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국내 돼지고기 시장 현황 양 형 조 (사) 한국육류유통수출입협회.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국내 돼지고기 시장 현황 양 형 조 (사) 한국육류유통수출입협회."— Presentation transcript:

1 국내 돼지고기 시장 현황 양 형 조 (사) 한국육류유통수출입협회

2 목 차 제 1 장. 국내 돼지고기 수급 현황 제 2 장. 국내 돼지고기 가격 추이
목 차 제 1 장. 국내 돼지고기 수급 현황 제 2 장. 국내 돼지고기 가격 추이 제 3 장. 국내 FTA추진 현황과 국내 양돈업 제 4 장. 국내외 돼지고기 시장 전망

3 제 1장. 국내 돼지고기 수급현황 1. 돼지 사육현황 가. 연도별 사육두수
1. 돼지 사육현황 가. 연도별 사육두수 O ’03년 이후 감소 추세 -> ’06. 12월이후 증가 O 사육두수 감소 요인( 환경오염, 질병발생), 두수 증가(가격상승) 구 분 사육두수 (천두) 출하두수 출하체중 (kg) 국내 생산량 (톤) ’00 8,214 13,293 108 714,445 ’03 9,231 15,286 107 782,572 ‘04 8,908 14,620 748,558 ’05 8,962 13,620 110 701,498 ’06 9,382 13,003 677,441 ’07.3 9,345 - 6 9,462

4 사육농가 사육두수

5 나. 최근 (’00년 이후) 돼지 사육두수 추이 O ’00년 대일 수출 중단이후에도 사육두수 증가 O ’03년 12월 이후 사육두수 감소 추세 : 사육두수 감소 (+대체수요)-> 가격상승, 품질저하 -> 수입량 증가

6 2. 돼지고기 소비 현황 가. 연도별 돼지고기 소비추이
2. 돼지고기 소비 현황 가. 연도별 돼지고기 소비추이 O 돼지고기 소비량 증가 : 17.4Kg(’05) -> 18.1Kg(’06) 미국산 쇠고기 수입 중단지속에 대한 대체 효과 O 수입 돼지고기의 소비 비중 : 19.5%(’05) -> 21.7%(’06) - 미산 쇠고기 수입중단에 따른 돼지고기 수입량 증가 (단위 : 천톤) 구 분 공급량 (A) 소 비 량 비 율(%) 국내산 수입육(B) 계(1인당)( C) C/A B/C ’00 835.3 674.0 105.9 779.9 (16.5) 93.3 13.6 ’03 901.0 776.1 58.0 834.1 (17.4) 92.6 7.0 ’04 897.2 748.6 108.8 856.7 (17.8) 95.5 13.0 ‘05 899.8 674.8 838.1 93.1 19.5 ‘06 934.6 677.7 190.0 874.7 (18.1) 93.6 21.7

7 1인당 국내산 및 수입 돈육 소비추이

8 돼지고기의 소비 비중

9 나. 월별 돼지고기 판매 추이(’06년) 월 음식점(kg) 정육점(kg) 육가공업체(톤) 도축두수(천두) 1 26,254
41,263 10,440 1,097 2 27,920 38,497 9,206 1,029 3 35,929 48,490 10,319 1,169 4 31,427 41,615 9,975 1,049 5 28,520 46,905 9,157 1,054 6 25,607 48,369 8,539 952 7 26,585 45,733 8,129 912 8 34,231 44,090 9,018 1,070 9 39,206 49,158 9,381 1,177 10 39,298 45,525 8,669 1,088 11 27,857 41,897 10,027 1,235 12 25,232 32,441 9,262 1,158

10 3. 돼지고기 수출 추이 가. 연도별 돼지고기 수출 경향
가. 연도별 돼지고기 수출 경향 o 돼지고기 최대 수출시기 : ’04-’99년 (’98년 88,306톤) o 수출 가능국(현) : 필리핀, 러시아, 몽골 o 수출 개척 대상국 : 태국, 대만, 홍콩, 싱가폴 등 o ’00년(대일 수출중단)이후 돼지고기 수출 : 저가 위주 수출 o ’04년 이후 돼지고기 수출 경향(검역기준) - 국내가격 상승으로 제한적(부산물 중심) - ’06년 러시아 수출 확대 (단위 : 톤) ‘99 ‘00 ‘01 ‘02 ‘03 ‘04 ’05 ’06 80.279 16,156 37,587 2,486 6,296 1,937 83 1,423

