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강원도 추진사례 강릉 저탄소 녹색시범도시 랜드마크 조성 사업 녹색기술 적용 계획 (6대 녹색기술, 68개 요소)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강원도 추진사례 강릉 저탄소 녹색시범도시 랜드마크 조성 사업 녹색기술 적용 계획 (6대 녹색기술, 68개 요소)"— Presentation transcript:

1 강원도 추진사례 강릉 저탄소 녹색시범도시 랜드마크 조성 사업 녹색기술 적용 계획 (6대 녹색기술, 68개 요소)
2. 추진현황 및 강원도 사례 강릉 저탄소 녹색시범도시 랜드마크 조성 사업 녹색기술 적용 계획 (6대 녹색기술, 68개 요소) 물/자원 순환 (8개) 생태녹지/습지 (6개) 신재생에너지 (6개) 녹색 건축 (37개) 스마트 인프라 (5개) 시설물 운영시스템 통합관제 시스템 통합연계 녹색 교통 (6개) 통합컨벤션센터 체험형연수시설 1 1

2 강원도 추진사례 2030 원주 도시기본계획 도시기본계획 적용 사례 (원주시)
2. 추진현황 및 강원도 사례 도시기본계획 적용 사례 (원주시) 저탄소 녹색성장시대 도래에 따른 새로운 녹색도시 조성 필요 원주 도시기본계획은 원주시의 지역특성을 검토하여 저탄소 녹색도시계획으로 수립 중 상위 및 관련계획 수용·발전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2∼2020), 지역개발5개년 계획, 강원도 종합계획(2012∼2020), 제5차 강원도 관광개발개발계획, 등 저탄소 녹색성장시대 도래에 따른 새로운 녹색도시 조성 필요 2030 원주 도시기본계획 녹색성장기본법, 저탄소 녹색도시계획 수립지침 등 관련법령 제정 인구·경제,사회의 성장 등 여건변화 수용 (저탄소 녹색도시 계획) 향후 20년의 원주시의 미래상을 제시하는 장기기본계획 기후변화·적응 및 자원·환경위기 극복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도시공간구조를 제시하는 계획적· 합리적 종합계획 2 2

3 ( G-Healthy City Wonju )
강원도 추진사례 2. 추진현황 및 강원도 사례 도시기본계획 적용 사례 (원주시) 2030 도시 미래상 설정 - 행복하고 푸른 녹색건강중심도시 원주 (G-Healthy City Wonju) 행복하고 푸 른 녹색건강 중심도시 개인의 다양성을 존중 시민들에게 최상의 삶의 질을 보장 시민들의 행복도시 건설 온실가스와 환경오염 최소화 저탄소 녹색성장 깨끗하고 푸른 도시 도농복합형 도시로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개선 시민들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 생명과 IT중심의 첨단의료건강산업 육성 건강도시 이미지를 브랜드화 도시의 미래상 행복하고 푸른 녹색건강중심도시 원주 ( G-Healthy City Wonju ) 3 3

4 강원도 추진사례 도시기본계획 적용 사례 (원주시) 저탄소 녹색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도시계획적 방안 제시 도시계획적 방안
2. 추진현황 및 강원도 사례 도시기본계획 적용 사례 (원주시) 저탄소 녹색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도시계획적 방안 제시 도시계획적 방안 비도시계획적 방안 집약거점형 공공시설 및 서비스시설 등 입지 및 거주 유도 토지이용복합화(Mixed-Use)에 의한 에너지 수요 평준화 도시개발을 통한 미활용·신재생에너지 공간적인 도입 촉진 녹지의 보전 및 창출 수자원 및 폐기물 이용 극대화 산업개발계획과의 연계방안 마련 미활용·재생 가능 에너지의 활용 확대 도시열섬현상 방지를 위한 생태하천복원방안 마련 부문 추 진 방 안 공간구조 · 생활권과 연계된 단핵집중형 공간구조 구축 · 기존 지역거점과 대중교통축을 연결한 저탄소형개발축 설정 · 보존축과 녹지축의 강화 및 우선 적용 토지이용 계획 · 온실가스 배출 감축 및 토지 수요의 합리적 배분을 위해 압축적, 복합적 토지이용을 유도 · 신규토지 공급 최소화 및 기개발지내 활용이 미흡한 토지의 우선적 개발 · 대중교통중심(TOD)의 토지이용계획 · 온실가스 감축과 개발에 따른 환경훼손 최소화 교통계획 · 에너지절약적 교통시스템의 구축 · 녹색교통 비율 확대 :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 · 온실가스 감축을 의한 교통환경 구축 : 대중교통 활성화 도심 및 주거환경 · 신규건축물의 에너지기준 강화 · 기존건축물의 에너지 효율 개선 촉진 · 공공청사, 학교 등 공공건축물 에너지 효율 개선 · 녹색건축 기술개발 및 인프라 구축 공원․녹지 · 도심내 푸른 도시공원, 도심녹도 조성, 생태적인 산림으로 가꾸어 늘푸른 휴식공간 제공 · 도시녹화 효율성 제고를 위한 녹지네트워크 구축 · 탄소흡수원 조성 부문 추 진 방 안 수자원 계획 · 수환경과 폐기물 관리를 통한 에너지 절약 및 온실 가스 감축 · 도시내 하천 등 수환경을 활용하여 도심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친수공간 및 생태하천 복원방안 도모 · 우수관, 저류지, 하수종말처리장 등 물순환체계를 구축 및 수자원의 재활용을 활성화 폐기물 · 폐기물의 재활용과 자원화를 통하여 지역단위의 폐기물 재활용 거점 조성과 산업화 연계 · 폐기물 소각열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의 발굴 및 보급 확대 도모 농업개발 · 기후변화대응 과학영농 실증 연구 · 농업시설 에너지 이용 효율화 산업개발 · 미래지식산업으로서 저탄소산업 전환 추진 · 녹색산업단지 기반구축 · 산업단지 구조 개선을 통한 생태산업단지 추진 4 4

