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9강 의료기관 인증제도.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9강 의료기관 인증제도."—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9강 의료기관 인증제도

2 목차 의료기관 인증제도의 개요 국내 의료기관평가 의료기관평가 제도의 역사 평가제도 모델(WHO-ISQua Report)
외국의 평가 프로그램 ISQua 프로그램 국내 의료기관평가 병원신임평가(병원표준화심사) 의료기관평가 의료기관인증제

3 질향상 방법론의 유행 The distribution by year of the total use of each of the10 common QI terms in citation titles/abstracts on Medline/HMIC 1988–2007 질 향상 도구의 이용 빈도는 연도에 따라 발전과 쇠퇴를 거듭하였는데 보통 3~4년의 전성기를 거친 후 사라지는 추세를 볼 수 있다(그림 3-1). 특히 Medical audit과 Clinical audit은 1990년도 초중반에 유행한 반면 Clinical Governance는 1998년에 갑자기 출현해서 5-6년간 유행하다가 사라졌다. 빈도가 높지는 않지만 CQI는 TQM과 비슷한 형태로 지속적으로 연구가 되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론은 Lean, Six Sigma, Patient Safety 방법론이다. 그러나 평가/인증(Accreditation)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시대적 유행을 타지 않고 지속적으로 적용 및 연구가 되고 있다. 이처럼 질 향상 도구는 매우 다양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그 내용에 있어서는 매우 유사한 점을 가지고 있다. 질 향상 방법론의 공통점을 한마디로 정의하면 ‘시스템 개선을 위한 과학적 접근법’이라는 점으로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정, 절차(흐름도 등을 사용)에 초점, 외부 기준에 의존하기 보다는 조직 내부 개선과정에 중점, 예방 지향적(사건이 일어나기 전에 의료의 질적 문제나 위험을 제거), 다학제적(multi-disciplinary) 팀 접근법을 이용한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질 향상 도구가 계속 출몰하는 이유에 대해 다소 비판적인 시각도 있는데 Walshe(2009)는 이를 두 가지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첫째는, 질 향상 방법론의 개발에 대한 경제적/사회적 관점인데 새로운 방법론은 교육, 컨설팅, 출판, 세미나 등 경제적 요소를 동반하기 때문이다. 둘째는 이러한 혁신적 방법론의 주요 수요자는 병원의 QI 전문가, 관리자급이라 할 수 있는데. 이들은 새로운 방법론이 (만병통치약과 같이) 모든 문제를 신속하고 간단하며 획기적인 변화와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으로 쉽게 믿고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가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결정적으로 이러한 방법론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이고, 실제적인 질 향상 활동과 연구발전에 기여한바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특히 질 향상 방법론을 적용함에 있어 중요한 점은, 의료기관 경영진의 환자안전과 질 향상에 대한 강력한 의지와 지원 없이는 큰 성과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것을 점을 명심하여야 한다. Walshe K. Pseudoinnovation: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healthcare quality improvement methodologies. Int J Qual Health Care Jun;21(3):153-9.

4 Seven QI Strategies - defined by the MARQuIS study
External assessment (Accreditation) Organizational quality management programmes Audit and internal assessment of ‘clinical standards’ Patient safety systems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Performance indicators Systems for obtaining patients’ views 외부평가를 가장 많이, 환자만족도 평가 등은 가장 미약 일곱가지 모두 실행하는 병원은 한곳도 없었으며, 병원간 변이가 커

5 보건의료의 질 관리 방안 의료기관인증 Accreditation
면허, 자격인증, 신임 licensure, certification, credentialing 의료이용심사 Utilization review 진료감사 clinical audit, medical audit, peer review 임상진료지침 clinical practice guideline 진료계획표 critical pathway 결과 측정 outcome measure 이상일. 보건의료의 질관리 in 신영수, 김용익 외. 의료관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2013

6 외부평가의 유형, External Quality Mechanisms
면허/허가(registration & licensing) 동료심사Visitatie (Visitation) - professional performance Mostly clinical and often unidisciplinary Peer review 인증Accreditation – health service delivery Developed in the USA from 1917, exported via Canada to Australia in the 1970s and arrived in Europe in the 1980s 말콤 볼드리지 경영품질 모델 Malcolm Baldrige model for quality management EFQM – management systems European Foundation for Quality Management 국제표준화기구 ISO – quality system 위 두개는 의료쪽에서 기원, 이래 둘은 산업쪽에서 기원/ 관리자가 아닌 환자입장 Shaw CD. External quality mechanisms for health care: summary of the ExPeRT project on visitatie, accreditation, EFQM, and ISO assessment in European Union countries. International Society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0;12(3): 김은경 외 (2014). 의료질관리론.. 군자출판사: p

