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ublished byHamdani Tedja Modified 5년 전
1
제2장. 경쟁력, 전략 및 생산성 (CH02. Competitiveness, Strategy, and Productivity)
2
학습목표 이 장을 학습한 후 다음과 같은 능력을 가져야 한다.
기업조직들이 경쟁하는 주요 방법들에 대해 열거하고 간략하게 서술할 수 있다. 특정 기업의 경쟁력이 열등한 이유를 다섯 가지 이상 열거할 수 있다. 전략이라는 용어를 정의하고 경쟁력을 위해서 왜 전략이 중요한지를 설명할 수 있다. 전략과 전술의 비교해서 설명할 수 있다. 기업전략과 생산운영전략을 비교하고 양자를 연계시키는 것이 왜 중요한지를 설명할 수 있다. 시간기반전략을 설명하고 그 예를 들 수 있다. 생산성이라는 용어를 정의하고 이것이 조직과 국가에 왜 중요한지를 설명할 수 있다. 생산성이 낮은 이유와 이를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을 열거할 수 있다.
3
경쟁력(Competitiveness)
경쟁력은 기업이 번창하거나, 겨우 명맥을 유지하거나, 아니면 실패하는 것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기업은 마케팅과 생산운영 기능을 적절히 결합하여 서로 경쟁 기업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 기능 소비자의 욕구와 필요를 파악, 가격, 홍보 및 판촉활동 기업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생산운영 기능 제품과 서비스 설계, 원가, 입지, 품질, 신속한 대응, 유연성, 재고관리, 공급사슬관리, 서비스, 경영자와 종업원
4
경쟁력(Competitiveness)
5
경쟁력(Competitiveness)
기업이 실패하는 이유 연구개발을 희생시키는 대신 단기적 재무성과를 지나치게 강조 강점과 기회를 활용하지 못하거나 또 경쟁위협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 생산운영 전략을 등한시 하는 것 제품이나 서비스 설계는 지나치게 강조하나 프로세스 설계와 개선에 대해서는 충분히 강조하지 않는 것 자본과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를 등한시 하는 것 서로 다른 기능 분야들 간에 내부 의사소통이나 협력을 잘 하지 못하는 것 고객의 욕구와 필요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는 것 경쟁에서 성공하기 위한 열쇠는 고객의 욕구를 파악하고 고객의 기대에 부응(또는 능가)하도록 노력해야 함. 이를 위해 알아야 할 기본적인 이슈는… 고객은 무엇을 원하고 있는가? 그러한 욕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무엇인가? 주요 고객이나 표적시장에 대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생산운영은 마케팅과 협력해야 함
6
사명과 전략(Mission and Strategies)
사명(Mission)과 목표(Goals) 조직의 사명은 조직의 존재 이유를 말함 조직의 사명은 조직의 목표를 기술한 사명기술서(Mission Statement)로 표. 사명기술서는 조직 목표(Goals)의 기초가 되며 목표는 사명을 보다 상세하게 그 범위를 기술한 것 목표는 조직 전략 개발의 기초가 되며, 이들은 다시 조직의 기능 단위 별 전략과 전술을 수립하는 근거
7
사명과 전략(Mission and Strategies)
전략(Strategy): 기업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 기업 조직의 전략은 기업 조직이 무엇을 하고 그것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커다란 영향을 미침 전략은 장기, 중기, 단기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략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조직의 사명과 조직의 목표를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함 전략과 전술(Strategies and Tactics) 목표를 목적지로 생각하면 전략은 목적지에 이르게 하는 로드맵(road map) 전술(Tactics)은 전략 달성을 위해 사용되는 구체적인 방법과 활동 전술은 전략에 비해 보다 구체적이며, 조직에서 가장 구체적이고 자세한 계획과 의사결정을 필요로 하는 실제 운영을 수행하기 위한 안내와 방향을 제시 전략, 전술 또는 운영적 이슈의 구분: 시간 축의 차이
8
사명과 전략(Mission and Strategies)
9
사명과 전략(Mission and Strategies)
