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복어에 대하여... 자주복, 까치복, 검자주복.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복어에 대하여... 자주복, 까치복, 검자주복."— Presentation transcript:

1 복어에 대하여... 자주복, 까치복, 검자주복

2 자주복(참복) 어릴 때에는 작은 어류를 주로 어릴 때에는 작은                                        복어사진 분포: 우리나라 동.서.남해, 일본 홋가이도 이남, 황해, 동 중국해의 바닥이 사니질 또는 자갈 모래인 해역의 저 층에 주로 서식한다. 서해안의 경우 여름철 서해 연 안에 있던 무리는 9~10월에는 황해 중앙부로 이동하 고, 그후 12월 이후에는 제주도 서방 해역으로 남하하 며, 1월에는 더욱 남하하여 제주도 남방해역에서 겨울 을 보내고 봄이 되면 북쪽으로 이동 식성: 어릴 때에는 작은 어류를 주로 먹고, 그 다음 새우 류, 게류, 오징어류등을 먹으며, 성어가 되면 새우 류, 게류, 어류를 먹고, 수온 15도C이하에서는 전혀 먹이를 먹지 않으며, 10도C이하에서는 바닥의 모래 속 에 숨어 버린다.

3 까치복                                        복어사진 분포: 우리나라 동.서.남해, 일본 중부이남, 황해, 동중국 해 근해의 바닥이 암초지대인 중층해역에 주로 서식, 유영성이 강하여 행동반경이 광범위하다. 봄에는 산 란하러 연안의 큰강 하구부근으로 몰려 올라오고, 가 을이 되면 다소 먼 바다로 나간다. 식성: 새우류, 게류, 조개류, 오징어류, 작은 어류 등을 포 식한다.

4 검자주복                                       복어사진 분포: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일본 중부이남, 황해, 동중국해 바깥바다의 중층이나 저층에 주로 서식하며, 내만으로 잘 들어오지 않는다. 우리나라 서해안에서는 8월 중순경 청도∼격렬비열도에 서식하는 어군은 9∼ 10월경 황해중부로 이동하고, 12∼2월경에는 제주도 서방해역까지 남하하여 월동하다가 봄이 되면 다시 북상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산란: 산란기는 4∼5월이며, 성숙연령은 만 4년생 전후로 추정된다.


Download ppt "복어에 대하여... 자주복, 까치복, 검자주복."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