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싱가포르의 역사와 문화 김성건 (서원대 교수/사회학).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싱가포르의 역사와 문화 김성건 (서원대 교수/사회학)."— Presentation transcript:

1 싱가포르의 역사와 문화 김성건 (서원대 교수/사회학)

2 문제의식과 기본 개념 (1) 비서구사회의 정치경제발전에 대한 연구 경향
① 70년대: 남미 연구 ② 80년대: 동북아시아 연구 ③ 90년대: 동남아시아 연구 최근 ‘아시아의 세기’를 맞아 세계 학계의 비교 연구 흐름이 ‘동남아시아’로 옮겨지고 있음 국내 관련 학회: 한국동남아학회, 한국아시아학회 등 ⇛ 새로운 접근 : 보유자원, 식민역사, 정치문화, 정치체계 유형의 독특성 중시 - 특히, 식민역사와 정치문화 강조

3 문제의식과 기본 개념 (2) 싱가포르 ① 유교문화권 → 동아시아 혹은 동북아시아권에 속함 그러나 지리적으로는 동남아임.
① 유교문화권 → 동아시아 혹은 동북아시아권에 속함 그러나 지리적으로는 동남아임. ② 비범한 역동성: 동남아시아 말레이반도의 끝부분에 자리 잡고 있는 것과 연관 ③ 원자재를 가공하는 센터로서 기능 + 동남아시아 에서 움직이는 초국가적 기업의 지역 본부로서 최적지 → 높은 경제성장 ④ 물리적 척도 면에서 작은 사회지만 사회조직은 복잡함 ⑤ 유교권 동아시아 국가들 중에서 신생 도시국가인 싱가포르는 사회정치적 안정 속에서 급속도의 경제 발전 이룩(최근에는 홍콩보다 더 고속성장하고 있음).

4 문제의식과 기본 개념 ⇛ 본 특강의 목적 ① 싱가포르의 이념적 기반인 문화(종교와 민족 포함)의 특성을 역사학, (비교)사회학 및 문화인류학의 관점에서 포괄적이면서 심층적으로 밝히는 것 ② ‘유교와 근대화’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흥미있는 사례로서 이른바 ‘싱가포르 실험’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제공하는 것

5 역사적 배경과 민족 및 종교의 구성 (1) 싱가포르 ① 영국의 식민 지배
무인도에 가까운 어촌 싱가포르 섬은 영국 식민지세력에 의하여 1819년부터 123년간 통치 받음 → 그 뒤, 2차 세계대전 기간 중 약 3년 간 일본 군정의 지배를 받은 이후 복귀한 영국의 식민지배를 받음 → 1965년 말레이시아연방으로부터 독립 → 급속한 경제발전 이룸 싱가포르 이민(1819년) - 영국, 중국, 인도인들이 돈을 벌기 위해 옴 영국의 말레이반도 통치 - 식민경제의 급속한 발전 + 중국 남부와 인도 남부로부터 대규모 이민자 유입 → 복합사회 → 중국인이 가장 큰 인종집단이 됨

6 역사적 배경과 민족 및 종교의 구성 ⇛ 식민지 통치자들과 유럽인, 중국인, 인도인이 원주민인 말레이인들 보다 높은 사회경제적 지위 (Socioeconomic Status, SES)성취 민족적 경계 (기타인들 즉, 유럽의 백인들→ 중국인들→인도인들→말레이인들 순)를 따라 고용지위, 교육수준직업지위 등에서 계층(stratification)이 뚜렷이 존재 WHY? 영국이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싱가포르의 다양한 민족 집단을 경제적으로 차이가 나도록 유지시킨 당시 식민 지배 유산이 남긴 결과

7 3. 역사적 배경과 민족 및 종교의 구성 ② 일본 제국주의
123년간 영국 통치가 지난 뒤 1942년 일본 군정이 통치 → 싱가포르 이름이 ‘쇼난’ (Syonan)으로 바뀌게 됨. 중일전쟁 → 일본인들이 중국인들 증오하게 됨 → 싱가포르 중국인들 탄압, 대량학살 → 말레이인들은 말레이 인종 장래가 개선될 것이라는 일본측 선전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임 근대적 교육 시행, 인도네시아어 표준화 노력 → 말레이인들 공동체 지향의식 높임 + 자신감 상승

