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ublished byAnne-Mari Kouki Modified 5년 전
2
3 기업 경영 활동 1 구매, 자재 관리 1. 생산 계획에 따른 원자재의 구매와 조달 2. 구매ㆍ자재 관리의 개념과 역활
학습목표 생각열기 1. 생산 계획에 따른 원자재의 구매와 조달 2. 구매ㆍ자재 관리의 개념과 역활
3
1 2 3 4 5 1. 구매, 자재 관리 구매와 자재 관리의 개념과 역할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생산 계획에 따라 원부자재를 구매하고 조달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3 재고 관리 시스템 유형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4 영업 계획에 따라 현재 완제품 재고, 반제품 재고를 파악할 수 있다. 5 구매, 자재, 생산, 협력사 관리 등의 업무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4
1. 생산 계획에 따른 원자재의 구매와 조달 - 기업 경영 활동을 기능(function) 분야로 나누어 기획 전략, 생산 운영, 경영 정보, 재무 회계, 인적 자원 관리의 관점에서 구매·자재 관리, 제조 현장 관리, 품질 관리, 경영 지원 활동, 기술 경영과 창업에 대하여 학습한다. - 기업에 취업하게 되면 이와 같은 기능 분야들을 수행하는 부서에서 활동하게 되고, 창업하게 되면 이와 같은 기능 분야들에 적절한 인력을 배치하여 기업 활동을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5
1. 생산 계획에 따른 원자재의 구매와 조달 생산 계획의 개념 1 ▶ 생산 계획에는 장기 생산 계획과 단기 생산 계획이 있다.
▲ [그림 Ⅲ-1] 생산 계획의 구성 ▶ 생산 계획에는 장기 생산 계획과 단기 생산 계획이 있다. - 장기 계획: 건물, 기계 설비 설계 - 중기 계획: 생산하여야 할 제품의 수량과 생산의 시간적 배분에 대한 계획 - 단기 계획: 재료 계획, 부품 계획, 작업 절차 계획 ▶ 생산 계획은 기능별 계획과 관리 계획으로 구성된다.
6
1. 생산 계획에 따른 원자재의 구매와 조달 생산 계획의 개념 1 총괄 생산 계획에서 총괄적 생산 단위를 결정한다.
영업․판매 계획에 따라 재고 물량 파악한다. 파악된 재고 물량을 기초로 품목별 기준 생산 계획을 수립한다. 대생산 일정 계획 생산 일정에 맞추어 월별 또는 주별로 계획을 수립한다. 수립된 계획을 기초로 관련 부서와 협의하여 세부 일정 계획을 수립한다. 관련 부서가 생산에 필요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생산 계획서를 배포한다.
7
1. 생산 계획에 따른 원자재의 구매와 조달 생산 계획의 개념 1 [그림 Ⅲ-2] 생산 계획의 흐름
8
1. 생산 계획에 따른 원자재의 구매와 조달 생산을 위한 원부자재의 구매와 조달 2
구매는 일반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재 또는 용역을 사는 일이다. 구매는 구입하고자 하는 제품의 사양(specification)이 포함된다. 조달(procurement)은 자재를 취득하는 점에서 구매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된다. 외주는 구입하는 제품의 사양이 포함되지 않는다. [그림 Ⅲ-2] 경영 활동에서 구매의 위치
9
2. 구매․자재 관리의 개념과 역할 구매․자재 관리의 개념 1
[그림 Ⅲ-3] 구매 업무 프로세스 ▶ 구매란 기업이 필요한 자원을 외부의 공급자로부터 획득하는 과정이다. ▶ 구매란 외부에서 필요한 경영 자원을 확보하는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10
2. 구매․자재 관리의 개념과 역할 구매․자재 관리의 개념 1 (1) 공급 사슬 관리의 중요성 증대
제품이 부족한 시대에는 생산자에게 유리한 조직이 만들어지게 된다. 그러나 현재는 제품의 흐름이 소비자를 기점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소비자의 행동에 적응할 수 있도록 만드는 시스템을 '로지스틱스'라고 한다. 공급 사슬 관리(SCM)란 로지스틱스(logistics)를 더욱 강화한 것이다.
11
2. 구매․자재 관리의 개념과 역할 구매․자재 관리의 개념 1 (1) 공급 사슬 관리의 중요성 증대
[그림 Ⅲ-5] 공급 사슬 관리 ▶ 공급 사슬 관리란, 공급자에서 시작하여 제조-물류-영업-소비자까지 이어지는 모든 물류, 자재, 제품 및 가치의 흐름을 통하고 연계하여 전체적인 하나의 시스템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려는 활동이다.
12
2. 구매․자재 관리의 개념과 역할 구매․자재 관리의 역할 변화 1 (2) 아웃소싱의 증가
기업은 자신의 핵심 역량에 집중하고 많은 부분은 아웃소싱하고 있다. 기업이 자신의 핵심 역량에 집중하고 나머지는 외주를 주는 형태를 공장이 없는 제조업(fabless manufacturing)이라고 한다. 제조업 부문에서 생산 부분의 외주화가 많이 진행될수록 구매 부서의 중요성과 역량이 더 많이 필요해진다고 할 수 있다.
13
2. 구매․자재 관리의 개념과 역할 구매․자재 관리의 역할 변화 1 (2) 아웃소싱의 증가
[그림 Ⅲ-3] 구매 업무 프로세스 ▶ 공급 사슬 관리란, 공급자에서 시작하여 제조-물류-영업-소비자까지 이어지는 모든 물류, 자재, 제품 및 가치의 흐름을 통하고 연계하여 전체적인 하나의 시스템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려는 활동이다.
14
2. 구매․자재 관리의 개념과 역할 자재 관리 3 기업이 예측되는 수요에 대응하여 자재를 확보하려고 할 경우, 언제 얼마 만큼이 필요하며 어디에 보유할 것인가에 관련된 의사 결정이 매우 중요 하다. 고객이 제품을 원할 경우 또는 기업이 고객의 수요를 예측한 경우, 영업 부서에서는 고객의 요구 사항을 모아서 생산 부서에게 제품 생산을 요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구매 부서의 전통적인 역할은 생산 활동에 필요한 자재를 외부의 공급자로부터 구매하는 업무이다.
