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한국문화론 3.한국문화 총론.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한국문화론 3.한국문화 총론."— Presentation transcript:

1 한국문화론 3.한국문화 총론

2 1.한국문화의 특징 (1)한국문화상징 한글, 한복, 김치와 불고기, 불국사와 석굴암, 태권도, 고려인삼, 탈춤, 종묘제례악, 설악산 (2)세계적인 문화예술인 백남준, 윤이상, 이응노, 박수근, 정경화, 정명훈, 조수미, 백건우, 장영주, BTS 등 (3)특성-조화의 문화 (4)특징-다양성(음식, 종교, 의복 등)

3 (5)멋 -복잡하고, 섬세하고, 포괄적인 단어 -무형적, 유형적 사물이나 느낌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한국어에만 있는 개념이고 단어이다. -인간의 행동 양식, 예술, 기예 및 사물의 존재 양식에서 한국인의 독특한 감각과 정서로써 여과되고, 표출되는 미적 관념 또는 그 미적 형태 -美, 雅, 風流, 高尙, 優雅, 洗鍊(세련), 弄(롱)+handsome, beautiful, pretty, humor, fun, satire, wit, foppery, taste, sweet, lovely=“멋” -형태미, 표현미, 정신미

4 (6)정(情) -영어의 ‘love’와 상통하면서도 포괄적이면서 사랑과 구별되는 의미로 사용 -기본적 의미 자질은 느낌(feeling)이다. -범위는 사랑~미움까지 -반드시 시간이라는 조건이 들어가야 한다. -일반적인 사용은 ‘인정’이라고 한다. (7)한글문화, 선비문화, 효문화, 정문화, 조화의 문화, 복합 종교 문화, 음식 문화, 음악 문화, 무속문화, 근면 성실 문화 등

5 2.한국문화의 정체성 (1)규정 1)한국에서 태어나서,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고, 한국에서 자라고, 한국에서 교육받은 사람이라면 가질 수밖에 없는 사고방식, 생활양식 등이 있고, 이런 사람이 가지는 사고방식, 생활양식과 한국에서 생산된 유형적, 무형적 산물 2)한국인 부모에게서 태어나고,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하고, 한국 사람들과 어울려서 10년 이상 산 사람이 가지는 생각과 행동 및 이러한 생각과 행동에 의해 생산된 모든 무형적, 유형적 산물 3)한국 사람이나 다른 나라 사람에 의해 ‘한국문화’라고 인식되는 요소들.

6 (2)정신적 정체성 1)유교적 사고방식이 주류를 이룬다. 2)이성과 논리보다는 감성과 인정에 의해 판단하고 결정하는 경향이 있다. 3)성급하다. 4)법을 만능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5)종교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으나, 뿌리 깊은 민간 신앙인 무속이 기저에 있다. 6)조상을 공경하고, 효를 주요 덕목으로 생각한다. 7)개인보다는 가족을, 나라보다는 우리 회사를 더 중시한다. 8)집단을 만들고, 집단에 소속되는 것을 좋아한다. 9)남이 잘 되는 것에 대해 시기심이 많다. 10)민주주의를 숭상하고 정의를 사랑하긴 하나, 개인적 의리를 더 중시하는 경향도 동시에 있다. 11)학문과 예술을 존중하고 자연을 무척 좋아하는데, 특히 산을 소중히 여긴다. 12)때로는 낙관적이고 때로는 비관적이다. 따라서 때로는 인내하고 때로는 참지 못한다.

7 *정신적 정체성 용어 -홍익인간, 선비, 효도, 권선징악, 적서차별, 양반, 절개, 의리, 자연사랑, 조급성, 시기와 질투, 동정, 무속, 애국애족, 충성, 덕, 칠전팔기, 정, 한, 흥, 선, 신명, 체면, 지조, 성실, 사주팔자, 운명, 숙명, 가족, 연, 열정, 멋, 냄비근성, 역동성, 진취성, 예절, 인내, 관용, 근면, 우리주의 등 =유교적, 집단적, 연고적, 감성적, 역동적, 진취적