기업 조직이 선택할 수 있는 전략의 다양한 예 저 원가(Low cost): 인건비가 저렴한 제3세계 국가들로부터 생산운영을 아웃소싱 함 규모에 기초한 전략(Scale-based strategies): 높은 산출량과 낮은 단가를 실현하기 위하여 자본 집약적인 생산방법을 사용 전문화(Specialization): 고품질을 달성하기 위하여 범위가 좁은 제품 라인이나 한정된 서비스에 집중 유연한 생산운영(Flexible operations): 신속한 대응과 고객화에 집중 고품질(High quality): 경쟁자보다 높은 품질을 달성하는 것에 집중 서비스(Service): 서비스의 다양한 측면(예컨대 보다 도움이 되거나 정중하거나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에 집중 조직은 간혹 이들 또는 다른 접근방법 중에서 두 개 이상을 자신의 전략에 결합시키기도 함 전략수립은 조직의 핵심역량(Core Competency; 조직에게 경쟁우위를 제공하는, 조직이 소유한 특별한 능력이나 속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조직이 경쟁하는 방법과 강점이나 약점에 대한 특정 조직의 평가를 고려하는 것
10
생산운영전략의 예시
11
사명과 전략(Mission and Strategies)
전략 수립(Strategy Formulation)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 고위 경영자는 조직의 핵심역량을 고려해야 하며 환경을 감시(Environmental Scanning; 조직에 대해 기회나 위협요인으로 작용하는 사건이나 추세를 검토)해야 함 SWOT(Strengths(강점), Weaknesses(약점), Opportunities(기회), Threats(위협)) 분석 성공적 전략 수립을 위해 조직은 또한 주문자격요건(Order Qualifier)과 주문획득요건(Order Winner)을 고려해야 함(“Manufacturing Strategy”, by Terry Hill) Order Qualifier: 잠재적 고객이 제품에 대한 구매를 고려할 때 구매를 위한 최소한의 표준으로 인지하는 특성 Order Winner: 조직의 제품이나 서비스가 경쟁자보다 더욱 좋다고 인지되게 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특성 Order Qualifier와 Order Winner는 불변이 아니라 가변적임: 한때 Order Winner였던 특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Order Qualifier로 변할 수 있음 기술변화(Technological change) 역시 전략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요인 제품, 서비스, 프로세스 측면의 기술변화에 대한 선택
12
사명과 전략(Mission and Strategies)
전략 수립 시 고려해야 할 핵심적 외부 요인 경제적 환경: 경제의 일반적 체질이나 방향,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 정치적 환경: 기업에 대한 우호적이거나 적대적인 태도, 정치적 안정 불안… 법률적 환경: 독점금지법, 정부 규제, 무역 규제… 기술: 제품혁신이 일어나는 속도, 현재 및 미래의 프로세스 기술… 경쟁: 경쟁자의 수와 강점, 경쟁의 기반(가격, 품질, 특성), 시장진입의 용이성… 시장: 시장의 규모, 위치, 상표충성도, 진입의 용이성, 성장 잠재력… 전략 수립 시 고려해야 할 핵심적 내부 요인 인적 자원: 경영자와 종업원의 능력과 기량, 창의성, 문제 해결 능력, 조직 충성도… 시설과 장비: 용량, 입지, 노후 정도, 유지 또는 교체에 따르는 비용… 재무자원: 현금흐름, 추가적인 자금원 확보, 기존의 채무, 자본비용… 제품과 서비스: 기존 제품과 서비스, 신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잠재력… 기술: 기존 기술, 신기술을 통합시킬 수 있는 능력, 기술이 현재와 미래의 생산운영에 미칠 수 있는 영향… 공급자: 공급자 관계, 공급자에 대한 의존성, 품질, 유연성 및 서비스… 기타: 특허, 노사관계, 기업이나 제품에 대한 이미지, 유통경로…
13
사명과 전략(Mission and Strategies)
내부 및 외부요인과 조직의 핵심역량을 평가한 이후 조직에 최선의 성공 기회를 가져올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여야 함 이때 제기할 수 있는 의문 유형 인터넷의 역할이 만약 있다면 어떤 역할을 하도록 할 것인가? 기업조직이 글로벌 경영 무대에 나설 것인가? 아웃소싱은 얼마만큼 활용할 것인가? 공급사슬관리 전략은 어떻게 전개할 것인가? 신제품이나 서비스는 어느 정도 도입할 것인가? 얼마만큼의 성장률이 바람직하고 또 지속 가능한가? 린(Lean) 생산방식을 강조한다면 어느 정도로 할 것인가? 경쟁자에 대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어떻게 차별화시킬 것인가? PIMS(Profit Impact of Market Strategy) 데이터베이스( 미국, 캐나다, 서유럽의 3,000개 이상의 기업 데이터 – 기업전략의 성공적 수립에 유용 글로벌전략: 글로벌화가 진행되어감에 따라 많은 기업들은 글로벌화와 연관시켜 전략적 의사결정을 수행해야 함
14
생산운영전략(Operations Strategy)
조직전략(Organizational Strategy) 조직 전체의 전반적인 방향을 제시 전체 조직을 포함하며 범위가 아주 넓음 생산운영 전략(Operations Strategy) 생산운영 기능을 이끌기 위해 사용되며 조직의 전략과 일관되는 접근방법 제품, 프로세스, (생산) 방법, 생산운영 자원, 품질, 원가, 리드타임 및 일정계획(scheduling) 등과 관련 생산운영 전략이 실제로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조직전략과 연계시키는 것이 중요
