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2012 主 要 業 務 報 告 동대문구 보건소.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2012 主 要 業 務 報 告 동대문구 보건소."— Presentation transcript:

1 2012 主 要 業 務 報 告 동대문구 보건소

2 보 고 순 서 보건소 일 반 현 황 주 요 업 무 보 건 정 책 과 지 역 보 건 과 의 약 과 보 건 위 생 과

3 일 반 현 황 조직 및 인력 보건소 : 4과 13개팀 100명 구분 계 4급 5급 6급 7급 8급 9급 비고 100 1 8
일 반 현 황 보건소 조직 및 인력 보건소 : 4과 13개팀 100명 (단위:명) 구분 4급 5급 6급 7급 8급 9급 비고 100 1 8 23 50 13 5 행정 21 7 2 기술 55 3 11 39 계약 4 기능 9

4 주 요 업 무 사 무 분 장 보 건 정 책 과 지 역 보 건 과 의 약 과 보 건 위 생 과 보건소
주 요 업 무 보건소 사 무 분 장 보건소내 계약 지출 및 민원실 운영 건강행태개선사업(영양,비만,절주,운동) 금연사업 및 영양플러스사업 감염병 예방관리 및 방역사업 추진 보 건 정 책 과 진료실 운영, 예방접종 방문진료 및 방문간호, 정신 및 치매관리 모성 및 영유아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 국가암 및 만성감염병(결핵,성병) 관리 지 역 보 건 과 의료기관, 약업소, 안경업소 등 허가(신고) 및 지도 단속 방사선실, 임상병리실, 물리치료실 운영 서울약령시 한의약박물관 운영 의 약 과 안전한 식품위생 및 공중위생 업무추진 식품제조 가공업에 관한 사항 음식점 및 농·수·축산물 원산지 관리 보 건 위 생 과

5 주 요 업 무 보건정책과 고객위주의 내실 있는 보건의료 행정서비스 제공 보건소 홈페이지를 통한 각종 의료정보 서비스 제공
주 요 업 무 보건정책과 보건정책과 고객위주의 내실 있는 보건의료 행정서비스 제공 보건소 홈페이지를 통한 각종 의료정보 서비스 제공 “열린보건소 사업” 운영 건강생활실천 통합 서비스 사업 통합 보건민원 창구 운영 건강증진 환경조성 금연 임산부 및 영유아 영양관리(영양플러스 사업) 효율적인 급성 감염병 관리 사계절 방역체계 구축

6 주 요 업 무 1. 고객위주의 내실있는 보건의료 행정서비스 제공 ◆ 고객감동의 보건의료 행정서비스 제공 보건정책과
주 요 업 무 보건정책과 1. 고객위주의 내실있는 보건의료 행정서비스 제공 ◆ 고객감동의 보건의료 행정서비스 제공 ▶ 보건민원편의를 위한 “진료예약제” 실시(한방과, 골밀도검사, 치과 등 ) ▶ 고객의 소리(VOC) 수집을 위한 “실시간 여론조사 시스템” 운영 ▶ 고객 눈높이를 맞추기 위한 “민원안내 도우미” 배치 및 직원친절교육 정례화 ◆ 편안한 보건진료 환경조성 ▶ 쾌적한 보건소 조성을 위한 환경정비 및 인테리어 사업 실시(1층 진료실) ▶ 보건소 이용 취약계층을 위한 “자동문” 설치 확대, 방향 및 이동경로 표시 ▶ 고객편의 도모를 위한 “고객순번대기표” 설치 운영 ▶ 보건교육의 효율성 및 만족도 향상을 위해 “보건교육실 정비” 추진 ▶ 1층 민원실내 건강상담실 및 자가건강 측정실 정비 및 신설 등

7 주 요 업 무 2. 보건소 홈페이지를 통한 각종 의료정보서비스 제공 ◆ 공공보건 포털시스템 연계를 통한 서비스 제공범위 확대
주 요 업 무 보건정책과 2. 보건소 홈페이지를 통한 각종 의료정보서비스 제공 ◆ 공공보건 포털시스템 연계를 통한 서비스 제공범위 확대 ▶ My Health Page(자기건강관리이력정보)추가제공 ▶ 각종 의료비지원 및 보건교육의 온라인 신청·접수 처리 ◆ 사이버 보건교육 구축운영 ▶ 유관기관의 강좌링크(보건복지부, 서울시, 관내병원, 대학 등) 운영 ◆ 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한 모바일보건소 운영 ▶ 페이스북·트위터 운영 : 보건사업 홍보를 목적으로 다양한 사업내용 게재 ▶ OR코드 제작하여 보건소 홈페이지에 링크 ◆ 자가검진프로그램도입 ▶ 홈페이지를 통하여 구민들이 직접 자신의 건강상태를 체크