7 면허, 자격, 인증 Changing demands for Public accountability, Clinical effectiveness, Improvement of quality and safety The most rapid development is in ‘accreditation ‘ 자격이나 면허와는 달리 국가적인 기준을 설정하고 부합하는지를 공인하는 것

8 의료기관 인증제도의 역사 1917 미국외과학회, 병원표준화 프로그램 1950 The Joint Commission
모든 국가의 의료기관 인증프로그램에 영향 1990년대 이후 인증프로그램 5년마다 2배 증가 병원 인증 프로그램, 지역사회, 예방 및 치료서비스 네트웍으로 확대 1994 JCI 등 영국, 호주, 캐나다 국제프로그램 1999 ISQua, ALPHA 프로그램

9 Accreditation program
1990년 이후 매 5년마다 인증 프로그램의 수가 2배로 증가 1990년 이전에는 5개의 인증프로그램 운영 인증 프로그램의 반 이상이 1990년 이후 유럽에서 시작 WHO. Quality and accreditation in health care services – A global review p.117

10

11 의료기관 인증제도와 정부 절반 이상이 정부가 관리하거나 재원 부담 역사가 오래된 프로그램(미국, 호주)은 정부로부터 독립적
설립 5년 이하의 프로그램은 정부에서 지원 Accreditation is increasingly used by governments as a means of regulation and public accountability rather than for voluntary self-development.

12 인증제도의 범위, Programme coverage

13 Country of inspiration
Nearly three-quarters of programmes acknowledge that standards were influenced by a specific external model Most (87%) specified that influence was shared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one-third each) and Australia (one-quarter) Japan’s standards had no reference to an external model

14 최근 보고서 Charles D. Shaw, Jeffrey Braithwaite, Max Moldovan, Wendy Nicklin, Ileana Grgic, Triona Fortune, Stuart Whittaker; Profiling health-care accreditation organizations: an internationa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Volume 25, Issue 3, 1 July 2013, Pages 222–231,

15 인증 시스템의 개발 기준 Standards development 조사요원 Surveyors
Structure of accreditation standards Selection 조사요원 Surveyors 평가절차 Assessment procedures 인증절차 Accreditation process 훈련프로그램 Training programmes 정보센터 Information centre Developing hospital accreditation in Europe,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Dec. 2004

16 평가기준의 구조

17 한국 호주 미국

18 Original Model Adaptation
Dimensions in the construction of accreditation systems (Scrivens, 1996) Dimension Original Model Adaptation Levels of standards Optimum Minimum Geographic coverage National Local Focus of standards Organizational process outcome Pressure to participate Internal External Number of agencies One agency Many agencies Purposes of accreditation Self-development Public reassurance Participation Voluntary Compulsory Information Confidential Public Grading schema Pass/fail Comparative assessment Content Whole hospital Single service Surveyor employment status Part time Full time

19 각국 의료기관평가 기구 국가 설립 연도 주관기구 미국 1951 JCAHO;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현재 TJC로 개칭 캐나다 1952 CCHSA; Canadian Council on Health Service Accreditation, 현재 Accreditation Canada로 개칭 호주 1974 ACHS; Australian Council on Healthcare Standards 영국 2003 1989 Healthcare Commission HQS; Health Quality Service, UK 프랑스 1996 ANAES: French National Organisation on Accreditation & Evaluation in Health → 현재 HAS로 개칭 일본  1995 日本醫療機能評價機構 (JCQHC; Japan Council for Quality in Health Care) 대만 1997 財團法人醫院評鑑醫療品質策進會 (TJCHC; Taiwan Joint Commission on Hospital Accreditation

20

21 미국의 인증제도 Evolution of US accreditation: TJC
The largest US accreditor (1/3) 1917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1951 Joint Commission By health care PROFESSIONALS (Hospitals)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To recruit staff To qualify for accreditation of their graduate education programs ※ no charge for survey, 50% of US hospitals Schyve PM. The evolution of external quality evaluation: observations from the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IJQHC, 2000;12(3):

