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3장 분석심리이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강의안.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3장 분석심리이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강의안."—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3장 분석심리이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강의안

2 발생배경과 특징 발생배경 특징 - 60년간 정신질환자들의 생활경험을 연구한 정신분석의사로서의 융의 경험
- 자신의 내면세계, 꿈, 환상과 상징에 관한 광범위한 연구 - 여러 문화와 신화 등을 토대로 연구 특징 - 인간의 성격(행동)은 과거에 의해 상당한 정도로 결정되지만, 미래의 목표와 열망에 의해 형성(프로이트의 정신결정론과 대조) - 무의식의 개념 확대발전 : 개인무의식(프로이드의 무의식), 집단무의식 - 리비도(Libido)의 개념 확대 : 보편적 생활에너지의 개념으로 이해 - 모든 인격의 궁극적인 목표 : 의식과 무의식의 통합(개성화, 개별화). 이는 자기(self) 를 실현하는 것이며 잃어버린 정신의 전체성을 회복하는 것 - 심리적 건강은 정신의 전체성을 유지하는 것. 정신병리는 전체성의 분리현상 - 성격의 발달은 전 생애에 걸쳐 일어나는 개성화 또는 자기실현의 과정이며, 인생전반기와 후반기에 각기 다른 특성을 보임(중년기와 노년기의 성격발달을 중시)

3 주요 개념 1 – 의식과 자아 주요개념 : 집단무의식, 원형, 페르소나, 그림자, 아니마&아니무스, 자기 전체적 성격구조 의식
정신의 수준을 의식과 무의식으로 구분/무의식을 개인무의식과 집단무의식으로 세분화 의식 개인이 직접 인식할 수 있는 정신의 부분 성격은 의식과 관련한 태도와 기능에 의해 결정 태도 : 의식이 내부로 향하는가 혹은 외부로 향하는가? 기능 : (사고-감정), (감각-직관)이라는 심리적 기능을 서로 다르게 사용 개인의 의식이 태도와 기능에 따라 분화되어 가는 과정에서 자아가 생김 자아 자아는 우리가 의식하는 감정, 생각, 기억, 지각 등으로 구성 자아는 의식의 중심부에 자리를 잡고, 의식의 주인으로서 의식을 지배 내 마음속에 있는 나로서 ‘나’의 감정을 대표하며 현실생활을 선택하는 집행자 인간은 자아를 통해 자신을 외부에 표현하고 외부 현실을 인식

4 주요 개념 2 - 개인무의식 개인무의식(프로이트의 전의식과 무의식을 포함하는 개념) 무의식의 비교
개인무의식의 자료는 개인의 과거 경험으로 비롯된 내용 개인무의식에서 콤플렉스 발견 융은 언어 연상검사를 통해 특정 단어에 대한 환자의 독특하고 비논리적인 반응을 연구하여, 그러한 반응이 정서적인 내용이 포함된 일련의 연상 때문에 일어난다는 사실 발견→콤플렉스(열등감, 욕구 불만, 강박 관념) 용어 사용 콤플렉스는 현실적인 행동이나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무의식의 감정적 관념 이 연상들은 불쾌하고, 비도덕적이며, 성적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아 의식에서 억제 감정적 동요, 흥분, 강한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게 하며 이를 행동으로 표현하게 함 융은 이 같은 콤플렉스가 어디서 오는가를 깊이 연구하다가 그것이 아동기 초기의 외상적 경험으로 생길 수도 있지만, 그것보다 더 깊은 무엇으로부터 생기는 것이라고 확신 → 집단무의식 발견 무의식의 비교 프로이트 : 후천적으로 생김/의식이 먼저 생김 융 : 선천적으로 생김(집단무의식)/무의식이 먼저 생김

5 주요 개념 3 – 집단무의식과 원형 집단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ness) 집단무의식의 특징
분석이론의 가장 독창적이고 핵심적인 개념 인류의 역사와 문화를 통해 공유해 온 모든 정신적 자료의 저장소 인간의 정신은 개인의 과거와 연결되어 있으며, 조상 내지는 인류 종족 전체의 먼 과거와도 연결됨. 따라서 유전의 과정을 통해 모든 인간에게 공통으로 전수되어진 심리적 바탕 직접적으로 의식화 되지는 않지만 신화, 민속, 예술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관찰 가능 집단무의식의 특징 개인적인 경험에 의존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개인무의식과 구별 인간의 조상 대대의 과거로부터 물려받은 의식, 관습, 문화 등 인간의 잠재적 기억의 저장소 집단무의식을 밑바탕으로 하여 그 위에 자아, 개인적 무의식 그리고 다른 개인적 획득이 이루어짐. 우리가 어떤 것을 쉽게 지각하고 습득하는 것은 집단무의식에 그 소질이 있기 때문 원형(Archetype) 집단무의식을 구성하고 있는 인류역사를 통해 물려받은 정신적 소인 모든 인간에게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인류의 가장 원초적인 행동유형 여러 세대를 거쳐 계속적으로 반복되어 온 경험이 인간의 마음속에 축적된 원초적 이미지 Ex) 신, 악마, 부모, 대모, 현자, 사기꾼, 영웅, 지도자 등

