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위성통신 탑재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IT R&D Global Leader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위성통신 탑재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IT R&D Global Leader"— Presentation transcript:

1 위성통신 탑재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IT R&D Global Leader
[첨부 제4호] 위성통신 탑재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염인복 무선RF탑재기술연구팀 ETRI OOO연구소(단, 본부)명 방송통신융합연구부문

2 목 차 ---------------------------------------------- 1. 기술의 개요
목 차 1. 기술의 개요 2. 기술이전 내용 및 범위 3. 경쟁기술과 비교 4. 기술의 사업성 - 활용분야 및 기대효과 5. 국내외 시장 동향 방송통신융합연구부문

3 1. 기술의 개요 위성통신 탑재기술 우주상공에서 작동하는 위성통신의 탑재부품들은 발사 전에 엄격한 규격기준에 따라 제 성능이 검증되어야 함. 규격기준은 설계, 제작, 조립 및 종합화,환경시험,성능시험 단계별로 검증되어야 할 항목들을 규정함. 이러한 검증과정은 체계적인 품질보증절차에 따라 성공적으로 수행되어야 위성에 탑재되어 우주로 발사될 수 있음. 본 기술은 위성 통신 탑재체와 안테나의 설계, 조립 및 종합화,시험방법 및 시스템 품질보증에 관한 것으로, 본 기술이 위성 통신탑재 시스템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음. 본 기술은 다음과 같이 세부적으로 분류될 수 있음. 위성통신 탑재체 설계 기술 위성통신 탑재체 조립/시험 기술 위성탑재체 제품보증 기술 방송통신융합연구부문

4 1. 기술의 개요 위성통신 탑재기술 위성 통신 탑재 기술은 우주기술의 핵심기술로 그 파급효과와 기술의 중요성으로 인해 선진국에서는 많은 투자로 기술의 완성도가 성숙되어 상용화 단계에 있음. 또 국가 전략적으로 재난대비용, 군용, 국가안보차원에서 관련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해오고 있는 상황임. 위성통신을 위한 위성 탑재 기술은 그동안 국내기술이 취약하여 우주선진국에서 관련 기술을 도입하여 운용하였으나 ETRI에서 통해기 위성 위성 통신 탑재체 개발사업과 통해기 위성 Ka대역 통신 탑재체 우주인증 및 실용화 검증기술 개발사업 과정에서 일부 부품을 제외한 통신중계기 부품 및 안테나를 국산화 개발하였고, 위성체의 조립 및 성능시험, 환경시험과 우주인증 및 궤도시험 과정에서 상당한 기술적 노하우를 획득하였음. 이에 따라 위성통신 탑재체 설계기술과 조립 및 시험기술, 제품보증기술을 위성관련기업체에 기술이전 함으로써 국내업체의 기술력을 향상시키고, 향후 이와 관련된 기술을 직접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추진하고자 함. 방송통신융합연구부문

5 1. 기술의 개요 기술구성(탑재체 설계) 안테나 형상설계 중계기 배치설계 안테나 RF성능해석

6 1. 기술의 개요 기술구성(조립 및 시험) 안테나 전개시험 EMC test setup 열진공시험 setup 조립 및 종합화
방송통신융합연구부문

7 1. 기술의 개요 기술구성(제품보증) 제품보증체계

8 2. 기술이전 내용 및 범위 기술이전 내용 위성통신 탑재체 설계 기술 위성통신 탑재체 RF 설계 기술
위성탑재 반사판 안테나 기계적 설계 기술 위성탑재 반사판 안테나 차원의 기계적 설계방법 위성탑재 반사판 안테나 RF설계 기술 위성탑재 반사판 안테나 차원의 RF설계방법 방송통신융합연구부문

9 2. 기술이전 내용 및 범위 기술이전 내용 위성통신 탑재체 조립/시험 기술 위성통신 탑재체 조립 및 성능시험
위성통신 탑재체 조립 및 시험(AIT) 계획과 중계기 AIT수행방법 및 결과분석사례 위성통신중계기 열진공 Test Set-up 및 GSE구성 위성통신중계기를 열진공 상태에서 시험하기 위한 Test Set-up과 중계기 시험 형상 위성탑재 반사판 안테나 성능시험 및 정렬측정 위성탑재 반사판 안테나의 성능시험방법과 정렬측정방법 위성탑재 반사판 안테나 종합화 및 환경시험계획, 환경시험 위성탑재 반사판 안테나의 종합화와 환경시험계획,환경시험방법 사례 방송통신융합연구부문

10 2. 기술이전 내용 및 범위 기술이전 내용 위성 탑재체 제품보증 기술 위성탑재시스템 제품보증체계 및 절차
위성 탑재체 개발 사업 초기에서부터 종료까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제품보증 수행에 필요한 체계 및 절차 방송통신융합연구부문

11 2. 기술이전 내용 및 범위 기술이전 범위 기술 문서 위성통신 탑재체 설계, 시험방법 및 품질보증시스템 요구사항정의서
기술이전 범위 기술 문서 위성통신 탑재체 설계, 시험방법 및 품질보증시스템 요구사항정의서 위성통신 탑재체 RF설계 방법 위성탑재 반사판 안테나 구조설계/제작 방법 위성탑재 반사판 안테나 열설계 방법 위성탑재 반사판 안테나 RF설계 방법 위성통신 탑재체 조립 & 시험방법 위성탑재 반사판 안테나 환경시험 방법 위성탑재 반사판 안테나 정렬측정 방법 위성 탑재체 제품보증체계 및 절차 방송통신융합연구부문