8 3. 역사적 배경과 민족 및 종교의 구성 ③ 독립 후 싱가포르 싱가포르의 초대 지도자가 된 리콴유(客家, Hakka 출신) 같은 중국계 지도자들은 일본 군정 지배시대의 경험을 통해 이른바 ‘포위를 두려워하는 멘탈리티’를 갖게 됨 → 위기 속에서 싱가포르는 무엇보다도 그 자체 자원에 의존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화됨 아시아의 유태인, ‘객가’(커쟈) 客家人이란「외지에서 온 사람들」이란 의미이다 커쟈라는 말은 이들이 고향을 등지고 타향으로 이주한 사람들, 즉 Guest People 이란 뜻이므로 본토박이의 ‘本’ 字와 반대 대는 개념이다. 다른 한족으로부터 이들이 구별되는 가장 큰 요소는 언어와 풍속이다.

9 3. 역사적 배경과 민족 및 종교의 구성 중국 대륙과 홍콩, 대만, 해외 화교를 포함 하여 이들 客家人들은 모두 5천 백만에 달한다. 세계 각지의 화교 약 3천만 중 10%인 3백만명 가량이 客家人이며, 6만여명의 재일 화교 중에서도 5천-6천명이 客家人이다. 중국의 역사에 일획을 그은 ‘태평천국’(타이핑티엔궈,太平天國)도 客家人들이 주도한 운동이었다. 또 커쟈인들은 중국근대사의 가장 중요하다고도 할 수 있는 사건 즉 공산혁명 특히 대장정 과정에서 상당한 역할을 했다.

10 3. 역사적 배경과 민족 및 종교의 구성 객가는 금융과 무역, 군부의 실세로 ‘客家 土樓’ 를 짓고 살았다
客家는 산 속에 집단주택을 짓고 살기 시작했다. 당시의 원루(円樓) 라는 가옥형태는 지금까지 남아있다. 客家는 어떻게 보면 중국이라는 사회 속에서 끊임없이 박해를 받아온 민족인 것이다. 그러나 그 시절이 지금의 客家를 있게 한 밑거름이 되었다. 박해가 있었기에 재산보다 교육에 투자 하여 경찰, 군인, 정치가, 교사가 되었고, 점차 실력을 키워온 것이다. 중국인구의 4%에 불과한 소수 민족인 客家가 이 정도로 힘을 가지게 된 것은 그런 그들의 인생관과 무관하지 않다.

11 3. 역사적 배경과 민족 및 종교의 구성 덩샤오핑(鄧小平)이 커쟈(客家,하카)였던 것은 너무나도 유명한 이야기다. 신해혁명(辛亥革命)을 일으킨 중국의 국부인 쑨원(孫文)도 커쟈(客家,하카)였다. 후야오빵 등 중국공산혁명의 주역들, 싱가포르의 리콴유, 타이완의 리덩후이, 아시아 최고의 갑부 리카싱,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중국의 한족 가운데서도 가장 순수한 혈통의 한족이라고 할 수 있는 커쟈(客家 광똥어 발음인 ‘하카 hakka’)라는 것이다. 이쯤 되면 중국의 근,현대사는 커쟈(客家)가 만들어낸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2 3. 역사적 배경과 민족 및 종교의 구성 ④ 싱가포르의 일반 상황 중국인 + 말레이인 + 인도인 + 기타인종으로 구성됨
중국인 + 말레이인 + 인도인 + 기타인종으로 구성됨 네 가지 공식 언어(영어, 중국어, 말레이어, 타밀어) - 각 민족 집단과 연관 싱가포르 전체인구의 약 78% 차지하는 중국인들 중 절반이상은 소외계층 싱가포르: 말레이인이 소수, 중국인들이 다수 (cf. 이웃 국가 말레이시아: 말레이인이 다수, 중국인이 소수) 역사적으로,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는 갈등관계