8 (3)상징적 정체성 1)한글과 태극기의 천지인의 조화와 음양오행설을 이념적 기저로 한다.
-흰색 바탕-한국 민족의 순결과 평화 애호의 정신 -태극의 붉은 색-양, 양지, 존귀를 의미 -푸른 색-음, 희망 -원-단일 민족의 정신과 해의 광명 -4괘-한국민족의 평등 사상 건-하늘, 봄, 동쪽, 仁 곤-땅, 여름, 서쪽, 義 감-달, 겨울, 북쪽, 智 리-해, 가을, 남쪽, 禮 -평화정신, 단일정신, 창조정신, 무궁정신, 자유와 평등의 정신

9 2)자연적, 원색적, 곡선적, 아기자기함 3)공식적인 상징적 정체성 -한글,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서울, 한강, 김치, 불고기, 된장, 한복, 국악, 한글, 서예, 씨름, 태권도, 국궁 등

10 (4)정치 제도의 정체성 1)대통령 중심, 입헌, 의회 민주주의 공화국으로서 삼권이 분리 2)한반도의 남부가 한국의 국토 3)지방자치제 실시 4)다당제, 다종교 국가 5)수도-서울, 개방 6)165개국과 수교(2005년 현재) 7)9년 의무교육 8)납세, 국방의 의무, 종교, 직업, 거주지, 결사의 자유 보장 9)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신봉 10)OECD, APEC회원국, UNESCO이사국

11 (5)사회적 정체성 1)인구-5147만(2017년 현재) 2)선거권-만 19세 3)교육, 납세, 국방의 의무
4)의무교육-만7세부터 9년간 5)단일 언어, 단일 민족, 단일 문화 국가 6)다종교 7)성-300개, 같은 성을 가진 사람이 많다. 8)사회계층-상,중,하(중류층이 대부분)

12 (6)언어적 정체성 1)한글의 독창성 2)1443년 세종대왕 창제 3)24개의 알파벳-과학적, 간단, 배우기 쉽고, 기계화하기 좋은 글자모양, 어떤 문자와도 구별되는 독자성 4)모음-10개, 자음-14개의 음소로 구성, 음소를 조합하여 하나의 음절을 만든다. 5)한 음절이 한 글자를 이루는 독특한 구조 6)음절-형태소-단어-문장=완벽한 문자 체계

13 *문자론적 특수성과 과학성 1)문자의 창제자, 창제일, 창제 동기, 창제 원리를 명확히 아는 세계 유일한 문자다. 2)알파벳이 매우 독창적이고 과학적이며, 체계적이고, 쉽게 쓸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3)소리문자, 모아 쓰기로 의미 추론이 가능하다. 4)문자 체계와 발음 체계가 거의 일치-처음 보는 단어도 읽기 쉽다. 5)문자 구성-단순, 체계적, 기계화에 적합하다.

14 *음운론적 특수성 (1)음운론 -언어음의 구조에 관한 연구, 언어음이 체계와 형태를 형성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 음운 -말의 뜻을 구별해주는 가장 작은 소리의 단위, 체계와 구조를 지닌 추상적이고 관념적이며 사회적인 소리 -한 언어 사회의 관념음을 음운이라 한다. -음운=분절음운(자음, 모음)인 음소와 비분절 음운(장단, 고저, 억양)인 운소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15 (2)특징-1)자음 ❶독특한 음운 대립 -국어에서는 울림소리(유성음)와 안울림소리(무성음)가 대립하지 않는다.(/ㄱ/-/k/, /g/로 구분, 가게/kage/, 고기/kogi/) -국어의 자음은 다른 언어의 자음과는 달리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가 서로 장애음이 평음-경음-격음으로 3항 대립한다.(불/pull/, 풀/p’ul/, 뿔/p’’ul/ ‘ㅂ,ㅃ,ㅍ‘ 의미를 변별, 영어에서는 의미 구분 기능이 없이 ‘p’ 하나만 사용)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의 음소를 구별하지 못한다. ❷국어에서는 마찰음의 수가 파열음의 수보다 적다. -마찰음이란 입안이나 목청 사이의 통로를 좁히고 공기를 그 좁은 틈으로 내보내어 마찰을 일으키면서 내는 소리를 의미 -/ㅅ, ㅆ, ㅎ/