11 나. 국내 돼지고기 국가별 수출실적(’06년, 통관기준)
(단위: 톤, 천$, $/kg) 국가 호주 중국 일본 필리핀 러시아 연방 태국 몽골 터키 기타 물량 0.2 12.0 10.9 5,720 4,493 2,584 102.0 293.0 12216 금액 1.2 419.4 175.6 3,120 17,065 2,004 1.3 601.3 473.9 23683 단가 5.35 35.02 16.18 0.66 3.80 0.78 6.27 5.90 1.62 1.95

12 o ’04년이후 지육가격 상승으로 수출 제한, 수출대상국의 경제 상황. (단위 : 톤) 월 1 2
다. 월별 돼지고기 수출경향 o 저지방 위주(특히 등심, 후지) 수출 지향 o ’04년이후 지육가격 상승으로 수출 제한, 수출대상국의 경제 상황. (단위 : 톤) ‘03 ‘04 ’05 ‘06 ’07 지수 1 208 542 - 14 3 188 2 474 248 12 5 122 691 133 15 107 4 308 93 388 7 58 369 117 29 71 6 444 587 301 115 27 349 64 8 508 101 79 9 533 173 11 104 10 146 96 925 174 18 141 1,052 100 6,296 1,937 83 1,423 49

13 월별 돼지고기 수출추이

14 4. 돼지고기 수입추이 가 . 월별 돈육 수입 실적 (단위 : 톤) 구분 ‘03 ‘05 ‘06 ‘07 증감(%) 지 수 1월
4. 돼지고기 수입추이 가 . 월별 돈육 수입 실적 (단위 : 톤) 구분 ‘03 ‘05 ‘06 ‘07 증감(%) 지 수 1월 5,841 16,584 13,185 28,820 118.6 86 2 3,839 15,337 15,835 24,333 53.7 65 3 5,043 24,160 19,830 29,450 48.5 98 4 6,529 20,626 18,282 26,868 47.0 132 5 6,027 16,496 19,184 22,642 18.0 130 6 6,474 12,719 17,216 16,597 - 3.6 129 7 4,730 10,243 15,625 - 95 8 4,472 12,663 16,152 90 9 5,091 10,524 14,225 93 10 4,239 10,137 15,927 89 11 3,506 11,120 22,713 81 12 4,933 12,947 22,351 111 60,812 (33,753) 173,555 (105,922) 210,555 (103,532) (149,627) (44.5) 100

15 월별 돼지고기 수입추이

16 o 북미산 증가 요인 : 수입업체 증가(쇠고기 대체 수입) o 유럽산 감소 : 가격 상승 및 생산 물량 감소
나. 국가별 수입실적 o 수입국의 다변화 : 북미산 증가, 유럽산 감소 o 북미산 증가 요인 : 수입업체 증가(쇠고기 대체 수입) o 유럽산 감소 : 가격 상승 및 생산 물량 감소 구 분 ’03년 ’05년 ‘06 ’07 (1-6월) 증감(%) (’06/’05) 덴마크 3,451 ( 5.7) 8,598( 5.0) 10,033( 4.8) 7,271( 4.9) 16.7 미 국 5,149 ( 8.5) 43,153(24.9) 60,849(28.9) 47,129(31.5) 41.0 벨기에 13,200 (21.7) 16,887( 9.7) 18,497( 8.8) 10,666( 7.1) 9.5 폴란드 1,136 ( 5.5) 6,221( 3.6) 10,164( 4.8) 6,608( 4.4) 63.4 헝가리 6,633 (10.9) 6,867( 4.0) 9,636( 4.6) 6,028( 4.0) 40.3 네덜란드 4,608 ( 7.6) 9,483( 5.5) 10,746( 5.1) 7,177( 4.8) 10.5 프랑스 7,278 (12.0) 18,247(10.5) 18,267( 8.7) 12,453( 8.3) 1.0 칠 레 12,076 (19.9) 25,335(14.6) 22,348(10.6) 16,118(10.8) -11.8 기 타 7,282 38,764(22.3) 50,285(23.7) 36,177(24.2) 29.7 60,813 (100) 173,555(100) 210,555(100) 149,627(100) 21.3