15
2. 구매․자재 관리의 개념과 역할 자재 관리 3 [그림 Ⅲ-8] 자재 요구 발생의 프로세스
16
2. 구매․자재 관리의 개념과 역할 자재 관리 3 (1) 자재 소요 계획의 구성 요소 ▶ 첫째 ▶ 둘째 ▶ 셋째
생산 계획이다. 이를 기준 생산 계획, 대생산 일정 계획(MPS)이라고 한다. ▶ 둘째 제품이 만들어지기 위해 필요한 부품 명세, 자재 명세서(BOM)라고 한다. ▶ 셋째 현재 재고로 창고에 보유 중인 자재 현황, 재고 기록철(IRF)이라고 한다.
17
2. 구매․자재 관리의 개념과 역할 자재 관리 3 (1) 자재 소요 계획의 구성 요소
[그림 Ⅲ-8] 자재 소요 계획(MRP)의 구성 요소
18
2. 구매․자재 관리의 개념과 역할 자재 관리 3 (2) 재고 관리
▶ 재고 관리는 생산을 위하여 사용되는 자재를 관리하는 일이다. ▶ 재고 관리의 목표는 총재고 비용 (재고 유지비+생산 준비비+재고 부족비)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 ▶ 재고 유지비는 재고를 보관․유지함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 (보관비, 보험료 등) ▶ 생산 준비비(주문비)는 재고의 보충에 소요되는 비용 (청구비, 수송비 등) ▶ 재고 부족비는 재고를 보유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 (판매 기회의 상실 등)
19
2. 구매․자재 관리의 개념과 역할 자재 관리 3 (2) 재고 관리 [그림 Ⅲ-9] 재고 관리의 주요 업무
20
2. 구매․자재 관리의 개념과 역할 생산 관리, 협력사 관리 업무 기능 4 (1) 생산 관리 업무 기능
공장에서 제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관리하는 것이 생산 관리이다. 생산․운영에 대한 의사 결정 문제를 담당하는 관리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생산 시스템은 공장뿐만 아니라 물류 센터, 물류 시스템까지 포함한다. 좋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외주 및 구매 거래처를 잘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21
2. 구매․자재 관리의 개념과 역할 생산 관리, 협력사 관리 업무 기능 4 (1) 생산 관리 업무 기능
[그림 Ⅲ-12] 생산 관리 시스템의 구조
22
2. 구매․자재 관리의 개념과 역할 생산 관리, 협력사 관리 업무 기능 4 (2) 협력사 관리 업무 기능
좋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외주 및 구매 거래처를 잘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타사로부터 구입할 품목과 자체 생산 품목을 결정하는 것은 경영 전략 분야의 매우 중요한 테마라고 할 수 있다. 이전에는 이것을 자체 생산 및 구매 여부를 원가 측면에서만 판단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최적 분배라는 전략적 측면에서 결정하며, 이러한 전략 기법으로 아웃소싱이 있다.
23
2. 구매․자재 관리의 개념과 역할 생산 관리, 협력사 관리 업무 기능 4 (2) 협력사 관리 업무 기능
[그림 Ⅲ-4] 구매 자재 관리의 체계도
24
3 기업 경영 활동 2 제조 현장 관리 1. 제조 현장 관리의 개념과 현장 관리 업무 2. 제품 생산 제조 현장 관리 기술
학습목표 1. 제조 현장 관리의 개념과 현장 관리 업무 2. 제품 생산 제조 현장 관리 기술 3. 현장 관리 체계의 역할과 생산 관리 활동
25
1 2 3 4 5 2. 제조 현장 관리 제조 현장 관리의 개념과 역할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제조 현장 관리의 개념과 역할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실제 제조 현장에서 제품의 생산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설명할 수 있다. 3 작업 관리, 공정 관리, 설비 관리의 기능과 활동을 설명할 수 있다. 4 제품 사양 검토를 통하여 작업 표준에 필요한 항목을 도출할 수 있다. 5 제조 공정에 설치된 생산 설비에 대한 점검 항목을 작성할 수 있다.
26
1. 제조 현장 관리의 개념과 현장 관리 업무 제조 현장 관리의 개념 1
제조 현장은 3M(사람, 설비, 자재)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곳이다. 제조 현장 관리는 Q(품질), C(원가), D(납기)에서 출발한다. 생산 현장 관리의 목적은 좋은 제품을 정해진 납기일 안에 제공하는 것이다. 현장의 관리자는 3M을 효율적으로 운영․관리하여 QCD를 달성하여야 한다. QCD는 현장에서 노무 관리, 설비 관리, 자재 관리를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27
1. 제조 현장 관리의 개념과 현장 관리 업무 제조 현장 관리의 개념 1
[그림 Ⅲ-12] 생산 요소(3M)와 고객 만족 경쟁력(QCD)의 매트릭스
28
1. 제조 현장 관리의 개념과 현장 관리 업무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생산 현장 관리 업무 2
(1) 공장 업무는 직접 작업과 간접 작업으로 구분된다. 직접적인 생산(제조) 작업과 간접적인 생산 관리로 구분할 수 있다. 소규모의 공장을 보면 대부분 작업자 자신이 관리도 겸하게 된다. 생산(제조)은 인력이나 기계가 재료를 가공하거나 운송하는 등의 일이다. 생산 관리는 계획, 주문, 진도 체크 등 생산을 간접 지원하는 작업에 속한다.
29
1. 제조 현장 관리의 개념과 현장 관리 업무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생산 현장 관리 업무 2
(2) 생산 현장 관리 업무의 요건 생산하는 제품의 모든 내용을 숙지하여야 한다.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의 지식도 습득할 필요가 있다. 기초 지식이 있어야 계획․준비․진척(진도) 등의 생산 관리 기술을 알 수 있다.
