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Antarctic Marine Geology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Antarctic Marine Geology"— Presentation transcript:

1 Antarctic Marine Geology
Chap. 5 Continental Margin Evolution (p ) 5조 송부한, 안귀정, 이선은

2 차례 들어가며 - Chapter 5 소개 Ross Sea 소개
Geologic History and Tectonic Setting Lithostratigraphy 4. Seismic Stratigraphy 5. Sequence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3 들어가며 ◈ 남극 대륙주변부에 대한 지질학적 지식을 얻는 방법 : 추정 ▶ 해양과 대기를 통해 지구물리학적인 조사
▶ 한 지역의 몇 개 지점에 시추 ▶ 곤드와나 대륙과 인접한 곳들의 지질학 ▶ 육지에서 이루어진 지질학적 연구로부터 얻은 정보

4 들어가며 ◈ Chapter 5 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
▶ 이 때까지 연구된 여러 대륙주변부의 구조적, 층서적 진화 (Fig. 5.1) - 동남극 대륙주변부 : 대륙 분리에 의한 Passive Margins - 서남극 대륙주변부 : 복잡한 진화, 덜 밝혀짐 ▶ 서남극 대륙주변부 : Ross Sea, Pacific-Antarctic Margin and western Weddell Sea 동남극 대륙주변부 : Queen Maud Land, Wilkes land, and Prydz Bay margins

5 Ross Sea ◈ 동-서남극 사이 경계에 있는 남극 연안에 큰 만을 형성 ◈ East : Marie Byrd Land
West : Victoria Land의 TAM South : Ross Ice Shelf North : Pacific Ocean

6 Victoria Land 들어가며

7 Ross Sea ◈ Ross Embayment와 관련 분지들 : 곤드와나 대륙 분리기에 거의 발생한 확장 응력에 의해 형성
◈ 어느 대륙주변부보다도 많은 Multichannel seismic(MCS)과 High-resolution seismic reflection data 수집 ◈ 서남극 대륙주변부에서 유일하게 시추 성공

8 Ross Sea Geologic History and Tectonic Setting

9 Ross Sea Geologic History and Tectonic Setting
◈ Graben의 존재, 얇아진 대륙 지각, 뿐만 아니라 높은 열의 흐름은 Ross Embayment가 ‘넓은 열곡(1000km)’으로서의 특징을 갖게함 → 이 열곡의 형성은 동곤드와나의 분리와 관련 ◈ 곤드와나의 분리 이전에 현재의 Ross Sea와 Marie Byrd Land 지역은 뉴질랜드 소대륙과 연결되어 있었고, 현재의 Campbell Plateau, Chathan Rise, 그리고 Lord Howe Rise도 포함한다. (Fig. 5.2)

10 Ross Sea Geologic History and Tectonic Setting
◈ Graben의 존재, 얇아진 대륙 지각, 뿐만 아니라 높은 열의 흐름은 Ross Embayment가 ‘넓은 열곡(1000km)’이라는 특징을 가지게 함. → 이 열곡의 형성은 동곤드와나의 분리와 관련 ◈ 곤드와나의 분리 이전에 현재의 Ross Sea와 Marie Byrd Land 지역은 뉴질랜드 소대륙과 연결되어 있었고, 현재의 Campbell Plateau, Chathan Rise, 그리고 Lord Howe Rise도 포함한다. (Fig. 5.2)

11 Ross Sea Geologic History and Tectonic Setting
Beacon Supergroup이라는 아주 넓은 규모의 충적 퇴적물이 떨어져 나간 넓은 대륙대지(continental platform)를 형성 ◈ 초기 융기는 중기 쥐라기(175 Ma)에 넓은 지역에 걸친 tholeiitic mafic rocks의 분출과 관입에 의해 시작

