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담당- 하정미 멜라니 클레인의 대상관계이론 Slipp, Samuel. 1993. Object Relations: a Dynamic Bridge Between Individual and Family Treatment. Northvale, New Jersey: Jason.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담당- 하정미 멜라니 클레인의 대상관계이론 Slipp, Samuel. 1993. Object Relations: a Dynamic Bridge Between Individual and Family Treatment. Northvale, New Jersey: Jason."— Presentation transcript:

1 담당- 하정미 멜라니 클레인의 대상관계이론 Slipp, Samuel Object Relations: a Dynamic Bridge Between Individual and Family Treatment. Northvale, New Jersey: Jason Aronson Inc. pP

2 1. 대상관계이론의 기초가 된 클레인의 이론 Ferenczi와 Abraham에 의해 분석을 받았던 클레인은 자신의 경험에서 나온 통찰력들을 모아 체계적인 이 론으로 만들었다. 클레인은(1948) 성인과 아동 환자에 대한 연구를 통 하여 삶의 초기에 초점을 맞추었고 우리가 유아와 어 머니의 상호작용을 인식하는 데에 크게 기여하였다. 프로이트는 일차적으로 유아는 자신의 내적 원초아의 충동을 다루려고 하는 것으로 보았고 반면 클레인은 유 아는 날 때부터 대상을 지향하는 것으로 보았다.

3 1. 대상관계이론의 기초가 된 클레인의 이론 유아는 투사(projection)와 투입(introjection)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부분적으로는 선하며 또 부 분적으로는 악한 것으로 생각하였다가 이후에는 하나의 전체적인 대상으로 간주하는 어머니와 관계 맺기를 시도한다. 대상관계이론은 정신분 석의 많은 학파를 포함하지만 그 기본적인 것은 클레인의 연구이며 특히 자아와 투사되거나 투 입된 대상들과의 주관적 대화이다.

4 2. 클레인이 설명한 환상의 역할 클레인이 유아의 발달에 대한 이해에 대한 주된 기여는 환상(fantasy)의 역할에 관한 것이었다. 환상은 본능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며 심리발달에 주 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클레인은 심지어 본능을 어머니와 아이라는 두 사람의 관계 의 맥락에서 단순한 또 다른 형태의 환상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접근은 프로이트의 입장과 정반대이다. 프로이트 는 본능이 환상을 창조한다고 믿었던 반면 클레인은 환상 이 본능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았다.

5 2. 클레인이 설명한 환상의 역할 환상은 유아가 자신을 규제하고 대상에 애착을 갖기 위하 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유아는 자신의 세계를 탐구하 고 어머니와 의사소통하기 위하여 환상을 사용한 다. 유아는 외부의 투입에 대한 수동적인 수용자가 아니며 자 신의 환경과 분리된 존재도 아니라. 오히려 유아는 분리 (splitting)와 투사적동일시(projective identification)이라는 두 가지 원시적인 심리 메카니 즘의 기초로써 환상을 사용한다.

6 <투사적동일시 Grotstein(1981)> >
“자기(the self)가 자기 자신이나 자신의 어떤 면을 탐구 나 방어적 목적으로 한 대상에게로 위치 전환하는 무의 식적 환상을 경험하는 심리기제를 말한다. 만일 투사적 동일시가 방어적이라면 자기는 그것의 위치를 전환하여 원치 않는 자신이나 측면들을 분리하여 없애 버릴 수 있 다고 믿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자기가 그 대상 으로 들어가 적극적으로 그것을 조종하거나 소극적으로 는 무망감(helplessness)을 면하기 위하여 그 속으로 사 리질 수 있다는 환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p. 123)”

7 <투사적동일시> > 투사적동일시는 본질적으로 유아가 어머니의 몸속으로 되돌아가거나 어머니의 몸을 조종하기 위한 시도로 간주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Melanie Klein(1948)에 의해 가장 먼저 설명되었고 자기와 대상 사이의 구분이 어려운 시기인 유 아기발달의 “편집분열(paranoid-schizoid)" 단계 동안에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유아가 살아남기 위하여 자아의 생존에 필수적인 좋은 어 머니(the good mother)는 투입되며 자기의 나쁜 부분인 공격성은 분리되고 다른 사람에게로 투사됨으로써 처분 된다. 따라서 내면으로부터 자아를 파괴하려는 위협은 다른 사 람에게로 투사된다. 유아는 대상을 통제하고 소유하는 전지적 환상을 즐긴다.