17 다 . 연도별, 부위별 수입 실적 (단위 : 톤) 구분 삼겹살 목 심 갈 비 후 지 전 지 안 심 기 타 계 ’03
44,123 (72.6) 4,754 (7.8) 6,262 (11.3) 283 (0.5) 4,290 (7.1) - 1,100 (1.8) 60,812 (100) ’04 64,484 (59.3) 13,713 (12.6) 12,316 692 (0.6) 13,350 (12.3) 370 (0.3) 3,907 (3.6) ‘05 83,077 (47.9) 24,827 (14.3) 24,080 (13.9) 1,203 (0.7) 14,498 ( 8.4) 25,871 (14.9) 173,555 ’06 92,638 (44.0) 42,442 (20.2) 25,415 (12.1) 1,831 (0.9) 21,427 (10.2) 26,802 (12.7) 210,555 ’07 (1-6) 65,989 45,062(30.1) 15,494 (10.4) 853 17,919(12.0) 1 (-) 4,309 (2.9) 149,627(100)

18 라. 냉장육과 냉동육 수입 비율 (단위 : 톤, %) 구 분 냉 장 냉 동 계 ’00 710(0.7) 95,182 95,892
라. 냉장육과 냉동육 수입 비율 (단위 : 톤, %) 구 분 냉 장 냉 동 ’00 710(0.7) 95,182 95,892 ’03 2,183(3.6) 60,299 60,813 ’04 2,464(2.3) 106,368 108,832 ‘05 6,409(3.7) 167,145 173,556 ’06 10,547(5.0) 200,008 210,555 7,605(5.1) 142,022 149,627

19 5. 돼지고기 재고량 가. 국내산 돼지고기 부위별 재고추이 구 분 안심 등심 전지 후지 삼겹살 목심 갈비 기타 계 ’06.5
300 2,024 1,664 5,265 2,654 738 2,444 871 15,955 6 284 2,121 1,878 3,950 2,869 825 2,232 1,040 15,200 7 274 2,284 2,266 3,953 2,373 885 2,557 1,098 15,689 8 264 2,318 2,267 4,084 2,342 1,022 1,681 850 14,829 9 214 1,724 2,319 3,346 3,718 1,385 1,231 995 14,931 10 317 1,910 2,705 3,850 4,875 1,802 1,653 1,216 18,327 11 426 2,140 2,257 3,595 5,207 1,529 2,046 1,901 19,100 12 465 2,908 2,289 4,001 5,553 1,593 2,479 941 20,229 ’07.1 541 3,175 2,727 4,329 5,568 1,903 2,836 1,116 22,195 2 639 4,065 3,186 4,805 5,825 2,248 2,543 1,410 24,720 3 595 3,784 3,900 3,634 5,931 2,489 3,119 1,363 24,814 4 620 3,793 4,386 4,251 5,721 2,556 3,410 1,417 26,153 5 589 3,761 4,697 8,783 4,498 2,014 4,146 2,709 31,198

20 연도별 국내산 재고량 추이

21 나. 국내 수입 돈육 부위별 재고량 추이(추정치) (단위: 톤)
나. 국내 수입 돈육 부위별 재고량 추이(추정치) (단위: 톤) 구분 정 육 부산물 합 계 삼겹살 목 심 갈 비 기 타 소 계 ’06.5 2,618 1,822 2,018 2,542 9,000 4,767 13,767 6 3,246 1,612 2,467 2,298 9,623 4,744 14,367 7 3,099 1,354 1,809 1,656 7,918 4,463 12,381 8 2,933 1,086 1,469 1,972 7,460 5,627 13,087 9 2,523 1,030 1,068 1,675 6,296 5,386 11,692 10 2,410 923 901 1,869 6,103 5,578 11,681 11 2,521 1,269 980 1,454 6,224 6,034 12,258 12 2,096 2,613 1,272 2,081 8,872 6,229 15,101 ’07.1 3,381 3,268 1,153 1,948 9,750 6,269 16,019 2 3,906 4,310 1,647 2,511 12,374 6,125 18,449 3 4,726 4,207 1,877 12,619 7,999 20,818 4 5,223 6,825 2,251 2,558 16,857 7,206 24,063 5 7,687 7,086 4,083 2,420 21,276 6,865 28,141