13 3. 역사적 배경과 민족 및 종교의 구성 싱가포르의 경우 이 같은 특수한 민족 구성 상황이 ‘체제 내 사회불평등’에 대한 중국인 하층 계급의 계급적 의식을 억눌러서 결과적으로 중국인들의 지배체제에 대한 ‘동조적’ 성격이 나타나게 됨. 다시 말해서, 중국인 하층계급은 싱가포르의 다수 집단인 중국인의 한 일원으로서 ‘실용적 기초’위에서 체제에 저항하기보다는 대체로 ‘수용’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음 말레이인들: 도시화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사회적 형식, 직업유형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존재 → 현재 싱가포르에서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장 낮은 민족 집단 말레이인들: 경제적 불이익, 교육 기회의 상대적 부족, 정치적 영향 결여, 민족적 ‘소수지위’ 차지 문제

14 지배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가치 (1) 실용주의(Pragmatism) (영국 + 중국)
①정치적 영역: 아시아적 민주주의, 아시아적 가치(Asian Values) ②사회적 영역: 질서의 문제 ③ 1965년 이후 싱가포르공화국시대를 지배한 이념은 경제제일주의, 생존 등과 결합된 이념 싱가포르 독립 당시 열악한 경제상황으로부터 비롯 → 자본주의 길로 진행함. ④ 인민행동당(PAP)은 국가라는 개념을 교묘하게 활용하는 전략 하에 실용주의를 강조 - 매스컴을 통해 대중에게 일방적 의사전달

15 지배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가치 - '실력사회(실력주의)'(meritocracy) 이념 경쟁적인 교육제도를 통해 국민에게 실용주의 이념을 내면화 시킴. - 중국인들이 3/4를 차지하지만 인종 간 결속은 국가적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 → 다인종주의: 다양한 인종들의 능력에 따른 동등한 지위 부여 → 다언어주의: 영어, 중국어, 말레이어, 타밀어를 동등하게 취급 → 이중언어주의: 영어(시장에 접근하는 수단)+ 자신의 母語(정체성 보전)를 강제로 배우게 함.

16 지배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가치 ⑤ 교육 = 인간자본에 대한 투자 → 개발, 향상 추구
- 시험(exam)의 문화: 도구적 실용주의에 근거하여 조기(8세)부터 실시되는 경쟁적 시험을 통해 개인 능력상의 차이를 획정 ⑥ 실용주의의 역설(패러독스): 엘리트 계층의 정치적 무관심 경향 (돈에 대한 인식만 강함)

17 지배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가치 (2) 사회적 오염에 대한 합의
① 사회적 오염: 사회질서에 反하는 바람직 하지 못한 침범 ex) 마약, 포르노, 매춘 등 (최근에는 리콴유, 고촉동에 이어 세 번째 수상이 된 리콴유의 아들인 젊은 지도자 리센룽에 의해 싱가포르의 개방 정책이 실시되어 사회문화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 - 예: 나이트클럽, 카지노 도박장 등이 허가되어 개설됨)

18 지배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가치 ② 싱가포르에서는 법으로 ‘사회적 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요소를 엄격히 금지 - 정부, 국민 대다수가 상당한 ‘보수적’ 성향을 띠게 됨. [예: 흡연에 대해 정부 당국이 강력한 제재를 가함으로써 중국 등 주변국들보다 매우 낮은 흡연율(15%)을 보이고 있음] ③ 종교담당형사: 교리상 국가를 부인할 수 있는 종교와 반(反)사회적 종교(예: 여호와의 증인, 통일교, 급진적 가톨릭의 해방신학 등)는 탄압, 추방 혹은 금지 – “종교조화유지법”

19 지배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가치 ④ 리콴유: “사회발전을 위해 각 나라는 적합한 특수한 체제가 필요하다” → 정부는 국민들의 일상생활에 대해 미세하게 통제 (cf. 김대중 전 대통령) ⑤ 합의의 원인: 강제(무력)(맑스가 강조한 요소) + 가치(뒤르케임, 베버가 강조한 요소) ㄱ. 다인종주의(multiracialism) ㄴ. 국가 크기가 작고 전체 인구수가 상당히 적다 ㄷ. 전쟁을 경험한 세대의 두려움과 생존에 대한 집념

