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직무평가 4. 직무평가 요소 직무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기업 관점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직무요소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직무평가 4. 직무평가 요소 직무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기업 관점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직무요소"— Presentation transcript:

1 직무평가 4. 직무평가 요소 직무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기업 관점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직무요소
숙련도(skill), 노력(effort), 책임(responsibility), 작업조건(working conditions) 평가요소 중요도 (%) 숙 련 교육 경험 창의 14 22 50 노 력 육체적 노력 정신적 노력 10 5 15 책 임 대 설비 대 원료 및 제품 타인의 안전 타인의 작업 20 작업조건 작업환경 위험 100 직무의 관리 1

2 81 III. 직무설계 직무의 관리

3 직무설계 효과 1 직무설계 (job design)의 의의 -. 조직 내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과업들을
서로 연결시키고 짜 맞추어 조직화하는 것. -. 조직목표의 달성을 위해 종업원을 동기부여하기 위한 전략 작업생산성 증대 직무설계 효과 직무만족 증대 이직 및 결근률 감소 제품품질 향상 직무의 관리 3

4 중요성? 자동차회사 종업원수 판매대수 시장점유율 포드 13,000명 260,720대 48% 기타회사들 66,350명
1919년 포드자동차의 점유율과 생산성 자동차회사 종업원수 판매대수 시장점유율 포드 13,000명 260,720대 48% 기타회사들 66,350명 286,770대 52% 중요성? 직무의 관리

5 2 전통적 접근방법 가. 과학적 관리법에 의한 직무설계 (1). 작업내용을 설계하는 원칙
-. 기술의 전문화 필요기술의 최소화 -. 훈련시간의 최소화 작업분화의 균등화 -. 재무만족의 개념 노동조합 요구의 수용 (2). 개인을 직무에 적합 시키는 원칙 -. 직무내용을 구성하는 과업 및 활동의 수와 다양성을 제약 -. 반복작업의 극대화 -. 최소 훈련시간을 기능만 부여 직무의 관리 5

6 직무재설계 양적 직무확대 질적 직무확대 양적직무확대 질적 직무확대 양적 설계 질적 설계 ㆍ 직무순환 ㆍ 직무확대 ㆍ 직무충실화
84 직무재설계 양적 직무확대 질적 직무확대 ㆍ 직무순환 ㆍ 직무확대 ㆍ 직무충실화 . 직무특성이론 양적직무확대 질적 직무확대 양적 설계 질적 설계 ㆍ job rotation ㆍ job expansion ㆍ job enrichment 직무의 관리

7 3 과도기적 접근방법 가. 직무순환 경영자들은 종업원들을 다른 직무들 사이에 순환 시킴으로서 다른 기능을 나. 직무확대
개발할 기회가 되며, 전체 생산과정에 대한 시야를 넓힐 수 있기 때문에 권태감과 단조로움이 감소된다고 가정. 나. 직무확대 작업의 흐름 중에서 작업자가 맡은 과업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직무에 대한 만족을 높이고 결근이나 이직 또한 감소될 것이다. 직무의 관리 7

8 4 현대적 접근방법 가. 직무충실 나. 직무특성이론 얻고자 했던 개인 및 직무성과는 중요심리상태에서 얻어진다.
허즈버그에 의하면 단순한 직무확대가 아닌 직무의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어 작업상의 책임을 늘리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고 도전적이고 보람 있는 일이 되도록 직무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 나. 직무특성이론 얻고자 했던 개인 및 직무성과는 중요심리상태에서 얻어진다. 해크만의 직무특성이론은 종업원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직무특성과 성과변수 사이의 관계를 제시하고 각 직무특성차원을 명확히 하여 실행개념까지 도입하여 실질적인 직무설계를 제시한 것. 직무의 관리 8