6 주요 개념 4 – 페르소나와 그림자 페르소나(Persona, 외부로 드러난 적응성격)
융이 언급한 대표적인 원형의 예 : 페르소나, 그림자, 아니마와 아니무스, 자기 페르소나(Persona, 외부로 드러난 적응성격) 환경의 요구에 조화를 이루려고 하는 적응의 원형 페르소나는 가면을 뜻하는 희랍어로 사회적 요구에 대한 반응으로써 개인이 밖으로 내놓는 공적 얼굴 페르소나를 통해 다른 사람과 관계하면서 좋은 인상을 주거나 은폐 시킴 겉으로 표현된 페르소나와 내면의 자기가 너무 불일치하게 되면 표리부동한 이중적인 성격으로 사회적응에 곤란 항상 페르소나를 가지고 살아간다면 진정한 자아를 잃어버릴 수도 있음 그림자(Shadow, 음영, 인간의 본능) 인간본성의 어둡거나 사악한 측면, 동물적 욕망을 나타내는 원형 융은 인간 사이에 일어나는 모든 갈등은 그림자 투사로 인해 생긴다고 봄 프로이드의 이드, 내가 싫어하는 나의 모습 그림자의 양면성 인간의 어둡거나 사악한 부정적 측면 VS 생명력, 창조성의 원천이 되는 긍정적인 측면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가장 장애가 되는 원형 → 조절 필요

7 주요 개념 5 - 아니마 & 아니무스 융 이론의 원리 : 양극성의 원리 & 대립과 조정의 원리
Anima: Eros(사랑)의 원리 남성 속의 무의식적인 여성적 소인 비이성적, 비합리적, 감정적인 심리 경향을 대표 관계의 기능을 중시 Animus: Logos(이성)의 원리 여성 속의 무의식적인 남성적 소인 사물을 관계의 관점으로 바라보지 않고 냉정하고 객관적으로 조명 인간의 감정보다는 논리성의 관점에서 사물을 바라 봄 자아와 아니마 & 아니무스: 상호보완의 관계 남자는 아니마의 덕택으로 여성을 이해할 수 있음 여자는 아니무스의 덕택으로 남성을 이해할 수 있음 성숙된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내부에 잠재해 있는 아니마와 아니무스를 이해하고 개발하는 것이 필요함

8 주요 개념 6 - 자기(Self) 융은 인간의 정신을 본래부터 하나의 전체로 파악 자기와 자아 모든 인격의 궁극적 목표
자아(Ego, 가아): 의식의 중심, 현상적인 나, 자신의 성격 모든 인격의 궁극적 목표 자기를 실현하고 잃어버린 정신의 전체성을 회복하는 것 ← 무의식의 발견을 통해서만 가능 자기를 달성해 나가는 마음의 성장과정을 개성화(Individuation)라고 부름 무의식이 의식화되지 못하고 계속해서 무의식의 영역에 남아있을 경우 통합된 인격체로 성장 불가능(예술적 재능을 무의식 속에 타고남 → 자아에 의해 의식화 되지 못하면 마음의 성장과정에 도움이 안될 뿐 아니라 정신에 중대한 위협이 될 수도 있음) 자기(Self)의 역할 무의식을 자아에게 전달하는 역할수행(꿈을 통해) 자아가 무의식을 깨닫게 되면 자아는 확대되고 자기에 가까워짐 무의식적인 것을 의식화함으로써 인간은 자기 자신의 본성과 조화로운 생활이 가능함

9 꿈과 무의식 꿈의 성질 꿈의 분석 인간의 잠재된 생각이나 의도를 보여주며, 무의식이 말하고자 하는 것을 보여줌
사람의 개성화 과정을 돕는 핵심으로 작용(융이 꿈의 실제 내용에 집중하는 이유) 꿈의 세계는 늘 상징(Symbol)이라는 가면을 쓰고 나타나므로 해석이 필요함 꿈의 분석 융 : 꿈이란 본능(id)의 충동이 억제되어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나타난 것 변형작업이 꿈의 작업(Dream work) 꿈의 작업의 두 가지 양태 : 검열(inspection), 상징(symbolization) 정신역동이론 인간은 본능적 욕망(id)과 초자아(superego) 사이의 대치상태에서 갈등 → 현실세계에서 방어기제 사용(억압) → 꿈을 통해 욕구 만족 꿈은 현실세계에서 받아들여질 수 없는 억압된 본능이나 욕구가 수면 중에 자아가 약화된 틈을 타서 왜곡되고 상징적 가면을 쓰고 나타남 융이 꿈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이유 꿈을 꾼다는 것은 무의식과의 의사소통을 하는 상징적 언어 인간의 심리적 균형을 회복하는 기능 미래를 예견하는 기능