12 Ross Sea Geologic History and Tectonic Setting
◈ 첫 번째 중요한 rifting은 백악기 초기 동안 발생 ▶ 초기 rifting 기간에 약 40-50%의 지각 확장이 확장축에 대해 평행하는 경향의 rift graben의 발달을 초래 ▶ 뉴질랜드 소대륙은 약 80 Ma까지 곤드와나에 고정되어 있었음 ▶ 백악기에 걸친 분리 동안 비해양성과 천해성의 쇄설성 퇴적물의 퇴적은 rift basin 안에서 발생 ▶ 이 확장과 분지의 filling은 Marie Byrd Land와 Campbell Plateau 사이의 열곡이 생김으로써 끝남

13 Ross Sea Geologic History and Tectonic Setting ◈ 두 번째 신생대의 rifting은
▶ 이것은 TAM의 융기, Victoria Land와 Marie Byrd Land의 화산활동, right slip motion, Ross Sea 퇴적중심의 가벼운 지역적 침강 뿐 아니라 에오세 동안의 plate reorganization이라는 중요한 사건과 관련있다. ▶ 신생대 후기의 확장은 Victoria Land 남쪽의 Terror Rift에 국한됨 ▶ 알칼리성 화산활동은 대부분의 신생대 동안 Ross Sea 서쪽-Victoria Land 지역을 통틀어 발생

14 Ross Sea Geologic History and Tectonic Setting
▶ 북북동에서 남남서로 향하는 축을 가진 길게 늘어진 지형 ▶ Byrd Basin은 전체가 Ross 빙붕 아래에 있어 지질학적으로 모호한 곳 ▶ 다른 분지는 open shelf에 존재, 하지만 Ross 빙붕 아래로 확장될 것임 ▶ 이들 분지와 TAM의 구조 사이의 유사성은 그것들이 쥐라기에 형성됐음을 말해준다.

15 Ross Sea Geologic History and Tectonic Setting Victoria Land Basin
◈ 서 Ross Sea 의 TAM에 인접한 위치 ◈ Ross Sea의 수백 km 아래의 대륙붕 중앙으로부터 뻗어 있으며 많은 Subbasin과 Graben으로 복잡하게 구성 ◈ 빙하침식으로 인하여 최초의 Plio-Pleistocene의 퇴적층으로는 계절을 알기 어렵다.

16 Ross Sea Geologic History and Tectonic Setting Central Trough
◈ Central Trough는 균형이 잘 잡혀져 있으며, 80km 넓이의 Graben임 ◈ Central Trough의 동쪽 margin은 Ross sea 동쪽에 있는 동-서 방향의 확장 중심으로부터 북-남 방향의 rift를 분리하는 중요한 transform과 일치 ◈ 노출된 transform은 Compbell 단열대와 북쪽으로 평행 ◈ Trough는 사실상 변형되지 않은 6-7km의 퇴적물을 포함

17 Ross Sea Geologic History and Tectonic Setting Northern Basin
◈ Northern Basin은 Ross Sea 북서쪽에 위치하고, 3 km 정도의 퇴적물로 채워져 있다. ◈ 퇴적물은 중생대, 주로 백악기 시대의 rift basin fill과 고생대 퇴적물을 포함 ◈ 불완전한 신 제3기 sequence는 basin의 남쪽 지역에서 발생 ◈ 플레이스토세를 거친 마이오세 후기 지층은 basin의 북쪽에서 두드러진 trough mouth fan을 구성

18 Ross Sea Geologic History and Tectonic Setting Eastern Basin
◈ Eastern Basin은 초기 rift graben 안애 완전히 위치하지 않은 유일한 shelf basin으로 여겨짐 ◈ 총 퇴적 부분은 최대 7km의 두께 ◈ graben margin을 넘은 침강은 고 제3기와 신 제 3기의 빙하퇴적물의 정도에 따라 지각의 하향요곡(downwarping)에 기여함

19 Ross Sea Geologic History and Tectonic Setting Byrd Basin
◈ Ross 빙붕의 아래에 존재하는 Byrd Basin는 탄성파 굴절 자료와 공중자기 자료로부터 나타내지며, 퇴적층은 2 km 내외로 생각됨