9 5 가. 직무확대(Job Enlargement) 직무재설계의 유형 수행하고 있는 기존 직무와 난이도와 책임수준이 비슷한 업무를
추가적으로 할당하는 방법. 업무량이 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거부감을 느낄 수 있으나 추가적인 업무를 할당 받음으로 능력을 인정한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나. 직무충실(Job enrichment) 수행하고 있는 기존 직무 보다 난이도가 높고 책임수준이 높은 업무를 (1) 난이도, 중요도가 높은 업무에 대한 도전 의식이 있는 Y형 종업원의 경우 만족. (2) 책임을 두려워하는 X형 종업원은 싫어함. 직무의 관리 9

10 5 다. 직무순환(Job Rotation) 라. 작업시간의 재설계 직무재설계의 유형
일정한 근무기간이 경과하면 타 부서 혹은 직무로 이동하는 방법 (1) 장 점 OJT효과 별도교육 불필요 - 새로운 기술 습득 다기능화 기대 노동에 대한 싫증이나 소외를 덜 느낀다. (2) 단 점 전문화 수준이 떨어진다. 라. 작업시간의 재설계 (1) 변동근무시간제 (2) 단축근무주제도 ; 근무시간(일)단축 ; 주5일 근무제     → 고용기획 확대, 여가시간 직무의 관리 10

11 구 분 탄력적 근로시간제 선택적 근로시간제 내 용 목 적 방 법 신 고 최장근로 적용제외 공통점 목 적 직무의 관리
구 분 탄력적 근로시간제 선택적 근로시간제 내 용 근로일과 근로시간대가 정해지면 모든 근로자들이 일률적으로 근로 의무 시간대에만 일률적으로 근로하며, 나머지 조업 시간은 개개의 근로자가 자율적으로 근로 목 적 사용자의 경영편의 전문직 근로자, 연구직 근로자, 주부근로자 등 근로자측의 편의나 능률향상을 고려하여 도입 방 법 2주단위:취업규칙 1월단위: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 취업규칙으로 정한 근로자에 대하여 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로 1개월 이내의 단위로 실시 신 고 서면합의 사항을 노동부장관에게 신고 신고할 필요 없음. 최장근로 2주단위:1일 제한 無, 1주 48시간 1월단위:1일 12시간, 1주 56시간 최장근로시간에 대한 제한 없음 적용제외 15세 이상 18세 미만의 근로자 임신중의 여자근로자 공통점 사용자의 경영편의 전문직 근로자, 연구직 근로자, 주부근로자 등 근로자측의 편의나 능률향상을 고려하여 도입 목 적 ① 단위기간(정산기간) 평균기준근로시간내 특정일 또는 특정주에 기준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로 ② 사용자의 가산임금을 지급의무 없음 직무의 관리

12 6. 직무특성 이론모델 핵심직무차원 중요 심리상태 결과 (성과) 기술 다양성 과업 정체성 과업 중요성 자 율 성 피 드 백
(Skill variety) 과업 정체성 (Task identity) 과업 중요성 (Task significance) 자 율 성 (Autonomy) 피 드 백 (Feedback) 종업원의 성장욕구강도 (Growth Need strength) 직무에 대한 의미성 (Meaningfulness) 과업활동 결과의 지식 (Knowledge) 직무에 대한 책임감 (Responsibility) 중요 심리상태 결과 (성과) 결근 / 이직감소 (Less absenteeism/turnover) 과업에 대한 내적 동기부여 상승 (High internal work motivation) 성과 향상 (High quality of performance) 직무의 관리 12

13 7. 직무설계 개념의 변화 직무설계의 방법은 얼마던지 변화 가능 개인수준에서 집단수준으로 설계방향 변화
93 직무설계의 방법은 얼마던지 변화 가능 개인수준에서 집단수준으로 설계방향 변화 - 개인과 개인의 연결, 직무와 직무의 상호 작용과 네트워크의 필요성 증대 - 분업화, 전문화, 수직/수평적 직무확대, 직무의 충실화의 중요성도 개인작업이 점점 사라짐에 따라 감소 직무의 노예시대에서 즐기는 인간위주의 직무설계 방식 속출 직무의 관리

