석단위 - 조사연구와 결정주의
사회복지조사의 성격(2) 조사연구의 성격 - 조사연구방법의 결정 - 조사연구의 단계 - 조사연구의 목적 - 조사연구의 분석단위 - 조사연구와 결정주의

2 조사연구방법의 결정 조사연구방법의 결정: 연역적 방법 대 귀납적 방법
- 조사연구방법을 대한 결정은 연구문제와 많은 관련을 가지고 있음 1) 연역적 방법 특정한 연구문제에 나름대로의 이론을 제기할 수 있을 만큼의 선행지식들이 갖추어져 있을 때 사용 - 연구 문제에 대한 이론화를 시도하여 잠정적인 결론(가설)을 먼저 도출하고 난 후에, 그것을 경험적인 자료들을 통해 검증해 보는 과정을 선택함. 선이론-후조사(theory-then-research) 개념 혹은 현상들 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이고 양적인 조사가 용이하고, 이론적으로 도출된 기대나 예측들에 대한 검증도 할 수 있음 양적조사(quantitative research)라고도 함 2) 귀납적 방법 문제의 성격이 새로운 영역에 대한 조사가 필요한 경우, 알려진 것이 적은 경우, 전통적인 지식들에 의문이 제기된 경우 사용 문제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으므로 미리 어떤 명제를 갖추어서 조사에 들어가기 어려움. -> 우선 자료부터 수집해서 그 자료들을 토대로 해서 연구문제에 대한 해답을 내리는 과정이 적절 선조사-후이론(research-then-theory) 질적 조사 연구(qualitative research)라고도 함

3 조사연구의 단계 조사연구 단계(과정)는 학자 또는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 김영종(2007) 채구묵(2005)
황성동(2006) 연구문제 설정 연구주제 설정 문제의 제기 연구설계 가설의 구성 및 조작화 조사설계 측정 자료수집 자료 수집 자료분석 자료분석 및 해석 자료 분석 자료 해석 조사보고서 작성

4 조사연구의 단계 조사연구단계: 연구문제 설정 -> 연구설계-> 자료수집 -> 자료분석 -> 자료해석 -> 조사보고서 작성 1) 연구문제 설정(연구주제 설정, 문제의 제기) 연구문제가 주어지고, 개념들이 구체화되고 가설, 분석단위, 변수, 조작적 정의 등이 등장하는 단계 기존문헌을 참고하거나 자유로운 사유를 통해 아이디어를 갖는 것이 중요한 과업 -> 생각과 고뇌, 창의적 노력이 요구되는 단계. 독창적인 통찰력이 있어야 함 대부분의 연구들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적절한 연구문제를 설정하는 것은 연구의 절반을 성공한 것이나 다름 없음 이 과정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가 필수적 - 예: 아동학대에 관심 있다면 아동학대와 관련된 이론과 연구논문 많이 읽어야 함 2) 연구설계, 조사설계(research design) 조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논리적 전략. 즉 조사를 수행하고 통제하기 위한 계획 넓은 의미의 조사설계: 조사문제를 검토하는 조사의 초기단계에서부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결과를 해석하는데 이르기 까지 연구 전체를 수행하고 통제하기 위한 계획 좁은 의미의 조사설계: 조사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거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해석하기 위한 계획이자 청사진. 연구문제가 결정된 후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논리적 배열(연구디자인)과 자료수집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

5 조사설계는 조사를 수행할 때 설계도면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조사가 계획적이고 체계적이며 질서 있게 수행토록 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
연구목적과 실행가능성에 의해 적절한 디자인과 자료수집방법 결정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양적 연구: - 대상의 속성을 계량적으로 표현하고 그들의 관계를 통계분석을 통해 밝혀내는 조사 - 정확하고 일반화시킬 수 있는 통계결과 산출을 강조하고, 일반적으로 보편법칙 목적에 더 적절 질적 연구: 개별사례적 관심사와 관련된 깊이 있는 이해를 강조 인간경험의 깊은 의미를 끌어내려 하고 숫자로 쉽게 축소되지 않는 풍부한 관찰을 끌어내려 함 3) 자료수집(data collection) 연구설계에서 채택된 자료 수집방법에 따라 자료들을 직접적으로 수집하는 단계 연구설계에 따라 표본을 추출하고 선정된 자료수집방법에 의해 자료 수집 자료수집방법: 질문지조사, 면접조사, 실험, 관찰, 2차 자료수집 등 연구목적에 따라 적합한 자료 수집 방법 선택

6 4)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들을 정리하여 적절한 통계기법을 통해 분석하는 단계 - 수집된 자료들을 분류화, 부호화 등의 작업을 거쳐 정리 자료분석 방법에 대한 선택도 연구의 목적과 디자인, 자료의 성격에 적합해야 함: 실제 통계분석은 이 단계에서 실행되지만 어떤 통계기법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는 가설설정과 조직화, 연구설계단계에서 이미 결정됨 양적 연구: 통계적 기법을 통한 자료분석을 중시. 수량화된 자료 전제 질적 연구: 맥락을 고려하는 자료분석 강조. 비수량화된 자료에 대한 범주화를 시도하는 것 자체를 분석의 목적으로 삼는 질적 연구도 많음 5) 해석 연구 문제에 대한 조사연구의 결론과 함의를 내리는 것 분석 결과를 통해 연구문제에서 도출된 명제의 참, 거짓 여부 판단, 결과에 대한 일반화 가능여부, 방법론상의 한계를 인지한 결론에 대한 한계 설정, 연구의 함의 도출과 그에 따른 실천적 제언 제시 등 6) 보고서 작성 문제 설정에서 해석단계까지의 과정적 활동과 결과에 대한 보고 기록 조사연구의 방법과 과정, 수집된 자료의 성격, 분석 결과 등이 담김 보고서 작성의 평가기준: 포괄성과 효율성 - 조사연구의 전 과정을 포괄적으로 나타내면서도 효율적으로 함축성 있게 전달하는 내용 구성