30
1. 제조 현장 관리의 개념과 현장 관리 업무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생산 현장 관리 업무 2 생산 현장 관리 업무
업무 분야 생산 요소 관리 인적 자원 관리, 생산 설비 관리, 자재 관리 작업 관리 작업 연구(시간 연구, 동작 연구, 방법 연구) 공정 관리 공정 관리 계획(절차 계획, 공수 계획, 일정 계획), 공정 관리 통제(작업 배정 관리, 진도 관리,여력 관리), 공정 관리 활동(작업 진행 관리) 설비 보전 관리 예방 보전, 개선 활동, 사후 보전, TPM
31
1. 제조 현장 관리의 개념과 현장 관리 업무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생산 현장 관리 업무 2 생산 현장 관리 업무
[그림 Ⅲ-13] 작업 진행 관리에 사용되는 갠트 차트
32
2. 제품 생산 제조 현장 관리 기술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 1
영업 기획자․상품 기획자․기술자·디자이너 등으로 프로젝트 팀을 구성한다. 시장 조사(market research)를 통하여 아이디어를 수집한다. 상품 개발의 콘셉트를 결정한다. 기술진에 의한 연구 개발을 시작하고 시작품을 만들어 본다. 시작품이 완성되면 테스트 마케팅(test marketing)을 시행한다.
33
2. 제품 생산 제조 현장 관리 기술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 1 [그림 Ⅲ-13] 신제품 개발 과정
34
2. 제품 생산 제조 현장 관리 기술 제품 생산을 위한 자원 관리 기술 2 일반적으로 상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자원이 필요하다
경영학에서는 경영 자원을 사람, 물자, 자본, 정보라고 정의하고 있다. 사람은 경영자․연구 개발 담당자․생산 담당자․판매 담당자 등을 말한다. 물자는 사무소․점포․생산 설비․판매 설비 등을 말한다. 자본은 임직원을 고용하거나 물건을 파는 데 필요한 자금을 말한다. 정보는 제조업의 경우라면 기술 정보나 특허 정보 등을 말한다. 오늘날에는 독자적인 기술과 독창적인 아이디어도 중요한 자원이 되었다.
35
2. 제품 생산 제조 현장 관리 기술 제품 생산을 위한 자원 관리 기술 2 [그림 Ⅲ-14] 경영 자원
36
3. 현장 관리 체계의 역할과 생산 관리 활동 생산 현장 관리 체계 1
제품 생산을 위해서는 생산(제조) 작업뿐만 아니라 생산 관리 업무도 필요하다. 생산 현장에서는 가공 등의 기계 작업뿐만 아니라 검사 작업 등을 수행한다. 사무실에서는 현장 작업에 필요한 재료를 조달하는 구매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생산 관리를 위한 작업이나 업무에는 각각의 담당자가 배치되어 수행하게 된다. 개인별로 부과된 업무를 묶으면 계(係)가 되고, 계를 묶으면 과(課)가 된다.
37
3. 현장 관리 체계의 역할과 생산 관리 활동 생산 현장 관리 체계 1 [그림 Ⅲ-16] 생산 관리에 있어서의 업무 분담
38
3. 현장 관리 체계의 역할과 생산 관리 활동 생산 관리 활동의 개념 2
생산 관리는 크게 계획․준비․실행(실적)․진척이라는 3개의 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생산 계획을 유관 부서의 모든 사람에게 알리는 것을 ‘생산 준비’라고 한다. 생산 계획의 실행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는 활동을 ‘진척(진도) 관리’라고 한다. 상대 진척이란 계획과 실적을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를 말한다.
39
3. 현장 관리 체계의 역할과 생산 관리 활동 생산 관리 활동의 개념 2 [그림 Ⅲ-17] 생산 관리 활동의 사이클
40
3. 현장 관리 체계의 역할과 생산 관리 활동 작업 관리 3
작업 관리란 제조 현장 작업 표준, 표준 시간을 만드는 개선 활동이다. 이는 작업 연구(동작 연구)와 작업 측정(시간 연구)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업 연구에 의하여 경제적인 작업 방법을 발견하여 작업 방법을 설계하고, 설계된 작업 방법의 소요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작업 측정을 통하여 합리적인 표준 시간을 만들어 경제적인 작업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다. 직무 설계는 직무의 내용을 정하고 작업 방법 분석은 직무 수행 방법을 결정한다. 작업 표준, 표준 시간을 토대로 제조 현장의 작업 통제를 한다. 작업 관리는 제조 현장의 설비 배치와 작업 현경을 개선하여 작업자의 노동력을 유리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41
3. 현장 관리 체계의 역할과 생산 관리 활동 작업 관리 3
42
3. 현장 관리 체계의 역할과 생산 관리 활동 공정 관리 4 공정 관리란 공장의 생산 활동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공정 관리는 계획과 통제로 나누어 실시된다. 계획은 절차 계획(routing), 공수 계획(loading), 일정 계획(scheduling) 등이 있다. 절차 계획이란 작업 순서 및 방법, 표준 시간 및 작업 장소를 결정하는 것이다. 공수 계획이란 작업량(부하, load)과 작업 능력을 비교하여 조정하는 것이다. 일정 계획이란 기계나 작업을 시간적으로 배정하는 것을 말한다.
43
3. 현장 관리 체계의 역할과 생산 관리 활동 공정 관리 4
통제는 작업 배정, 여력 관리(생산 능력 관리), 진도 관리 등이 있다. 작업 배정은 현장 사정을 고려하여 작업을 배정하는 것을 말한다. 여력 관리(생산 능력 관리)에서 여력(능력)이란 공정 생산 능력을 말하는 것이다. 여력 관리란 생산 능력과 부하가 균형을 이루도록 조정하는 통제 활동을 말한다. 진도 관리란 납기를 확보하고 생산 속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통제 활동이다. 공정 관리는 공정 계획, 일정 계획, 작업 분배, 진척(진도) 관리 활동으로 구성된다.
44
3. 현장 관리 체계의 역할과 생산 관리 활동 공정 관리 4 [그림 Ⅲ-19] 공정 관리의 절차
45
3. 현장 관리 체계의 역할과 생산 관리 활동 설비 관리 5 설비 관리란 기업의 생산 기계 장치 등을 관리하는 것이다.
