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공중보건학 제1강.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공중보건학 제1강."— Presentation transcript:

1 공중보건학 제1강

2 목차 건강의 개념 1 공중보건학의 개념 2 건강증진과 건강관리 3 공중보건학

3 제1절 건강의 의의 건강의 의의 건강의 어원은 건강의 개념은 시대와 문화에 따른 변화
Whole(전체, 완전한)에서 시작되어 hale로, 그리고 health로 변형되었는데, 이것은 건강의 개념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 모두 건강해야 한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 건강의 개념은 시대와 문화에 따른 변화 19C 이전 신체적인 건강 개념 19C 심신의 개념으로 확대 20C 이후 총체적인 생활개념으로 변화 공중보건학

4 건강개념의 시대적 변천 19세기 이전 신체개념 19세기 심신개념 20세기 이후 생활개념 WHO의 건강개념
생의학적 모델(인간=기계, 질병=기계의 부품이상) 19세기 심신개념 건강의 육체적-정신적 두 가지 측면에서의 정의 20세기 이후 생활개념 WHO의 건강개념 공중보건학

5 건강의 개념 설명 모형 생태학적 모델 사회-생태학적 모델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WHO 정의(1948년)
병원체, 환경과의 상호 균형상태를 건강 상태 사회-생태학적 모델 개인적인 요소, 즉 개인형태, 생활습관, 사회•문화적배경 등을 중요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WHO 정의(1948년) “Health is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and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or infirmity.” 공중보건학

6 건강이란? 육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사회적 건강 질병에 대한 감수성, 신체기능, 회복능력, 감각의 예민성과 업무의 수행능력
스트레스의 적응과 문제해결 등 건전한 사고능력과 안정된 가치관을 가진 상태 사회적 건강 복잡한 사회환경의 적응능력으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대인관계 능력 사회적 안녕의 완전한 상태란? 복잡한 사회환경 속에서 각 개인에게 주어진 역할과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 안녕 방향성, 진행성, 총체성, 기능성을 지닌다.  질병과 질병예방에 대한 관심보다는 적정한 기능과 창조적 인 적응에 기초를 두고 있다. 공중보건학

7 건강의 척도 무병하고 신체기능장애가 없을 것 신체의 존재에 대해 의식적으로 느끼지 말 것
일상생활에 보람을 느끼고 적당한 정력과 쾌활감이 있을 것 좋은 식욕과 안정된 몸무게를 유지할 것 숙면, 심신의 안락 정서적 안정과 사회생활의 조화 등이다. 공중보건학

8 제2절 건강문제의 변화 사회, 경제 수준의 향상 과학과 의학의 발달 생활환경의 개선과 국민 영양상태의 개선 최근의 질환들은…
국민보건 수준과 질병발생 양상에 변화 과학과 의학의 발달 병의 만성, 퇴행성 질환으로 변화 병리학적 소인보다는 사회병리학적 소인이 중요 생활환경의 개선과 국민 영양상태의 개선 전염성질환의 감소 최근의 질환들은… 인구증가와 극심해지는 환경오염, 식생활의 변화, 스트레스의 증가, 가치관의 변화, 자살, 사고, 정신질환의 증가 공중보건학

9 질병관리 질병관리의 3단계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1차 예방 질병을 조기에 발견,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2차 예방
1차 예방으로는 예방접종, 생활환경개선, 영양섭취 등과 같이 건강영향요인들을 관리하는 것과 생활 조건을 개선하고 환경에 대한 적응능력을 배양하고 보건지식을 함양하는 것 질병을 조기에 발견,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2차 예방 질병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손상에 대한 후유증을 최소화하는 의학적 재활, 직업재활이 3차 예방 공중보건학

10 보건문제의 변화 20세기 후반에 새로운 각도의 접근… 급성전염병 시대에서 만성퇴행성질환으로 질병구조가 변화
세균설(germ theory)이 자리를 잃고 복수병인론(multiple causation theory)이 지배적 사망률이 감소한 반면 유병률이 증가하고, 평균수명의 증가로 인구의 노령화가 진행되어 의료의 수요가 급증 질병의 단순한 치료 뿐만 아니라 예방, 치료, 재활을 포함한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의료서비스 건강의 문제가 건강권의 권리로서 등장하여 수익권적 기본권의 성격을 지님 공중보건학