7 조사연구의 목적 조사연구의 목적: 연구문제에 따라 달라짐 탐색 exploration
연구문제에 대한 선행지식이 희박할 때 수행, 잘 알려져 있지 않은 현상이나 관계를 탐색 구할 수 있는 표본이 소수이며 대표성을 가질 수 없는 경우, 현상에 대한 대략적 통찰을 얻고자 하는 경우 탐색연구가 유용 연구 대상 소규모, 사전 실험적 성격의 조사(pilot test) 귀납적 방법이 적합 보통 관찰을 위주로 하는 질적연구 방법이 주된 조사방법 예: ‘양심적 병역 거부자의 삶은 어떠한가?’ 기술 description 어떤 시점에서 조사 대상자 집단에 대한 정보 수집. 어떤 사회현상, 배경, 분포, 관계 등 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개별 변수에 대한 묘사나 기술이 주된 연구 내용 형성 예: 여론조사나 인구센서스 조사 등 설명 explanation 어떤 변수들 간의 관계 규명 탐색과 기술 조사 연구에 의해 알려진 선행지식들이 있어야만 연구 가능 인과관계규명에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가설검증조사라고도 부름 예: ‘청소년의 봉사활동과 사회적 책임의식 간에는 어떤 상관성이 있는가?’

8 조사연구의 분석단위 분석단위(unit of analysis)
조사 연구의 성격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분석 단위가 명확하게 규정되어야 함 분석단위: 개인, 집단, 사회적 산물(조직, 제도 등) 분석단위 예: - 예 1) 분석단위- 개인 * 여자들은 남자들보다 TV를 더 많이 본다. 왜냐하면 여자들은 남자들보다 집 밖에서 일하는 시간이 더 적기 때문이다. - 예 2) 분석단위 - 도시 * 1980년에는 10만 이상의 50개 도시 가운데, 30개 도시 이상에 종합병원이 없었다. - 예 3) 분석단위 - 조직 * 종합사회복지관들은 지역에 따라 전문직 인력구성에 차이가 있다. 대도시 지역의 8명의 사회복지사가 있는 반면, 중소도시 지역의 B복지관은 사회복지사가 3명 있다. 분석단위에 대한 명확한 판단은 조사연구의 전반적인 진행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오류들을 줄일 수 있게 함

9 분석단위의 문제: 생태학적 오류와 원자오류 1) 생태학적 오류(ecological fallacy) 집단이나 집합체 단위의 조사에 근거하여, 그 안에 포함된 개별 단위들에 대한 성격을 규정하는 잘못 생태학적 오류의 예: 흑인 인구가 많은 도시들이 흑인 인구가 적은 도시보다 범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경우 --> 흑인의 범죄율이 높다는 결론 * 실제 그 범죄가 흑인에 의해 저질러지는가의 여부를 알 수 없음 2) 원자 오류(atomistic fallacy) 생태오류와 반대 개별단위에 대한 조사결과를 근거로 상위의 집단단위에 대한 추론을 시도하는 것 원자오류의 예: 사회복지시설 생활인들에게 인권에 대한 가치 문항을 질문하고, 높은 점수가 나오면 그 생활시설은 인권이 보장된 기관으로 해석하는 것 => 조사연구에서 분석의 단위를 명확하게 해야 함

10 조사연구와 결정주의 연구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는 과정에서 결정주의 관점의 영향이 큼 결정주의(determinism)
- 인간과 사회에 대한 수많은 현상들을 소수의 결정적인 요인으로 축약해서 설명할 수 있다는 것 - 환원주의적 성격을 가짐 * 환원주의(reductionism): 모든 현상은 근원적인 요인들로 환원되어 단순화된 설명이 가능하다고 믿는 입장. 어떤 현상의 원인이나 설명을 한가지 개념이나 변수로 지나치게 제한, 즉 단순화. 결정주의와 환원주의의 특징 - 인간 사회를 설명하는데 가능한 한 자유의지를 배제하려 하고, 또한 현상들을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위험성 - 넓은 범위의 인간 행동을 설명하는데 있어, 원인으로 간주되는 개념들이나 변수들이 지나치게 한정되는 문제 - 복잡한 인간사회에 대해 나름대로의 규칙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피할 수 없음. 복잡하고 다양한 현상변수들과 그 관계를 그대로 설명하기란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그것을 단순화된 사실로 축약시켜 보통 설명 사회과학에서 양립하는 대표적인 결정주의(환원주의): 경제적 결정주의 (economical determinism)와 심리적 결정주의 (psychological determinism) 결정주의는 학문연구나 실천활동에서 필요악과도 같음: 결정주의 없이는 복잡한 현실을 헤쳐나가기 어렵고, 받아들이기 되면 이해를 단선화시킬 위험이 있음 -> 결정주의적 속성의 위험성에 대해 경계의식을 갖고, 결정주의적 성향에 대해 적절히 한계를 지으려는 노력이 중요


Download ppt "조사연구의 성격 - 조사연구방법의 결정 - 조사연구의 단계 - 조사연구의 목적 - 조사연구의 분석단위 - 조사연구와 결정주의"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