5 강원도 추진사례 2. 추진현황 및 강원도 사례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기 간 : ~ 2. 25(동계장애인 동계올림픽 : 3.9~3.18) 장 소 : 알펜시아를 중심으로 30분 이내의 동계스포츠 벨트 종 목 : 7경기 15종목 86세부 종목 - Alpensia Cluster(알펜시아․용평․보광․중봉): 스키점프, 크로스컨트리 등 - Costal Cluster(강릉): 스피드스케이팅, 피켜, 쇼트트랙, 아이스하키 등 규모 : 80여개국 선수・임원, IOC패밀리, 보도진 등 2만 6천여명 5 5

6 강원도 추진사례 평창「녹색올림픽 도시」추진계획 (강원도)
2. 추진현황 및 강원도 사례 평창「녹색올림픽 도시」추진계획 (강원도) 추진배경 년 올림픽헌장 수정(IOC), 올림픽 유치도시「환경보호계획」의무화 동계올림픽 유치 계기, 강릉「저탄소 녹색시범도시」평창확대 제안 ※ 환경올림픽 추진계획(안) 협의 시(환경부) 계획개요 - 기간/대상 : 2012~2017(6년), 평창군 일원 - 사업 내용 : 5개 분야 21개 단위사업 (물·자원순환, 생태및녹색관광, 그린에너지, 친환경교통, 녹색생활) - 소요 예산 : 2,133억원(국비 1,493 지방비 636 민자 4) 추진전략 - 정부「저탄소 녹색시범도시 확대계획」및「환경올림픽 개최계획」연계 정부종합계획화 추진 - 강원도 발전종합계획 반영 ⇒ 도 전역 균형올림픽 기여 6 6

7 강원도 추진사례 2. 추진현황 및 강원도 사례 평창「녹색올림픽 도시」추진계획 (강원도) 목표 및 전략 7 7

8 강원도 추진사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특구종합계획 수립 동계올림픽 특구발전 기본구상의 방향
2. 추진현황 및 강원도 사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특구종합계획 수립 기 간 : 2012년 3월 ~ 2012년 12월 (약 10개월) 목 적 : - 성공적인 대회 개최 지원, 대회 개최 이후 올림픽 유산을 공고히 하여 국가ㆍ지역 발전으로 계승하고자 종합적인 발전방안 모색 - 지역의 지속적인 발전과 지역주민의 복지향상, 소득증대 도모 동계올림픽 특구발전 기본구상의 방향 비전과 목표 수립 평창 동계올림픽대회의 비전 실현 및 성공적 개최 지원이 목표 → "환경올림픽, 경제올림픽, 문화올림픽" 등의 비전 실현 → 올림픽유산(legacy)의 공고화 및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 활용 공간발전구상 - 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 실현을 위해 특구간 30분 이내 접근가능 - 동계올림픽 특구와 3개 개최지역 시ㆍ군간 기능적 연계 강화 - 동계올림픽 특구 및 개최지역 시ㆍ군, 그리고 다른 지역과의 연계ㆍ발전 도모 8 8