8 <투사적동일시> > 유아는 나쁜 대상으로 경험되는 것을 내부로부터 외부의 대상으로 옮겨 그것을 없애버림으로써 고통스러운 감정 을 다룬다. 그 때 이러한 방어적 작전의 효과는 유아에 의 하여 내면화된다. 어머니의 젖은 유아를 깨무는 위험한 내적 나쁜 젖으로써 내면화되고 경험되는 나쁜 대상이라 는 환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유아는 자기 스스로의 감각기관으로부터의 자극 에 기초하여 자신의 세계를 자아중심적으로 해석한다. 이 러한 메커니즘은 탐구적 투사적동일시의 예이다. 유아가 잠을 자는 동안 어머니와 하나가 되기 위하여 퇴 행하는 것은 방어적 투사적동일시의 한 가지 예이다. 이 러한 투사적동일시의 사용에서도 유아는 외부적 대상과 접촉을 잃지 않는다.

9 <투사적동일시> > 이러한 시간 동안 유아는 고통을 일으키는 나쁜 대상 들로부터 핍박을 당한다고 느낀다. 클레인은 이것을 편집분열위치(the paranoid-schizoid position)라 고 하였다. 이러한 단계는 삶의 첫 4달 동안 지속되며 Mahler의 자폐 적이며 공생적 단계와 일치한다. 이러한 클레인의 이론은 또한 Jean Piaget(1954, 1963)에 의해 설명된 유아가 감각적 투입을 기초로 하여 환경의 스키마를 개발하는 감각운동기의 구체적 조작기와도 일 치한다.

10 3. 클레인의 유아의 발달에 관한 이해 환상은 유아에게 자기와 대상으로 이루어진 첫 번째 내면 세계를 창조한다.
이러한 세계는 원시적이며 갈등적이지만 이 세계를 통하 여 외부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자기를 이해하기 위한 첫 번째 시도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신화가 원시적 문화에서 사용되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환상은 적응을 위해 사용된 첫 번째 방법이다. 클레인은 편집분열단계에 있는 유아는 부분적으로 대상 관계를 가지므로 전체로써 타인을 보는 것이 아니라 분리 된 존재로 보며 마술적인 전능함을 느낀다고 생각하였다.

11 3. 클레인의 유아의 발달에 관한 이해 클레인의 두 번째 발달단계는 Mahler의 분리-개성화 (separation-individuation)의 단계에 해당하는 우울위치 (depressive position)이다. 클레인은 유아는 내적 그리고 외적 대상을 마술처럼 조종 하는 환상을 포기하고 투사적동일시를 통하여 자신의 전 능함을 어머니에게로 이전한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어머니는 이상화되며 유아는 그녀와 공생적으로 연합하려고 한다. 따라서 아동은 전능한 어머니와 하나 가 되는 마술적 환상에 의해 자신의 무력함에 대처한다. 이러한 동일시와 연합과 함께 유아는 이 시기에 병적 방 어와 억제를 사용하며 전체적 대상으로써 타인과 관계하 기 시작한다.

12 4. Margaret Mahler의 유아의 발달에 관한 이해
공생적 단계(symbiotic phase) 자폐단계(autistic phase: -3개월) 공생적단계(symbiotic phase: -6개월) - 어머니의 정신적 표상으로 유아는 전능 감을 가지므로 자 아경계의 혼돈이 초래된다. 유아는 자신의 무망감에 대 항한 방어를 위하여 분리를 부정함으로써 이러한 융합 이 기능한다. 유아는 생존에 필수적인 어머니를 마술적 으로 조종하기 위한 정신내적 방법을 시도한다.

13 4. Margaret Mahler의 유아의 발달에 관한 이해
공생적 단계(symbiotic phase) Mahler의 아동 발달단계(Mahler and Furer, 1968, Mahler, Pine and Bergman, 1975)는 클레인학파와 대상관계 이론 가들의 것과 매우 유사하다. Mahler는 자기표상(self representation)과 대상표상 (object representation)간의 차이를 잘 구별하지 못하는 특성을 갖는 4-6개월 정도까지의 기간의 공생적 단계 (symbiotic phase)를 설명하였다. 유아는 공통적 자아 경 계를 갖는 어머니와의 융합된 자기를 경험함으로써 자 신의 무력함에 대처한다. 유아는 전능한 어머니의 일부 분 또는 하나 됨을 느낌으로써 자신감과 권력을 빌려 사 용하는 것이다.

14 4. Margaret Mahler의 유아의 발달에 관한 이해
(2) 분리-개별화단계(separation-individuation phase) 다음 단계는 3살 정도까지 지속되며 알에서 깨어나기 (hatching), 실천하기(practicing), 그리고 화해 (rapprochement)라는 하위단계로 구분되는 분리-개별화 (separation-individuation)단계이다. 이전의 공생단계와 마찬가지로 어머니는 유아의 발달적 욕구에 반응적이어야 하며 이 단계에서 어머니는 걸음마 단계의 아기가 자신의 세계로 나아가고 탐구하는 모험을 하도록 허락하고 격려하여야 한다. 아기가 운동기술을 습 득하고 자신의 환경에 대처하는 능력을 기르는 동안 어머 니는 현실에 대한 닻으로써 그리고 필요할 때 위로와 안 전을 제공하는 재충전의 장소로써 계속 기능해야 한다. 만약 어머니가 이러한 아기의 욕구에 잘 대응하지 않으면 공생단계가 해소되지 않아 발달적 지체가 초래된다.