16 ❸국어는 파열음이 파열되지 않을 수도 있다.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등의 파열음은 음절 끝에 올 때, 터뜨리지 않고 닫힌 상태로 발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ㅇ'만 발음(부엌-부엌, 꽃-꼳 등) ❹현대 국어에는 어두 자음군 회피가 있다. -국어는 첫소리에 둘 이상의 자음이나 ‘ㄹ'이나 ‘ㄴ'이 오지 못한다.(영어, spring은 발음시 1음절, 한국어는 스프링 3음절, 영어에 없는 모음'ㅡ'를 첨가하여 발음) -표기법상 음절 말에 겹자음 사용, 발음상으로는 음절 말에 일곱 종성(‘ㄱ,ㄴ,ㄷ,ㄹ,ㅁ,ㅂ,ㅇ)만 올 수 있다.(값-갑) ❺두음법칙이 있다. -단어 첫 머리에 ‘ㄹ‘, ‘ㄴ'이 올 수 없다.(로인-노인, 닉명-익명) -현대:라디오, 라면(외래어), 실제 발음은 나디오, 나면

17 (2)모음 ❶단모음이 10개로 많은 편이다. -표준어에서는 ‘ㅏ,ㅐ,ㅓ,ㅔ,ㅗ,ㅚ,ㅜ,ㅟ,ㅡ,ㅣ'로 규정 -영어, 일본어는 5개 ❷상향식 이중모음이 많다. -국어 이중모음 ㅑ, ㅕ, ㅛ, ㅠ, ㅘ, ㅝ 는 반모음+단모음 순서로 연결되는 상향이중모음 -단, ‘ㅢ’ 는 유일하게 /ㅡ/를 단모음으로 하고 반모음이 뒤따르는 하향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수가 많다.(음가가 불안정, 완전 하향이중모음으로 간주할 수 없다.) ❸국어에서는 모음 조화 현상이 있다. -양성+양성, 음성+음성 -의성어, 의태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❹장단 모음 구별을 해야 하는 단어들이 있다.

18 *문법론적 특징-(1)형태론적 특수성 1)정의 -단어가 활용하는 방식과 형태소들이 결합하여 단어를 형성하는 원리에 관해 연구하는 분야. -형태소부터 단어까지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자립 형태소, 의존형태소, 실질 형태소, 형식 형태소 2)특징 ❶교착어(첨가어)로서의 한국어 -한국어는 알타이계 언어(교착어, 첨가어)로 추정 -실질형태소(체언, 용언의 어간)에 문법형태소(조사, 용언의 어미)를 실현시켜 문장을 만든다. 예)’학교에‘’학교는‘’학교를‘-중심의미 ‘학교'에 조사, 또는 어미 .

19 -국어에서는 조사와 어미가 발달하여 대부분의 문법적 기능은 이들에 의해 실현된다. 예)영희가 밥을 먹었다
-국어에서는 조사와 어미가 발달하여 대부분의 문법적 기능은 이들에 의해 실현된다. 예)영희가 밥을 먹었다. 조사 ‘가‘, ‘을'을 통하여 ‘영희'가 주어, ‘밥'이 목적어라는 것을 알 수 있다.어미 ‘었'은 시제, 어미 ‘다'는 문장이 평서문으로 종결됨을 나타낸다 -국어에서는 조사와 어미를 첨가하여 다양한 문법적 기능을 수행=교착어적 특징 -문법 형태소 ‘하, 시, 었, 겠, 더, 라, 고, 요‘ 등의 여러 가지 형태소를 붙일 수 있다.(예, ‘아버지 유리창 깨'는 ‘아버지께서 유리창을 깨셨다’로 조사와 어미를 붙이면 문장이 됨) -한국어는 어떤 형식이 둘 이상의 의미를 가지는 것은 극히 예외적이며, 대체로는 한 가지 형식은 한 가지의 기능 표시에 국한된다.(오셨었다-오+-시+-었+-다로 각기 의미나 기능을 가진다.) -조사는 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 등 -어미는 종결어미, 연결어미, 전성어미 등(어말 어미)과 주체 높임, 시제(선어말 어미) 등이 있다.

