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 2 장 채소의 기원과 분류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오명민.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 2 장 채소의 기원과 분류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오명민."—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 2 장 채소의 기원과 분류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오명민

2 채소의 기원과 분류의 의의 원산지: 각 채소의 생리, 생태를 이해하고 유전자원을 수집하는데 매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함
체계적인 분류: 채소의 이용과 연구에 매우 유익함

3 채소 재배의 기원 채소는 인류의 시작과 함께 탄생되었고 농경생활에 접어들면서 재배가 시작된다고 봄
창세기 1장 11절:하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땅은 식물, 곧 씨를 맺는 식물과 씨가 든 열매를 맺는 나무를 그 종류대로 땅 위에 내라” 하시니 그대로 됐습니다. 인류의 농경문화 시작: 약 만년 전으로 추정 고대 아메리카(멕시코 유적지): 호박 재배 흔적 (B.C. 7000~5000년경)

4 유전자 중심설 유전적 변이가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 곳을 재배기원의 중심지로 생각함
Nikolai Ivanovich Vavilov ( ) 20세기 러시아 식물학자 바빌로프 유전적 변이가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 곳을 재배기원의 중심지로 생각함 참고웹사이트 :

5 채소의 원산지 원산지: 채소가 원래 자연 상태로 자라고 있던 곳 원산지의 이해 그 채소의 생리, 생태적 특성 파악에 도움
(예)원산지:열대 아프리카강한 일조와 높은 기온을 좋아하는 채소 원산지 부근의 야생종: 중요한 유전자원으로 좋은 육종 소재를 제공

6 원산지별 주요 채소의 수와 종류 원산지 채소수 주요 채소 ① 중국, 한국 55
배추, 참외, 파류, 대두, 죽순, 연, 땅두릅, 콩, 머위 등 ② 인도, 열대아시아 53 오이, 가지, 토란, 작두콩, 생강, 양하, 동아 등 ③ 중앙아시아 30 무, 당근, 양파, 갓, 멜론(2차) 등 ④ 중근동 20 멜론류, 당근, 양파, 상추, 시금치 등 ⑤ 지중해 연안 40 양배추, 아스파라거스, 샐러리 등 ⑥ 중부 아프리카 - 수박, 참외, 멜론(1차) 등 ⑦ 중앙 아메리카 호박(동양계), 고추, 단옥수수, 강낭콩, 고구마 등 ⑧ 남아메리카 호박(서양계), 토마토, 감자, 딸기, 땅콩 등

7 채소의 전파 채소(원산지) 민족의 이동, 종교와 문화의 교류로 인한 분산(근대화 이후 잦은 전쟁과 무역거래)
전파된 채소(각 지방의 기후풍토에 따라 새로운 생태형으로 발전) 육종기술의 발달로 더욱 채소는 다양화 됨

8 한국 채소 원예의 발달경과 도입시기 원산지 한국 중국, 열대아시아, 중앙아시아, 시베리아
유럽, 지중해연안, 아프리카, 서부아시아 아메리카 상고시대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20세기 전반 20세기 후반 쑥, 달래 미나리, 도라지 머위 마늘 박, 마, 가지, 오이, 참외, 상추 생강, 파, 동아, 배추, 죽순, 토란, 부추, 아욱 김치오이, 연근 구약 순무, 무, 시금치, 수박 쑥갓, 양배추, 케일, 순무, 셀러리, 우엉, 시금치, 근대, 양파 멜론, 딸기, 당근, 꽃양배추, 녹색꽃양배추, 방울다다기양배추, 빝, 아스파라거스 파슬리, 멜론 고추, 호박, 토마토, 옥수수, 고구마, 감자, 강낭콩 딸기, 밤호박 페포호박

9 한국의 근대적 채소원예 1905년: 원예 모범장 (서울 뚝섬) 1950년: 농업과학연구소(우장춘 박사 귀국)
1962년: 농촌진흥청 원예시험장으로 기구 개편 1994년: 원예 연구소로 개칭 2008년: 국립원예특작과학원으로 개칭 1970년대: 경제 수준 향상과 더불어 채소원예가 급격히 발전 (품종의 개발과 재배기술의 획기적 발전, 시설채소의 발달로 작형이 다양해지고 주년생산체계가 확립됨) 최근: 첨단 과학기술의 도입으로 시설의 생력화 자동화가 급속도로 확산됨, 조직배양과 양액재배도 일반화 됨

10

11 채소의 종류 세계의 채소 약 500여종의 채소 종류 지역마다 채소의 개념이 다름(딸기, 토마토 in US과일) 한국의 채소
외국에 비해 적은 채소 종류: 약 80여종 재배되고 있음 시장에 유통되는 채소류: 55-60여종

12

13 채소의 분류 다양한 채소류의 분류 채소에 대해 효과적으로 설명 가능 재배와 연구에 유익한 정보 제공
채소 산업에 여러가지 편의 제공 생태적 분류 원예적 분류 식물학적 분류

14 1. 생태적 분류 Ecological classification: 환경(원산지, 온도, 광도, 토양 등) 반응하는 채소류의 생태적 특성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법

15 생태적 분류(온도적응성에 따른 분류) 구 분 채소의 종류 호냉성 식물 (17-20℃)
배추, 양배추, 상추, 시금치, 무, 당근, 완두, 딸기, 잠두 호온성 식물 (25℃) 고추, 토마토, 가지, 오이, 호박, 참외, 수박, 강낭콩, 고구마, 토란, 생강, 들깨, 공심채