8 주 요 업 무 3. 『열린보건소사업』 운영 ◆ 보건소 이용 취약계층을 위한 『조기진료 서비스』실시 보건정책과
주 요 업 무 보건정책과 3. 『열린보건소사업』 운영 ◆ 보건소 이용 취약계층을 위한 『조기진료 서비스』실시 ▶ 진료시간 : 평일 08:00 ~ 09:00 〖1시간〗 ▶ 진료과목 : 내과, 영유아(모성)예방접종, 방사선, 임상병리 등 ◆ 평일 보건소 이용 불편 구민을 위한 『토요진료 서비스』 실시 ▶ 진료일시 : 매월 2·4주 토요일 09:00 ~ 13:00 〖4시간〗 ▶ 진료과목 : 영유아(모성)예방접종, 임상병리, 보건민원 등 ◆ 구민의 건강도우미 『건강특화사업』 실시 ▶ 운영일시 : 평일 야간 및 지정 토요일 ▶ 운영과목 : 금연, 짬짬이스트레칭, 영유아건강, 대사증후군, 외국인건강검진, 영양플러스교실

9 주 요 업 무 4. 『통합보건민원창구』운영 ◆ 보건민원실에서 처리하는 모든 업무를 통합창구 개설·운영 보건정책과
주 요 업 무 보건정책과 4. 『통합보건민원창구』운영 ◆ 보건민원실에서 처리하는 모든 업무를 통합창구 개설·운영 ▶ 진료민원 : 고객순번대기표 설치하여 통합창구 개설 · 운영 ▶ 진료업무통합(창구1~4번) - 내과 업무 : 처방전 교부, 진료비 수납 등 - 접수 업무 : 결핵, 한방과, 예방접종, 골밀도검사 등 - 발급 업무 :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 건강진단서 ▶ 의약,위생업무통합(창구5~6번) : 하나로창구 운영 - 식품, 공중, 원산지, 축산물 등의 위생업무, 치과, 의료기관, 약국 등의 의약 업무

10 주 요 업 무 5. 건강생활실천 통합 서비스 사업 ◆ 생활터별 건강생활실천 통합 서비스 제공
주 요 업 무 보건정책과 5. 건강생활실천 통합 서비스 사업 ◆ 생활터별 건강생활실천 통합 서비스 제공 ▶ 시장, 직장 등 통합팀이 방문하여 원스톱 서비스 제공 ▶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근육량, 혈압, 혈당 측정 및 교육 상담 ▶ 금연, 절주, 영양, 운동, 비만 등 영역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 건강관리 및 예방교육 프로그램 운영 ▶ 건강위험군별 금연, 절주, 영양, 운동 등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운영 ▶ 보육아동 건강관리교육 : 보육아동 식생활개선, 건강그림 공모전 ▶ 운동비만교실 : 체력진단실 운영, 짬짬이 스트레칭 교실, 신체활동늘리기 ▶ 영양교육 : 건강생활 노인터 교실, 헬스라이프 교실 ▶ 계층별 음주폐해예방 및 절주교육 ◆ 학교건강매점 설치 및 운영 ▶ 성장기 학생들에 대한 건강한 먹거리 제공을 위한 매점환경 조성

11 주 요 업 무 6. 건강증진 환경조성 ◆ 구민 건강한마당 ▶ 시기 : 2012년 4월, 9월(2회)
주 요 업 무 보건정책과 6. 건강증진 환경조성 ◆ 구민 건강한마당 ▶ 시기 : 2012년 4월, 9월(2회) ▶ 금연절주홍보관, 영양운동상담관, 만성질환상담관 등 건강부스 운영 ◆ 건강한 시장 만들기 ▶ 관내 전통시장에서 건강상담 프로그램 및 건강클럽 운영 ▶ 감염예방팀과 연계하여 하수구 등 시장 주변 방역소독 실시 ◆ 건강한 학교 만들기 ▶ 대상 : 관내 초,중학교 학생, 교사, 학부모 ▶ 방법 : 사업설명 학교선정 프로그램 운영 등 조사 평가 ▶ 교육 프로그램 : 어린이 건강클럽, 금연, 비만교실 등 건강프로그램 ◆ 건강도시 환경조성 : 제기동역 건강플러스관 설치 운영