22 5. 돼지고기 수급 실적 구 분 ’00 ’04 ’05 ‘06 증감(%) 공급 이월량 25,000 39,832 24,746
구 분 ’00 (수출중단) ’04 (미산수입중단) ’05 ‘06 증감(%) (’06/’05) 공급 이월량 25,000 39,832 24,746 46,333 87.2 생산량 714,445 748,558 701,526 677,441 - 3.4 수입량 95,891 108,829 173,598 210,555 21.3 소 계 835,336 897,218 899,870 934,629 3.9 수요 소비량 779,908 856,682 838,479 874,704 4.3 (1인당) (16.5) (17.9) (17.8) (18.11) (1.7) 수출량 16,156 15,790 14,738 12,216 - 17.1 재 고 량 39,272 46,633 47,729 2.3 자급률(%) 91.6 87.3 83.7 77.4 - 6.3

23 제 2 장. 국내 돼지가격 추이 1. 돼지 가격 동향 가. 연도별 돼지가격 구 분 산지가격 (원) 도매가격(전국) (원/kg)
1. 돼지 가격 동향 가. 연도별 돼지가격 구 분 산지가격 (원) 도매가격(전국) (원/kg) 비 고 ’94 1,586 2,381 냉장육 수입개방 ’97 1,710 2,431 냉동육 수입개방 ’00 1,660 2,499 대일 수출중단 ’03 1,640 2,444 ’04 2,350 3,479 미국산 쇠고기 수입중단 ‘05 2,530 3,730 ‘06 2,470 3,672 증감(%)(’05/’04) -2.4 -1.6

24 연도별 지육가격 추이

25 나. 월별 돼지가격 추이 (단위: 원/kg) 구 분 지 육 가 격 증감(%) (’07/’06) 가격지수 ‘05 ‘06 ‘07
구 분 지 육 가 격 증감(%) (’07/’06) 가격지수 ‘05 ‘06 ‘07 1 3,867 3,834 3,338 - 12.9 92.6 2 3,896 3.599 3,275 94.1 3 3,696 3,508 3,118 - 11.1 96.1 4 3,649 3,663 3,231 - 11.8 105.9 5 4,067 4,408 3,445 - 21.8 115.2 6 4,285 4,695 3,938 - 16.1 116.2 7 3,994 3,960 3,799(1-6) - 108.3 8 3,958 3,687 103.6 9 3,613 3,310 90.5 10 2,952 2,765 79.8 11 3,214 3,205 93.2 12 3,560 3,430 101.0 평 균 3,741 (3,835) 3,672 (3,802) (3,281) (-13.7) 100.0

26 o 월별 지육가격 지수

27 o 월별 지육가격 추이 생산비 (3,200원선)

28 다. ’06년이후 국내 돼지 지육 및 유통가격 특징 o 출하두수 감소율에도 불구하고 지육가격 상승율이 저조.
구 분 ‘04 ‘05 ‘06 비율(%) ’06/’05 ’06/’04 지육가격 3,514 3,812 3,682 - 3.4 4.8 출하두수 11,966 11,035 10,610 - 3.9 -11.3 o 부위별 소비 경향 변화 가시화 - 삼겹살을 제외하고 냉장육 판매 부진 : 품질 악화 주 요인 구분 안심 등심 후지 삼겹살 목심 전지 갈비 평균 ’05.12 83 58 61 85 73 59 71.7 ’06.10 77 45 46 87 79 68 60 56.0 차이 - 6 -13 -15 4 -6 -5 1 -2.7