운전 가동 이후의 관리를 보전 관리라고 하는데, 이는 설비 보전을 말한다. 계획 단계에서는 계획을 세워 무슨 설비를 도입할지 명확히 한다. 도입 단계에서는 구체적인 설비 시방을 결정하여 설비 시방서로 발주한다. 운전 단계에서는 자주 보전, 일상 점검으로 설비를 정상 상태로 유지한다. 소집단 활동에 의한 보전, 전사적 보전 활동(TPM) 등이 전개된다.
46
3. 현장 관리 체계의 역할과 생산 관리 활동 설비 관리 5 [그림 Ⅲ-20] 전사적 보전 활동
47
3 기업 경영 활동 3 품질 관리 학습목표 1. 품질 관리의 중요성 2. 품질 확보 과정 3. 품질 관리 도구와 활동
48
1 2 3 4 5 6 3. 품질관리 품질 관리의 개념과 역할,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3 품질 관리 도구 및 활동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4 생산 계획에 따라 품질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5 검사 항목에 따라 생산 중인 반제품의 공정 품질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6 검사 항목에 따라 완제품의 출하 품질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49
1. 품질 관리의 중요성 품질의 개념 1 품질은 제품의 고유 특성들이 고객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정도이다.
품질은 소비자 관점에서 '용도에 대한 적합성(fitness for use)'으로 정의된다. 품질은 ① 설계 품질 ② 적합 품질 ③ 시장 품질(기능의 품질)로 분류한다. 설계 품질(quality of design)이란 설계 단계에서 결정되는 품질 특성이다. 적합 품질은 제조된 제품이 설계 사양과 얼마나 일치하는지 평가하는 것이다. 시장 품질은 고객 만족도 등과 같은 판매 및 서비스 기능의 품질 개념이다.
50
1. 품질 관리의 중요성 품질의 개념 1 [그림 Ⅲ-21] 품질의 세 가지 측면과 상호 관계
51
1. 품질 관리의 중요성 품질 비용 2 품질 비용은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데 사용된 모든 비용이다.
품질 비용은 적합 품질 비용(conformance costs)과 실패 비용으로 구분된다. 적합 품질 비용은 다시 예방 비용과 평가 비용으로 구분되며, 실패 비용은 내적 실패 비용과 외적 실패 비용으로 구분된다. 품질 비용은 평가 비용, 예방 비용, 실패 비용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52
1. 품질 관리의 중요성 품질 비용 2 [그림 Ⅲ-22] 전통적 시간에서의 품질 비용 구조
[그림 Ⅲ-23] 품질과 비용의 관계 그래프
53
1. 품질 관리의 중요성 품질의 범주 3 가빈(David Garvin)의 8가지 제품 품질 유형과 본질
▶ 성능(performance) - 측정 가능한 속성, 텔레비전의 경우 화질, 색상, 수신력 등 ▶ 특징(features) - 기본 기능을 보충하는 특성, 텔레비전의 자동 화면 조정 기능 등 ▶ 신뢰성(reliability) - 한 제품이 특정 기간 동안에 고장 날 확률
54
1. 품질 관리의 중요성 품질의 범주 3 가빈(David Garvin)의 8가지 제품 품질 유형과 본질
▶ 적합성(conformance) - 제조 특성이 이미 설정된 표준에 적합한지의 정도 ▶ 내구성(durability) - 제품을 획득하고 사용하여 못 쓰게 될 때까지의 사용 기간 ▶ 서비스 능력(serviceability) - 서비스 소요 시간, 정중함, 기술적 문제 해결 능력
55
1. 품질 관리의 중요성 품질의 범주 3 가빈(David Garvin)의 8가지 제품 품질 유형과 본질
▶ 심미감(aesthetics) - 주관적 속성, 개인적 판단 및 개인의 선택에 의한 것 ▶ 지각 품질(perceived quality) - 소비자들이 제품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못한 경우에 신제품의 품질도 그 회사의 기존 제품과 유사하고 생각하는 경향
56
1. 품질 관리의 중요성 품질의 범주 3 범주 개념 성능 특징 신뢰성 적합성 내구성 서비스 능력 심미감 지각 품질
제품이 가지고 있는 가장 주요한 운영적인 특성. 성능의 속성들을 객관적 으로 평가함으로써 상표를 등급 짓게 됨. 특정의 제품이 가지고 있는 경쟁적 차별성. 있으면 편리한 특성으로 기본 기능을 보충하는 추가된 여분의 특성 잘못되거나 실패할 가능성의 정도. 신뢰성을 측정하는 가장 보편적인 기준은 첫 고장이 나는 평균 기간 적합성은 제품 설계이나 서비스가 이미 설정된 설계 사양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의 정도를 나타내는 품질 특성 제품이 고객에게 지속적으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제품 사용 기간 제품이나 서비스의 수명 기업이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경쟁력으로 속도, 친절, 경쟁력, 기술적 문제 해결 능력 사용자 감각에 호소할 수 있는 심미성. 이는 외관, 느낌, 냄새, 맛이 어떠한가 하는 것으로 개인적, 주관적 판단․선택 기업 또는 브랜드의 명성으로 인지된 품질. 신제품의 품질도 그 회사의 기존 제품과 유사하고 생각하는 경향
57
1. 품질 관리의 중요성 품질 개선의 효과 4 품질의 개선이 이루어지면 생산 현장에서의 불량률이 감소한다.