20 Ross Sea Lithostratigraphy

21 Ross Sea Lithostratigraphy ◈ 1973년 DSDP Leg 28
▶ 남극의 빙하역사를 알기 위해 Ross Sea 대륙붕의 네 곳을 시추 (Fig. 5.5) ▶ DSDP 지점을 다 합쳐 Ross Sea의 Eastern Basin에 위치한 퇴퇴적층서 총 1121m 시추 ▶ 273 지점은 Ross Sea 서쪽에 위치 ▶ 초-중기 마이오세 지층을 최초로 시추

22 Ross Sea Lithostratigraphy ◈ Victoria Land Basin의 코어 시추 ◈ 시추 프로젝트 목적
McMurdo Sound Sediment and Tectonic Studis-1(MSSTS-1) 프로젝트와 Cenozoic Investigations of the Ross Sea-1(CIROS-1) 프로젝트 기간 (Fig. 5.5) ◈ 시추 프로젝트 목적 ▶ Ross Sea 서쪽에서 빙하가 시작된 시기를 탐색 ▶ TAM의 융기에 대한 더 나은 이해 ▶ 초기 쥐라기 Ferrar 마그마활동 ~ 초기 마이오세 McMurdo Volcanics 사이의 층서 기록 공백을 채우기 위해

23 Ross Sea Lithostratigraphy
◈ DSDP Site : Ross Sea 동쪽 대륙붕의 퇴적층서 시추 ▶ 크리스털(수정)같은 기반암 위에 놓여있다. ▶ 270 지점에서는 잎 모양의 대리석과 고생대 초기의 칼슘규산염(calc-silicate) 편마암으로 된 기반암 (Fig. 5.5) ▶ 올리고세 퇴적각력암의 약 30m가 이 기반암 위에 가로 놓여있고, ▶ 올리고세 해록석 사암의 약 1.8m가 이 퇴적각력암 위에 가로 놓여있다. ▶ 빙하 운반 알갱이와 자갈이 붙어있는 올리고세 후기 – 마이오세 초기의 침니점토암은 해록석 사암 단위 위에 놓여있다 → 이 지역 빙하 작용의 첫 번째 지표

24 Ross Sea Lithostratigraphy
◈ DSDP Site : Ross Sea 동쪽 대륙붕의 퇴적층서 시추 ▶ interbedded diamictite, 이암, 규조로 이루어진 빙하성 해양 이암의 두꺼운 sequence는 초기 마이오세의 더 젊은 시기를 이룬다. (Fig. 5.5) ▶ Balshaw(1981) : 세 지점에서의 마이오세 퇴적물의 자세한 분석은 diamictite가 till(빙력토)이거나 ice에 가까운 빙하성 해양 퇴적물 이라는 해석

25 Ross Sea Lithostratigraphy ◈ DSDP Site 273 : Ross Sea의 서쪽
▶ Plio-Pleistocene의 빙하성 해양퇴적물 위에 불안정하게 놓여진 마이오세 빙하성 해양퇴적물을 시추 ▶ interbedded diamictite와 dropstone이 만든 이암으로 구성된 층서학 succession (Fig. 5.5) ▶ Barrett(1986b) : grounded ice가 McMurdo Sound에 자신이 존재했던 흔적을 lodgement till로써 남기면서 McMurdo Sound를 향해 발달했던 과거 30 Ma의 수많은 빙하 사건 → MSSTS-1 코어가 기록 ▶ 실제로 전체적인 succession은 빙하와 빙하성 해양퇴적 과정에 의해 퇴적

26 Ross Sea Lithostratigraphy ◈ DSDP Site 273 : Ross Sea의 서쪽
▶ CIROS-1 : interbedded diamictite, 이암, 사암, 역암으로 구성 ▶ 지층 : 마이오세 초기 ~ 에오세 중(?)후기에 걸쳐있다. (Fig. 5.5) ▶ Robinson과 동료들(1987) : sequence를 다음과 같이 구분했다. (1) 대부분 dropstone과 diamictite가 붙어있는 이암 으로 구성된 상부 (0~366m) (2) interbedded 사암과 소량의 diamictite, 역암이 붙어있는 이암 으로 구성된 sequence (366~702m)