22 New users of The Joint Commission
1965 Medicare program: Government ‘deemed status’ which any hospital accredited by JC The first step toward both substantial growth in accreditation and significant changes in the accreditation process 1980s Cost and quality; New payment mechanisms(DRG): Purchasers Employees; copayments  cost-effect Consumerism

23 User impact on accreditation
Office of Quality Monitoring The public can call with their complaints Performance Report: Public disclosing Geographical differences  health care decision  public accountability Safety of care: To Err is Human Cost effective: CQI, patient-centered, performance-based JC cooperate with other US accrediting bodies

24 ISQua 국제의료QA학회 A HEALTHCARE EXTERNAL EVALUATION ORGANIZATION: Meet the highest international benchmarks and are continuously improved?

25 ISQua의 국제인증프로그램 IAP 1999 International Accreditation Program, IAP

26 ISQua Accredited Organizations
Standard Training The Australian Council on Healthcare Standards Accreditation Canada Australian General Practice Accreditation Limited Council for Health Service Accreditation of Southern Africa Taiwan Joint Commission on Healthcare Accreditation Quality Improvement Council, Australia CHKS Healthcare Accreditation Quality Unit, UK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USA Malaysian Society for Quality in Health Department of Families and Communities, South Australian Health Department, Australia Japan Council for Quality Health Care National Accreditation Board for Hospitals and Healthcare Providers, India Health Care Accreditation Council, Jordan The Danish Institute for Quality and Accreditation in Healthcare Medical Accreditation Committee, Kyrgyzstan Republic Egyptian National Accreditation Organization, Ministry of Health and Population Aged Care Standards and Accreditation Agency, Australia Australian Council on Hospitals

27 주요국의 국제인증프로그램 (해외마케팅부)
USA: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UK: Trent Accreditation Scheme Australia: ACHSI Canada: Accreditation Canada France: HAS (Haute Autorité de Santé) India: National Accreditation Board for Hospitals & Healthcare Providers Source: Wikipedia

28 미국

29

30 영국

31 호주

32 캐나다

33

34 EBS, 의료 이제는 질이다 평가가 질을 만든다 ( ) 평가가 질을 올린다 EBS, 검색어: 병원평가

35 국내 의료기관평가제도

36 우리나라의 의료기관평가 역사 1981 병원표준화심사 및 수련병원실태조사(대한병원협회) 1984 한국의료QA학회 설립
선진국제도를 연구, 수정 및 보완하여 ‘병원표준화심사요강’ 작성 1981년에 110개 병원 심사를 시작으로 전국병원을 대상으로 심사를 확대, 발전시켜 나감 현재, 병원신임평가로 개칭 1984 한국의료QA학회 설립 1995 의료기관서비스평가 실시(시범사업, 보건복지부) 200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설립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2002 의료법 개정(의료기관평가 근거) 의료기관평가 실시(보건복지부) 2010 의료법 개정(의료기관 인증제, 자발적 참여제) 제1강-슬라이드46

37 의료기관평가 목적 의료서비스 수준의 평가를 통해, 서비스 수준의 향상을 도모하고,
평가결과를 공표함으로서 소비자의 알권리 증진에 기여 Kazandjian VA, Lied TR. Healthcar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Design and Evaluation. Milwakee, WI, American Society for Quality, 1999, p.93. / 김윤. 외국의 의료기관평가 제도 개요와 시사점

38 의료기관평가 추진경과 1994-2001: 평가제도 실시 및 시험평가 실시 1999-2003: 법적근거 마련
3년 주기 평가실시(의료법 제47조2, ) : 본평가 실시(의무참가) 평가대상 : 종합병원 및 300병상 이상 병원 - 500병상 이상(’04, ’07) - 260~500병상(’05, ’08) - 260병상 미만(’06, ’09) 2010- : 의료기관 인증제 실시(자율참가) 의료법 제58조(의료기관 인증) 평가대상 : 병원급 의료기관