9 3. 강원 녹색도시 발전전략

10 녹색도시 발전 전략 미래 저탄소 녹색도시의 모습 3. 강원 녹색도시 발전전략 건설 통합화
브릿지 기술 건설 국가기간 산업 에너지 효율(EE) 전통산업 신재생 에너지RES 미래산업 신재생에너지, 에너지효율 및 건물에너지 기술의 융합을 통해 주택 및 단지규모의 Energy 및 CO2 Zero를 통해 친환경적인 도시를 추구 05. 통합화 설계 기술 : 공공건물 및 상업건물의 신재생에너지 기술 통합화 기술 (BIPV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BiWP건물일체형 소형풍력발전, BiST 건물일체형 태양열 등) % 제로에너지 하우스 : 화석연료 공급 없이 자연에너지만으로 주택내 모든 에너지를 충당하는 주택 (신재생 시스템 + 각종 건물에너지절약 기술, 배열회수, 자연형태양열, 백업시스템) 07. 건물에너지 저감 핵심요소기술 개발 : (진공단열패널, 진공창, ,LED 조명 기술, 배열회수 등) 02. 제로에너지 커뮤니티(타운) : 제로에너지 하우스의 집합으로 일정 규모의 단지형태로 구성 (열 및 전기의 신재생에너지 집단공급 시스템 도입) 06. 녹색건물 일체화 : 태양열 집열기, 태양광 모듈 등을 건물 외장재로 사용될 수 있어야 효율적인 적용 가능 04. 신재생열원 집단 중앙공급 시스템 : (태양열, 바이오, 열병합 지역난방, 지열…) 03. Micro CHP : 단위 건물이나 단지 차원의 신재생과 연계된 소형 열병합발전 시스템 기술

11 녹색도시 발전 전략 1) 저탄소 녹색도시(녹색마을) 모델 개발 3. 강원 녹색도시 발전전략 그린 스마트 마을 개념도
환경농업 조성 개념도

12 녹색도시 발전 전략 2) 저탄소 녹색도시 모델 실현 3) 해외 개도국 수출 3. 강원 녹색도시 발전전략
축적된 도시개발기술 수출 신재생에너지 기술 수출 CDM 사업으로 탄소배출권 획득

13 동계올림픽 연계 전략 평창동계올림픽 이후의 시설활용 주변 도시 및 관광자원과 연계하여 지역 활성화에 기여
3. 강원 녹색도시 발전전략 평창동계올림픽 이후의 시설활용 환경친화적 올림픽공원 조성 - 올림픽 공원조성과 주변개발로 도시재생 문화 산업 개발 - 전시·공연장, 경기장 등 다목적 공간(컨벤션, 비즈니스, 문화공간)으로 이용 관광·스포츠 산업 개발 - 천혜의 자연도시로서의 홍보와 스포츠 시설 인프라구축을 통한 관광산업의 발전 - 스포츠 및 커뮤니티 서비스 시설, 지역의 사회보건 및 레크리에이션 센터로 활용 등 스포츠 산업과 연계 - 국가대표 및 선수용 훈련 시설 및 아시아권 선수들의 전지 훈련장으로 활용하여 해외훈련 수요를 강릉으로 흡수 주변 도시 및 관광자원과 연계하여 지역 활성화에 기여 < 환경친화적 올림픽 공원 > < 다목적 체육시설 > < 친환경 컨벤션센터 >

14 녹색산업화 전략 3. 강원 녹색도시 발전전략 녹색산업의 개념 및 범위 개념 - 경제⋅금융⋅건설⋅교통물류⋅농림수산⋅관광 등 경제활동 전반에 걸쳐 에너지와 자원의 효율을 높이고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재화의 생산 및 서비스의 제공 등을 통하여 저탄소 녹색성장을 이루기 위한 모든 산업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제2조) 녹색산업 범위(예) - 신재생에너지 산업 : 화석연료의 고갈과 환경문제에 대한 핵심 해결방안으로 인식되어 선진국 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개발과 보급 정책을 활발히 추진 중임 - 스마트그리드 : 소비자들에게 실시간 전기요금 정보를 제공하는 등 자동화된 네트워킹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며,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차세대 전력망 - 그린카 : 무공해 동력시스템을 활용하거나 장착하여 기존 내연기관 대비 연비가 높고 배출가스 나 CO2배출량도 적은 차량 - 그린홈 :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고 탄소배출 제로를 목표로 하는 친환경 주택