27 Ross Sea Seismic Stratigraphy

28 Ross Sea Seismic Stratigraphy
◈ Antarctic Offshore Acoustic Stratigraphy (ANTOSTRAT) program : Ross Sea의 지역적인 탄성파 층서학 시나리오의 발전과 주요 탄성파 단위의 두께와 분포를 나타낸 구조 지도의 편집을 동시에 이끌어냈던 몇 개의 탄성파 데이터 셋을 합치는데 성공 ◈ Ross Sea의 동쪽과 서쪽을 구분해서 다루는 이유 : shelf의 sequence가 불연속적으로 분포하여, 탄성파 단위의 지역적인 대비가 힘들기 때문 (특히 더 젊은 plio-pleistocene의 sequence) → Ross Sea 서쪽의 Victoria Land Basin의 탄성파 sequence와 Ross Sea 동쪽을 분리해서 다룸 (Table 5.1)

29 Ross Sea Seismic Stratigraphy Victoria Land basin
◈ MCS 기록은 Ross Sea 서쪽에 잇는 7개의 중요한 탄성파 단위를 보여줌 (Fig. 5.7A, Line 407의 V1-V7 단위) ◈ McMurdo Sound 지역에서 얻은 고해상도 탄성파 자료 : 20개나 되는 부정합과 결합된 탄성파 sequence를 보여줌

30 Ross Sea Seismic Stratigraphy Victoria Land basin
◈ MCS 기록은 Ross Sea 서쪽에 잇는 7개의 중요한 탄성파 단위를 보여줌 (Fig. 5.7A, Line 407의 V1-V7 단위) ◈ McMurdo Sound 지역에서 얻은 고해상도 탄성파 자료 : 20개나 되는 부정합과 결합된 탄성파 sequence를 보여줌

31 Ross Sea Seismic Stratigraphy Victoria Land basin ◈ V7 : 이 지역의 음향기반암
곤드와나 분리의 초기 융기 단계 동안 단층을 형성 ◈ V6 : 융기 분지를 채우는 퇴적물과, 관련 화산암을 포함 백악기 후기를 거치는 쥐라기라고 추정 ◈ V5-V1 : 음향기반암 위로 향하는 진퇴적, 균일한 간격과 반사면의 측면 연속성, 기저 단층들에 의한 단위 변형이 결핍됨 → V5-V1의 퇴적이 그 전에 형성된 융기 분지의 축을 따르는 해양성 환경에서 나타난다는 것을 암시

32 Ross Sea Seismic Stratigraphy Central Trough
◈ Central Trough의 탄성파 기록은 Trough의 층서와 구조가 Victoria Land Basin, Eastern Basin과 유사함을 보여줌 ◈ 융기분지를 채우는 sequence는 거의 수평 (Fig. 5.4) 백악기 ~ 고 제3기 초기에 이르는 대륙성과 천해성 퇴적물로 구성되어있을 것으로 예상

33 Ross Sea Seismic Stratigraphy Central Trough
◈ Central Trough의 탄성파 기록은 Trough의 층서와 구조가 Victoria Land Basin, Eastern Basin과 유사함을 보여줌 ◈ 융기분지를 채우는 sequence는 거의 수평 (Fig. 5.4) 백악기 ~ 고 제3기 초기에 이르는 대륙성과 천해성 퇴적물로 구성되어있을 것으로 예상

34 Ross Sea Seismic Stratigraphy Central Trough
◈ Central Trough의 탄성파 기록은 Trough의 층서와 구조가 Victoria Land Basin, Eastern Basin과 유사함을 보여줌 ◈ 융기분지를 채우는 sequence는 거의 수평 (Fig. 5.4) 백악기 ~ 고 제3기 초기에 이르는 대륙성과 천해성 퇴적물로 구성되어있을 것으로 예상

