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중소 건설업체 경영실태 분석 및 시사점 2012. 10. 13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 권오현.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중소 건설업체 경영실태 분석 및 시사점 2012. 10. 13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 권오현."— Presentation transcript:

1 중소 건설업체 경영실태 분석 및 시사점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 권오현

2 목차 1. 건설산업 거시 동향 조망 2. 중소 건설업체의 상대적 위상 3. 중소 건설업체의 외형적 특성 4. 사업수행 실태
5. 사업수행 성과 6. 기업의 진입과 퇴출 7. 경쟁력 평가 8. 향후 대응방향 9. 분석 결과의 시사점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2 / 24 -

3 1. 건설산업 거시 동향 조망 (1) 건설투자 건설투자 규모는 2011년에 145.8조원(2005년 실질가격) 으로 2007년 이후 감소 추세 2011년의 건설투자 규모는 외환위기 발생 이전인 1997년의 150.2조원과 비교해 3.0%p 감소한 수준 외환위기 이후 건설시장 계속 축소 =>기업 적응 어려운 상황 외환위기 이후 GDP 평균 증가율은 4.2%인 반면, 건설투자는 –0.2%로서 큰 차이 주택건설 투자의 연평균 증가율 -2.9%, 토목투자는 제자리 건설투자 추이 GDP 및 건설투자 연평균 증가율 (단위 : %) GDP 9.0 9.7 7.5 4.2 건설투자 10.7 12.4 7.1 -0.2 주택 10.4 14.4 3.7 -2.9 비주택 10.3 13.4 5.6 1.4 토목 11.3 9.8 11.6 0.0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3 / 24 -

4 1. 건설산업 거시 동향 조망 (1) 건설투자 GDP 대비 건설업 비중
건설투자가 장기간 침체국면에 빠지면서 건설산업 의 비중은 날로 저하 GDP에서 차지하는 건설업 비중 1997년 10.1%  2011년 5.3% 구미 선진국들의 경우 GDP에 대한 건설업의 비중은 대략 5∼7% 수준에서 안정 일본 6.2%, 영국 5.7%, 프랑스 5.9%, 호주 7.6%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4 / 24 -

5 1. 건설산업 거시 동향 조망 (2) 지역 시장 지방 건설시장 비중은 외환위기 이후 약 5%p 떨어졌으나, 2000년대 초반부터 꾸준히 증가해 2007년 56.8%까지 회복 전체 인프라 투자의 약 70% 정도가 지방에서 이루어짐.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로 투자심리가 위축, 공공공사 발주 부진 => 지방 건설시장이 상대적으로 불안정 지방 건설시장 비중은 금융위기로 급락 후, 56.7%까지 회복 지역 건설시장은 2011년 경기가 43.6조원 으로 국내시장의 23.5%로 압도적이며, 다음은 서울로 24.7조원, 13.3% 부산․대구․광주 등 광역시와 강원·경북 등의 침체가 심함 최근 10년간 서울지역 시장의 성장속도는 연평균 3.3%로 최하위 지역 건설시장 규모는 최대 15배 이상 차이가 나며, 연평균 성장률 역시 7%p 이상 차이가 발생 지방 건설시장 점유비중 추이 지역 건설시장 규모(2011년)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5 / 24 -

6 2. 중소 건설업체의 상대적 위상 업체 수, 고용, 매출액 및 부가가치 중소 건설업체의 상대적 위상
2010년에 전문 건설업체를 포함한 우리나라의 전체 건설업체 수는 모두 6만 5,330개 업체, 그 중 종합건설업체는 1만 467개로 전체 건설업체의 16.0%를 차지 종업원 수를 기준으로 종합건설업체의 98.9%가 중소기업 건설업은 13개 산업 중 광업(99.1%) 다음으로 중소기업 비중이 높음 중소 건설업체의 상대적 위상 전체 건설업 종사자의 55.9%가 중소 건설업체에서 근무 2002년까지 외환위기 극복과정에서 대기업은 23.1만명의 고용을 축소시켰으나, 중소 건설업은 12.5만 명의 고용 확대 2008년 금융위기 이후에도 중소 건설업체의 고용비중은 4.4%p 증가 건설업 전체 매출액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32.7%이 고, 부가가치 생산비중은 이보다 다소 높은 37.3% 수준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6 / 24 -