29 라. 돼지고기 부위별 유통가격 구분 냉 장 육 냉 동 육 삼겹살 목 심 갈 비 후 지 ’05.3 6 9 12 ’06. 3
(단위 : 원/kg) 구분 냉 장 육 냉 동 육 삼겹살 목 심 갈 비 후 지 ’05.3 10,400 8,400 6,800 8,800 7,300 6,200 3,700 6 11,400 9,200 6,700 8,900 3,800 9 10,500 8,700 7,800 6,500 6,000 12 9,500 7,500 7,100 3,200 ’06. 3 10,300 8,500 6,900 7,700 6,300 3,300 13,400 11,000 9,300 8,300 6,600 10,700 7,200 3,100 10,000 8,200 7,400 ’07. 3 6,400 5,900 2,900 5 9,700 7,900 5,500 3,000 증감 (‘06/’05) 5.3 16.0 -12.8 15.5 19.4 -7.7 -3.1

30 3. 돼지고기 지육가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상호 관계
구 분 돼 지 고 기 쇠고기 가 격 (지육) 닭고기 (통닭) 출하두수 소비량 수입량 수출량 지육가격 1.00 0.32 ∆0.10 0.19 ∆ 0.75 0.26 0.11 소 비 량 0.02 0.27 ∆ 0.35 0.03 0.51 수 입 량 ∆0.72 ∆ 0.60 0.93 0.42 수 출 량 ∆0.19 ∆0.27 0.67 0.71 0.74 ∆0.75 ∆0.35 ∆0.60 ∆0.67 ∆0.38 쇠고기(지육가격) ∆ 0.67 ∆0.40 닭고기(지육가격)

31 4.국내 돼지고기 유통여건의 변화 가. 세계 육류 교류 확대(FTA)
나. 국내 생산기반 위축(질병 , 생산성 저하, 생산비 인상 등) 다. 육류 산업의 구조조정 필요성 대두 O 도축장 구조 조정 O 도축세 폐지 O 육가공산업(1차, 2차 산업)의 위축 라. 소비자의 수입육에 대한 인식 제고 마. 육류 판매 마케팅의 다양화 바. 국내 육류 시장변화 : 부산물 가격하락, 수익성 저하 등

32 제 3 장. 국내 FTA 추진 현황과 양돈업 1. 우리 나라 FTA 추진 가. FTA협상 결과 및 진행현황 구분 상대국
진 행 현 황 비교 타결 국가 칠 레 ’04. 4월 발효 싱가폴 ’06. 3월 발효 EFTA ’06. 9월 발효 유럽자유무역국가 ASEN ’07. 6월 상품무역협정 발효 동남아시아 연합국가 미 국 ’07. 4월 협상 타결 추진 EU ’07. 5월 협상 개시(서울) 일 본 ’03. 12월 협상개시 ’04.1 1월 6차 (교착) ASEAE ’05. 2월 협상개시 일부 품목 계속 카나다 ’06. 6월 제 3차 협상 개최 멕시코 ’04.10-’05.6 멕시코 소극적 태도 인 도 ’07. 4월 6차 협상 개최 기타 여건 조성국 MERCOSUR, 중국, GCC 국가와 추진 협의

33 2. 한.칠레 FTA 추진결과 가. 한. 칠레 FTA 관세 철폐 이행계획
구분 기준 세율 연도별 관세율(%) 양허 유형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냉동 26.2 23.8 21.4 19.0 16.7 14.3 11.9 9.5 7.2 4.8 2.4 10년내 철 폐 냉장 23.2 21.1 16.9 14.8 12.6 10.6 8.4 6.3 4.2 2.1 나. 한. 칠레 FTA 이후 돼지고기 수입실적 (단위 : 톤) 구 분 FTA체결 전 FTA체결 후 ‘01 ‘02 ‘03 ‘04 ‘05 ’06 전 국 51,516 71,045 60,813 108,812 173,556 210,555 칠레산 - 6,460 29,110 52,126 77,374 22,348 비율(%) 9.1 47.9 44.6 10.6