재작업 시간이 줄어들게 되고 생산에 소요되는 원자재 투입량이 절감된다. 불량률 비율이 줄어들게 되므로 작업자 1인당 양품의 생산량도 증가한다. 전체적인 노동 및 자본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시장 점유율 및 이익의 확대로 이어지게 된다.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58
1. 품질 관리의 중요성 품질 개선의 효과 4 [그림 Ⅲ-19] 품질의 개선 효과
59
1. 품질 관리의 중요성 품질 관리의 발전 과정 5 파이겐바움(Feigenbaum, A. V.)의 품질 관리 발전 과정 6단계
▶ 작업자에 의한 품질 관리(operation quality control) ▶ 감독자(職長, 작업 반장)에 의한 품질 관리(foreman quality control) ▶ 검사원 검사 위주의 품질 관리(inspection quality control) ▶ 통계적 품질 관리(SQC: statistical quality control) ▶ 종합적 품질 관리(TQC: total quality control) ▶ 전사/종합적 품질 경영(TQM: company-wide/total quality management)
60
1. 품질 관리의 중요성 품질 관리의 발전 과정 5 품질 관리의 발전 과정 범주 개념 작업자에 의한 품질 관리
감독자에 의한 품질 관리 검사에 의한 품질 관리 통계적 품질 관리 종합적 품질 관리 전사/종합적 품질 경영 품질의 검사(inspection) 품질의 통계적 관리(QC: quality control) 품질의 보증(QA: quality assurance) 품질의 전략적 경영(TQM: total quality management)
61
2. 품질 확보 과정 품질 경영의 개념 1 기업의 최고 경영자의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품질 방침의 설정에서부터 관리 단계의 제품 설계와 생산 공정, 고객에 대한 판매,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회사의 모든 부문에 걸친 전사적 품질 보증 활동과 제반 관리 활동으로 정의한다. 현대적 품질 경영은 종합적 품질 경영(TQM: total quality management)을 의미한다. 기업 내의 여러 부문의 참여와 최고 경영자의 리더십을 전제로 하는 개념이다.
62
2. 품질 확보 과정 품질 경영의 개념 1 [그림 Ⅲ-25] TQM의 개념도
63
2. 품질 확보 과정 품질 관리 도구 2 (1) 점검표 점검표(체크 시트) 문제 규명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도구이다. 간단한 체크 부호를 사용한다. 공정 전체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작업자별/기계별/기간별 불량 유형 및 발생 상황을 표시하는 데도 사용된다. [그림 Ⅲ-20] 회로기판 점검표(체크 시트)
64
2. 품질 확보 과정 품질 관리 도구 2 (2) 도수 분포표(히스토그램)
히스토그램은 관찰치의 분포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분포의 대칭 범위와 값의 범위를 알 수 있으며, 이상치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구간별로 발생 빈도수, 상․하한까지 포함시킴으로써 자료 정비가 용이하다. 도표에서 피크가 발견되었다면 다른 중심을 가진 분포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원인을 추론하면 다른 품질을 가진 작업자나 공급자들이 있을 수 있다. [그림 Ⅲ-21] 타이어 수명에 대한 히스토그램 [그림 Ⅲ-28] 두 개의 피크를 가지는 히스토그램
65
2. 품질 확보 과정 품질 관리 도구 2 (3) 파레토도(파레토도 분석)
파레토도 분석은 가장 중요한 문제 영역에 주목하기 위한 기법이다. 상대적으로 작은 요인들이 전체 케이스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이다. 중요성 정도로 케이스를 분류하고 가장 중요한 부분을 해결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을 그 영향력이 가장 큰 원인부터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빈도수는 작지만 큰 문제가 되는 항목을 알아보는 데 유용한 기법이다. [그림 Ⅲ-22] 인터넷 주문 관련 오류 파레토도
66
2. 품질 확보 과정 품질 관리 도구 2 (4) 특성 요인도 특성 요인도는 문제의 가능한 원인들을 찾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법을 제공한다. 이 도표는 그 모양 때문에 어골도(피쉬본 차트, fish bone chart)라고도 한다.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되는 모든 요인 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쉽게 나타낸다. 이 도표는 이시가와도(Ishikawa diagram)라고 불리기도 한다. 최종 결과를 화살표 오른쪽 끝에 표시하고 그 원인들을 계통별로 나타낸다. 특성 요인도는 브레인스토밍 이후 만들어진 아이디어를 정리하는 데 사용된다. [그림 Ⅲ-23] 특성 요인도의 형태
67
2. 품질 확보 과정 품질 관리 도구 2 (5) 산점도 산점도는 두 변수값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결정하는 데 쓰인다.
상관관계는 문제의 원인에 집중할 수 있다.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높을수록 점들 간의 산포 정도는 낮다. 두 변수 간에 상관관계가 낮을 경우 점은 완전하게 산포하는 경향이 있다. 품질 특성의 추이를 살펴봄으로써 비정상적인 사례를 가려내는 데 이용된다. [그림 Ⅲ-24] 산점도
68
2. 품질 확보 과정 품질 관리 도구 2 (6) 흐름도(Flowchart)
흐름도는 프로세스를 시각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프로세스 내에 문제 발생이 가능한 부분을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준다. 다이아몬드 모양은 프로세스상에서 의사 결정 포인트를 나타내며, 사각형 모양은 절차를 나타낸다. 화살표는 프로세스 단계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다. 프로세스의 구성 요소와 이들 요소 간의 선호 관계를 간략히 나타낸 그림으로, 프로세스 전체, 그리고 한 부분만을 자세히 나타냄으로써 불필요하고, 비능률적인 작업 방법을 가려내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림 Ⅲ-32] 흐름도(flowchart)
69
2. 품질 확보 과정 품질 관리 도구 2 (7) 관리도(Control Chart)
관리도는 기능 면에서 볼 때 병원에서 쓰는 차트와 유사하다. 관측치가 범위를 벗어나면 그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관리도는 프로세스 결과를 보기 위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이는 고칠 수 있는 변동 원인의 존재를 검출하는 데 도움이 된다. 공정이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이용되는 기법이다. 관리도는 통제 가능한 변동을 감지하는 데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다. 관리도의 관리 한계는 평균치를 중심으로 상하에 관리 한계선을 둔다. [그림 Ⅲ-26] 관리도
70
2. 품질 확보 과정 품질 개선 프로세스 3 품질 관리 기법은 대개는 몇 개가 병행하여 사용된다.