7 3. 중소 건설업체의 외형적 특성 (1) 건설업 수행 업력 종합건설업체 연도별 신규 등록업체 현황
건설업체의 75.4%가 2000년 이후 설립 => 많은 업체가 건설업 수행경험이 짧음. 업력이 10년 이하인 업체가 46.2% 2000∼1년에 설립된 업체가 3,083개사로 29.1% 진입 초기부터 수주난을 겪으면서 5년 생존율이 27.8% 중소 건설업체들은 한정된 공공시장을 놓고 수주경쟁을 벌이느라 낮은 수익성과 생산성에서 벗어나지 못함. 건설업 업력이 15년 이상 되면서 사업규모가 확연히 커 지면서 평균 100억원 이상의 기성규모를 달성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7 / 24 -

8 3. 중소 건설업체의 외형적 특성 (2) 고용 상황 (3) 사업 규모
기업규모가 커질수록 분업화 전문화의 진전으로 사업규모는 빠르게 증가 종업원 수가 100명 이하일 때 평균 매출액은 100억원 이하, 300인 이하에서는 530억원의 평균 매출을 기록 사업 규모가 증가할수록 1인당 기성액은 빠르게 증가 기성액 랭킹이 100위 정도 앞서면, 종업원 1인당 기성액은 5% 증가, 랭킹이 1000위 차이면 1인당 기성액은 약 1.6배 차이 단, 유사한 기성규모에서도 1인당 기성액은 5배까지 차이 종업원 규모별 업체당 매출액 기성액 규모와 1인당 기성액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8 / 24 -

9 4. 사업수행 실태 (1) 사업 규모 변화 추이 종합 건설업체 평균 매출액
중소 건설업체의 평균 매출액은 1997년 54억원에서 2001년에는 종전의 40% 수준인 21억원까지 떨어진 후 완만한 회복 2010년 중소 건설업체 평균 매출액은 31억원으로 1997년과 비교해 42.4% 감소(연평균 –4.2%) 중소 건설업체의 매출 증가율은 다른 산업과 비교해도 매우 낮음 한국은행의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2007∼10년까지 전산업의 중소기업 연평균 매출증가율은 10.3%이고, 제조업의 경우 11.6% 중소 건설업체의 연평균 매출증가율은 6.3%로 12개 업종 중 10위 대기업과 중소 건설업체의 업체당 평균 매출액 격차가 점차 확대 1997년∼2010년 기간에 중소 건설업체의 평균 매출액은 -42.4%인데 비해, 대기업은 같은 기간 동안 3.3배 증가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9 / 24 -

10 4. 사업수행 실태 (2) 공공공사 입찰 경쟁 실태 공사규모별 평균 입찰 경쟁률
(2) 공공공사 입찰 경쟁 실태 2011년도 전체 공공발주 공사에서 적격심사 공사는 가장 큰 비중인 39.6%를 차지하고, 최저가 낙찰공사는 33.7%를 차지 발주 건수를 기준으로 하면 적격심사 공사가 83.9%를 차지 중소 건설업체들이 주로 참여하는 적격심사 공사는 2010년도에 11,643건이 발주 적격심사 공사의 44.7%가 2억원∼5억원 구간의 소규모 공사에 밀집 공사규모별 평균 입찰 경쟁률 2010년도 적격심사 공사의 평균 입찰경쟁률은 359 : 1 경쟁률이 1000 : 1을 넘는 공사는 269건 4억 7천만원의 건축공사는 2,135 : 1로 최고 입찰경쟁률을 기록 연간 500∼1,000건 정도 입찰에 참여하지만 수주 가능성은 희박 적격심사 공사 1건만 수주한 업체가 91.3%, 2건만 수주한 업체는 7.6% 입찰경쟁률은 중간규모의 공사일수록 상대적으로 높고, 소규모 공사나 대규모 공사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逆U字 모양의 패턴 5억원∼10억원 구간에서 입찰경쟁률은 평균 450 : 1을 넘어 가장 치열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10 / 24 -