34 O 칠레의 주요 수출국 및 실적(’06년) (단위 : 톤)
구 분 일본 한국 멕시코 기타 물량 50,258 30,865 4,929 29,050 115,102 (비율 %) 43.66 26.82 4.28 25.24 100.00 업 체 명 물 량(톤) 비율(%) Agricola Ind. Id Valledor AASA 2,938 9.52 Agricola Lyon Limitada 22 0.07 Agrosuper com. De Ailimentos LTDA. 23,657 76.65 Coexca. S. A 338 1.09 Frigorifico Ohiggins S.A 1,128 3.66 Nippon Meat Packers Inc. 2,762 8.95 Soc. DE export. E Import. Secm Chile 20 0.06 30,865 100.0

35 가. 주요국가와의 FTA에 따른 축산물에 미치는 영향 정도
구 분 육 류 낙농제품 돼지고기 쇠고기 닭고기 ASEAE O - # 캐나다 멕시코 MERCOSUR 인 도 미 국 EU 일 본 중 국 * 참 조 : # 영향 강함, o 중간 정도 영향, - 영향없음. * 자료 : 농촌경제연구원

36 나. 한미 FTA 타결 내용 o 냉장 삼겹살과 기타 (갈비, 목살 등) : 10년 폐지 - 10년차 까지 SG발동 - SG발동 물량 : 8,250톤 -> 13,938톤(매년 복리 6% 증량) SG발동 세율 : 100%(1- 5년차) (6-10년차) : 70% ->50%(매년 5% 삭감) o 냉장육(도체와 이분도체, 전후지) 냉동육, 식용 설육, 돼지고기 가공품 2014년 1월 1일에 폐지 o 소시지 : 5년 폐지

37 구 분 냉장(삼겹살), 기타 냉장육 냉동육 식육 설육 소시지 세율 (%) SG발동 물량 (톤) (전후지) ’06(기존)
22.50 - 25.00 18.0 1년차(’09) 20.25 8,250 100 18.75 20.83 15.0 2년차(’10) 18.00 8,745 15.00 16.66 12.0 3년차(’11) 15.75 9,270 11.25 12.49 9.0 9.2 4년차(’12) 13.50 9,826 7.50 8.32 6.0 5년차(’13) 10,415 3.75 4.15 3.0 6년차(’14) 9.00 11,040 70 7년차(’15) 6.75 11,703 65 8년차(’16) 4.50 12,405 60 9년차(’17) 2.25 13,149 55 10년차(’18) 13,933 50

38 O 미국산 돼지고기의 냉장육 및 냉동육 수입량 (’06년 기준)
구분 냉 장 냉 동 전체 미국 비율 갈 비 32 100 25,383 4,141 16 25,415 4,173 후 지 - 1,765 1,000 56 안 심 4 106 84 79 110 88 80 등 심 19 713 216 30 732 235 목 심 1,855 1,402 76 40,588 1,742 42,443 3,144 7 삼겹살 7,496 5,155 69 85,144 1,095 1 92,640 6,250 전 지 813 473 58 20,612 15,441 75 21,425 15,914 74 기 타 330 172 52 25,632 13,875 54 25,962 14,047 10,549 7,257 199,943 37,594 210,492 44,851 21

39 o 한국산과 미국산의 지육가격 추이(’06년-’07년)

40 라. 한. 미 FTA 체결에 따른 양돈산업에 미친 영향 o 경제적인 피해 발생 : 2-6조 추정
품목명 생산량 감소량 (톤) 생산자 소득 감소액 (억원) 생산자수입감소율 (%) 농산물 전체 88,910 15,267 11.8 축 산 쇠 고 기 12,711 3,453 26.4 돼지고기 22,917 2,455 9.7 닭 고 기 9,094 919 10.5 분 유 3,110 702 35.8 소 계 47,832 7,529 15.4 * 자료 : 농촌경제연구원, “한.미 FTA의경제적 효과에 대한 부분균형모형 분석” ’05.12 o 양돈농가의 심리적인 피해 o 관련 산업 위축 : 도축 감소에 의해 발생 양돈농가, 사료업체, 동물약품업체, 도축가공업체. 등