12 주 요 업 무 7. 금 연 ◆ 금연클리닉 운영 ▶ 개인별 금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상시 및 이동 금연클리닉 운영
주 요 업 무 보건정책과 7. 금 연 ◆ 금연클리닉 운영 ▶ 개인별 금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상시 및 이동 금연클리닉 운영 ◆ 금연환경 조성 ▶ 간접흡연제로 동대문구 만들기 사업 추진(금연아파트, 금연경로당 등 ) ▶ 금연구역 홍보 및 단속 (금연구역 263개소) ▶ 공중이용시설 금연관련법령 이행실태 지도 점검 및 계도 ◆ 금연교육 및 홍보 ▶ 생애주기별 맞춤형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 실시 ▶ 방송, 신문, 소식지 등 각종 홍보매체를 통한 금연사업 홍보

13 주 요 업 무 8. 임산부 및 영유아 영양관리(영양플러스 사업) ◆ 추진방향 ◆ 사업내용
주 요 업 무 보건정책과 8. 임산부 및 영유아 영양관리(영양플러스 사업) ◆ 추진방향 ▶ 빈혈, 저체중, 저신장, 영양불량 등 저소득층 임산부 및 영유아의 영양문제 해소 ▶ 식생활개선 교육을 통한 영양조절능력 배양 ◆ 사업내용 ▶ 모집기간 : 연 3 회 (상시대기접수) ▶ 선정기준 : 최저생계비 200%이내의 가구로 영양 위험요인 보유자 ▶ 제공내용 : 대상자별 6개월간 맞춤형 보충식품 제공 및 월1회 영양교육 실시

14 주 요 업 무 9. 효율적인 급성감염병 관리 ◆ 질병정보 모니터망 을 통한 감염병 발생 감시 강화
주 요 업 무 보건정책과 9. 효율적인 급성감염병 관리 ◆ 질병정보 모니터망 을 통한 감염병 발생 감시 강화 ▶ 병ㆍ의원, 약국, 학교, 사회복지시설 등 48개소 ▶ 표본감시기관 감시체계 및 정보제공 강화 ▶ 표본감시 지정 : 감염병 7종 17개소 ◆ 하절기 비상방역 및 집단식중독 발생 대비 비상근무 ▶ 비상근무 기간 : ~ (현장 역학조사 및 가검물 검사) ▶ 역학조사반 운영 : 현장 역학조사 및 가검물(채변, 인후도찰물) 검사 ◆ 아동극 공연을 통하여 조기에 개인 위생습관 형성에 기여 ◆ 에이즈 예방 ·관리 강화 및 진료비 지원 ▶ 에이즈 캠페인 및 홍보물 배부 : 4회, 10,000부 ▶ 에이즈감염자 병원 진료비 지원 : 74,670천원

15 주 요 업 무 ▶ 대형정화조 210개소 모기유충 조사 후 방제조치 안내 10. 사계절 방역체계 구축
주 요 업 무 보건정책과 10. 사계절 방역체계 구축 ◆ 겨울철 월동모기 방제 ▶ 소독의무대상시설 892개소 겨울철 방역소독 조치 ▶ 대형정화조 210개소 모기유충 조사 후 방제조치 안내 ◆ 환절기 하수도 방역 ▶ 멘홀 등 350개소, 하수도연장 35,000m ◆ 하절기 관내 전지역 주기적 방역 ▶ 지역방역 – 월 2회 이상 주기적 계획방역 ▶ 조기,야간방역 – 주 2회이상 일출 전, 일몰 후 방역 ◆ 위생해충 살충기 운영 ▶ 중랑.성북.정릉천변 등 97개소 하절기 운영