39 평가시행절차

40 평가기준 부 문 영 역 ①환자의 권리와 편의, ②인력관리, ③진료체계, ④감염관리, ⑤시설환경관리, ⑥질향상과 환자안전
부 문 영 역 ①환자의 권리와 편의, ②인력관리, ③진료체계, ④감염관리, ⑤시설환경관리, ⑥질향상과 환자안전 1. 진료 및 운영체계 ①환자진료, ②의료정보/의무기록, ③영양, ④응급, ⑤수술관리체계, ⑥검사, ⑦약제, ⑧중환자, ⑨모성과 신생아 2. 부서별 업무성과

41 평가요원 1개 평가반이 대상기관 1개소를 1박 2일 평가 평가반의 구성 및 평가요원수 변경(10명→7.5명)
진료부문 평가 전문성 강화 위해 의사 평가비중 확대 환자만족도 조사방식 변경(면담전화설문) 및 평가문항 축소(152→119개) 의사1명 간호사 3명 병원관리자 1명 의무기록사 1명 약사 1명 영양사 1명 면담조사요원 2명 2005년도 대형병원 의사 2명 간호사 2명 병원관리자 1명 의무기록사 1명 약사 1명 영양사 0.5명 2007년도

42 결과공개 -2004년 평가

43 결과공개 년 평가

44

45 평가의 부작용: Gaming MBC 뉴스데스크( )

46 의료기관평가 기준 예시 입퇴원 진료과정 설명 평가목적: 환자의 진료과정에 대한 알 권리를 보장하고 치료에 대한 순응도와 의료진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입원, 수술, 퇴원 후 추후관리 등 진료와 관련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조사유형: 환자지정면담 조사장소: 일반병동 조사대상: 재원일수 7일 이내인 당일 퇴원예정인 만 18세 이상 65세 미만인 내과계 환자(또는 보호자) 5명, 재원일수 7일 이내인 당일 퇴원예정인 수술을 받은 만 18세 이상 65세 미만인 외과계 환자(또는 보호자) 5명

47 입퇴원환자 진료과정 설명

48 과제! 의료기관평가 인증제 관련 기사 정리요약 2004~2006 2007~2009 2011~2013 2014~현재까지
연도별 기사수 및 기사 내용 비교분석 자료원

49 관련 법령: 의료법 제58조 제58조(의료기관 인증) ① 보건복지부장관은 의료의 질과 환자 안전의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병원급 의료기관에 대한 인증(이하 "의료기관 인증"이라 한다)을 할 수 있다. ② 보건복지부장관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의료기관 인증에 관한 업무를 관계 전문기관(이하 "인증전담기관"이라 한다)에 위탁할 수 있다.이 경우 인증전담기관에 대하여 필요한 예산을 지원할 수 있다. ③ 보건복지부장관은 다른 법률에 따라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평가를 통합하여 인증전담기관으로 하여금 시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전문개정 ][시행일 ]

50 의료기관인증위원회 제58조의2(의료기관인증위원회) ① 보건복지부장관은 의료기관 인증에 관한 주요 정책을 심의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장관 소속으로 의료기관인증위원회(이하 이 조에서 "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② 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한 15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③ 위원회의 위원장은 보건복지부차관으로 하고,위원회의 위원은 다음 각 호의 사람 중에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임명 또는 위촉한다.

51 1. 제28조에 따른 의료인 단체 및 제52조에 따른 의료기관단체에서 추천하는 자 2
1.제28조에 따른 의료인 단체 및 제52조에 따른 의료기관단체에서 추천하는 자 2.노동계,시민단체(「비영리민간단체지원법」제2조에 따른 비영리민간단체를 말한다), 소비자단체(「소비자기본법」제29조에 따른 소비자단체를 말한다)에서 추천하는 자 3.보건의료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자 4.보건복지부 소속 3급 이상 공무원 또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공무원

52 ④ 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한다. 1.인증기준 및 인증의 공표를 포함한 의료기관 인증과 관련된 주요 정책에 관한 사항 2.제58조제3항에 따른 의료기관 대상 평가제도 통합에 관한 사항 3.제58조의7제2항에 따른 의료기관 인증 활용에 관한 사항 4.그 밖에 위원장이 심의에 부치는 사항 ⑤ 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본조신설 ][시행일 : ]

53 인증기준 및 방법 제58조의3(의료기관 인증기준 및 방법 등) ① 의료기관 인증기준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1. 환자의 권리와 안전 2. 의료기관의 의료서비스 질 향상 활동 3. 의료서비스의 제공과정 및 성과 4. 의료기관의 조직·인력관리 및 운영 5. 환자 만족도 ② 보건복지부장관은 인증을 신청한 의료기관에 대하여 제1항에 따른 인증기준의 충족 여부를 평가하여야 한다.