16 생태적 분류-광적응성에 다른 분류 구 분 채소의 종류 강광을 좋아하는 채소
수박, 멜론, 호박, 토마토, 가지, 시금치, 단옥수수, 무 비교적 약광에도 견딜 수 있는 채소 오이, 단고추, 셀러리, 삼엽채, 상추, 생강 내음성이 큰 채소 머위, 양하

17 2. 원예적 분류 Horticultural classification: 이용 부위에 따른 분류 구분 채소의 종류 엽경채류
엽채류 배추, 양배추, 갓, 청경채, 상추, 꽃상추, 머위, 쑥갓, 셀러리, 미나리, 파슬리, 고수, 참나물 인경채류 마늘, 양파, 파, 쪽파, 염교, 달래, 리크 화채류 꽃양배추, 녹색꽃양배추, 식용국화 눈경채류 아스파라거스, 땅두릅, 두릅, 죽순 근채류 직근류 무, 순무, 당근, 우엉, 도라지, 더덕, 비트 괴경 및 구경류 감자, 토란, 구약, 순무양배추 괴근 및 기타 고구마, 생강, 연근, 마 과채류 과실 이용 고추, 토마토, 가지, 단고추, 호박, 오이, 수박, 참외, 멜론, 김치오이, 동아, 박, 콩과류 꽃받침 및 기타 부위 이용 딸기, 단옥수수 기타 채소류 새싹채소류, 버섯류

18 엽채류 형태적 구 분 채소의 종류 불결구엽채류 로제트 또는 경엽형 시금치, 잎상추, 쑥갓, 근대, 엔디브, 갓 결구엽채류
포합형 포피형 배추, 배추상추 등 배추, 양배추, 결구상추

19 인경채류 구 분 채소의 종류 마늘 저장인엽으로 구성 양파 비후엽, 저장엽, 측구 등으로 구성

20 화채류와 눈경채류 화채류 눈경채류(순채소) 꽃양배추 녹색꽃양배추 새로 자라 나오는 어린 순으로 미전개된 잎이 부착되어 있음
비후한 백색의 소화경과 꽃봉오리가 모여서 이루어짐 녹색꽃양배추 꽃봉오리와 비후한 녹색의 화경이 모여서 이루어짐 눈경채류(순채소) 새로 자라 나오는 어린 순으로 미전개된 잎이 부착되어 있음 아스파라거스, 땅두릅, 두릅, 죽순

21 과채류 박과채소(오이,호박) 과실의 표면 : 화탁조직으로 덮여 있음 씨방 : 하위자방
수개의 심피가 유합되어 씨방이 구성된 합생자방 가지과채소(가지, 토마토, 고추) 씨방 : 상위자방 과실의 표면 : 외과피로 싸여 있음 콩과채소 (완두, 강낭콩) 씨방은 1심피 (일심피자방)

22

23 근채류 직근류 (곧은 뿌리) 괴근류 무, 당근, 우엉, 순무 등 괴근 (tuberous root)
괴경 (tuber) 및 구경류 (corm) 근경 (rhizome) 담근체 (rhizophore)-잎이 없는 줄기, 내생의 뿌리 발생

24

25 기타 채소류 딸기 꽃받침(화탁)이 비대된 것 버섯 자실체:균사가 빽빽하게 모여 이룬 덩이

26 3.식물학적 분류 Botanical classification: 식물의 유연관계를 기초로 분류하는 방법, 자연분류 또는 과학적 분류 식물 형태학, 생태학, 발생학, 고생물학, 세포학을 기반으로 식물과의 유사성과 상반성에 따라 분류 주로 꽃이나 종자, 과실, 잎 등을 기준으로 분류

27

28 가지과의 꽃과 열매 고추 단고추 토마토 꽈리토마토 가지 감자

29 식물의 분류 단위 문, 강, 목, 과, 속, 종으로 세분화 됨 린네(Carl von Linné: ), 스웨덴의 식물 분류학자: 식물의 명명법 고안 이명법: 속명(generic name) 다음에 종명(specific name)을 써서 생물의 한 종을 나타냄 예: 양파 (Allium cepa L.)

30 종의 개념 종: 동일한 형질을 나타내는 개채군의 총괄적인 명칭 식물분류학상 가장 기본적인 분류단위
종의 명칭: 보통명(common name)과 학명(scientific name or latin name) - 보통명: 나라와 지역마다 서로 다르기 때문에 지방명이라고도 부름 - 학명: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학술적인 명칭

31 학명 대부분 라틴어나 라틴어화한 말로서 여러가지의 의미를 어원적으로 지님 학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
속명과 명명자의 첫 자는 대문자, 종소명은 소문자로 표기 종과 품종의 사이 단계인 아종(subspecies) 또는 변종(varietas)은 삼명법으로 표기 색양배추: 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DC. 상추: Lactuca sativa L. (lac 또는 lactis:젖(乳) +sativa: 재래종)

32 식물학적 분류의 예 분류단위 백 합 고 추 복숭아 소 철 문 종자식물문 강 피자식물강 나자식물강 목 백합목 통화식물목 장미목
소철목 백합과 가지과 장미과 소철과 Lilium Capsicum Pyrus Cycas longiflorum annuum communis revoluta


Download ppt "제 2 장 채소의 기원과 분류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오명민."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