15 < 우리나라 환경산업 성장 현황>
녹색산업화 전략 3. 강원 녹색도시 발전전략 녹색산업 일반현황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합한 우리나라의 녹색산업 고용은 지난 10년(1997∼2007년)간 연평균 1.63%의 성장을 기록 ※ 통계청의 특수산업분류를 기초로 함 년 우리나라 녹색제조업 고용은 736,253인, 녹색서비스업 고용은 510,068인 - 이는 제조업 전체 고용의 22.08%, 서비스업 전체고용의 4.06%를 차지 -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합산한 총 고용의 7.84%에 해당 지난 10년간 녹색산업의 고용 증가는 서비스업의 증가에 기인한 것 - 녹색제조업의 고용은 지난 10년간 0.53% 감소, 녹색서비스업의 고용은 6.03% 증가 < 우리나라 환경산업 성장 현황> (단위 : 인) 구분 제조업종사자 서비스업 종사자 합계 환경산업 전 제조업 1997년 776,068 3,312,257 284,115 10,068,088 1,060,183 13,380,345 2007년 736,253 3,334,889 510,068 12,557,371 1,246,321 15,892,260 연평균증가율 -0.53% 0.07% 6.03% 2.23% 1.63% 1.74% 자료 : 진영환 외(2011), 녹색산업의 공간적 분포와 입지특성

16 < 녹색산업의 시도별 분포 현황(2007) >
녹색산업화 전략 3. 강원 녹색도시 발전전략 녹색산업 지역별 분포현황 전체적으로 46.47%를 수도권이 점유 - 5대 지방대도시의 녹색산업 점유율을 보면 제조업 21.90%, 서비스업 19.61% 등 전체의 20.98% - 이는 녹색산업이 기존의 발전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음을 의미 < 녹색산업의 시도별 분포 현황(2007) >

17 < 녹색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시도별 특화도 >
녹색산업화 전략 3. 강원 녹색도시 발전전략 녹색산업 지역별 특화도 녹색산업의 지역별 특화도는 단순 분포현황과는 다소 다른 경향을 보임 - 녹색제조업의 경우 전남·북과 광주 등 제조업 발전 수준이 낮은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특화도가 나타남 - 특화도가 대부분 시·도에서 낮게 나타나는 것은 성장이 미진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 산업발전이 상대적으로 미진한 강원도의 경우, - 서비스업은 연평균 1.4% 증가하였으나, 녹색서비스업은 이의 4.6배인 연평균 6.2%의 고성장을 기록 < 녹색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시도별 특화도 >

18 녹색산업화 전략 녹색산업의 발전가능성 녹색산업화 전략 : ① 선택과 집중 전략
3. 강원 녹색도시 발전전략 녹색산업의 발전가능성 녹색산업의 지역별 분포현황, 특화도 결과를 보면, 녹색산업이 지방 도(道) 지역의 성장을 위한 새로운 계기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녹색산업은 상대적으로 소외된 지방자치단체의 발전과 지역간 균형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 - 특히 우리나라의 지방에 새로운 성장의 계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이를 위해 녹색산업은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되는 것과 동시에 기존 산업구조를 친녹색성장형으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 녹색산업화 전략 : ① 선택과 집중 전략 신재생에너지 산업과 같이 녹색산업을 누가 선점하는냐에 따라 국가나 지역의 장래가 결정되므로 이에 대한 집중적인 추진 전략 필요

19 녹색산업화 전략 녹색산업화 전략 : ② 선도 전략 녹색산업화 전략 : ③ 네트워크 전략
3. 강원 녹색도시 발전전략 녹색산업화 전략 : ② 선도 전략 녹색성장이라는 큰 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전국적으로 모범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전략 필요 - 지역에 저탄소 녹색도시, 녹색마을 등을 선도적으로 조성 녹색산업화 전략 : ③ 네트워크 전략 지역과 지역 또는 지역 대학이나 연구소 간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생산, 연구 등을 통합하는 녹색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지역내 연구역량을 집중하는 전략 필요 - 풍력, 태양광, 수소연료전지 등 성장 잠재력이 큰 신재생에너지와 관련 장비산업, 그리고 파급효과가 큰 녹색산업을 육성하는 네트워크화를 적극적으로 추진 녹색산업화 전략 : ④ 지역중심의 정책패키지 전략 지역 중심의 녹색산업 육성정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정책시스템 구축 필요 지역 중심의 투자유치, 조세 감면, 인프라설비 지원, 전문 교육훈련, 산학연 협동연구 등의 녹색산업 지원 시책을 패키지형 정책으로 추진하는 전략 필요

20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강원도 추진사례 강릉 저탄소 녹색시범도시 랜드마크 조성 사업 녹색기술 적용 계획 (6대 녹색기술, 68개 요소)"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