11 제 2장. 공중보건학의 개념

12 제 1절 공중보건학의 의의 공중보건학이란? 공중보건학의 정의
-환경위생, 전염병관리, 개인위생에 대한 교육, 질병의 조기진단과 예방치료를 위한 의료 및 간호사업조직, 건강의 유지를 위한 적합한 생활수준을 보장 받은 사회제도의 확립을 목표로 조직적인 지역사회의 노력을 통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시키며, 신체적-정신적 효율을 증진시키는 기술 이며 과학이다. -공중보건사업의 대상은 지역사회 전체 주민이며 공중 보건 사업수행의 최소단위는 지역사회이다. 공중보건학의 정의 “Public health is science and art of 1) preventing disease, 2)prolonging life, and 3)promoting health and efficiency through organized community effort for; The sanitation of the environment The control of communicable infections The education of the individual in personal hygiene The organization of medical and nursing services for the early diagnosis and preventive treatment of disease, and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machinery to insure everyone a standard of living adequate for the maintenance of health” 공중보건학

13 예방의학과 공중보건 예방의학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기 위하여 건강상태가 어떠한 조건으로 성립되고 있는가를 연구하는 경우 연구대상 개인이나 가족; 개인건강 공중보건 현실적으로 사회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들의 건강을 유지-증진시키기 위한 실천활동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경우 연구대상 지역사회 또는 국가와 같은 집단을 조직화된 사회적 노력으로써 전체를 다룸 공중보건학

14 예방의학과 공중보건의 목적 목적 공중보건학 vs 예방의학 공중보건 사업 수행의 3대 요소
질병은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증진시키며, 충분히 발육하게 함으로써 육체적-정신적 능력을 완전히 발휘시키는 데 있다. 공중보건학 vs 예방의학 일반적으로 공중보건학이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개선하려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데 반해 예방의학은 질병예방을 꾀하며 특히 치료의학에 대응되는 말로 사용 공중보건 사업 수행의 3대 요소 보건교육, 보건행정, 보건관계법; 보건교육이 가장 중요 보건사업의 계획 수립시에는 인력, 시설 및 장비, 재정, 조직을 고려해야 함 사회의학(social medicine) 의학을 사회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맥락 속에서 문제 해결하고자 하는 학문이다. 지역사회의학(community medicine) 보건의료 공급자와 일반주민 간의 역학적 과정으로 지역사회 모든 주민에게 포괄적 의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과학이다. 공중보건학

15 공중보건학의 주요내용 환경보건학 역학 보건통계 보건교육 환경요인에 대해 과학적 조치를 가함으로써 질병발생의 예방을 체계화한 것
질병의 발생원인을 규명한 것으로 질병이 발생되는 제반과정과 이에 관여하는 인자에 대한 연구 보건통계 자료를 정리하여 결론을 유도하는 과학적 방법으로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공중보건 활동을 가름하는 분야 보건교육 지역사회주민들이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 증진 시키는 모든 활동의 기초가 되는 분야 공중보건학

16 인구 및 가족계획: 보건행정: 모자보건: 산업보건:
인구증가로 야기될 수 있는 소위 3p(population, poverty, pollution)와 알맞은 수의 자녀를 알맞은 터울로 낳아서 잘 양육하여 잘 살 수 있도록 하자는 산아조절의 의미 보건행정: 공공의 책임하에 수행하는 행정활동으로 국민의 생명연장, 질병예방 및 육체적, 정신적 효율의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행하는 행정활동 분야 모자보건: 임신, 분만, 수유를 하는 기간과 영, 유아기의 건강관리 산업보건: 근로자의 건강 장애요소를 예방하고 근로조건과 환경을 개선하고 직업병 및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근로자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분야 공중보건학

17 제2절 공중보건의 발전과정 종교설 시대 점성설 시대 장기설 시대 접촉설 시대 세균설 시대 공중보건 시대
자연에 대한 인식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질병의 발생이 환경과 어떤 물리적 상태와 관계가 있다고 믿는 것 장기설 시대 질병관리방법으로서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데 대포를 발사, 불을 지르는 방법 및 연기소독법이 사용 환경위생을 향상시키는데 공헌 접촉설 시대 사람에게서 사람으로 질병이 전염될 수 있다는 접촉설 16세기 경에 이를 바탕으로 공중보건사업, 전염병 환자의 격리등은 결과적으로 전염병 퇴치에 크게 공헌 세균설 시대 면역학이 발전 질병을 예방하는 백신을 개발하게 되어 전염병 예방 공중보건 시대 위생개혁운동과 세균학의 발달로 20세기 초에 수 많은 질병을 극복 공중보건학