20 ❷단어 형성법의 발달 -단일어=하나의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복합어=두 개 이상의 어근 혹은 어근에 파생접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단어 -단어=자립할 수 있는 말, 자립형태소에 붙어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말 -어근+어근=합성어, 어근+파생접사=파생어 등을 만드는 과정을 형성법이라고 한다. -국어에는 단어형성법이 발달되어 있다. -’오르내리다’, ‘검푸르다‘ 처럼 두 용언을 합하여 새로운 용언을 만들고, ‘접칼‘, ‘덮밥'처럼 용언의 어간과 명사를 합하여 새로운 명사를 만들기도 한다. -단일어의 비율이 높으면 어휘적 언어, 복합어의 비율이 높으면 문법적 언어(한국어는 문법적 언어에 가깝다.)

21 *형태론적 특수성 1)조사가 문법적인 격을 결정한다. -격조사:주격(이,가,께서,에서), 서술격(~이다, 어미활용), 관형격(~의), 목적격(을, 를), 보격(이,가), 부사격(에,에서,에게 등), 호격(야,여,아,이여,시여 등) -접속조사:와, 과, 랑, 며 등 -보조사:여러 성분에 두루 붙어 특별한 뜻을 더해 주는 조사, '은·는·도·만·까지·조차·부터·마저' 등 2)의존명사가 매우 많다.(의존명사는 띄어 쓴다.) -너만큼은 날 믿어줄 거라고 생각했건만….(조사) -네가 알려준 만큼만 넣었어.(의존명사) 3)용언이 활용한다.(동사, 형용사) -활용할 때 용언의 어간은 변하지 않고 주로 어미만 변하는데, 이때 어미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4)수를 나타내는 단위 명사가 매우 많다.(하나, 일, 첫째 등) 5)선어말어미가 있다.

22 *한국어 품사

23 *선어말 어미

24 *통사론 (1)통사론의 정의 단어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구, 절, 문장의 구조나 기능을 연구, 구성요소간의 의미적 관계 형태가 요점, 문장 안에 들어 있는 요소의 기능을 연구하는 것이 통사론이다. (2)현대국어의 통사론적 특징 1)주어+목적어+서술어, 주어+보어+서술어의 어순 -영어, 중국어는 주어와 서술어가 먼저 실현 -한국어는 서술어를 마지막에 표현, 말을 끝까지 들어야 전체 문장의 중심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영어보다 정보 전달 측면에서 효율성이 다소 떨어진다.

25 2)수식어+중심어의 어순 -중심이 되는 말을 뒤에 놓는 경향이 있다
2)수식어+중심어의 어순 -중심이 되는 말을 뒤에 놓는 경향이 있다. -’내가 사랑했던 여자‘, ‘여자’가 중심어, 수식어는 ‘내가 사랑했던‘이 앞에 나옴. -’The woman whom I loved’는 중심어 ‘The woman’이 앞, 수식어 ‘whom I loved’가 뒤에 놓임. 3)문장 성분의 이동에 제약이 적다. -어순이 자유롭다. 서술어는 맨 뒤에 오지만 다른 문장 성분들은 비교적 자유롭게 위치를 바꿀 수 있다.(영희가 고구마를 철수에게 주었다.) -격조사에 의해 관계가 명확하게 드러나므로 문장의 기본적 의미는 바뀌지 않는다. 4)이중주어와 이중목적어가 나타난다.(코끼리가 코가 길다. 영어와 같은 어순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26 (3)특수성 1)어순이 SOV다 2)주어 생략이 많다. 3)문법적인 격은 조사에 의해 나타내므로 첨가어적 특징을 가진다

27 *의미론적 특수성 1)문장의 어순대로 해석한다. 2)동의어, 반의어를 가진다. 3)상하의어를 구별할 수 있다. 4)구조, 단어, 화용상의 중의성을 가진 문장들이 있다. 5)문장 형식과 실제의 의미가 반드시 1대1로 대응되지는 않는다. 즉 의문문의 형식을 가졌지만 실제 내용은 명령문, 요청문, 수사적 의미 등을 나타낼 수 있고, 형식은 평서문이지만 실제 내용은 의문, 명령, 청유 등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6)비 친족에게 친족 호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문맥에 따라 진짜 친족인지 비 친족인지를 구별해야 한다.