54 ③ 보건복지부장관은 제2항에 따라 평가한 결과와 인증등급을 지체 없이 해당 의료기관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③ 보건복지부장관은 제2항에 따라 평가한 결과와 인증등급을 지체 없이 해당 의료기관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④ 인증등급은 인증,조건부인증 및 불인증으로 구분한다. ⑤ 인증의 유효기간은 4년으로 한다.다만,조건부인증의 경우에는 유효기간을 1년으로 한다. ⑥ 조건부인증을 받은 의료기관의 장은 유효기간 내에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재인증을 받아야 한다. ⑦ 제1항에 따른 인증기준의 세부 내용은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한다. [본조신설 ] [시행일 : ]

55

56 인증의 신청 제58조의4(의료기관 인증의 신청) ① 의료기관 인증을 받고자 하는 의료기관의 장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신청할 수 있다.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제3조제2항제3호에 따른 요양병원(「장애인복지법」제58조제1항제2호에 따른 의료재활시설로서 제3조의2에 따른 요건을 갖춘 의료기관은 제외한다)의 장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인증을 신청하여야 한다. ③ 인증전담기관은 보건복지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의료기관 인증을 신청한 의료기관의 장으로부터 인증에 소요되는 비용을 징수할 수 있다. [본조신설 ] [시행일 : ]

57 이의신청 제58조의5(이의신청) ① 의료기관 인증을 신청한 의료기관의 장은 평가결과 또는 인증등급에 관하여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이의신청은 평가결과 또는 인증등급을 통보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하여야 한다.다만,책임질 수 없는 사유로 그 기간을 지킬 수 없었던 경우에는 그 사유가 없어진 날부터 기산한다. ③ 제1항에 따른 이의신청의 방법 및 처리 결과의 통보 등에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본조신설 ] [시행일 : ]

58 인증서와 인증마크 제58조의6(인증서와 인증마크) ① 보건복지부장관은 인증을 받은 의료기관에 인증서를 교부하고 인증을 나타내는 표시(이하 "인증마크"라 한다)를 제작하여 인증을 받은 의료기관이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② 누구든지 제58조제1항에 따른 인증을 받지 아니하고 인증서나 인증마크를 제작·사용하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인증을 사칭하여서는 아니 된다. ③ 인증마크의 도안 및 표시방법 등에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본조신설 ] [시행일 : ]

59

60 인증의 공표 및 활용 제58조의7(인증의 공표 및 활용) ① 보건복지부장관은 인증을 받은 의료기관에 관하여 인증기준,인증 유효기간 및 제58조의3제2항에 따라 평가한 결과 등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 공표하여야 한다. ② 보건복지부장관은 제58조의3제3항에 따른 평가 결과와 인증등급을 활용하여 의료기관에 대하여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행정적·재정적 지원 등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 1.제3조의4에 따른 상급종합병원 지정 2.제3조의5에 따른 전문병원 지정 3.그 밖에 다른 법률에서 정하거나 보건복지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사항 ③ 제1항에 따른 공표 등에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본조신설 ] [시행일 : ]

61 자료의 제공요청 제58조의8(자료의 제공요청) ① 보건복지부장관은 인증과 관련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관계 행정기관,의료기관,그 밖의 공공단체 등에 대하여 자료의 제공 및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자료의 제공과 협조를 요청받은 자는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요청에 따라야 한다. [본조신설 ][시행일 : ]

62 인증의 취소 제58조의9(의료기관 인증의 취소) ① 보건복지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의료기관 인증 또는 조건부인증을 취소할 수 있다.다만,제1호 및 제2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인증 또는 조건부인증을 취소하여야 한다. 1.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인증 또는 조건부인증을 받은 경우 2.제64조제1항에 따라 의료기관 개설 허가가 취소되거나 폐쇄명령을 받은 경우 3.의료기관의 종별 변경 등 인증 또는 조건부인증의 전제나 근거가 되는 중대한 사실이 변경된 경우 ② 제1항제1호에 따라 인증이 취소된 의료기관은 인증 또는 조건부인증이 취소된 날부터 1년 이내에 인증 신청을 할 수 없다. [본조신설 ][시행일 : ]