20 지배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가치 ㄹ. 인민행동당의 정치적 정당성 제고(대중의 복종)(*노동당의 약진을 초래한 지난 2011년 5월 총선을 계기로 현재는 여당인 인민행동당의 지지 기반이 상당히 흔들리고 있음) ㅁ. 유교에 바탕을 둔 ‘동조적’ 정치문화 ㅂ. 확장된 공동체의식(싱가포르 거주 중국인들의 경우, 본래 중국 대륙 - 특히 남부 지방 - 으로부터 싱가포르로 미혼 남성 단신의 이민이 이루어진 결과 말레이 본토 여성과의 결혼 – ‘페라나칸’- 이 많았고 그 결과 혈통 및 유사가족을 뛰어넘는 ‘확장된 공동체 의식’이 조성됨) ㅅ. 정부의 엄격한 벌금 정책

21 지배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가치 (3) 핵심적 국민가치
①국민가치: “개인주의로의 이행은 싱가포르의 국가 경쟁력을 낮추는 원인이므로 ‘공동체주의’를 이데올로기로 보전해야 한다”(고촉동) ②독립이래 계속 집권하고 있는 여당인 인민행동당 정부의 다양한 정책의 성공: 예) 공공주택정책, 국방의 의무, 이중언어정책 등 학교에서의 종교교육 실시 - 긍정적 영향: ㄱ. 싱가포르는 주요 인종 사이의 사회적 통합이 존재한다. ㄴ. 앞으로도 인종간의 조화가 있을 것으로 합의한다. - 부정적 영향: 특정 인종 및 종교적 의식을 증대시킨다. (과거 유교교육의 무리한 강조)

22 지배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가치 ③ 다인종의 동질성에 초점을 모으기 위해서, 싱가포르 정부는 ‘4가지 핵심가치’를 만들었고, 싱가포르 국립대학 정치학자 존 쿼가 이를 검토한 후 ‘6가지’로 보완하여 싱가포르인을 위한 ‘국민가치로 제시 ④ 싱가포르에서 오늘날 전 국민이 공유하는 가치 덕목으로서 비정치적, 비종교적 성격을 갖는 것으로 주장되는 이 ‘국민 가치’는 사회질서 유지와 사회통합에 일정한 기능을 하고 있다.

23 지배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가치 1. 인종간, 종교간 이해, 안정 및 조화를 제고하는 것.
2. 정직한 행정부의 전통을 보존하고 유지하는 것. 3. 개인의 이익을 전체로서 공동체의 이익과 조화시키는 것. 4. 사회의 기본제도로서 가족을 강조하는 것. 5. 사회에서 불우한 사람들을 위해서 동정을 보이는 것. 6. 가능한 한 합의를 통해서 주요한 쟁점들을 해결하는 것.

24 종교적 부흥과 아노미(anomie) 1) 도교는 교육수준이 낮은 중국인 위주로 신봉 → 점차 쇠퇴
1) 도교는 교육수준이 낮은 중국인 위주로 신봉 → 점차 쇠퇴 2) 소승불교와 일본의 신종교인 ‘니찌렌쇼슈’와 개신교를 받아들임 3) 기독교(개신교)와 ‘무종교’는 계속 증가 * 싱가포르에서 기독교(개신교) →‘수입된’ 종교로 모든 민족에게 ‘중립적’ →신도의 다수는 고학력, 고수입, 명예가 높은 직업 → 사회정치적 영향력이 큼 → 종교적 부흥 → 아노미(개인의 절망과 무기력-소외) 감소시킴

25 유교와 근대화 문제 다음 5가지 전통적 동아시아의 가치는 보전되어야 한다고 싱가포르 지도자들이 인식
다음 5가지 전통적 동아시아의 가치는 보전되어야 한다고 싱가포르 지도자들이 인식 ㄱ. 집단정신과 온정주의적인 고용자-피고용자의 관계 ㄴ. 상호부조와 공동체 생활 ㄷ. 부모-자식관계와 가족생활 ㄹ. 우정의 패턴 ㅁ. 지성인의 규범적 역할 근대화되는 상황에서 전통 문화적 가치의 위상과 서구화의 근대화 사이의 문제 대두 →1982년 도덕교육의 일부로 중등필수과목으로 ‘유교윤리’의 도입을 시도했으나, 당시 이슬람 진영을 위시하여 많은 반발이 일어나 결국 실패하게 됨.

