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성장과 발달의 개요 반사의 종류 및 기능 By KEUMSUN Hwang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성장과 발달의 개요 반사의 종류 및 기능 By KEUMSUN Hwang"— Presentation transcript:

1 성장과 발달의 개요 반사의 종류 및 기능 By KEUMSUN Hwang
아동작업치료 성장과 발달의 개요 반사의 종류 및 기능 By KEUMSUN Hwang

2 성장 및 발달의 개념 성장(growth) - 양(mass)적으로 증가해 나가는 과정
- 측정가능: ex.신장, 체중, 장기의 무게… 발달(Development) - 성장에 따르는 기능적인 발달과정 - 뇌가 성장(중량의 증가, 신경세포의 성장)함에 따라 운동기능, 정신기능이 발달해 나가는 것

3 소아기 구분 1)출생전기(prenatal period) - 배아기(embryonic): 수정 ~ 8주기
- 태아기(fetal): 임신 9주 ~ 출생 2) 신생아기(neonatal period) - 생후 ~ 4주 - 주생기(perinatal period) : 재태 28주 ~ 생후 1주 3) 영아기(infancy): 1개월 ~ 1년

4 소아기 구분 4) 유아기(preschool period or early childhood): 학령전기 1~6년
5) 학동기(prepuberal period or late childhood): 6~10년 6)사춘기(puberty), 청소년기(adolescence): 남 12~20년, 여 10~18년

5 소아인구 동태(통계청) 기준 인구 1000명당 출생률 저출산,고령화사회(전체인구노인비율 7%)
남녀 성비: 110:100 자연성비 105: 100 15세 미만의 인구수 감소 추세 2005년 여성 1인당 출산율:1.08명

6 성장의 패턴 일반형(general type)
- 신장, 체중, 호흡기, 소화기, 신장, 심장, 비장, 근육 및 골전체의 무게, 혈액량 등 - S자형의 패턴을 보이며 영아기, 사춘기에 성장이 급증함 신경형(neural type) - 뇌, 척수, 시각기, 두위 증 - 4세 경에 성인의 80%에 달함

7 성장의 패턴 림프형(lymphoid type) - 흉선, 림프절, 편도 등의 림프조직
- 10~12세에 성인에 2배에 달했다가 점차 퇴축하여 18세 경에 성인 정도를 유지 생식형(genital type) - 생식기, 유선, 음모, 자궁, 전립선 등 - 사춘기부터 급속히 성장하여 16~18세에 성인치에 달함

8 소아의 체중 증가 출생시: 3.3 kg 3개월: 6.6 kg - 2배 1년: 10 kg – 3배 3년: 13 kg – 4배

9 소아의 신장 증가율 출생시: 50 cm 1년: 75 cm 4년: 100 cm 8년: 125 cm 12년: 150 cm

10 신체발달의 과정 1) 키와 몸무게의 변화 2) 신체비율의 변화

11 신체발달의 변이 비동시적 성장 - 신체부위에 따라 성장비율과 성장시기에서의 차이를 나타내는 현상 발달의 개인차
- 각 개인은 서로 다른 발달시기를 가지며, 발달의 양적 및 질적 차이를 보임 (태아, 신생아도 해당) - 문화에 따른 차이

12

13 대뇌의 발달 대뇌의 성장 급등기 - 신생아 (성인대뇌의 25%) → 2세 (성인대뇌의 75%) 신경계의 발달
- 신경세포 연결망을 통한 정보의 전달, 저장 - 신경세포 - 시냅스 : 신경세포(수상돌기와 종말단추) 간 연결틈 - 종말단추의 신경전달물질 방출 → 전기적 자극 야기 - 대뇌무게 증가 : 글리아 세포 증가, 수초(유지방 물질)의 생성, 신경세포의 연결망 확장 * 글리아 세포 : 신경세포 지지, 영양 공급 * 수초 : 절연물질, 신경도약 촉진 (운동, 체성감각, 시각, 청각 영역 순으로 수초화됨)

14

15 대뇌의 발달 2) 대뇌피질의 발달 - 가장 많은 수의 신경세포 포함 (대뇌의 85%차지) 대뇌피질의 측화
- 좌우반구 기능의 전문화 (출생시부터 이뤄짐) - 좌반구 : 언어, 수리, 긍정적 정서 관련 정보 처리 - 우반구 : 공간지각능력, 예술적 재능, 부정적 정서 관련 정보 처리 - 대뇌의 가소성 : 대뇌손상시 다른부위가 손상부위의 역할을 대신 수행

16 대뇌의 발달 (2) 대뇌피질의 측화와 왼손잡이 (3) 대뇌발달의 성장급등 - 언어중추의 위치 차이 (왼손/오른손 잡이)
- 유전, 자궁내 위치, 훈련, 환경의 여건, 출산시 문제들에 의한 영향 (3) 대뇌발달의 성장급등 - 연령에 따른 뇌성장 급등 (피질의 전기적 활동변화)

17

18 신체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영양 부족 2) 비만 - 평균 체중의 20%이상인 경우
- 불충분한 영양공급은 성장과 성숙을 지연시킴 - 전염성에 노출되기 쉬움 2) 비만 - 평균 체중의 20%이상인 경우 - 소아비만의 경우 성인비만으로 이어짐 (합병증 유발) - 원인 : 유전, 부모의 음식 선호경향, 손쉬운 음식물 취득, 적은 활동, 심리적 문제 - 낮은 자기존중감

