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2. 디저트로 만나는 미국 경제학자들 10조 황정환 신현목 주성진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12. 디저트로 만나는 미국 경제학자들 10조 황정환 신현목 주성진"— Presentation transcript:

1 12. 디저트로 만나는 미국 경제학자들 10조 99131078 황정환 20031310 신현목 20031372 주성진
황정환 신현목 주성진 이지형 홍주영

2 Contents 폴 사무엘슨 1 프리드먼 2 루카스 3 래퍼 4

3 폴 사무엘슨 (Paul A.Samuelson, 1915~ )
경제 교과서의 대명사이며 제2회 노벨 경제학상 수상 고전학파의 미시적 시장 균형 이론과 케인즈의 거시 경제 정책론을 접목했다는 신고전파 종합. 사무엘슨의 빈틈 - 정부의 개입이 적정했는가의 여부, 수요조절로 인한 경제안정화 정책의 방향에 대한 비판, 또 지나치게 수학을 중시

4 사무엘슨은 도표와 공식을 사용해 케인즈 이론을 설명.
폴 사무엘슨 사무엘슨은 도표와 공식을 사용해 케인즈 이론을 설명. 가장 유용한 공식이라고 얘기한 GDP 산출공식, 즉 Y = C + I + G + X - M 도 사무엘슨에게서 나온 것이다. 또 소비자 지출이 소득에 비례해 높아진다는 소비 함수등을 개발. 사무엘슨의 공헌.

5 프리드먼 (Milton Friedman,1912∼)
프리드먼의 경제사상 - 자유주의를 주장함으로써 신자유주의이론을 체계화. 고전학파의 화폐수량설을 발전시켜 신화폐수량설을 발전시키고 화폐이론을 체계화하였다. 항상소득가설을 통해 소비이론을 발전 등.

6 프리드먼 자연 실업률 예상 인플레이션율과 현실의 인플레이션율이 같은 점을 장기균형이라하고 이에 대응하는 실업률을 자연 실업률이라 불렀다. 신화 폐수량 설과 유동성 선호설

7 루카스 (Robert E. Lucas, Jr., 1937~)
프리드먼의 수제자로 케인즈학파의 계량경제학의 맹점을 비판한 ‘루카스비판’으로 명성을 얻었다. 합리적 기대가설 - 가계·기업 등의 경제주체가 정부의 경제정책 및그 결과를 합리적 계산에 의해 예상하고 행동이므로 정부의 경제정책이 실효를 거둘 수 없다는 이론. 합리적 예상가설 또는 합리적 기대형성 가설이라고도 한다.

8 루카스 합리적 기대가설의 특징 첫째, 합리적 기대가설은 모든 경제주체들의 예상을 합리적으로 형성하는 가정을 토대로 삼고 있다.
둘째, 각 경제주체들(자금의 공급자와 자금의 수요자)이 실질가치만은 고려하며 명목가치만의 변동에 의해서는 절대로 오도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

9 래퍼 (A. Laffer) 공급경제학 (supply-side economics)
- 총수요관리를 위한 종래의 경제정책에 관한 논의를 반박하고 공급 측면 에서의 조세의 유인효과를 강조. 래퍼곡선이란 무엇인가? 세율과 세수의 관계를 곡선을 말한다. 세율이 제로이면 세수는 자연히 제로이고, 공산주의와 같이 세율이 100%이면 누구든 소득을 얻기 위한 활동을 거부할 것이므로 세수 역시 제로가 됨.

10 래퍼 래퍼의 실수 소득세 인하 덕에 사람들이 신바람 나게 일을 하면 세원이 증가해 세율이 낮아져도 세수는 증가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공급경제학의 이론을 택한 레이건 대통령.


Download ppt "12. 디저트로 만나는 미국 경제학자들 10조 황정환 신현목 주성진"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