프로세스를 자세하고 정확하게 나타낼 때 흐름도는 아주 효과적이다. 파레토도는 작업들의 문제점들을 추려 내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쓸모가 많다. 문제의 원인들을 도출해 내기 위해서는 인과 분석도(특성 요인도)를 사용한다. 산점도를 이용하여 추세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대안을 제시한다. 이후 파레토도를 이용하여 나머지 문제 중에서 먼저 해결하여야 할 것을 고른다. [그림 Ⅲ-27] 품질 개선 프로세스의 흐름
71
3. 품질 관리 도구와 활동 품질 관리 기법의 진화 1 불량품 및 품질의 편차 해소를 위한 생산 관리 제도로 개선 활동이 있다. 개선 활동이란 생산 현장의 관점에서 작업을 개선해 나가는 활동을 말한다. 구체적인 기법으로 QC(quality control: 품질 관리) 활동이 있다. 좋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생산 부문의 활동만으로는 불충분하다. 영업‧판매‧인사를 포함하여 기업 활동 전반에 걸친 개선 활동이 필요하다. 이처럼 총체적 규모로 시행되는 품질 관리 활동을 TQC라고 한다. TQC를 기반으로 등장한 것이 TQM(종합적 품질 경영)이다. TQM은 고객 만족을 위하여 기업 활동의 모든 측면에서 품질을 향상시켜 나간다.
72
3. 품질 관리 도구와 활동 품질 관리 기법의 진화 1 [그림 Ⅲ-28] 품질 관리 기법의 진화
73
3 기업 경영 활동 4 경영 지원 활동 1. 경영 지원 조직의 역할과 기능 2. 인사 관리의 개념과 중요성
학습목표 1. 경영 지원 조직의 역할과 기능 2. 인사 관리의 개념과 중요성 3. 회계 관리의 개념과 중요성
74
1 2 3 4 5 6 4. 경영 지원 활동 경영 지원 활동의 개념과 역할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경영 지원 활동의 개념과 역할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기업 내 경영 지원 조직의 역할과 기능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인사, 교육 관리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4 인적 자원관의 개념과 역할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5 사원의 교육 훈련과 인사 고과 제도를 설명할 수 있다. 6 재무 및 회계 관리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75
1. 경영 지원 조직의 역할과 기능 경영 지원 조직의 개념 1
개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 작용을 행하는 유기적인 집합체이다.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 역할들이 체계적으로 연결된 집합체이다. 조직 중에서 경제 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으로는 정부, 기업, 가계가 있다. 기업은 공기업과 사기업, 그리고 공사 합동 기업으로 나눌 수 있다. 경영 조직은 각 구성원의 역할과 각 구성원 간의 관계를 규정한 것이다. 구성원의 책임과 직무를 정하는 것이며, 직무 간의 상하 관계를 정하는 것이다.
76
1. 경영 지원 조직의 역할과 기능 경영 지원 조직의 개념 1 [그림 Ⅲ-36] 기업의 형태
77
1. 경영 지원 조직의 역할과 기능 경영 지원 조직의 역할과 기능 2
조직이라고 불릴 수 있으려면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공동의 목표가 있어야 한다. 조직의 일들은 분업화되어 있으므로 분업을 통하여 협력한다. 권한 체계(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조직의 구성원에게 각자의 역할에 따라 상이한 지휘와 권한을 부여한다. 조직은 목표 달성을 위하여 반드시 고유한 운영 법칙이나 규율을 가지고 있다. 조직은 분업과 협동으로 업무의 효율과 질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업은 분업과 협동을 동시에 추진하면서 조직을 발전시켜 나간다.
78
1. 경영 지원 조직의 역할과 기능 경영 지원 조직의 역할과 기능 2 [그림 Ⅲ-29] 기업 내 조직의 형태
79
1. 경영 지원 조직의 역할과 기능 경영 지원 조직의 형태 3 (1) 사업부제 조직
사업부제는 사업부마다 직능별 조직을 거느린 조직이다. 사업별 조직이란 직능별 조직을 사업(제품)별로 세분화한 조직을 말한다. 영업부․경리부․생산부 같은 직종별 부문 조직을 직능별 조직이라고 한다. 사업부는 모두 본사 소유의 사업체이지만 운영 체제는 분리되어 있다. 사업별 조직은 사업부를 하나의 독립적인 회사로 간주하고 사업 부장이 독립적으로 직접 운영한다. 사업 단위별로 책임 경영과 자율 경영을 실시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고, 단점은 각 사업 단위의 자율 경영으로 전체 조직의 일관성이 상실될 수 있다.
80
1. 경영 지원 조직의 역할과 기능 경영 지원 조직의 형태 3 (1) 사업부제 조직 [그림 Ⅲ-30] 사업부제 조직
81
1. 경영 지원 조직의 역할과 기능 경영 지원 조직의 형태 3 (2) 매트릭스 조직
사업부가 늘어날 경우, 공통 직능 부분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에 대한 해결책으로 나온 것이 매트릭스 조직(matrix system)이다. 매트릭스 조직은 직능식 조직과 프로젝트 팀의 혼합 형태이다. 개인이 종적 계열 조직과 횡적 계열 팀의 일원에도 포함되는 조직 체계이다. 매트릭스 조직의 장점은 사업부 간의 직능을 효과적으로 배분할 수 있다. 단점은 명령 계통의 분산이라는 또 다른 운영상의 문제점이 남는다.
82
1. 경영 지원 조직의 역할과 기능 경영 지원 조직의 형태 3 (2) 매트릭스 조직 [그림 Ⅲ-31] 매트릭스 조직
83
1. 경영 지원 조직의 역할과 기능 경영 지원 조직의 형태 3 (3) 직능별 사업부제
매트릭스 조직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등장한 사업부제의 변칙적인 형태이다. 사업부별 조직과 직능별 조직을 반반씩 절충한 조직 형태이다. 공통 필요 부서는 직능 부분을 사업부로 통합시킴으로써 효율성을 높인다. 이로써 한 회사의 영업 사원이 거래처에서 서로 부딪칠 일이 없어진다. 자신의 사업부 영역을 넘어선 상품에 대해서는 대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대안으로 나온 것이 바로 전략 사업 단위(SUB: strategic business unit)이다.