18 제3절 보건수준의 평가 건강수준 지표 건강지표인간의 개인, 가족, 사회 또는 인구 단위의 건강수준이나 특성을 설명하는 수량적 내용으로 다소 축소된 한계의 개념 보건지표인간의 건강뿐만 아니라 이에 관련되는 여러 사항 즉, 보건정책, 의료제도, 사회환경, 인구구조 또는 국민의 보건에 대한 규범이나 가치관 등을 나타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개념 공중보건학

19 영아사망률 여성, 아동건강의 척도이다 WHO 등 국제기구에서 각 국가의 보건수준을 평가하는데 가장 기초적인 지표로 이용
영아사망률이란? 출생아 1000명당 1년 이내에 사망하는 사망아의 수를 나타내는 보건지표 보건 수준 평가지표로 사용하는 이유는? 영아기간은 성인에 비해 환경악화나 비위생적인 생활환경에 가장 예민하게 영향을 받는 시기이기 때문 영아사망률 계산의 대상이 되는 생후 1년 미만 연령군의 사망률은 일반 사망률에 비해 통계적 유의성이 크기때문 공중보건학

20 조(보통) 사망률 인구 1,000명당 1년간의 전사망수를 조사망률이라고 한다.
이 경우 연령 구성이 다른 집단 간에 비교할 때에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공중보건학

21 신생아 사망률 신생아란? 생후 4주(28일) 이내의 영아를 말한다. 신생아 사망은 보통 신생아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선천적 질환이나 분만시의 사고 또는 조산 등에 주된 원인 영아사망과 신상아 사망을 상호 비교한 ∝-index(영아 사망수/신생아 사망수)를 가지고 보건수준을 평가한다 ∝-index의 값이 1이면 영아사망의 전부가 신생아 사망이라는 것이다. 이는 영아 기간중의 사망이 신생아 고유질환에 의한 사망뿐이라는 뜻으로 해석되기 때문에 ∝-index 값이 1에 가까울수록 보건수준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공중보건학

22 비례사망지수(PMI) 비례사망지수(proportional mortality indicator)란?
총 사망수에 대한 50세 이상의 사망수를 백분율로 표시한 지수이다. 비례사망지수가 낮은 경우는 낮은 평균수명때문이며, 비례사망지수 값이 크다는 것은 건강수준이 높고 장수 인구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평균수면이나 보통사망률의 보정지표로 유용하게 사용되기도 한다. 공중보건학

23 평균수명 0세 때의 평균여명(기대수명)을 평균수명이라 한다. 평균수명은 모든 국가에서 산출하는 가장 일반적인 보건지표이다.
평균수명의 증가는 사망력의 감소와 사망구조의 변화 특히 영유아 사망의 감소를 의미한다. 공중보건학

24 WHO의 건강지표 WHO는 한 나라의 건강수준을 제시하면서 다른 나라와 비교가 되는 종합적인 건강지표로서 평균수명
조사망률(보통사망률) PMI=(50세 이상의 사망수 / 총사망수)ⅹ100 공중보건학

25 제3장.건강증진과 건강관리

26 제1절. 건강증진의 의의 건강증진(health promotion)의 개념
현재의 건강상태를 유지하면서 개인의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환경 및 사회적 여건을 개선한다면 최상의 건강을 유지 할 수 있을 것이다. ‘사람들이 스스로의 건강을 관리하고 향상시키는 능력을 증진시키는 과정’이다. ‘건강증진은 건강을 위한 행동과 환경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도록 만드는 보건교육과 그와 관련되는 조직적, 정치적, 경제적 활동의 복합체’이다. ‘건강증진이란 최적의 건강상태에 도달하기 위해서 생활양식을 변화시키려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과학이며 예술이다’라고 한다. 건강증진은 개인의 생활습관 개선뿐만 아니라 환경 및 사회적 여건의 개선까지 포괄하는 것이다. 공중보건학