11 기성 랭킹 그룹별 평균 토목건설 비중 변화(2005-2010년)
4. 사업수행 실태 (3) 중소 건설업체의 시장 점유 비중 중소 건설업체들은 최근 5년간 시장점유비가 4.7%p 감소 2005년 전체 건설시장에서 48.8%를 차지하였으나 2010년에 44.1%로 계속 축소 토목건설 시장에서 중소 건설업체의 시장 점유비는 최근 5년 동안 4.6%p 감소 금융위기 이후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공공투자 등으로 낙폭 완화 200위권의 경우 상승폭이 11.7%p로 전체 그룹 중에서 가장 컸으나, 400권 이하부터는 감소폭이 점차 커져 900위권에서는 23.8%p 감소 중소기업의 건설시장 점유비 추이 기성 랭킹 그룹별 평균 토목건설 비중 변화( 년)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11 / 24 -

12 건설업체 순위별 기성실적 평균 증가율 비교(2005∼2010년)
5. 사업수행 성과 (1) 중규모 기업 위축 건설업체 순위별 기성실적 평균 증가율 비교(2005∼2010년) 종업원 수가 50∼300인 규모의 중기업의 매출액이 2010년 들어서 크게 감소 중기업의 매출액 증가율은 2008년 이후 계속 저하되고, 2010년에는 –8.4%를 기록 100∼500위권에 속한 중소기업의 성장이 크게 부진 2005∼10년 동안 101∼200위 업체의 기성액 평균 증가율은 1.4%, 201∼500위는 2.1% 증가에 불과 대기업의 기성액 평균 증가율 : 27.4%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12 / 24 -

13 5. 사업수행 성과 (2) 노동생산성 저하 종합 건설업체 종업원 1인당 평균 매출액
노동생산성의 척도로 이용되는 1인당 매출액은 중소기업이 대기업의 38.2% 수준 중소 건설업체의 종업원 1인당 매출액은 2010년 1.2억원으로, 대기업의 3.2억원과 비교해 38.2%에 불과 1990년대 후반까지 중소기업의 1인당 매출액은 대기업과 비교해 약 60% 수준 1997년 이후 대기업의 1인당 매출액은 2.5배 증가했으나, 중소기업은 1.7배 증가 연평균 증가율 : 대기업 7.3%, 중소기업 4.0%로 큰 차이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13 / 24 -

14 5. 사업수행 성과 (3) 적자 기업 증가 기업규모별 적자업체 비중 2010년도 영업이익이 적자 건설업체 : 21.4%
상위 100대 기업 중에서 적자 업체는 18개사 기성액 순위별로 100개 업체 단위로 분석하면, 1000위까지는 적자업체 비중이 계속 낮아져 약 5% 수준에 이른 후 점차 상승하는 패턴을 보임. 3000위에서는 7%, 8000위권은 적자업체가 무려 55%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14 / 24 -

15 5. 사업수행 성과 (3) 적자 기업 증가 (4) 신규 진입업체 분발
중소 건설업체의 수익률은 다른 산업과 비교해도 최하위 수준 한국은행 자료에 의하면 2010년 전체 중소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4.9% 중소 건설업체는 운수업, 도소매업 등과 함께 3.9%로 12개 산업 중에서 최하위권 신규 업체의 수익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나, 실제로는 업력 1∼3년차 기업에서 적자기업은 15%로 전체 평균 21.4%보다 훨씬 낮음. 오히려 적자기업 비중은 업력이 증가할수록 늘어나 7∼14년에서는 25% 이상이 적자기업 업종별 매출액 영업이익률 비교(2010년) 건설 업력별 적자업체 비중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15 / 24 -

16 6. 기업의 진입과 퇴출 (1) 무실적 업체 연간 무실적 업체수 추이
연간 기성실적이 전혀 없는 무실적 업체 수는 감소 추세 2002년 1,751개사(27.4%)를 기록한 이후 점차 감소해 2011년에는 896개 업체로 전체 건설업체의 8.5%를 차지 신규 등록업체 중에서 무실적 업체의 비중은 크게 감소 2002년 54.2% 업체 => 2011년 4.9% 2000년대 초반에 건설업에 진출한 업체보다 최근에 신규 진입 업체가 양호하게 사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임. 어려운 환경에서 창업에 신중하고 상대적으로 준비가 충실해지는 것으로 보임.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16 / 24 -