35 Ross Sea Seismic Stratigraphy Central Trough
◈ Central Trough의 탄성파 기록은 Trough의 층서와 구조가 Victoria Land Basin, Eastern Basin과 유사함을 보여줌 ◈ 융기분지를 채우는 sequence는 거의 수평 (Fig. 5.4) 백악기 ~ 고 제3기 초기에 이르는 대륙성과 천해성 퇴적물로 구성되어있을 것으로 예상

36 Ross Sea Seismic Stratigraphy Northern Basin
◈ 마이오세 중기의 두꺼운 succession과 뚜렷한 부정합 아래에 존재하는 더 오래된 지층에 의해 특징을 가짐 (RSU2 + RSU3) ◈ Bart(1998)는 이 지역의 세부적인 탄성파 층서학 분석 ▶ Victoria Trough Mouth Fan을 포함 ▶ 빙하부정합으로부터 분리된 10개의 탄성파 단위를 인식, 지도화 ▶ Trough Mouth Fan 내의 안정한 표면과, shelf에서의 빙하부정합과의 연관성을 보임

37 Ross Sea Seismic Stratigraphy Northern Basin
◈ 마이오세 중기의 두꺼운 succession과 prominent 부정합 아래에 존재하는 더 오래된 지층에 의해 특징을 가짐 → RSU2 & RSU3 부정합 ◈ Bart(1998)는 1994년과 19995년에 이 지역의 cruise 동안 모은 중해상도 탄성파 데이터를 이용해서 세부적인 탄성파 층서학 분석 :

38 Ross Sea Seismic Stratigraphy Eastern Basin
◈ 지역적인 부정합(RSU6)은 더 국부적인 융기분지(RSS-1)를 채우는 퇴적물을 분지 크기의 탄성파 단위로부터 분리 (Fig. 5.9) ◈ RSU6 부정합은 DSDP 270 지점의 중기 해록석 sand 아래에 나타남 (Fig. 5.5) ◈ RSS-2 sequence는 수평에 가깝고 조화로운 반사 패턴의 특징을 가짐 ◈ RSS-2(Unit 12)와 RSS-3(Unit 11) sequence는 국지적으로 정합 ◈ RSS-3 sequence는 강한 수평에 가까운 반사와 매적 패턴의 특징을 가짐 ◈ RSU4A는 RSS-3과 RSS-4를 분리, 외대륙붕에서 우세한 매적작용에서 우세한 순행까지의 변화를 기록

39 Ross Sea Seismic Stratigraphy Eastern Basin
◈ RSS-4는 현대 Ross Sea trough와 유사한 기복을 가진 빙하침식 표면의 특징을 가지고, 또한 거대한 퇴적 쐐기라는 특징을 가짐 이후에 이 쐐기들이 분지 쪽을 향해 ice-proximal 환경에서 퇴적된 proglacial fan들로 나누어진다는 것을 이해함 ◈ RSS-5는 단단하고 수평에 가까운 반사면으로 구성, 주로 순행 ◈ Shelf에서 RSU-3 위의 sequence는 더 오래된 것보다 얇음

40 Ross Sea Seismic Stratigraphy Eastern Basin
◈ 지역적인 부정합(RSU6)은 더 국부적인 융기분지(RSS-1)를 채우는 퇴적물을 분지 크기의 탄성파 단위로부터 분리 (Fig. 5.9) ◈ RSU6 부정합은 DSDP 270 지점의 중기 해록석 sand 아래에 나타남 (Fig. 5.5) ◈ RSS-2 sequence는 수평에 가깝고 조화로운 반사 패턴의 특징을 가짐 ◈ RSS-2(Unit 12)와 RSS-3(Unit 11) sequence는 국지적으로 정합 ◈ RSS-3 sequence는 강한 수평에 가까운 반사와 매적 패턴의 특징을 가짐 ◈ RSU4A는 RSS-3과 RSS-4를 분리, 외대륙붕에서 우세한 매적작용에서 우세한 순행까지의 변화를 기록