26 싱가포르의 근대 정치사에 있어서 인종, 민족관계
싱가포르: 총 약 140년간의 영국의 지배를 거쳐 말레이시아로부터 1965년 독립하여 건국된 다인종 이민 사회 → ‘인종 간 결속’은 국가 존립 및 사회 질서 유지에 필수적인 요소였다. (1) 영국의 divide & rule (분할 통치) 정책 ① 중국인: 중국인의 근면, 검약으로 영국의 식민지배 세력이 우호적으로 판단 ② 인도인(타밀인): 유순함으로 종속관계가 쉬우므로 영국의 식민지배 세력이 우호적으로 판단 -인도인은 보호받는 것에 만족함으로써 자신들이 열등하다는 이데올로기를 생성 -인도인에 대한 중국인의 경멸을 가져옴.

27 싱가포르의 근대 정치사에 있어서 인종 및 민족관계
③ 동남아시아의 원주민(자바, 버어마, 말레이): 체질적 결함, 통제하는데 어려우므로 영국의 식민지배 세력이 ‘부정적’으로 판단 ④ 영국 식민정부가 만든 사회적 진화론(적자생존, 우생학)으로부터 비롯한 인종의 분류는 이후 하나의 흔들릴 수 없는 강고한 ‘위계’(hierarchy)로 여겨짐 ⑤ 영국 식민정부가 다양한 인종을 각기 그들의 거주 공동체 속으로 분리시킴 → 이 같은 민족분류의 패턴은 싱가포르에 뿌리내려 발전하여 1965년 싱가포르 독립 후에도 ‘민족 간 경계’가 지속됨 ⑥ 사회적 다윈주의(Social Darwinism)가 이를 정당화함.

28 싱가포르의 근대 정치사에 있어서 인종 및 민족관계
(2) 년 까지 싱가포르를 일시 지배한 일본의 차등 정책 (2차 세계대전 이후) ① 중국인=혐오: 싱가포르 군대는 중일전쟁에 참여하여 중국인을 잔인하게 탄압, 대량학살 자행함 ② 말레이인=우호: 일본은 식민통치를 위해 중국인이 아닌 이슬람교도들의 협력을 얻어내기 위해 말레이인에 대해 우호적→ 그 결과, 말레이인들의 공동체 지향의식을 높여줌 ③ 인도인=우호적: 일본은 인도 군대의 정보망을 이용하고자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운동을 지원함

29 싱가포르의 근대 정치사에 있어서 인종 및 민족관계
(3) 1965년 독립 전후 수년 간 정치적 격동기에 나타난 중국 vs 말레이인의 민족갈등 ① 싱가포르에서 말레이 공동체(약 14% 소수민족)는 중국인(다수집단)과 비교해 낙후, 무시당하였지만 열등한 지위를 감내 ② 1964년 2차례 폭동: 말레이시아 수립 후 싱가포르 내 말레이인들이 권리 주장 시작 ③ 이 같은 위기 상황에서 싱가포르의 인민행동당(PAP)은 ‘다인종적 이상’을 강조함 ④ 하지만, 말레이인은 이를 의심한 후 PAP의 정책을 비판

30 싱가포르의 근대 정치사에 있어서 인종 및 민족관계
⑤ 1966년 7월 중국인과 말레이인의 충돌을 일으키고 싱가포르 독립기념일에 혼란을 일으키려는 두 개의 말레이 극단주의 지하조직의 음모가 싱가포르 정부당국에 의해 발각 → 이 사건은 싱가포르에서 약간의 불똥이 인종적 충돌을 끌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줌. 결론: ‘제도화된 다민족모델’의 사회문화적 요인 (원인) → 일본 군정이 싱가포르에서 민족 간 분열을 자아내는 방향으로 3년 반 동안 지배했음에도 불구하고 독립 이후 싱가포르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정치적 갈등이 없는 기이한 현상을 보임(결과).