28 7)속담과 은유 등 간접적인 표현이 많으므로 형식 자체의 의미로 해석해서는 안 되고 상황에 따라 실질 의미를 파악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8)피동문보다는 능동문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월등하게 많다. 9)유의어가 많다.(비, 보슬비, 구슬비, 실비, 가랑비) 10)다의어가 많다. 11)관용어가 많다. *경어법의 특수성 1)복잡하고 엄격하다 2)동사, 호칭, 조사, 존경어미-시-, 겸양의 1인칭, 존경어휘, 압존법 등에 분포 *유행어의 빈번한 발생과 확신이 일어난다. 1)모든 계층에 빨리 확산되어 일상어가 된다. 2)한국인의 집단성, 역동성, 창의성, 생동성 등의 경향

29 3.한국 문화의 발전 양상 (1)사회적 특성 궁중 문화-양반 문화-서민 문화 (2)종교적 특성 고대원시 문화-불교 문화-유교 문화-기독교 문화-혼합 문화=전통적 문화+다양한 문화(예, 결혼식) (3)시대적 특성 삼국 시대 이전-삼국 시대-통일신라 시대-고려 시대-조선 시대-일제 강점기 시대-광복 후-1960~1970년대-1980년대 문화-1990년대 문화 (4)문자적 특성 선사 문화-상류 계층의 차자를 통한 기록 문화-지배 계층의 한자 문화-한자 문화와 한글 문화의 공존 문화-한글 우세 문화-한글 문화

30 4.한국인의 성격 1)건강에 대한 관심이 대단히 높다. 2)여럿이 어울려서 음식 먹기를 매우 좋아한다. 3)교육에 관심이 많고 교육열이 높다. 4)산을 좋아한다. 5)민주주의를 신봉한다. 6)음악을 좋아한다. 고급 음악, 대중 음악 모두 발달하였다. 7)유흥비에 돈을 많이 쓴다. 8)어려운 사람에 대한 동정심이 많다. 9)남이 잘 되는 것에 대해 질투, 시기심이 많다. 10)남을 대접하기를 좋아한다.

31 11)잘 아는 사람에게는 친절하고 따뜻한 정을 베풀면서 모르는 사람에겐 불친절하거나 무관심하다
11)잘 아는 사람에게는 친절하고 따뜻한 정을 베풀면서 모르는 사람에겐 불친절하거나 무관심하다. 12)자존심을 매우 소중하게 여긴다. 자존심을 세우기 위해 무리를 하는 경우도 많다. 13)겸손을 미덕으로 생각한다. 14)유행어나 신조어를 잘 만들고, 남이 쓰면 대체로 따라 쓴다. 15)가족주의, 지역주의에 의거한 이기심이 크다. 16)의리와 정을 중시한다. 17)노래와 춤을 즐기고 신명이 있다. 18)배타성에서 세계화로 국민 의식이 변화하고 있다. 19)효 사상과 애국심이 높다.

32 20)대체로 성질이 급해서 빨리빨리를 강조하다 마무리를 소홀히 하는 면이 있다
20)대체로 성질이 급해서 빨리빨리를 강조하다 마무리를 소홀히 하는 면이 있다. 21)명석한 두뇌와 손재주를 가진 사람이 매우 많다. 22)1등 또는 승리, 성공 스트레스가 심하고 지는 걸 싫어한다. 23)언어 사용의 거침, 속화, 언어 파괴, 언어 유희를 많이 한다. 24)허례허식의 경향이 강하다. 25)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성(사고, 행동, 능력, 경제력, 취미 등)이 나타난다. 26)선입관이 강해서 어떤 사람이나 사물에 대한 고정관념을 수정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 27)국민성이 대체로 근면하고 성실하다.

33 5.한국인의 독특한 풍습 1)잔치문화 2)호(號) 사용 문화-김소월(본명 김정식), 추사(김정희), 충무공(이순신), 퇴계(이황), 율곡(이이) 등 3)족보 제작, 보급 가계의 역사 4)모임 만들기 5)유행 따라하기 6)자존심, 체면 세우기 7)자식에 대한 과잉보호 8)처음 만난 사람에게도 신상정보 질문


Download ppt "한국문화론 3.한국문화 총론."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