84
1. 경영 지원 조직의 역할과 기능 경영 지원 조직의 형태 3 (3) 직능별 사업부제 [그림 Ⅲ-32] 직능별 사업부제 조직
85
1. 경영 지원 조직의 역할과 기능 경영 지원 조직의 형태 3 (4) 전략 사업 단위(SBU)에 의한 조직
기존 사업 영역을 초월하여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인 조직 형태이다. 독자적 전략 수립이 필요한 부서를 하나로 통합한 것으로 일종의 사업부제 조직이다. SBU는 오로지 전략적 관점에서만 사업 단위를 재편성하는 것이다. 효율적인 자원 배분, 책임 경영이 가능하다. 별도 프로젝트 팀으로 구성되며, 기존의 명령 계통과 분리된다.
86
1. 경영 지원 조직의 역할과 기능 경영 지원 조직의 형태 3 (4) 전략 사업 단위(SBU)에 의한 조직
87
1. 경영 지원 조직의 역할과 기능 경영 지원 조직의 형태 3 (5) 프로젝트 팀
기존 사업 영역을 넘어선 특별 사업을 진행하기 위하여 잠정적으로 구성한 조직으로 태스크 포스(task force)로도 불린다. 신규 사업의 검토, 신상품의 개발, 조직 개혁의 단행과 같은 경우에 활약한다. 프로젝트의 운영은 목적, 기한, 인재를 결정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 위한 관리 활동을 프로젝트 매니지먼트라고 한다.
88
1. 경영 지원 조직의 역할과 기능 경영 지원 조직의 형태 3 (5) 프로젝트 팀 [그림 Ⅲ-34] 프로젝트 팀의 구성 방식
89
2. 인사 관리의 개념과 중요성 인적 자원 관리의 개념 1 기업의 자원은 물적 자원과 인적 자원으로 구분된다.
인적 자원을 대상으로 하는 관리 분야를 인사․노무 관리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지금은 종래의 인사․노무 관리를 인적 자원 관리라는 새로운 용어를 사용한다. 인사․노무 관리는 기업의 생산 활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간접 활동이다. 일반적으로 인사․노무 관리 활동을 경영 지원 활동이라고 부른다. 근로자들의 활동을 조직의 목표로 통합하는 것이 인사․ 노무 활동의 목적이다. 선발․배치, 개발․육성, 평가, 보수 결정, 노사 관계 관리 등이 인사 부문이다.
90
2. 인사 관리의 개념과 중요성 인적 자원 관리의 개념 1 [그림 Ⅲ-43]인적 자원 관리의 순환
91
2. 인사 관리의 개념과 중요성 인적 자원 관리의 중요성 2
인적 자원 관리는 채용 및 교육 훈련, 동기 부여, 평가의 과정 활동을 말한다. 인적 자원 관리 담당자는 각 직무에 따른 요구 사항을 파악한다.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과업(task)은 직무 분석이라는 절차를 통하여 도출한다. 직무 분석이란, 직원이 수행하고 있는 임무와 과업(task)을 규명하는 작업이다. 직무의 형태와 책임 사항을 명시한 것을 직무 기술서(job description)라고 하고, 직무에 자격 요건을 기술한 문서를 직무 명세서(job specification)라고 한다. 직무 기술서와 직무 명세서를 기초로 직무 평가가 이루어진다. 직무 평가란 직무들 간의 상대적 가치(서열)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직무 평가의 목적은 임금 수준의 결정, 구성원의 능력 개발 등이다.
92
2. 인사 관리의 개념과 중요성 인적 자원 관리의 중요성 2 [그림 Ⅲ-35] 인사 시스템의 구조
93
3. 회계 관리의 개념과 중요성 기업 회계 관리의 개념 1
기업은 자금을 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며 판매함으로써 현금으로 회수한다. 판매로 회수된 현금이 투자한 제반 경비보다 많을 경우에는 흑자가 된다. 기업은 회계를 통하여 경영의 성과를 재무제표의 숫자로 세상에 알린다. 정보 이용자는 회계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고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다. 회계는 회계 보고의 목적이나 대상에 따라 재무 회계와 관리 회계로 분류한다. 재무 회계는 외부 조직의 이해 관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관리 회계는 내부 이용자인 경영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94
3. 회계 관리의 개념과 중요성 기업 회계 관리의 개념 1 [그림 Ⅲ-36] 기업 회계의 운용 방안
95
3. 회계 관리의 개념과 중요성 기업 회계 관리의 중요성 2
기업은 1년에 한 번 재무제표를 작성하여 신문 등을 통하여 공고하여야 한다. 재무제표는 재무 상태표, 손익 계산서, 자본 변동표, 현금 흐름표로 구성된다. 재무 상태표는 자산․부채․자본 항목으로 구성된다. 자기 자본 비율은 기업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손익 계산서(I/S: income statement)는 기업의 영업 실적을 나타낸다. 손익 계산서는 수익․비용․이익의 세 항목으로 구성된다. 현금 흐름표는 어느 정도의 현금을 벌어들였는지를 나타내는 재무제표이다 재무의 역할은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 자금을 목적에 맞게 운용하는 것이다.
96
3. 회계 관리의 개념과 중요성 기업 회계 관리의 중요성 2 [그림 Ⅲ-37] 재무제표의 구성
97
3 기업 경영 활동 5 기술 경영과 창업 학습목표 1. 기술경영 2. 기술 연구 개발과 기술 경영 관리 3. 창업
98
1 2 3 4 5 5. 기술 경영과 창업 기술 경영의 의미와 목적,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기술 경영의 요소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지식 재산권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4 기업과 기업 형태를 설명할 수 있다. 5 창업의 구성 요소와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
99
1. 기술 경영 기술 경영의 특성과 목적 1 기술 경영은 기술과 경영이 전략적으로 연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시스템 관점에서 경영의 제 요소를 핵심기술을 중심으로 통합하는 과정이다. 경영 효율을 극대화하는 유기적인 기능 기술 통합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기술 경영은 기술을 전략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하고 혁신적 제품을 고안하는 등 공학 기술과 경영 원리를 통합한 개념이다.