17 6. 기업의 진입과 퇴출 (2) 건설업 진입과 퇴출 종합 건설업체의 진입&퇴출 비중
신규 업체의 건설업 진입은 2000년대 초반 연간 4000개 업체를 넘었으나, 최근에는 500개 업체 수준으로 급감 신규 진입업체는 2001년 4,423개로 최고에 이른 후, 2000년대 중반부터 감소해 2011년는 536개 업체 종합 건설업체의 진입&퇴출 비중 2011년 건설업 퇴출율은 8.2%나 실질적으로는 훨씬 많음. 2011년 자진폐업 및 등록말소 업체는 947개사, 영업정지 1,600개사 영업정지의 경우, 등록기준 미달 업체가 대부분이라 사업재개가 어려운 경우가 많음. 퇴출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영업정지를 포함한 광의의 퇴출률은 2009년 이후 급증 2008년까지는 약 15% 수준이었으나, 2009년 24.0%에 이른 후 20%를 계속 상회 1년 동안 전체 업체의 20% 이상이 사실상 퇴출되는 것은 심각한 문제 퇴출압력은 시장 적응능력이 취약한 중소업체에 집중, 이 과정에서 적자수주를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 지속되면서 우량 중소업체들도 위험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17 / 24 -

18 대기업 대비 중소 건설업체의 상대적 경쟁력 수준
7. 경쟁력 평가 (1) 중소 건설업체의 경쟁력 대기업 평균 경쟁력을 ‘100’이라고 할 때, 중소 건설업체의 상대인 경쟁력은 시공기술력이 약 57, 소프트 관리능력이 대략 50 정도 수준으로 인식 대기업 대비 중소 건설업체의 상대적 경쟁력 수준 분야 상대적 경쟁력 건축 공사 주택 56.4 비주택 55.9 토목 일반 토목(도로, 철도 등) 58.7 기타 토목(상하수도, 조경 등) 58.9 영업력 48.8 구매조달 능력 51.6 견적 능력 55.7 금융 능력 44.1 시공 기술력은 도로 등 일반토목 분야가 58.7, 상하수도 조경 등 기타 토목이 58.9로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음. 건축공사 시공능력 역시 주택부문 56.4, 비주택 부문 55.9로 비슷하게 평가 소프트 관리능력은 금융능력이 44.1로 가장 저조했고, 영업력 48.8, 구매조달 51.6, 견적능력 55.7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18 / 24 -

19 7. 경쟁력 평가 (2) 경쟁력 약화 요인 중소 건설업체의 경쟁력 약화 요인
중소 건설업체의 경쟁력 약화의 최대 요인은 전반적인 공사관리 능력이 미흡한 데 있다는 견해가 가장 많았음. 공사관리 능력의 미흡이 경쟁력 약화의 중요한 요인이라고 발주자의 29.0%, 중소 건설업체의 29.5%가 지적 제2 요인은 기술개발의 미흡과 경영전략의 부재라는 응답이 많았음. 발주자들은 25.0%가 기술개발이 미흡하다고 응답 건설 업체들은 경영전략의 부재라고 응답한 비중이 26.7% 하도급업체의 외주관리 능력 미흡 및 기술자의 능력 부족도 경쟁력 약화의 주요 요인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19 / 24 -