16 주 요 업 무 지역보건과 모성 및 영유아 보건사업 추진 예방접종 관리 방문건강관리사업 희귀 · 난치성 질환자 의료비 지원
주 요 업 무 지역보건과 지역보건과 모성 및 영유아 보건사업 추진 예방접종 관리 방문건강관리사업 희귀 · 난치성 질환자 의료비 지원 노인건강증진 사업 추진 정신보건 및 치매관리 사업 2099 치아 건강사업

17 주 요 업 무 지역보건과 심뇌혈관질환예방 및 대사증후군관리사업 만성감염병관리 건강검진 암 조기검진 및 암환자 의료비 지원
주 요 업 무 지역보건과 지역보건과 심뇌혈관질환예방 및 대사증후군관리사업 만성감염병관리 건강검진 암 조기검진 및 암환자 의료비 지원 아토피 예방관리

18 주 요 업 무 1. 모성 및 영유아 보건사업 추진 ◆영유아 건강관리사업 ◆ 임산부 및 가임기여성 건강관리사업
주 요 업 무 지역보건과 1. 모성 및 영유아 보건사업 추진 ◆영유아 건강관리사업 ▶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선천성대사이상 환아 의료비지원 ▶ 신생아청각선별검사, 영유아(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검진 ▶ 세 살 아기 쑥쑥키우기 등 영유아 건강교실 운영 ◆ 임산부 및 가임기여성 건강관리사업 ▶ 임산부 산전검사(초음파, 기형아, 풍진검사 등) 및 철분제, 엽산제 지급 ▶ 난임부부 지원, 산모신생아도우미지원 및 청소년 산모 의료비 지원 ▶ 출산교실, 모유수유교실 등 모성 건강교실 운영 ◆ 추진계획 ▶ 영유아 및 임산부 등록관리 : 3,000명 ▶ 미숙아, 선천성대사이상검사비 등 의료비지원 : 3,000명 ▶ 난임부부 의료비지원 : 450명, 산모신생아도우미지원 : 300명 ▶ 모성 및 영유아 건강교실 운영 : 43회

19 주 요 업 무 2. 예방접종 관리 ◆ 예방접종사업 추진 ◆ 추진계획 ▶ 영유아 예방접종 : 15,000명 지역보건과
주 요 업 무 지역보건과 2. 예방접종 관리 ◆ 예방접종사업 추진 ▶ 국가 필수 예방 무료접종 (영유아) - 디피티, 소아마비, B형간염, 수두, MMR, 일본뇌염 등 ▶ 성인 예방접종 - B형간염, 신증후군출혈열 등 ▶ 계절인플루엔자 예방접종 ◆ 추진계획 ▶ 영유아 예방접종 : 15,000명 ▶ 성인 예방접종 : 3,500명 ▶ 계절인플루엔자 예방접종 : 28,000명

20 주 요 업 무 3. 방문건강관리사업 ◆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사업 ◆ 방문진료 ◆ 순회진료 ◆ 찾아가는 장애인 재활보건사업
주 요 업 무 지역보건과 3. 방문건강관리사업 ◆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사업 ▶ 가구별 생애주기별 지역담당제를 통한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 저소득층 건강위험요인 발견 및 만성질환 사례관리, 복지관·병원 등과 연계의뢰 제공 ◆ 방문진료 ▶ 거동불편 환자를 방문하여 진료, 투약, 건강상담 등 ◆ 순회진료 ▶ 사회복지시설, 경로당, 저소득 밀집지역 순회 진료 및 투약, 보건교육 등 ◆ 찾아가는 장애인 재활보건사업 ▶ 뇌졸중 및 지체장애인을 방문하여 재활진료, 물리치료,재활기구대여 등 ◆ 가정간호 ▶ 특수기구 부착자, 와상환자 등 방문 의료서비스 제공 ◆ 추진계획 : 방문간호 및 가정간호-28,000가구, 방문진료-250명, 순회진료-2,500명