41 Ross Sea Seismic Stratigraphy Eastern Basin
◈ 지역적인 부정합(RSU6)은 더 국부적인 융기분지(RSS-1)를 채우는 퇴적물을 분지 크기의 탄성파 단위로부터 분리 (Fig. 5.9) ◈ RSU6 부정합은 DSDP 270 지점의 중기 해록석 sand 아래에 나타남 (Fig. 5.5) ◈ RSS-2 sequence는 수평에 가깝고 조화로운 반사 패턴의 특징을 가짐 ◈ RSS-2(Unit 12)와 RSS-3(Unit 11) sequence는 국지적으로 정합 ◈ RSS-3 sequence는 강한 수평에 가까운 반사와 매적 패턴의 특징을 가짐 ◈ RSU4A는 RSS-3과 RSS-4를 분리, 외대륙붕에서 우세한 매적작용에서 우세한 순행까지의 변화를 기록

42 Ross Sea Seismic Stratigraphy Eastern Basin
◈ 지역적인 부정합(RSU6)은 더 국부적인 융기분지(RSS-1)를 채우는 퇴적물을 분지 크기의 탄성파 단위로부터 분리 (Fig. 5.9) ◈ RSU6 부정합은 DSDP 270 지점의 중기 해록석 sand 아래에 나타남 (Fig. 5.5) ◈ RSS-2 sequence는 수평에 가깝고 조화로운 반사 패턴의 특징을 가짐 ◈ RSS-2(Unit 12)와 RSS-3(Unit 11) sequence는 국지적으로 정합 ◈ RSS-3 sequence는 강한 수평에 가까운 반사와 매적 패턴의 특징을 가짐 ◈ RSU4A는 RSS-3과 RSS-4를 분리, 외대륙붕에서 우세한 매적작용에서 우세한 순행까지의 변화를 기록

43 Ross Sea Seismic Stratigraphy Eastern Basin
◈ 지역적인 부정합(RSU6)은 더 국부적인 융기분지(RSS-1)를 채우는 퇴적물을 분지 크기의 탄성파 단위로부터 분리 (Fig. 5.9) ◈ RSU6 부정합은 DSDP 270 지점의 중기 해록석 sand 아래에 나타남 (Fig. 5.5) ◈ RSS-2 sequence는 수평에 가깝고 조화로운 반사 패턴의 특징을 가짐 ◈ RSS-2(Unit 12)와 RSS-3(Unit 11) sequence는 국지적으로 정합 ◈ RSS-3 sequence는 강한 수평에 가까운 반사와 매적 패턴의 특징을 가짐 ◈ RSU4A는 RSS-3과 RSS-4를 분리, 외대륙붕에서 우세한 매적작용에서 우세한 순행까지의 변화를 기록

44 Ross Sea Seismic Stratigraphy Eastern Basin
◈ 지역적인 부정합(RSU6)은 더 국부적인 융기분지(RSS-1)를 채우는 퇴적물을 분지 크기의 탄성파 단위로부터 분리 (Fig. 5.9) ◈ RSU6 부정합은 DSDP 270 지점의 중기 해록석 sand 아래에 나타남 (Fig. 5.5) ◈ RSS-2 sequence는 수평에 가깝고 조화로운 반사 패턴의 특징을 가짐 ◈ RSS-2(Unit 12)와 RSS-3(Unit 11) sequence는 국지적으로 정합 ◈ RSS-3 sequence는 강한 수평에 가까운 반사와 매적 패턴의 특징을 가짐 ◈ RSU4A는 RSS-3과 RSS-4를 분리, 외대륙붕에서 우세한 매적작용에서 우세한 순행까지의 변화를 기록

45 Sequence Stratigraphic
Ross Sea Sequence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46 Ross Sea Sequence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 Cooper와 동료들 (1991a) :
▶ 신 제3기(Neogene) 지층 패턴이 aggradation → progradation으로 변하는 것을 발견 - 이 지층은 RSU4A 부정합면에 의해 나누어짐 (Fig. 5.9A) - 이것은 빙상에 의해 많은 퇴적물이 유입된 것이라고 주장