20 공사수행 과정에서 효율성 향상 잠재력이 큰 사항
8. 향후 대응방향 (1) 최우선 보강해야 할 기능 (2) 경쟁력 강화 선결 과제 사업수행 과정에서 중소 건설업체들이 최우선 보강해야 할 기능으로 ‘금융조달 능력 강화’ 및 ‘리스크 관리 능력 배양’이라고 응답 중소 건설업체의 최대 취약점으로 지적된 금융조달 및 소프트 관리 능력과 관련된 것의 강화가 시급하다는 응답이 각각 19.8%로 최고 외주공사비 비중이 전체 공사비의 87.8%인 상황에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협력업체 관리가 중요하다는 응답이 14.5%를 차지. 다수 업체들이 견적 능력에 소홀한 상황에서 이를 제고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12.7%로 높은 것이 주목됨. 대부분의 건설업체들은 시공과정에서 효율성을 향상시킬 여지가 많은 것으로 인식 효율성 개선의 잠재력이 가장 큰 것은‘시공경험을 설계에 반영’함으로써 가능하다는 응답이 35.1%를 차지 우수 협력업체 선정과 합리적인 외주관리 등이 중요하다는 견해가 21.6% 사업수행 과정에서 최우선 보강해야 할 기능 공사수행 과정에서 효율성 향상 잠재력이 큰 사항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20 / 24 -

21 중소 건설업체 경쟁력 제고를 위해 가장 필요한 과제
8. 향후 대응방향 (2) 경쟁력 강화 선결 과제 (3) 장기 침체 시 대응 방향 중소 건설업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선결해야 할 과제로 ‘철저한 원가관리 등에 의한 수익성 개선’과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가 주요 현안으로 지적 원가관리로 수익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견해가 20.5%로 최고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의 필요성에 견해가 19.7%로 두 번째로 많음. 우수 전문업체와 협력관계 유지 및 마케팅 능력 제고, 신사업 개척, 유능한 기술인력 확보 등의 필요성을 강조한 응답이 각각 10%를 상회 향후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될 경우, 중소 건설업체들이 강구하고 있는 대응책은 ‘주력분야로 전문화 추구’와, ‘신사업 분야 개척’의 전향적인 전략이 주류를 이룸. 전문화 추구가 28.6%로 가장 많았고, 신사업 분야 개척이 17.5% 이에 반해 인원감축 등 조직의 구조조정을 검토해야 한다는 견해가 15.3%, 사업규모를 축소하겠다는 응답이 14.8%로 방어적 전략도 큰 비중을 차지 중소 건설업체 경쟁력 제고를 위해 가장 필요한 과제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될 경우 대응책 검토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21 / 24 -

22 8. 향후 대응방향 (4)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 중소기업청 등에서 실시하는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에 중소 건설업체들은 거의 도움을 받지 못함. 중소 건설업체가 지원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은 업체는 1∼2%에 불과하며, 전무한 것도 있음. 국토부의 중소기업 지원 예산은 중기청을 제외한 정부 부처 예산의 0.2% 중소 건설업체의 지원희망 분야 대부분의 중소 건설업체들은 경쟁력 향상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데 공감을 하고 있으며, 특히 자금지원 프로그램이 절실하다고 지적 중소 건설업체의 특성에 맞는 R&D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 중소기업 경영컨설팅 및 직원의 교육훈련 지원 등도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을 보임.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22 / 24 -

23 9. 분석 결과의 시사점 1) 중소 건설업체는 업체수 과잉, 수주경쟁 과열, 사업규모 과소, 수익성 부진 등으로 한계 상황에 봉착 2) 발주제도 개선 및 과잉공급의 해소가 요구 3) 비정상적으로 높은 입찰경쟁률을 종식시킬 수 있는 변별력 있는 발주제도의 개선이 필요 4) 대/중소기업 간 효율성 격차 확대를 막기 위한 중소 건설업체의 경쟁력 제고가 시급 5) 지역 건설시장은 규모와 성장속도에서 격차가 커 획일적 규제로 기업활동을 제약하는 것은 지양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23 / 24 -

24 9. 분석 결과의 시사점 6) 규제 위주의 물량배분을 지양하고, 혁신적인 중소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정책방향을 전환
7) 중소 건설업체의 경쟁력 제고 잠재력은 충분하며, 우수 사례 전파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 8) 건설업 특성에 맞는 중소 건설업체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을 적극 검토 9) 중소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중소기업 지원제도에 대한 정확한 정보제공 및 적극적인 참여유도가 바람직 10) 중소 건설업체의 경쟁력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의 소요예산 확보가 필요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in CERIK© - 24 / 24 -


Download ppt "중소 건설업체 경영실태 분석 및 시사점 2012. 10. 13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 권오현."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