63 인증기준의 개요

64 조사기준의 틀 ① 기본가치 체계: 의료기관이 마땅히 갖추어야 할 환자안전과 질 향상을 기본가치로 제시
② 환자진료 체계: 환자진료의 전 과정을 추적 가능하도록 구성 ③ 지원 체계: 양질의 환자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기능과 조직의 전문성을 추구 ④ 성과관리 체계: 진료결과지표의 관리를 통한 질 향상

65 인증절차

66 기준의 구분 상급종합병원용 종합병원용 병원용 등급분류 [정규] 인증등급 결정을 위한 조사항목
[시범] 의료기관 수용성 고려, 단계적 정규전환 [필수] 정규항목 중 필수 충족, ‘무/하’ 없어야함

67 규정 /지침 /내규 및 절차

68 규정의 요소 필수 비필수 각 의료기관의 규정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요소
기준의 이해에 ‘~를 포함하여야 한다’,‘~를 포함한다’등으로 표현함 비필수 각 의료기관의 규정에 포함할 것을 권장하나 병원이 필요로 하는 요소 선택 가능 기준의 이해에 ‘~를 포함할 수 있다’등으로 표현함

69 조사방법: 추적조사 Tracer Methodology
직원면담, 환자(또는 보호자) 면담, 현장 관찰, 경영진 인터뷰, 의무기록 및 관련 자료 검토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며 ‘환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실제 경로’를 따라(추적) 조사하는 것

70 개별환자 추적조사, Individual tracer
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환자가 겪게 되는 경로를 따라 ‘서비스 제공직원 면담, 환자(또는 보호자) 면담, 의무기록검토, 수행과정 관찰 등’을 통해 조사하는 방법

71 시스템 추적조사, System tracer 질 관리와 안전을 요하는 주요 영역*에 대한 의료기관 차원의 체계를 갖추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담당자 면담, 관련 자료 확인, 관련 영역에 대한 현장확인’등을 통해 조사 지속적질향상, 의약품관리, 인적자원관리, 안전한 시설 및 환경관리 , 감염관리, 의료정보/의무기록관리

72 조사방법

73 조사방법 조사장소 조사대상 조사의 일관성 및 편의를 위하여 지침서에는 조사위원이 방문하게 되는 장소를 예시하였다.
해당 항목의 평가를 위해 필요한 경우 조사장소 이외의 장소에서도 면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조사대상 조사의 일관성 및 편의를 위하여 지침서에는 조사위원이 조사를 위하여 만나야 하는 면담 대상자 또는 조사가 필요한 기록 및 문건을 지정하였다. 해당 항목의 평가를 위해 필요한 경우 현지에서 추가 요청할 수 있다.

74 조사항목 구분 S System 구조평가 P Process 과정평가 O Outcome 결과(성과)평가
규정, 절차, 체계, 계획의 수립 P Process 과정평가 개별교육, 숙지, 인지, 수행 정도 확인 O Outcome 결과(성과)평가 성과지표 선정하고 결과에 따라 관리

75 질문내용 인터뷰 및 추적조사 시 조사위원 간 변이를 최소화하고 원활한 진행을 도모하기 위해 조사위원에게 기본 질문내용을 예시하였다. 질문의 구체적인 내용은 조사시점까지 일부 변경될 수 있으며,관련 자료에 기초한 조사위원의 판단에 따라 현지에서 조정될 수 있다.

76 인증기준 및 조사항목

77 영역별 평가기준: 1. 안전보장활동 범주 기준 환자안전 1.1.1 의사소통 1.1.2 안전한 수술 및 시술
1.1.3 낙상 예방활동 1.1.4 감염예방 및 손위생 직원안전 1.2 직원안전 관리활동 환경안전 1.3.1 화재안전 1.3.2 의료기기 예방점검

78 인증평가 기준 입원수속

79

80

81 의료기관평가 조사표- 진료진행상황 안내(1.1.7)

82 의료기관평가 조사방법- 진료진행상황 안내(1.1.7)