15 4. Margaret Mahler의 유아의 발달에 관한 이해
(2) 분리-개별화단계(separation-individuation phase) Mahler는 개별화를 심리 발달에의 자율성과 같은 것으로 정의하며 분리는 자기와 어머니 사이의 거리와 경계 를 설정하여 대상으로부터 자기를 구분하는 것으 로 정의한다. 만일 이러한 과정이 성공하면 화해의 하위단계에서 어머 니가 내면화된다. 이러한 아동은 어머니의 사랑이 그녀 가 없는 동안에도 여전히 지속된다는 것을 믿을 수 있게 된다. 그 아동은 필요로 할 때 심리적으로 실제의 어머니 가 존재할 때와 같이 위로와 양육과 사랑을 제공하는 어 머니의 이미지를 자신의 기억 속에서 꺼내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6 4. Margaret Mahler의 유아의 발달에 관한 이해
(2) 분리-개별화단계(separation-individuation phase) 이 때 상대적으로 자율적인 분리되고 응집된 자기의 발달 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대상 영속성이 발생한다. 그 아동 은 따라서 자기존중(self-esteem)을 유지하기 위한 자기 애의 공급원(narcissistic supplies)이 되는 위로(soothing) 와 자기조절(self-regulation)을 제공하면서 자기 속에서 어머니의 균형유지(equilibrium-maintaining) 기능을 감 당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아동은 양가감정을 견딜 수 있는 법을 배워 분리방 어가 더 이상 필요치 않고 선하고 나쁜 모든 면을 가진 전 체적이며 분리된 개별존재로써 타인과 관계하게 된다.

17 4. Margaret Mahler의 유아의 발달에 관한 이해
(2) 분리-개별화단계(separation-individuation phase) 화해의 하위단계 동안 자기 무력함과 분리에 대한 인식과 전능감의 상실에 동반하여 대상에 대한 사랑의 상실과 고 통에 대한 염려가 발생한다. 초자아를 발달시키는 규칙과 요구 그리고 이상의 내면화 와 함께 자아의 구조화가 이루어진다. 그 아동은 능숙하 게 말할 수 있게 되고 타인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발달과 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징적인 연극과 예술을 통하여 자 신을 말로 표현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18 4. Margaret Mahler의 유아의 발달에 관한 이해
(3) 발달지체로 인한 문제 만일 발달지체가 발생하면 공생적 관계가 계속 되어 개인 은 환경 속에서 타인에 의한 자기존중의 조절에 대하여 지나치게 민감하게 된다. -자기애적 장애 분리적이며 응집적이지만 자율적이지 못한 자기를 갖게 되는 자기애적 장애의 경우 타인들은 자기존중감을 유지 하기 위한 욕구-만족적(need-satisfying) 대상으로 경험된 다. 이러한 환자들은 요구적이며 타인의 분리 동기로 인한 어 떠한 제약에도 분노하게 된다.

19 4. Margaret Mahler의 유아의 발달에 관한 이해
(3) 발달지체로 인한 문제 -경계선 장애 어머니와 분리되거나 내면화를 위한 부수적 도구로써 전 환대상에 의지한 경험이 없는 경계선 장애환자들은 응집 적 자기(cohesive self)를 이루지 못한다. 대상의 상실은 자기존중을 유지하기 위한 자기애적 공급 원의 상실을 초래할 뿐 아니라 자기의 조직이나 응집력에 위협을 받는다.

20 4. Margaret Mahler의 유아의 발달에 관한 이해
(3) 발달지체로 인한 문제 이러한 두 가지 형태의 환자 모두는 외부대상에 대한 통 제를 유지하려고 하며 자기 자신의 자기존중과 심리적 생 존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끌어내려고 한다. 그들의 정신적 구조 속에서 자기애적 균형을 유지하 기 위한 내적 긴장경감 메커니즘의 결핍 때문에 그 들은 긴장을 경감하고 자기존중감을 조절하기 위하여 환 경적 자기대상들에 대하여 지나치게 민감하게 된다.


Download ppt "담당- 하정미 멜라니 클레인의 대상관계이론 Slipp, Samuel. 1993. Object Relations: a Dynamic Bridge Between Individual and Family Treatment. Northvale, New Jersey: Jason."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