21 주 요 업 무 4. 희귀ㆍ난치성질환자 의료비 지원 5. 노인건강증진 사업 추진
주 요 업 무 지역보건과 4. 희귀ㆍ난치성질환자 의료비 지원 ◆ 대상질환 : 만성신부전증, 혈우병, 고셔병, 근육병 등 134종 ◆ 지원대상 기준 ▶ 환자가구 및 부양의무자 재산 소득 수준을 조사 평가하여 지원 ◆ 지원내용 ▶ 의료비: 급여의 본인부담, 간병비, 호흡보조기,기침유발기, 특수식이 구입비(해당질환) ◆ 추진계획 : 의료비지원 180명 / 7,000건 5. 노인건강증진 사업 추진 ◆ 노인안검진, 경로당 체조교실 및 방문건강관리 ▶ 치료 레크레이션, 건강체조, 건강교육, 건강상담 등 ◆ 관절염 ∙ 요실금 자조관리교실 운영 ▶ 타이치 운동 및 자조관리 교육 실시 ◆ 추진계획 : 노인체조교실 운영 4개 경로당 , 관절염자조교실 24회, 요실금 건강교실 6회 경로당건강관리 11개소 경로당

22 주 요 업 무 6. 정신보건 및 치매관리 사업 ◆ 정신보건 사업 ◆ 치매관리 사업 ◆ 추진계획 지역보건과
주 요 업 무 지역보건과 6. 정신보건 및 치매관리 사업 ◆ 정신보건 사업 ▶ 정신보건센터 설치 운영 ▶ 정신건강상담 및 만성정신질환자 등록관리 ◆ 치매관리 사업 ▶ 치매조기검진(치매선별, 정밀, 원인확진검사) 등록관리 ▶ 인지건강프로그램 운영 ◆ 추진계획 ▶ 정신 : 등록회원 사례관리 - 4,500건, 고위험군 일반상담 - 700명 정신질환자 신규등록 - 275명 ▶ 치매 : 치매선별검진 - 6,500명, 치매치료비 지원 -130건

23 주 요 업 무 7. 2099 치아 건강사업 ◆ 노인의치 보철사업 ◆ 불소 도포 사업 ◆ 추진계획 ▶ 노인의치 보철 : 91명
주 요 업 무 지역보건과 치아 건강사업 ◆ 노인의치 보철사업 ▶ 만65세이상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 어르신 및 차상위 건강보험 전환자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지정 치과의원에 의뢰 시술 ◆ 불소 도포 사업 ▶ 만5~6세 보육시설 원아를 중점으로 불소도포 실시 ◆ 추진계획 ▶ 노인의치 보철 : 91명 ▶ 불소겔 도포 : 500명

24 주 요 업 무 8.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대사증후군관리사업 ◆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홍보사업
주 요 업 무 지역보건과 8.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대사증후군관리사업 ◆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홍보사업 ▶ 사망률1위인 심뇌혈관의 선행질환인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을 관리하여 주민의 건강수명 연장 ◆ 추진계획 ▶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홍보 및 캠페인 실시 : 12회 ▶ 고혈압 당뇨교육 : 20회, ▶ 고혈압 당뇨환자 등록관리: 6,000명 ◆ 대사증후군관리사업 ▶ 만성질환예방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절감으로 지역주민 건강증진 유도 ▶ 대사증후군센터운영 : 6,000명 ▶ Out-Reach 건강상담실운영 : 5개소 ▶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강좌 실시 : 10회

25 주 요 업 무 9. 만성 감염병 관리 ◆ 결핵관리사업 ◆ 성병관리사업 ◆ 추진계획
주 요 업 무 지역보건과 9. 만성 감염병 관리 ◆ 결핵관리사업 ▶ 결핵환자 발견, 등록환자의 치료 및 추구관리 ▶ 결핵이동검진 및 소집단 결핵환자 발견시 역학조사 ▶ 민간병원(PPM참여병원) 결핵환자 접촉자 검진비 지원 ▶ 결핵 다재내성환자의 입원치료비 및 투약비 지원 ◆ 성병관리사업 ▶ 성병취약계층(특수업태부 등) 관리를 위한 여성건강관리소 운영 ▶ 노인교실, 경로당, 대학생 및 전경 등을 대상으로 성병예방 교육 및 홍보 ▶ 성병감염자에 대한 무료치료 및 민간병원치료 본인부담금 지원 ◆ 추진계획 ▶ 결핵 : 고교2학년생 이동검진 약4,500명, 복지관 등 이동검진 300여명 ▶ 성병 : 성병취약계층 검진 강화, 성병예방교육 및 홍보 10회 이상 실시