14 목표설정이론(MBO) 구체성 - 가능한 한 계량화, 수치화 - 기록 - 단기적으로 세분화 - 기간, 절차, 방법 명시 도전성
91 구체성 - 가능한 한 계량화, 수치화 - 기록 - 단기적으로 세분화 - 기간, 절차, 방법 명시 도전성 수용성 참여도 직무의 관리

15 좋은 목표란? SMART C S Specific M Measurable A Action-oriented
R Result-oriented T Time-bounded C Challenge

16 94 IV. 근무시간 관리 직무의 관리

17 95 1. 중요성 회사 입장 회사 입장 ㆍ 성과위주 인적자원관리 사원 입장 사원 입장 ㆍ 소득증대에서 여가활용 선호

18 가 근로시간 규정– 제50조 1주간의 근로시간을 휴게시간 제외 40시간 초과 할 수 없다.
1일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8시간을 초과 할 수 없다 <출처 : 2010년 OECD 통계연보(2008년 기준)> 직무의 관리 18

19 나. 근로시간의 역사 미국, 프랑스 등 여러 나라에서 입법화 - 근로시간 규정 없음 - 무제한 노동 - 근로자의 노동시간
1일→12시간 제한 - 심야작업 금지 - 부인 및 소년공의 10시간 노동의 입법화 산업혁명 이전 산업혁명 산업혁명 중기 - 8시간 노동의 국제적 기준이 요구 - 영국의 탄광업에서 8시간 노동제가 입법화 - 베르사유평화조약의 국제노동헌장 20세기 초 1916년 이후 19세기 후반 제19회 국제노동총회 (노동시간 40시간 조약안 채택) 미국, 프랑스 등 여러 나라에서 입법화 1935년 직무의 관리 19

20 도표3-12 근로시간 단축 목적과 배경 시기 단축목적 단축움직임의 배경
시기 단축목적 단축움직임의 배경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 ILO : 8시간/일, 48시간/주 노동자의 여가 및 기술혁신에 의한 노동 생산성 증대 생활의 질 1960-현재 실업대응, 노동분담 경제성장 둔화로 실업증가 직무의 관리

21 2. 근로시간 감소 : 도표 3-11 선 진 국 한 국 1890 : 영국 60 → 48시간/주 1960 : 70시간/주
한 국 1890 : 영국 60 → 48시간/주 1960 : 70시간/주 1847 : 미국 10시간/일 1970 : 52시간/주 1888 : 미국(888운동) 8시간/일 2000 : 48시간/주 1919 : ILO(국제화) 8시간/일 2003 : 40시간/주 1980 : 프랑스 40시간/주 1990 : 독일(철강) 35시간/주 2005 : 프랑스(전체) 35시간/주 3장 48번=ㆍ산업혁명 직후 : 부녀자 하루 16∼17시간 ㆍ1890년 영국 : 주당 60시간에서 48시간으로 ㆍ1847년 미국 : 1일 10시간으로 제한 ㆍ1888년 미국 ; 888운동(8 근로, 8 수면, 8 여가) ㆍ1919년 ILO(국제노동기구) : 1일 8시간 노동원칙 ㆍ1980년 프랑스 : 주당 35시간까지 단축 ㆍ1990년 독일 : 철강산업 주당 30시간으로 단축

22 97 직무의 관리

23 근로시간 단축 : 노사양측의 주장 · 기존 근로시간 감소 → 실업자 고용 → 유효수요 창조 · 근로자 삶의 질 향상
98 · 기존 근로시간 감소 → 실업자 고용 → 유효수요 창조 · 근로자 삶의 질 향상 → 노동생산성 향상 → 결근, 이직률 감소 · 피로의 감소 → 산업재해가 감소 · 인건비 상승 → 자동화 → 생산성 향상. 사원입장

24 · 실질임금 상승 → 생산감소 → 실업증가 · 국민소득 2만 달러 이후 가능(선진국) · 생산설비 이용률 저하
· 인건비 상승 → 제품가격 인상. · 실질임금 상승 → 생산감소 → 실업증가 · 국민소득 2만 달러 이후 가능(선진국) · 생산설비 이용률 저하 회사 입장