31 다인종주의 정책 ① 다인종주의: 복합사회(plural society)의 인구집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다양한 인종들의 문화와 민족적 정체성에 대하여 동등한 지위를 부여하는 이데올로기 ② CMIO 카테고리의 싱가포르화 - 싱가포르는 각 인종의 이질적 성격은 덜 강조하는 반면에 이른바 ‘CMIO’(Chinese, Malay, Indian, and Others)로 크게 넷으로 나뉘어진 다인종제를 추진함 - 그 결과 오늘날, 모어(母語)외에 제2의 언어를 선택하는데, 공공주택을 공급하는 HDB(Housing & Development Board, 주택개발청) 아파트를 신청하는데, 정치적 지도자를 뽑는데, 국민적 이데올로기에 대해서 토론하는데 등에서 “인종”이 명백히 쟁점이 되고 있다. 싱가포르 국민의 ID(일종의 주민등록증): ‘인종’이 명시.

32 다인종주의 정책 ③ 대표적 예 - 주택개발청이 주도하는 새로운 주택단지에 건설된 공공주택의 배분정책
③ 대표적 예 - 주택개발청이 주도하는 새로운 주택단지에 건설된 공공주택의 배분정책 - 목적: CMIO 집단이 각기 차지하는 비율과 거의 같도록 주택을 배분해줌으로써 인종 간 물리적으로 근접하도록 접촉을 증대시켜 결국 인종 간 결합을 도모하려는 목적을 이루고자 함. - 그러나 1980년대 후반 이후 의도하지 않은 결과로서 ‘인종 집단의 재결합’이 발생함. - 정부의 대책: HDB 근린지역과 HDB 단지에 대하여 인종적 제한 설정→ 그렇지만, 이 같은 ‘인종적 할당’은 말레이인들이 다수가 되지 못하도록 만들 수 있다고 비판받음.

33 다인종주의 정책 ④ (요약) 지난 40여 년 동안 싱가포르 정부는
ㄱ. 국민 문화, 국가적 정체성, 민족문화, 민족 정체성을 매우 의식적으로 구별하려고 노력 ㄴ. 다인종정책은 서로 다른 인종의 존재를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이 같은 인종 구성의 ‘정치적 효과’를 극소화하는 것. ㄷ. 따라서 정부는 결국 개별 민족문화 정체성의 발전을 적극적으로 억압함. ㄹ. 그 동안의 산업화의 결과로 물질주의적 지향이 지배하게 된 뒤, 현재 싱가포르인들 속에서 자신의 민족문화 쪽으로 복귀 경향 → 그런데 이것은 문화적 통합이 아닌 ‘문화적 혼란’을 초래하였다는 비판 ⑤ (결론) 싱가포르의 다인종주의의 사회문화 정책 속에는 어느 정도의 패러독스가 존재하게 되어 결국 ‘인종적 경계’의 중요성은 증대됨.

34 싱가포르의 사회변동과 인종(민족)문제 (1) 인종(민족)과 계급 ① 싱가포르는 '민족의 라인(line)'에 따라 계층이 형성됨
→ 대학졸업인수, 상위 공무원수, 수입: 중국인>말레이인 → 하위공무원 수: 말레이인> 중국인 ② 저임금과 미숙련 직업으로 인해 가난이 집중된 말레이인들의 불만 증대 → 불평등이 ‘제도화’ 되고 있음 ③ “말레이인들은 경제적으로 열등하다”는 이데올로기→ '도덕적 열등성'을 경제적 실패의 원인으로 인식 중국인의 富: 산업, 검약, 근대적 방식에 대한 적응력의 자연적 결과로 인식 말레이인의 가난: 나태, 낭비, 보수주의의 자연적 결과로 믿게 됨 → '인종적' 열등감 형성 ④ 1965년 이후 지배적 이념은 경제제일주의, 생존과 밀접하게 결합된 '실용주의'