26 주 요 업 무 10. 건강검진 ◆ 척추측만증 검진 사업 ◆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주 요 업 무 지역보건과 10. 건강검진 ◆ 척추측만증 검진 사업 ▶ 검진대상 : 관내 초등학교 5학년생(전년도 유소견자 포함) ▶ 검진결과 유소견자에 대한 교육 및 인터넷 상담 ◆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 검진대상 : 비취학청소년(만16세), 의료급여수급자(만40세, 만66세) ◆ 취약계층 및 소외계층 건강검진 강화 ▶ 검진대상 : 노숙자 및 새터민, 외국인근로자 및 자녀, 성매매보호시설 65세 이상 의료급여수급자, 다문화가족 , 비취학청소년, 복지관이용자 등 ◆ 의료급여수급자 일반건강검진 (2012년도 신규사업) ▶ 검진대상 : 만19세-39세 세대주, 만41세-64세 ▶ 시행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위탁 시행 ◆ 추진계획 ▶ 척추측만증검진 : 21개교 4,000여명, 취약계층 건강검진 : 연간 2,200명 ▶ 생애전환기 및 의료급여수급자 건강검진 홍보 : 분기별 1회

27 주 요 업 무 11. 암 조기검진 및 암환자 의료비 지원 ◆ 국가암 조기검진
주 요 업 무 지역보건과 11. 암 조기검진 및 암환자 의료비 지원 ◆ 국가암 조기검진 ▶ 대상 : 의료급여수급자, 만40세(여성은30세) 이상 보험료 하위50% 이하자 ▶ 검진암 종류 : 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 암환자 의료비 지원 ▶ 지원대상 및 암종 - 의료급여수급자 : 모든 암종 지원 - 건강보험가입자(보험료 기준 하위 50%) 중 조기검진 받은 자 : 5대암 (5대암 : 폐암, 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 소아암 ◆ 추진계획 ▶ 조기검진 : 검진율 제고를 위한 홍보 (유선안내, 문자서비스, 캠페인 등) ▶ 암환자 의료비 지원 : 소식지, 동주민센터, 지역축제 등 연계 홍보

28 주 요 업 무 12. 아토피 예방 관리 ◆ 추진내용 지역보건과 ▶ 아토피 강좌 등 교육강화로 아토피 예방 및 관리
주 요 업 무 지역보건과 12. 아토피 예방 관리 ◆ 추진내용 ▶ 아토피 강좌 등 교육강화로 아토피 예방 및 관리 ▶ 아토피 환아와 가족의 아토피관리에 대한 역량 강화 ◆ 추진계획 ▶ 아토피 안심학교(어린이집) 운영 ▶ 어린이집, 방과후교실 어린이 대상 아토피교실 운영 ▶ 취약계층 어린이 아토피 검진 및 의료비 지원 - 의료급여수급자, 차상위, 다문화가정, 공부방어린이 등 검진 및 지원 확대

29 주 요 업 무 의 약 과 의료기관 지도점검 약국·의약품 등 판매업소 지도점검 마약류 취급업소 지도점검 한약재 품질관리 강화
주 요 업 무 의 약 과 의 약 과 의료기관 지도점검 약국·의약품 등 판매업소 지도점검 마약류 취급업소 지도점검 한약재 품질관리 강화 검진업무 추진 서울약령시 한의약박물관 운영

30 주 요 업 무 1. 의료기관 지도점검 2. 약국·의약품 등 판매업소 지도점검 ◆ 대 상 : 종합병원, 병ㆍ의원 등 755개소
주 요 업 무 의 약 과 1. 의료기관 지도점검 ◆ 대 상 : 종합병원, 병ㆍ의원 등 755개소 ◆ 점검내용 ▶ 각종 인ㆍ허가 사항 이행여부 및 시설기준 적합 여부 ▶ 진료기록부 작성 및 보관, 허위처방전 발행, 면허대여 여부 등 2. 약국·의약품 등 판매업소 지도점검 ◆ 대 상 : 약국, 의약품도매상, 한약업사, 의료기기 판매업소ㆍ수리업소 979개소 ◆ 점검내용 ▶ 부적합, 불법(무허가, 밀수)의약품 및 의료기기 판매행위 ▶ 무자격자에 의한 의약품 조제ㆍ판매행위 및 의료기기 에 대한 거짓ㆍ과대 광고 행위 등