41 o 수입량 증가로 인한 국내 사육두수 및 가격 변화(KMTA)
항 목 현 행 (25%) 관 세 율 변 화(%) 20% 15% 10% 5% 0% 사육두수 감 소률(%) - 4.0 7.8 12.2 17.2 22.9 자 급 률(%) 80.2 79.5 78.7 77.8 76.8 75.6 유통가격 하 락 률(%) 100 96.1 (-3.9) 92.4 (-7.6) 88.4 (-11.6) 84.5 (-15.5) 80.7 (-19.3)

42 제 4 장. 국내 양돈업 전망 1. 국내 돼지고기 수급 및 유통시장 전망 가. 국내 양돈업 여건 1) 생산여건
제 4 장. 국내 양돈업 전망 1. 국내 돼지고기 수급 및 유통시장 전망 가. 국내 양돈업 여건 1) 생산여건 o 소모성 질병과 생산성 저하 지속 - 산자수 ( 9.02두(’05) -> 8.75두(’06)] - 육성률 : %(’04) -> 81.45%(’05) -> 80.5%(’06) - 모돈 회전수 : 1.99회(’04) -> 1.94회(’05) o 환경오염 단속 강화 2) 소비여건 : 경기부진의 소비 악화 3) 수출여건 : 등심 등 저지방 부위의 일정 가격수준유지를 위한 수출필요 4) 수입여건 : 오퍼 가격 상승, 국내 생산량 부족으로 수입량 증가

43 2. ’07년도 돼지 출하두수 전망 (단위: 천두) 구분 ’05 ’06 ’07 (추정치) (실적치) 증감(%)
2. ’07년도 돼지 출하두수 전망 (단위: 천두) 구분 ’05 ’06 ’07 (추정치) (실적치) 증감(%) (’07/’06) 1 1,204 1,097 1,172 1,185 8.0 2(구정) 1,021 1,029 1,006 1,048 1.8 3 1,207 1,169 1,117 1,160 - 0.8 4 1,151 1,049 1,130 1,122 10.1 5 1,061 1,054 1,192 1,163 13.1 6 1,026 965 1,082 - 12.1 7 980 912 1,126 23.5 8 1,125 1,070 1,194 11.6 9(추석) 1,099 1,177 1,068 - 9.3 10 1,161 1,088 1,190 9.4 11 1,250 1,235 1,208 - 2.2 12 1,179 1,158 1,114 - 3.8 (1-5월) 13,464 13,003 13,600 (5,617) (5,679) 4.6 (1.1)

44 o ’07년도 월별 출하두수 추정치 및 실적치

45 3. 돼지고기 수급전망 (단위 : 톤) 구 분 ’05 (실적치) ’06 (잠정치) ’07 (추정치) 증감(%)
(’07/’06) 공 급 이 월 량 24,746 46,633 47,729 2.3 생 산 량 701,451 677,441 698,560 3.1 수 입 량 173,598 210,555 231,495 9.9 소 계 899,870 934,629 977,784 4.6 수 요 소 비 량 (1인당) 838,479 (17.82) 874,704 (18.11) 916,057 (18.90) 4.7 (4.3) 수 출 량 14,738 12,216 20,000 63.7 재 고 량 41,727 -12.6 자급률(%) 83.7 77.4 76.3 -1.1

46 4. ’07년도 하반기 돼지 지육가격 전망

47 5. 해외 주요국가의 가격 추이 (단위: $/Kg) 구 분 한 국 일 본 미 국 프랑스 덴마크 벨기에 ’03.12 2.11
2.68 1.22 1.31 1.18 1.54 ’04.12 3.27 4.08 1.56 1.86 1.57 2.24 ’05.12 3.29 3.96 1.43 1.60 1.40 1.91 ’06.12 3.45 3.32 1.33 1.49 1.93 ’07.1 3.42 3.41 1.41 1.30 1.47 1.90 2 3.31 3.52 1.55 1.94 3 3.38 3.89 1.42 1.46 1.89 4 3.39 4.05 1.63 1.52 1.73 5 3.69 4.10 1.69 1.50 증감(%) (’07/’06) 7.0 23.5 20.7 12.8 2.0 -10.4


Download ppt "국내 돼지고기 시장 현황 양 형 조 (사) 한국육류유통수출입협회."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