19 Reflex and Reaction Specific responses or series of response to particular sensory input or combination of sensory stimuli

20 Reflex Describe some of the fetal and neonatal response
simple, more predictable Probable result from one or two sources of sensory stimulation, such as tactile, proprioceptive, visual and auditory

21 Reaction greater complexity and inconstancy of the response
Develop from infancy and may be retained with maturity ex. The parachute(protective extension) reaction

22 원시 반사의 역할 Serve survival function: rooting, sucking
Serve protective purpose: avoiding response Serve forerunner of more complex behavior: crossed-extension, automatic walking primary standing

23 반사의 종류 1. Primitive reflex - phasic and tonic reflex
- present at birth 2. Transitional reaction - righting, supporting and protective reaction develop when the infant is in transition between primitive and mature behavior

24 반사의 종류 3. Mature reaction - midline stability and equilibrium reactions - acquired and used throughout life

25 Develop of reflex and reaction
Phasic reflex Tonic reflex Vertical righting reaction Rotational righting reaction Support reaction Protective reaction Midline stability Equilibrium reaction

26 반사 발달 (reflex development)

27 생리적인 자세 반사 반응 (physiologic postural reflex responses)

28 Phasic reflex – primitive reflex
Originate from a variety of exteroceptive, interoceptive, and proprioceptive assimulation Some reflex are survival function(ex, rooting, sucking) Others serve protective purpose(ex. Avoding response)

29 Phasic reflex – primitive reflex
Some reflex are forerunner of more reflex(crossed extension-reciprocal limb movement) Phasic reflexes activate a complete range of motion(reciprocal innervation) Undifferentiated pattern

30 Phasic reflex – primative reflex

31 Tonic reflex – primitive reflex
originate from a variety of exteroceptive, interoceptive, and proprioceptive assimulation Posture assumed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f head and trunk in space or in relation to each other(e.g. TNR, ATNR)

32 Tonic reflex – primative reflex
Provide stabilization to support posture and control movement Activates muscles and muscle groups in holding contractions at a particular point within the range of motion, frequently at the end of range of flexion or extension

33 Tonic reflex – primative reflex

34 Vertical righting reactions transitional reactions
Not present at birth Begin with the head moving against gravity Labyrinthine righting(movement in space) Body righting(changing touch pressure) Optical righting(visual awareness)

35 Vertical righting reactions transitional reactions
Used during transition to maintain head and trunk alignment(head-trunk synergy) Neck and trunk muscle group develop toward midline Prepared for coactivation around the midline in order to maintain vertical alignment

36 Vertical righting reactions transitional reactions

37 Rotational righting reactions
Not present at birth, but are adapted form primitive turning behavior Initiated by turning the head or trunk segment To rotate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Differentiation of body segment -> develop counter-rotation

38 Rotational righting reactions

39 Support reactions Elicited when supporting area of the body(e.g. palm of hand, sole of foot, buttocks) contact the support surface Coactivation of muscle group around the joints and weight bear or support posture Tactile-pressure input causes an initial movement away from the source

40 Support reactions

41 Protective reactions Elicited as accomodations to vestibular assimilations from moving in space, to tactile-pressure alternations from supporting surface Extension of extremities toward the supporting surface Contributes to activation of limb extensions full range of motion

42 Protective reactions

43 Midline stability-mature reaction
Vertical-ratational righting and support reactions Adjustment in posture around the midline and proximal joints

44 Midline stability-mature reaction

45 Equilibrium reactions
Regain midline stability when alignment of midline with gravity is significantly disturbed

46 Equilibrium reactions

47 Rooting reflex

48 Primary standing

49 Stepping

50 Placing reaction

51 Grasp reflex

52 자세반사 1) 견인반응(traction reaction) 2) 란다우 반응(Landau reaction)
3) 겨드랑이 걸치기 반응(axillary hanger reaction) 4) 보이타 측방 전위 반응 (Vojta reaction) 5) 콜리스 수평현수 반응 (horizontal-Collis reaction) 6) 파이퍼 이스베르트 역수직 반응 (Peiper-Isbert reaction) 7) 콜리스 역수직 반응 (vertical-Collis reaction)

53 정상운동발달 (Normal Movement Development)
첫째, 발달은 성숙의 개념으로서 계속적인 과정이며 둘째, 아이들에게서의 발달순서는 같으나 발달 속도가 다를 수 있고 셋째, 발달은 신경계의 성숙에 달려있으며 넷째, 일반적인 대단위 활동은 특별한 개개 반응으로 나아가고 다섯째, 발달은 두부에서 미부방향으로 진행된다 여섯째, 원시적인 반사들은 고위 중추에 의해 통합 및 조절되고 일곱째, 중력에 대항하여 움직이는 능력은 똑바른 자세와 이동습득에서 타고나며 운동조절은 운동성(mobility), 안정성(stability), 조절된 운동성(controlled mobility), 숙련(skill) 등의 단계를 거친다.

54  기기 발달(crawling)

55 앉기 발달(sitting)

56 걷기 발달(walking)

57


Download ppt "성장과 발달의 개요 반사의 종류 및 기능 By KEUMSUN Hwang"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