31 주 요 업 무 3. 마약류 취급업소 지도점검 4. 한약재 품질관리 강화 ◆ 대 상 : 마약류 취급업소 778개소
주 요 업 무 의 약 과 3. 마약류 취급업소 지도점검 ◆ 대 상 : 마약류 취급업소 778개소 ◆ 점검 및 홍보 ▶ 취급규정(투약, 조제, 보관, 수수 등) 및 기록의 정비 등 규정 준수여부 ▶ 마약류 오ㆍ남용 예방 가두캠페인 실시 : 연 2회 ▶ 마약류 취급 신규 개설자 교육 : 수시 4. 한약재 품질관리 강화 ◆ 사업개요 ▶ 부적합 한약재의 회수 및 폐기 조치 ▶ 대 상 : 한약도매상, 한약업사, 한약취급약국 321개소 ◆ 사업내용 ▶ 한약재 품질검사 :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불량 한약재 판매 잔량 및 회수량에 대한 전량 폐기 조치

32 주 요 업 무 5. 검진업무 추진 ◆ 병리검사 : 감염병 검사, 병리학적 검사, 수질검사
주 요 업 무 의 약 과 5. 검진업무 추진 ◆ 병리검사 : 감염병 검사, 병리학적 검사, 수질검사 ◆ 방사선 검사 : 위생업소 종사자 등 건강진단 및 결핵환자 ◆ 물리치료 : 활동의 제약을 받는 환자 및 지역주민 물리치료 ◆ 골밀도 측정 ▶ 대 상 : 서울시 거주 주민 ▶ 예약(방사선실)→골밀도검사(방사선실)→의사상담(보건소 진료실)

33 주 요 업 무 ◆ 운영현황 ▶ 주요시설 : 전시실, 수장고, 한방체험실, 강당 등
주 요 업 무 의 약 과 6. 서울약령시 한의약박물관 운영 ◆ 운영현황 ▶ 주요시설 : 전시실, 수장고, 한방체험실, 강당 등 ▶ 개관시간 : 하절기(10:00∼18:00), 동절기(10:00∼17:00) ▶ 운영방법 : 위탁운영(서울약령시협회) ◆ 2012 관람목표 : 약 35,000명 일반관람객, 외국인, 단체관람 등

34 주 요 업 무 보 건 위 생 과 ㆍ식중독 제로를 향한 선제적 예방활동 강화 ㆍ식품접객업소 야간 지도ㆍ점검
주 요 업 무 보건위생과 보 건 위 생 과 ㆍ식중독 제로를 향한 선제적 예방활동 강화 ㆍ식품접객업소 야간 지도ㆍ점검 ㆍ부정ㆍ불량식품 관리강화 어린이 기호식품 안전관리 강화 음식점 원산지 표시 관리 농ㆍ수산물 원산지 표시 관리

35 주 요 업 무 1. 식중독 제로를 향한 선제적 예방활동 강화 ◆ 기 간 : 2012. 1월 ~ 12월
주 요 업 무 보건위생과 1. 식중독 제로를 향한 선제적 예방활동 강화 ◆ 기 간 : 월 ~ 12월 ◆ 대 상 : 5,577개소(식품접객업소 5,395개소, 집단급식소 182개소) ◆ 사업내용 ▶ 선제적 예방활동으로 위생점검을 통한 건강 위해요소 사전차단 ▶ 식중독 취약시설 및 집중관리업소 등 ATP 간이검사 실시 ◆ 추진계획 ▶ 식중독 예방 홍보 및 예방시설 지원 (손 소독기, 1830손씻기 설치 지원) ▶ 식중독 취약시설 및 집중관리업소 지도ㆍ점검 강화 ▶ 위생취약시설에 대한 ATP 간이검사 및 식중독 우려식품 수거ㆍ검사 실시 ▶ 인터넷 자율점검(대상업소 분기별 1회) 등

36 주 요 업 무 2. 식품접객업소 야간 지도·점검 ◆ 기 간 : 2012. 1월 ~ 12월 ◆ 대상업소 : 1,083개소
주 요 업 무 보건위생과 2. 식품접객업소 야간 지도·점검 ◆ 기 간 : 월 ~ 12월 ◆ 대상업소 : 1,083개소 (찻집 형태 일반음식점, 호프·소주방, 단란 유흥주점 등) ◆ 중점점검 내용 ▶ 청소년 출입 고용 및 주류제공 등 청소년 유해행위 ▶ 상습적 법규 위반업소, 청소년유해행위로 적발된 업소, 시민신고 업소 ▶ 행정처분(영업정지)업소 이행여부 점검 등 ◆ 추진계획 ▶ 민관합동 야간단속 실시 : 주2회 ▶ 청소년 주류제공, 고용여부 등 중점점검 ▶ 위반업소 행정처분 확행 등