27 건강증진 목표와 전략 2000년대에는 사회구조 및 생활환경이 복잡, 다양화됨에 따라 건강 위해요인이 증가하고, 재해, 사고, 중독 등 응급의료서비스 욕구가 증가 할 것이다. 만성퇴행성 질환 비중의 증가로 재가 의료, 장기요양, 장기이식 및 인공장기 투입 등 새로운 보건의료 서비스 욕구가 다양하게 나타날 것. 병원균의 변종출현, 약품내성에 따른 기존 전염병의 존속, 신종, 재출현 전염병의 확산 등 감염성 질환 관리가 크게 부각될 전망이다. 목표는 상병이환 및 조기사망률을 줄임으로써 건강 수명을 연장하여 건강장수와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함. 공중보건학

28 건강증진을 위한 전략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지역 건강증진사업 활성화
국민들의 건강 생활실천을 유도하기 위한 사회적 환경여건 구성과 범국민 운동전개 중앙에 보건교육개발센터 설치를 통하여 교육홍보활동 지원 강화 주요 만성 퇴행성질환의 관리체계 강화와 보건기관 및 단체의 예방사업 활성화 학교보건교육의 강화 기초통계생산 및 조사연구의 활성화 국민건강증진 기금의 조속한 확보를 통한 사업 생활화 공중보건학

29 제2절 건강한 생활습관 중독성 약물 사회규범이나 법적으로 허용되어 있으나 반복적으로 과다하게 사용하면 인체에 치명적인 것들…
음주 흡연 운동 공중보건학

30 음주 지나친 알코올의 섭취는 신경과민증, 위장장애, 간경화, 심장질환, 고혈압 등을 초래한다 알코올에 의한 신경과민성은
근육의 불완전으로 손놀림, 발놀림, 혀놀림이 부자연스러우며, 정신력의 둔화로 건망증, 도덕관념상실, 상화오판 등 반이성적 행동… 알코올은 각종 사고사의 가장 큰 원인 교통사고, 작업장의 안전사고, 범죄, 자살 등.. 공중보건학

31 공중보건학

32 흡연 담배 연기속에 4,000종이나 되는 많은 독성 화학물질이 들어 있는 것으로 추정
불에 탈때 중심온도가 섭씨 900도에 이르게 되는데 이러한 고온에서 유기물질이 열분해, 열합성, 증류, 승화, 수소화, 탈수화 등의 과정을 거쳐 여러 종류의 화학물질이 생성 유해성분은 타르, 일산화탄소, 니코틴 폐암의 발생과 직접적인 영향 타르 속에는 발암물질 일산화탄소는 혈액의 산소운반을 저해하여 저산소증 현상 니코틴은 담배의 습관성 중독을 일으키는 마약성 물질로 담배 한개피에는 대략 1mg 정도 함유 사람에게 40mg이 치사량 공중보건학

33 카페인 카페인은 크산틴이라는 화학물질군에 속하는 약물이다
크산틴은 중추신경 자극제이며 정신적인 명료성을 강화하고 신체의 피곤함을 약화시키지만 불면증, 불규칙한 심장박동, 어지러움, 구역질, 소화불량, 정신착란을 초래한다 카페인 중독증(caffeinism) 만성 불면증, 초조함, 흥분, 신경과민, 불안 및 비자발성 근육경련 등을 호소함 커피를 하루에 67~100컵 정도 치사량 24시간이내에 10컵을 마셔도 이명, 시야에 점이 어른 거림, 팔과 다리의 무감각, 순환부전 및 시각환상과 같은 감각기관장애를 경험. 임산부는 카페인 복용을 피할 것을 권한다. 공중보건학

34 운동 운동은 정상 이상의 힘을 발휘하는 육체적 활동
규칙적인 운동은 생리적, 신진대사 그리고 정신적 측면에서 많은 이점이 있다. 관상동맥질환, 고혈압, 대장과 생식기계의 암, 골다공증, 우울증 등의 발생을 줄일 뿐만 아니라 심장기능의 향상, 산소 섭취 능력의 향상, 혈압감소, 신진대사율의 증가 질병에 대한 면역력 증대 그리고 수명을 연장시킨다고 보고하고 있다. 심리적으로 스트레스 해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공중보건학

35 공중보건학


Download ppt "공중보건학 제1강."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