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ublished byくにもと やすこ Modified 5년 전
3
덴마크의 Herrzsprung과 Russell에 의해 고안된 태양 부근 별들의 표면온도와 절대등급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별들이 몇개의 무리로 분류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후에 이것이 그들의 이름자를 딴 H-R도가 되었으며, 별의 분류와 그 특징을 알아보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주계열성 수소 핵융합 반응으로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광도가 크므로 질량이 크다(질량-광도 관계가 성립). 주계열성에서는 질량이 크므로 반지름이 크다. 광도가 클수록 별의 크기가 크고, 표면온도가 높지만, 밀도가 작다. 질량이 큰 별일수록 진화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수명이 짧다. 적색거성 표면온도는 낮으나, 반지름이 태양의 수십배로 크기 때문에 광도가 큰 붉은 별. 적색거성은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갖는 별이 태양 반지름의 수십배로 커졌기 때문에 밀도가 작다. 초거성 반지름이 태양의 수 백 배로 큰 별. 초거성의 밀도는 적색거성보다 훨씬 작다.
4
백색왜성 표면의 온도는 높으나, 태양의 수십 배로 작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는 별. 백색왜성은 주로 중력 수축으로 에너지를 방출하며, 밀도는 주계열성에 비해 훨씬 크다. 천문단위(AU : Astronomical Unit) -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1AU)를 기준으로 하며, 주로 태양계내의 천체들의 거리를 나타내는데 사용 1AU=1.5x108km 광년(LY : Light Year : 광년)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1LY)를 기준 1LY=약 9.5x1012 파섹(pc : parsec) -연주시차 1"가 되는 거리(1pc)를 기준 1pc=206265AU=3.26LY
5
연주 시차 :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할 때 지구 공전 궤도 양 끝에서 어떤 별과 이루는 각의 절반.
시차와 거리 : 거리(r)와 시차(p″)는 반비례하며 시차가 1″일 때의 거리를 1 파아섹(pc)이라 함. →r (pc) = 1/p″ 거리의 단위 1) 천문 단위 (AU) : 지구-태양까지 평균거리 2) 광년 (LY) : 빛이 1년 동안 진행한 거리 3) 파아섹 (pc) : 연주 기차가 1″인 별까지의 거리 1pc = 3.26 LY = 206,265 AU 천문단위(AU : Astronomical Unit) -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1AU)를 기준으로 하며, 주로 태양계내의 천체들의 거리를 나타내는데 사용 1AU=1.5x108km 광년(LY : Light Year : 광년)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1LY)를 기준 1LY=약 9.5x1012 파섹(pc : parsec) -연주시차 1"가 되는 거리(1pc)를 기준 1pc=206265AU=3.26LY
6
연주시차 : 지구가 공전함에 따라 별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이동해 가는데 그림에서 보듯, 6개월만에 별이 이동한 각도의 절반이다. 이것을 이용해 다음과 같이 거리를 구할 수 있다.
7
연주 시차 :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할 때 지구 공전 궤도 양 끝에서 어떤 별과 이루는 각의 절반.
시차와 거리 : 거리(r)와 시차(p″)는 반비례하며 시차가 1″일 때의 거리를 1 파아섹(pc)이라 한다. ∴ r (pc) = 1/p″ 거리의 단위 1) 천문 단위 (AU) : 지구-태양까지 평균거리 2) 광년 (LY) : 빛이 1년 동안 진행한 거리 3) 파아섹 (pc) : 연주 기차가 1″인 별까지의 거리 1pc = 3.26 LY = 206,265 AU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