100
1. 기술 경영 기술 경영의 특성과 목적 1 [그림 Ⅲ-38] 기술 경영에 있어서 기능 기술 통합 단계
101
1. 기술 경영 기술 경영의 요소 2 기술 경영의 3요소는 자원, 하부 구조, 조직 활동 등이다.
자원이라 함은 인적 자원, 기술, 지적 재산, 정보, 시설과 장치 등을 의미한다. 하부 구조는 기업 경영의 목표 달성 전략, 조직 체계와 방침 등이 포함된다. 조직 활동은 사업 활동, 관리 활동, 조직 구성원의 개인 활동을 포함한다. 각 요소는 상호 긴밀하게 협력하는 관계이다.
102
1. 기술 경영 기술 경영의 요소 2 [그림 Ⅲ-39] 기술 경영의 요소
103
2. 기술 연구 개발과 기술 경영 관리 기술 연구 개발 인력 관리 1
효과적인 기술 연구 개발을 위해서는 서로 연계된 과정이 필요하다. 기업의 기술 연구 개발 성과는 주로 인력에 따라 좌우된다. 기술 전략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연구 개발하는 인력의 관리를 말한다. [그림 Ⅲ-40] 기술 연구 개발 과정
104
2. 기술 연구 개발과 기술 경영 관리 기술 경영 관리 2 기술 경영 관리란 소유하고 있는 기술을 바탕으로 기업의 경영 목적과 정책을 계획하고 인적·물적 요소를 조직화하며, 이를 지휘, 조정, 통제하여 경영 목적을 능률적으로 달성하도록 하는 활동을 말한다. 기술 연구 개발 인력 관리란, 기술 전략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연구 개발 인력의 관리를 말하며 일반적인 인력 관리와는 차이가 있다.
105
2. 기술 연구 개발과 기술 경영 관리 기술 경영 관리 2 기술 연구 개발 인력 개념 연구원 기술원 연구 보조원
높은 과학적 지식을 가진 공학자 및 과학자 연구원을 기술적으로 보조하는 역할 및 연구개발 활동의 운영 업무 담당 인력 연구 보조 인력
106
2. 기술 연구 개발과 기술 경영 관리 기업가와 연구자 3 기술 경영은 기술 사업화의 영역이다.
기술 경영은 프로세스 성격을 지닌다. 기술을 사업으로 연결할 때 그 사이에는 소위 죽음의 계곡이 존재한다. 기업가는 혁신과 신사업(innovation & new business)을 추진한다. 연구자는 연구와 발명(research & invention)을 추진한다. 기업은 기술이 개발된 것만으로 경제적 성과를 낼 수 없고, 시장에서 성공하여야만 해당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
107
2. 기술 연구 개발과 기술 경영 관리 기업가와 연구자 3 [그림 Ⅲ-41] 죽음의 계곡과 적자생존의 바다
108
2. 기술 연구 개발과 기술 경영 관리 지식 재산권 4 문화, 예술, 과학 작품, 산업 활동 등 인간의 지적 창작 활동의 결과로 생기는 모든 무형의 소산물에 대한 권리를 총칭하는 말로서 영문 Intellectual Property의 두 음자를 딴 IP라는 용어가 통용되고 있다. 지식 재산권은 산업 재산권, 저작권, 신지식 재산권으로 구성된다(Ⅰ-4단원 참조).
109
2. 기술 연구 개발과 기술 경영 관리 지식 재산권 4 [그림 Ⅲ-51] 지식 재산권의 구성
110
3. 창업 창업 구성 요소 1 창업은 재화 또는 서비스를 생산, 판매하는 기업을 설립하는 것을 말한다.
기존 사업의 승계와 기업 형태의 변경, 폐업 뒤 사업 재개는 창업이 아니다. 창업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는 창업자, 창업 업종, 창업 자금이다. 창업자는 창업 업종과 자본을 가지고 기업을 설립하는 사람이다. 창업 업종은 창업하기 위한 구체적인 아이디어로 사업 내용을 말한다. 창업 자금은 자본, 부지나 원재료, 기계, 인력 등의 물적 자원을 뜻한다. 창업 자금에는 운전 자금(보유 현금)과 고정 자금(토지, 건물)이 있다.
111
3. 창업 창업 구성 요소 1 [그림 Ⅲ-52] 창업의 구성 요소
112
3. 창업 창업 과정 및 절차 2 창업을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1단계: 업종 선정 및 사업 계획 수립 2단계: 사업 인허가 및 회사 설립 3단계: 공장 입지의 확보 4단계: 공장 설립 완료 신고 5단계: 기타 행정 절차 및 개업 준비 [그림 Ⅲ-43] 창업 과정
113
3. 창업 사업 타당성 분석과 사업 계획서 작성 3 타당성 분석은 사업 추진 능력과 기술성, 시장성, 경제성, 위험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타당성 분석은 창업의 실패율을 최소화하고 성공 확률을 높여 줄 수 있다. 사업 타당성이 인정되면 사업 계획서를 작성한다. 사업 계획서는 모든 계획은 보편 타당성 있게 객관적으로 작성한 것이다. 사업 계획서는 창업자가 창업을 위하여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외적으로는 외부 투자자에게 의사 결정에 참고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114
3. 창업 사업 타당성 분석과 사업 계획서 작성 3 [그림 Ⅲ-46] 사업 계획서 작성 절차
115
3. 창업 창업 자금 4 창업에는 안정적인 자금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벤처 기업에 자금을 투자하는 기업 및 투자자를 ‘벤처캐피털’이라고 한다.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만 있다면 벤처캐피털의 지원을 받아 창업할 수 있다. 예비 창업자 및 중소․벤처 기업은 창업 자금 지원 제도를 활용할 수 있다. ‘중소기업 창업 지원법’, ‘벤처 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 조치법’ 등에 의하여 마련된 각종 제도를 통하여 필요한 자금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중소기업진흥공단, 소상공인지원센터, 근로복지공단, 장애인고용촉진공단,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등과 같은 기관에서 창업 자금을 지원 받을 수 있다.
116
3. 창업 창업 자금 4 [그림 Ⅲ-55] 창업 자금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