10 융이론의 성격발달에 대한 관점 성격의 발달 성격발달은 전 생애를 걸쳐서 발달한다고 보고, 개성화 과정을 크게 전반기와 후반기로 구분 인생전반기 : 자아를 강화하고 확대해 나가는 시기(자아가 자기로부터 분리되어 나감) 타고난 잠재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정신에너지의 흐름을 외부로 지향.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 활발) 타인과의 관계 확대, 사회규범이나 사회적 요구에 자신을 맞추어 나가는 집단화 과정 성격의 중심이고 주인인 자기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하고 자아를 강화하고 분화시킴으로서 외부 현실 속에서 자기를 찾으려 함 인생후반기 : 개성화를 이루는 시기(자아가 다시 자기로 통합됨) 중년기를 전환점으로 내면세계에 대한 탐색이 강화(정신에너지의 흐름이 내부로 향함) 성인이 자신의 생을 되돌아보고 무의식적 메시지에 귀를 기울일 때, 완전성과 중심성의 상징인 자기(self)의 이미지와 만나게 됨 인생전반기의 자아강화를 바탕으로 무의식의 내용을 의식화하고 이해함으로써 자아가 성격의 전체이고 주인인 자기로 변모하는 과정 융은 노년기를 아주 중요하게 다루었으며, 인간은 노년기에 자신의 생의 본질을 이해

11 성격유형 8가지 심리적 유형(태도(I-E)+기능(S-N, T-F)의 2*4행렬)-MBTI의 모태
태도 : 에너지의 방향이 어느 곳을 향하고 있는가? 내향성(Introversion) 자기 자신 안으로 몰입. 마음 속의 개념과 관념을 분명히 하는데 관심. 사려깊고 주위와 떨어져 명상에 잠기기를 좋아함. 고독과 사색을 즐김. 외향성(Extroversion) 관심을 외부세계의 사람이나 사물에 쏟음. 사람들과 어울리고 말하는 것을 좋아하며, 솔직하고 사교성이 많음 기능 비이성적 기능 S(감각기능): 우리의 감각을 통해 인식. 현재 일어나는 일에만 관심이 있으므로 직접적인 경험에 초점을 맞춤. 구체적이고 실제적이며 관찰능력이 뛰어나고 상세한 것까지 기억 N(직관기능): 통찰을 통해 가능성, 의미, 관계를 인식. 육감이나 예감같이 돌발적으로 떠오르는 경우가 많음. 상상적, 이론적, 추상적, 미래지향적 성향 이성적 기능 T(사고기능): 아이디어를 논리적으로 연관시키는 기능으로 객관적이고 정의와 공정성의 원리에 관심. 비판적이고 분석적 F(감정기능): 상대적인 가치와 문제의 장점들을 고려하여 의사를 결정하게 하는 기능으로 인간적인 측면을 중시하고 친화와 온정과 조화를 중시

12 MBTI의 4가지 선호경향

13 평가와 적용 평가 장점 인간성격의 근원과 발달을 탐구하기 위해 꿈과 신경증의 증상 및 정신병적 증상, 망상 등과 함께 신화, 종교, 고대의 상징과 의식 등에 관해 박학다식한 이론적 체계를 갖춤 비판 실증연구에 기초하기 보다는 융의 생애경험을 통한 인상적 발견과 인류역사 및 신화적 근거에 기반을 두고 있어 비과학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함 영향 미술치료, 모래상자치료, 연극치료 등

14 프로이드이론과 융이론의 비교 구 분 Freud의 정신분석치료 Jung의 분석적 정신치료 리비도
성의 역할 강조(성충동에 치우침) 성의역할을 최소화, 리비도를 어떤 특정한 충동과 결부시키지 말고 중립적인 정신적 에너지로 볼 것 을 제안 관 점 정신현상을 인과론적 입장에서 파 악, 즉 기계론적이며 생물학적 환원 론적인 접근법 정신현상을 인과론적인 의미와 미래지향적인 목적의미 모두를 포함하는 접근법 무의식의 이해 무의식을 전의식, 무의식으로 파악 무의식을 개인 무의식, 집단 무의식으로 구분하고 프로이드의 무의식은 개인 무의식으로 간주 기 법 자유연상(free association)기법과 사용 단어연상검사, 생애사 구성기법, 전이분석, 꿈의분석, 확충법 사용 치료자 역할 치료자의 역할은 소극적 치료자의 역할은 적극적


Download ppt "제3장 분석심리이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강의안."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