47 Ross Sea Sequence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 Cooper와 동료들(1991a) :
신 제3기(Neogene) 지층 패턴이 aggradation → progradation으로 변하는 것을 발견 - 이 지층은 RSU4A 부정합면에 의해 나누어짐 (Fig. 5.9A) - 이것은 빙상에 의해 많은 퇴적물이 유입된 것이라고 주장

48 Ross Sea Sequence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 Bartek 과 동료들 (1991) :
Fig. 5.9B 를 “신 제3기의 층서적 특징”으로 칭함 - 이 지층의 패턴이 전세계적인 해수면 변동의 결과물이라고 주장

49 Ross Sea Sequence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 Bartek 과 동료들(1991) :
Fig. 5.9B 를 “신 제3기의 층서적 특징”으로 칭함 - 이 지층의 패턴이 전세계적인 해수면 변동의 결과물이라고 주장

50 Ross Sea Sequence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 Anderson과 Bartek (1992) : ▶ 중해상도의 탄성파 반사 자료로 Ross sea 의 지층을 연구하여 신 제3기 의 좀 더 정확한 층서적 자료를 획득 - 이것으로 탄성파 상과 자연적으로 침식된 면을 알 수 있게 됨 - 이 고해상도의 데이터셋은 또한 대륙붕 위에 있는 Plio-Pleistocene 의 층을 조사하는 데도 사용 - 또한 Eastern Basin 의 13개 지역에서의 탄성파 단위의 존재 발견 (Fig. 5.10과 5.11)

51 Ross Sea Sequence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 Anderson과 Bartek (1992) : 중해상도의 탄성파 반사 자료로 Ross sea 의 지층을 연구하여 신 제3기 의 좀 더 정확한 층서적 자료를 획득 - 이것으로 탄성파 상과 자연적으로 침식된 면을 알 수 있게 됨 - 이 고해상도의 데이터셋은 또한 대륙붕 위에 있는 Plio-Pleistocene 의 층을 조사하는 데도 사용 - 또한 Eastern Basin 의 13개 지역에서의 탄성파 단위의 존재 발견 (Fig. 5.10과 5.11)

52 Ross Sea Sequence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 Anderson과 Bartek (1992) : 중해상도의 탄성파 반사 자료로 Ross sea 의 지층을 연구하여 신 제3기 의 좀 더 정확한 층서적 자료를 획득 - 이것으로 탄성파 상과 자연적으로 침식된 면을 알 수 있게 됨 - 이 고해상도의 데이터셋은 또한 대륙붕 위에 있는 Plio-Pleistocene 의 층을 조사하는 데도 사용 - 또한 Eastern Basin 의 13개 지역에서의 탄성파 단위의 존재 발견 (Fig. 5.10과 5.11)

53 Ross Sea Sequence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 De Santis와 동료들 (1995) : ▶ 여러 가지 다른 탄성파 자료를 합치고, 다양한 해상도의 자료를 이용해서 Ross Sea 동쪽의 지층을 분석 ▶ 여러 다양한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마이오세 중기의 지층을 묘사하고 지도로 나타냄

54 Ross Sea Sequence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 Shipp과 동료들 (1994) :
▶ shelf의 동쪽에서 마이오세 중-후기의 탄성파 단위를 발견 - 얇은 판의 형태로 넓게 분포 - pregradation의 형태

55 Ross Sea Sequence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 Alonso와 동료들 (1992) :
▶ Ross Sea 동쪽 대륙붕에서 Plio-Pleistocene 지층을 자세히 연구, 현재도 진행중 ▶ 불연속적인 빙력토 sheet이 빙하부정합에 의해 구분되는 것을 고해상도 데이터셋으로 알아냄

56 Ross Sea Sequence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 Bart (1998) :
Victoria Trough Fan에서 빙하부정합으로 경계가 구분되는 10개의 탄성파 단위 경계가 있는 것을 Ross Sea 동쪽에서의 7번의 빙기-간빙기 사이클과 비교해서 밝힘


Download ppt "Antarctic Marine Geology"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