35 싱가포르의 사회변동과 인종(민족)문제 (2) 인종(민족)과 종교
① 싱가포르= 본래 말레이민족에 기초하여 국가를 정당화한 이슬람교가 지배 ② 중국은 중국민족에 기초하여 부계자손에 의해 정당화된 국가수립 → 단일의 종교적 제도가 결여 ③ 현 싱가포르의 말레이 민족은 이슬람교를 종교로 갖고 있음 ④ 인도인은 상대적으로 종교의 자유를 갖고 있음 예: '힌두교도 인도인', '회교도 인도인', '기독교도 인도인' → 따라서, 다인종국 싱가포르에서 인디언 사회가 민족/언어/종교와 관련하여 가장 다양함

36 싱가포르의 사회변동과 인종(민족)문제 ⑤ 특정 민족 집단과 종교관계를 설명할 때 전체적으로 '언어‘(language)의 요인이 중요 →말레이어를 사용하는 말레이인들은 회교도(이슬람교도)가 됨 →타밀어 사용하는 인도인들은 힌두교가 되는 경향 ⑥ 즉, 싱가포르에서는 종교, 언어, 인종 이 세가지 요소가 기본적이며 본질적인 '사회적 동맹'을 이루고 있음

37 싱가포르의 사회변동과 인종(민족)문제 (3) ‘소수집단’의 문제: 싱가포르의 말레이 사회 ① 인종(중국인의 지배)에 따른 '상대적 박탈감' ② '민족'은 역사적으로 문화적 요소들과 구조적 요소들로 인해 형성된 것 → 말레이 사회의 제반 민족적 특성의 많은 부분이 외적 상황에 대한 반응의 결과 곧, 영국의 식민정책과 최근 인민행동당 정부의 근대화, 도시화를 급속도 추구한 외적 상황에 대해 중국인들은 사회변동을 수용한 반면 말레이인들은 전통적 사회의 직업유형을 유지함

38 ‘싱가포르 실험’의 역사를 통해 드러난 ‘사회문화적’ 특징(결론)
‘싱가포르 실험’의 역사를 통해 드러난 ‘사회문화적’ 특징(결론) ◎ ‘확장된’ 공동체 의식 ◎ ‘보수적’사회: 사회적 오염에 대한 합의가 단단히 형성되어있음 ◎ 종교=기본적으로, ‘긍정적’인 제도로서 믿는 사람의 ‘문화적’소속을 규정하는 일종의 ‘인종적 경계 기제’로 기능 ◎ 근대화와 관련된 제반 사회정책: 다인종주의 문화정책, HDB의 주택정책, 종교교육도입 및 유교교육도입, 산아제한 정책 등 ◎ 위로는 인민행동당에서 아래로는 일반서민들 중에서도 모두 전략적인 ‘실용주의적 가치’가 강하게 지배함

39 싱가포르의 민족문제(결론) ◎ '다인종주의'와 함께 '사회정의'(분배, 가치 배분 등)가 공존해야 함을 시사한다.
◎ 싱가포르 정부가 민족을 사회문화적 분류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권위주의적 문화와 보수적인 사회적 성격을 '강화'하고 있다. ◎ 다민족의 권위주의적 국가들의 ‘민주화’는 긍정적 측면 보다 자칫하면 문제가 더 많을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상황에서 인종 간 긴장완화를 위해 언론의 자유를 제한할 필요가 있음을 드러낸다. ◎ 싱가포르가 인종 및 민족문제 측면에서 현재까지 큰 마찰 없이 지내오고 있음은, 무엇보다도 청렴한 국가 기관과 공무원들이 주도한 고도의 경제성장이 긍정적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40 참고문헌 김성건,『싱가포르의 사회와 문화』(문경출판사, 1997).
김성건, “도시국가 싱가포르의 사회인구 정책과 그 시사점,” 『전략지역 심층연구 논문집』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유인선, “싱가포르 150년사( ),” 『아세아 연구』, 제36권 제2호,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93). C. M. Turnbull, A History of Modern Singapore (Singapore, NUS Press, 2009).


Download ppt "싱가포르의 역사와 문화 김성건 (서원대 교수/사회학)."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