25 휴일활용방법 ◎가족과(30.0) ◎취미․여행(28.6) ◎교육․능력개발(15.4) ◎피로회복(5.9)
 ◎가족과(30.0)        ◎취미․여행(28.6)  ◎교육․능력개발(15.4)  ◎피로회복(5.9)  ◎자원봉사․공익활동(3.1) 휴일활용방법 휴일 증후군 TGIF(thanks god it’s Friday) 일본은 주 5일제로 목요일날 영화개봉/ 회식/ 잔치초대/따라서 목요일이 좋다하여 하나모쿠(花木)꽃의 목요일

26 3. 유연적 노동시간 나. 간주 근로제(인정/재량 근로제) 집중근무시간제 근로시간 단축 조기 출/퇴근제 재택(在宅)근무제
가. 탄력적 / 선택적 근로시간제(변형 근로제) 나. 간주 근로제(인정/재량 근로제) 집중근무시간제 근로시간 단축 재택근무오라클 저팬(일본소프트웨어 업체 )직원1448명 전원 집 호텔 해외 어디서나 근무 일주에 1번만 출근 경리 총무 모두-2005년부터◆ 간주 근로제 : ㆍ인정근로제 : 회사 밖에서 일해도 소정 근로시간 인정 ㆍ재량근로제 : 직무만 완성되면 일정근로시간 인정 ◆ 교대 근로제 : Job sharing 월화수 목금토 나누어서 교대 두 개 이상의 작업조가 교대근무 조기 출/퇴근제 재택(在宅)근무제 다. 교대 근로제 (24시간, 2/3/4교대) 직무의 관리

27 일반적 바이오 리듬 Flex time 능률곡선 직무의 관리

28 가. 탄력적 / 선택적 근로시간제 (1) 근로기준법의 근로시간 자료 : 근로기준법(2009. 5. 21. 법률 제 9699호)
조항구분 주요규정 내용 주요의무 제50조 근로시간 1주일 40시간 1일 8시간 1주간 휴게시간 제외 40시간 초과할 수 없음(주 5일 근무제) 1일 휴게시간 제외 8시간 근무 제51조 탄력적 근로시간제 - 특정한 주 48시간 초과할 수 없다 특정한 주 1주 52시간 특정한 날 1일 12시간 사용자는 근로자 대표와의 서면 합의에 따라 결정 제52조 선택적 근로시간제 15세 이상 18세 미만의 근로자는 제외한다 제53조 연장근로의 제한 당사간 합의 1주 12시간 연장할 수 있다. 직무의 관리 28

29 (2) (3) 탄력적 근로시간 선택적 근로시간제 업무성격 및 내용에 따라 근로자의 근로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제도
근로기준법 제51조에 의해 탄력적 근로시간제 실시 선택적 근로시간제 (3) 근로시간의 자율적 선택권을 근로자에게 부여하는 제도 근로기준법 제52조에 의해 선택적 근로시간제 실시 직무의 관리 29

30 형태별 특징 형 태 특 징 고정자유출근시간제 (flexihour) 종업원들이 출퇴근 시간을 자유로이 선택하지만, 일단 선택한 출퇴근시간은 일정 기간 동안 지켜야 하며, 하루 8시간의 근무원칙을 따름 자율출퇴근시간제 (gliding time) 종업원은 매일 출퇴근 시간을 바꿀 수 있으나 하루 8시간 혹은 회사가 정한 시간만큼 매일 근무하는 형태 고정자유근무시간제 (variable day) 주간 혹은 월간 총 근무 시간은 고정되어 있으나, 하루의 근무시간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음 자유근무시간제 (maxiflex) 종업원이 매일의 근무시간을 바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일 주 근무 시간대에 출근해 있지 않아도 되는 형태 직무의 관리 30


Download ppt "직무평가 4. 직무평가 요소 직무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기업 관점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직무요소"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