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7.1 경기변동의 후생비용
2
경기변동의 후생비용 경기변동으로 소비가 변동하면 효용이 감소하게 되어 후생비용이 발생한다.
즉, 두 기간에 각각 C1과C2를 소비하는 것보다 두 기간에 일정한 (C1+C2)/2를 소비 하는 게 더 효용이 크다. 7.3 실물경기 변동이론 MACRO ECONOMICS
3
7.2 합리적 기대의 최적성
4
합리적 기대 합리적 기대(Rational expectation) 체계적 오차가 존재하지 않는 기대형성방법
체계적 오차의 발생 원인 이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 합리적 기대에서는 이용 가능한 모든 정보 이용( 정보 집합) 이용 가능한 정보를 이론적으로 가장 타당한 원리에 따라 이용하지 않기 때문 합리적 기대에서는 수학적으로 구한 조건부 기대값 이용 7.3 실물경기 변동이론 MACRO ECONOMICS
5
합리적 기대 합리적 기대 미래 인플레이션은 정보집합의 함수이다.
정보의 내용이 변하면 함수관계도 변하므로 체계적인 오차를 피할 수 있다. 정보집합에는 변수들 사이의 관계, 알려진 모든 자료, 정부 정책의 성향 등이 포함 정보집합에 포함되는 내용은 다양하지만, 이용되는 정보는 모형에 따라 다르다 어떤 주제 연구 시 어떻게 정보의 범위를 정할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 7.3 실물경기 변동이론 MACRO ECONOMICS
6
합리적 기대 합리적 기대( 조건부 기대값과 정보집합) 정보가 주어지면 더 정확한 기대값을 구할 수 있다.
표 읽기: 인플레이션 0% 이고, 실업률 6%일 확률 2/ 인플레이션 0%, 이고, 실업률 4%일 확률 1/ 인플레이션 5%, 이고, 실업률 4%일 확률 3/9 인플레이션이 0%라는 정보가 주어질 때 실업률이 6%, 4%일 각각의 조건부 확률 (2/9)/(1/3)=2/3, (1/9)/(1/3)=1/3 6 4 2 인플레이션의 주변확률분포 2/9 1/9 1/3 5 3/9 10 실업률의 주변확률분포 5/9 7.3 실물경기 변동이론 MACRO ECONOMICS
7
합리적 기대 합리적 기대( 조건부 기대값과 정보집합) (continued) 정보가 없을 때의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의 기대값
인플레이션이라는 정보가 주어질 때 실업률의 기대값 7.3 실물경기 변동이론 MACRO ECONOMICS
8
합리적 기대의 최적성 합리적 기대의 최적성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킬 때 합리적 기대는 최적성을 보인다.
정보집합에 포함된 정보를 모두 기대에 이용 체계적 오차가 존재하지 않는다. 7.3 실물경기 변동이론 MACRO ECONOMICS
9
합리적 기대의 최적성 합리적 기대의 최적성 위의 두 조건은 다음과 같이 증명 할 수 있다. 를 이용하여,
7.3 실물경기 변동이론 MACRO ECONOMICS
10
7.3 실물경기변동이론
11
실물경기변동이론 전형적인 실물경기변동 모형(prototype real business cycle model)
(1) 자원 제약식 : 산출량은 소비와 투자에 모두 사용 (2) 자본의 이행식 : 다음 기의 자본은 현재 생산에 사용하고 남은 자본과 설치되고 있는 자본의 합 (3) 기술충격의 이행식 : 외생적으로 주어짐 (4) 초기 조건이 주어지지 않으면 문제 자체가 잘 정의되지 않는다. 7.3 실물경기 변동이론 MACRO ECONOMICS
12
실물경기변동이론 전형적인 실물경기변동이론의 특징 대표적 경제주체모형(representative agent model)이다.
이러한 모형의 한계는 현재 가계와 기업의 다양한 이질성을 도입하여 극복 시장의 왜곡(distortion)을 일으키는 요인이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조세를 비롯한 다양한 왜곡요인이 도입 경기변동을 일으키는 시발점은 생산성 충격(productivity shock)이다. 현재는 실물충격뿐 아니라 수요충격(화폐충격) 까지 도입 7.3 실물경기 변동이론 MACRO ECONOMICS
13
실물경기변동이론 전형적인 실물경기변동이론의 특징 (continued)
경기변동의 전파경로는 충격에 따른 기간간 대체효과와 자본축적에 의존 t기에 양의 생산성 충격발생 → t기의 노동공급 증가, t+1기의 노동공급 감소 (기간간 대체 효과) → t기의 산출량 증가로 자본축적도 증가 → t+1기의 자본량 증가 → t+1기의 노동 생 산성 증가로 높은 수준의 고용이 지속 실물경기변동 이론은 불확실성하의 최적 성장모형의 이용가능성을 넓힘 수량적인 분석(quantitative analysis)은 실물경기변동이론의 핵심적인 공헌 7.3 실물경기 변동이론 MACRO ECONOMICS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