15
생산운영전략(Operations Strategy)
전략적 생산운영관리 의사결정 분야(Strategic Operations Management Decision Areas)
16
생산운영전략(Operations Strategy)
품질 및 시간 전략(Quality and Time Strategies) 품질기반전략(Quality-based strategy): 조직에서 산출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유지하거나 개선시키는데 집중 시간기반전략(Time-based strategy): 다양한 활동(즉, 신제품이나 서비스의 개발 및 판매, 고객 수요변화에 대한 대응, 제품 배달 또는 서비스 수행)을 수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집중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개선하고 동일한 일을 완료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경쟁자에 비해 경쟁우위를 확보 시간기반전략은 프로세스상의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집중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원가는 일반적으로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며, 품질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제품혁신을 시장에 보다 빨리 선보일 수 있으며 고객서비스가 보다 향상될 수 있음 시간단축의 분야: 계획시간, 제품/서비스 설계시간, 처리시간, 전환시간, 배달시간, 불만제기에 대한 대응시간 민첩한 생산운영은 변화의 상황에서 적응하고 성장하기 위해 유연성 활용을 강조하는 경쟁우위를 위한 전략적 접근방법
17
기업전략과 생산운영관리에 대한 시사점
18
전략을 행동으로 전환시키기:균형성과표(BSC)
균형성과표(BSC; Balanced Scorecard): 기업이 조직의 비전과 전략을 명확히 하고 이들을 행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하향식 관리시스템 전통적인 재무적 관점에서 탈피하여 고객, 기업내부 프로세스, 학습 및 성장과 같은 여타의 관점을 통합 경영자는 목적(목표), 측정기준(척도), 각각의 목적에 대한 목표 수준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개발하고 다양한 관점간의 관련성을 파악 -> 그 결과를 관찰하여 전략적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 활용 또한 네 가지 영역에서 경쟁자와 어떻게 다른가를 파악하는데도 활용
19
전략을 행동으로 전환시키기:균형성과표(BSC)
20
생산성(Productivity) 생산성(Productivity): 투입물에 대한 산출물의 비율로 표현되며 자원의 효과적 활용 정도에 대한 척도 생산성 = 산출물(output)/투입물(input) 생산성 척도는 본질적으로 자원의 효과적인 사용을 평가하기 위한 채점표 역할을 하며 기업 경영자들은 생산성이 경쟁력과 연관되어 있으므로 중요시 함
21
생산성(Productivity)
22
생산성(Productivity) 서비스 부문의 생산성(Productivity in the Service Sector)
서비스는 주로 서비스 제공과정에서 행위 중심적 경향과 지적 활동의 포함으로 인해 제조업 부문보다 생산성 측정 및 향상이 어려움. (EX: 프로세스 수율(process yield))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Factors that Affects Productivity) 작업자 보다는 주로 기술적 진보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 프로세스와 절차의 표준화, 품질격차, 인터넷(정보기술), 컴퓨터 바이러스, 비효율적인 자재관리, Scrap Rates(불량률), 신입 작업자, 작업장 안전, 정보기술 관련 또는 기타 부문의 기술 인력 부족, 해고, 이직, 작업장 설계, 생산성 향상에 대한 인센티브, 장비 고장, 자재의 결품
23
생산성(Productivity) 생산성 향상(Improving Productivity) 모든 생산운영에 대한 생산성 척도 개발
어떤 생산운영이 가장 핵심적인가를 결정하기 위해 시스템을 전체로서 관찰 종업원의 아이디어를 권장하거나(작업자, 엔지니어, 관리자 팀을 구성하여), 타 기업이 어떻게 생산성 향상을 하였는지 모방하거나, 일을 처리하는 방법을 재검토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 개발 적절한 개선 목표를 설정 경영층에서 생산성 향상을 권장하고 지원하고 있다는 사실을 명확히 하고 공헌이 있는 종업원에 대한 인센티브 시행 개선의 결과를 측정하고 이를 공표: 전체 조직원이 알 수 있게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