37 주 요 업 무 3. 부정·불량식품 관리강화 ◆ 식품제조·가공, 판매업소 위생감시[민·관 합동]활동
주 요 업 무 보건위생과 3. 부정·불량식품 관리강화 ◆ 식품제조·가공, 판매업소 위생감시[민·관 합동]활동 ▶ 기 간 : 연 중 ▶ 대 상 : 식품제조·가공업소, 기타식품판매업소, 유통전문판매업소 등 ▶ 중점관리 내용 - 시설기준 적정여부, 무허가(무신고)영업, 비식용 원료 사용 여부 및 표시 적정 여부, 생산일지 및 원료 수불대장 작성 , 개인위생 ㆍ건강진단 등 ◆ 시민 다소비식품 특별관리[식품수거검사 의뢰] ▶ 기 간 : 연 중 ▶ 대 상 : 30여종(면류, 두부, 김밥, 햄버거, 우유, 만두 등) ▶ 수거장소 : 식품제조 · 가공업소, 기타 식품판매업소, 재래시장 등 37

38 주 요 업 무 4. 어린이 기호식품 안전관리 강화 ◆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관리 보건위생과
주 요 업 무 보건위생과 4. 어린이 기호식품 안전관리 강화 ◆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관리 ▶ 기 간 : 월 ~ 12월 ▶ 대 상 : 46개 학교주변 어린이보호구역 (200M이내) ▶ 관리내용 : 유통기한 경과제품 판매 여부, 식품 보관기준 준수 여부 등 ◆ 학부모 식품안전지킴이 구성 및 운영 ▶ 운영기간 : 월 ~ 12월 ▶ 참여인원 : 100여명(초등학교별 4명) – 학교별 2인 1조 활동 ▶ 활동내용 : 유해식품 및 정서 저해식품 판매여부 확인 등 ◆ 어린이 식품안전동아리 운영 ▶ 대 상 : 관내 초등학교 1개교 어린이 식품안전 동아리 ▶ 활동내용 : 식품첨가물 실험, 건강간식 만들기, 불량식품 근절캠페인 등 체험활동

39 주 요 업 무 5. 음식점 원산지 표시 관리 ◆ 점검기간 : 2012. 1월 ~ 12월
주 요 업 무 보건위생과 5. 음식점 원산지 표시 관리 ◆ 점검기간 : 월 ~ 12월 ◆ 점검대상 : 4,857개소(일반 4,514, 휴게 161, 위탁 및 집단급식소 182) ◆ 단속방법 ▶ 음식점 원산지 표시대상 업소 상시 지도ㆍ점검 ▶ 서울특별시 자치구간 교차 점검 및 민원발생업소 특별점검 등 ◆ 중점단속 사항 ▶ 음식점 식재료에 대한 원산지표시 및 표시방법 적정여부 ▶ 음식점 냉장고 보관 육류에 대한 원산지 표시 기준 제시 ▶ 원산지 거짓표시 의심 쇠고기(한우) 및 쌀에 대한 수거검사 실시

40 주 요 업 무 6. 농·수산물 원산지 표시 관리 ◆ 점검기간 : 2012. 1월 ~ 12월
주 요 업 무 보건위생과 6. 농·수산물 원산지 표시 관리 ◆ 점검기간 : 월 ~ 12월 ◆ 대 상 : 1,850개소(농산물판매업소 1,400, 수산물판매업소 450) ◆ 단속방법 ▶ 농ㆍ수산물 판매업소 상시 지도ㆍ점검 ▶ 시기별ㆍ계절별 특성에 따른 특별 지도ㆍ점검 ◆ 중점단속 사항 ▶ 농ㆍ수산물 원산지 표시 여부 및 거짓 표시 행위 단속 ▶ 원산지 거짓 표시 의심 농산물에 대한 수거검사 실시 ▶ 원산지 표시 확인 관련 서류 보관 여부 등

41 감사합니다 !


Download ppt "2012 主 要 業 務 報 告 동대문구 보건소."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