12 2. 기술이전 내용 및 범위 기술 개발 현황 : 발사 및 궤도시험 성공적 완료 <서비스 빔 커버리지 특성>
<위성발사 및 궤도진입 성공> <G/T와 EIRP측정결과> <안테나 패턴측정결과> 방송통신융합연구부문

13 3. 경쟁기술과 비교 경쟁기술 현황 기존기술 대비 경쟁력
미국은 첨단통신기술위성인 ACTS 위성을 이용하여 다중빔 Ka대역 통신시험을 통 해 Ka대역의 상업적 활용성을 검증 일본은 ETS-8 위성 등 다수의 실험 위성을 정부 주도로 발사, 우주 신기술 인증, 지 상 장비의 성능 및 서비스 검증을 위한 테스트베드로 활용 중 2010년 11월 Astrium 및 Avanti는 군 및 상업용 Ka 대역 위성 발사 C 대역(6/4 GHz)에서 시작된 상업용 위성통신 시스템은 위성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보다 높은 주파수인 Ku 대역(14/12 GHz)의 이용으로 확장되었으나, 이 또한 이용자 및 데이터 량의 증가로 인해 Ka대역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음. 기존기술 대비 경쟁력 본 기술은 개발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어 위성발사 후 궤도시험과정에서 그 성능이 완 벽히 입증되었고, 현재 양호한 상태로 운용되고 있어 성공적으로 우주 인증된 heritage(적용경험) 있는 기술임 위성통신 탑재 기술의 국산화로 해외 도입비 절감 및 가격경쟁력확보 시스템 체계종합기술과 품질인증기술의 확보로 유사 시스템 개발 용이 사용자 요구에 따라 위성탑재품의 설계변경 및 성능개선이 용이 방송통신융합연구부문

14 4. 기술의 사업성 위성통신 탑재기술 예상 응용 제품 및 서비스 사업성 독립된 위성통신 탑재시스템
군용, 기상해양탐사, 측지, 과학 탐사등 타 시스템과 결합된 위성통신 시스템 사업성 전세계적으로 통신을 목적으로 한 인공위성은 계속 발사되고 있음. 국내에서 천리안위성의 개발을 이어 통신위성의 개발 및 발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예정임. 국제적으로 통신위성은 일년에 10기이상 발사되고 있기 때문에 관련시스템을 국제적으로 시장화할 경우에 시장전망이 있다고 할 수 있음. 따라서 관련시스템을 국제적으로 시장화할 경우에 시장점유율은 다소 낮더라도 전체시장규모를 고려하면 소기업이 담당할 정도의 시장전망이 있다고 할 수 있음 방송통신융합연구부문

15 4. 기술의 사업성 기술이전 업체 조건 사업화 시 제약조건
위성시스템에 대한 이해 및 계측장비 운영,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제작능력이 요구됨 본 기술을 제품화 하는데 각 분야의 전문화된 수십명의 엔지니어가 약 2년 이상 투입되어야 가능 함 따라서 위성분야 중소전문업체가 적절함 사업화 시 제약조건 국내 시장규모가 작은 것이 제약 조건이며, 해외 시장 개척을 통하여 극복 가능할 것으로 보임 방송통신융합연구부문

16 5. 국내외 시장 동향 국외제품 동향 미국에서는 SSL, NGAS 등에서 Ka 대역 탑재체용 다중 입출력 증폭기술 연구 수행 중 유럽에서는 Alcatel, Thales 및 Astrium에서 Ka 대역 다중 빔 탑재체 연구 수행 중 일본의 JAXA는 차세대 통신기술시험위성인 ETS-8, WINDS 프로젝트 수행 을 통해, Ka 대역 능동형 탑재체 기술개발을 추진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NASA를 중심으로 ATS, CTS, ACTS 등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Ku 및 Ka 대역에서 전파특성 연구를 수행해 왔음 국외의 제품은 국가별.기관별 목적에 맞는 제품을 외주 제작을 통하여 구 매하는 것으로서 고가의 구매비와 발사비, 발사 보험비 및 운용 보험비 계 약을 맺어야 함. 또한 내부에 적용된 기술을 알 수가 없는 상태임 . 방송통신융합연구부문

17 5. 국내외 시장 동향 국내제품 동향 국내에서는 ETRI를 제외하고는 관련시스템을 국산화 제작한 업체는 없음. 현재 ADD에서는 차기 군용통신시스템 개발을 수행중임 정지궤도 위성인 천리안 위성 통신 탑재체를 ETRI가 개발하여 현재 위성 궤도상에서 성공적으로 운용하고 있음 국내업체는 용역 또는 공동기관형태로 시스템 개발에 부분 참여 중 방송통신융합연구부문

18 감사합니다. ♣ 연락처 : 방송통신융합연구부문, 염인복팀장 (042-8560-5674,ibyom@etri.re.kr)
♣ 연락처 : 방송통신융합연구부문, 염인복팀장 ETRI OOO연구소(단, 본부)명


Download ppt "위성통신 탑재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IT R&D Global Leader"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