83

84

85 의료기관평가 조사표

86 의료기관평가 조사표

87 의료기관평가 조사표

88 주요국의 평가기준

89 평가기준의 구조

90 한국 의료기관평가(2004-2009) 의료기관인증평가(2010-) (1)진료 및 운영체계 •환자의 권리와 편의 •인력관리
•진료체계 •감염관리 •시설환경관리 •질향상과 환자안전 (1)기본가치체계 •안전보장활동 •지속적인 질 향상 (2)환자진료체계 •진료전달체계와 평가 •환자진료 •수술 및 마취진정관리 •약물관리 •환자권리존중 및 보호 (2)부문별 업무성과 •의료정보/의무기록 •영양 •응급 •수술관리체계 •검사 •약제관리 •중환자 •모성과 신생아 (3)행정관리체계 •경영 및 조직운영 •인적자원관리 •안전한 시설 및 환경관리 •의료정보관리 (4)성과관리체계 •임상질지표

91 외국 미국(CAMH, 2004-2009) 캐나다(Qmentum, 2009) 호주(EQuIP4, 2008)
(1)환자중심 기능평가 •윤리, 권리, 책임 •진료, 치료, 서비스의 제공 •투약관리 •감염의 감시, 예방, 관리 (1) System-wide area •리더십 •조직관리 •감염관리 •약제관리 (1)진료 부문 •진료의 연속성 •진료 접근성 •진료 적절성 •효과성 •환자안전 •환자중심 (2)조직중심 기능평가 •조직의 성과 향상 •진료환경 관리 •인력관리 (2) Population-based area •암환자 •영아 및 소아 •모성과 신생아 •정신질환 •만성질환 •공공보건 (2)진료지원 부문 •질향상과 위험관리 •인적자원 관리 •정보 관리 (3)기능과 구조 •의사인력 •간호인력 (3) Service Excellence area •후천성뇌손상 •외래진료 등 31개 subsection (3)조직관리 부문 •리더십과 경영 •안전한 진료환경

92 미국 기준의 변화 1976-1990 1991-1993 1994-2003 2004-2009 2010- •진료환경 •응급상황관리
PART I Patient Right Quality of professional services (1) Building and Ground safety (1) Funtional safety and sanitation (4) Infection control (3) Alcoholism and other drug-dependent service (75) Diagonostic services (31) Dietetic service (85) Emergence services (119) Governing body (63) Hospital-Sponsered Ambulatory care services (108) Infection control (51) Management and administrative services (64) Medical record services (86) Medical staff (212) Nuclear medicine services (37) Nursing care (83) Orientation, training, and education of staff (27) pathology and clinical Laboratory services (38) Patient and family education (8) Patient Right (1992년 신설) (33) Pharmaceutical services (91) 1991~1993 Physical rehabilitation services (156) Plant, technology and safety managemant (107) Profrssional library and health information services (6) Quality assessment and improvement (80) Radiation oncology services (29) Respiratory care services (51) Responsibilities of department/services directors (12) Social work services (26) special care units (120) surgical and anesthesia services (94) Utilization preview (15) 환자 중심 기능평가 (196) 환자권리와 조직 윤리 (36) 환자 사정 (46) 환자 간호 (90) 교육 (14) 진료의 연속성 (10) 환자 중심 기능평가 (120) 윤리, 권리, 책임 (23) 진료, 치료, 서비스의 제공 (64) 투약 관리 (24) 감염의 감시, 예방, 관리 (9) •진료환경 •응급상황관리 •인력관리 •감염관리 •정보관리 •리더십 •환자안전 •약제관리 •의료진 •국가환자안전목표 •간호 •환자진료 •성과향상 •진료기록 •환자권리 •장기이식 •임시검사 PART II Aneshesia services (4) Dietetic service (4) Emergence services (5) Governing body and management (9) Hospital based home care (9) Medical record services (5) Medical staff (7) Nuclear medicine services (4) Nursing services (5) Outpatient services (6) Pathology ervices (8) 1976 Pharmaceutical services (5) Physical medicine services (3) Professional library services (1) Radiology Services (5) Respiratory care services (7) Social services (3) special care units (4) 조직 중심 기능평가 (116) 조직의 성과 향상 (6) 리더십 (25) 진료 환경 관리 (25) 인력관리 (13) 정보관리 (38) 조직 기능평가 (87) 리더십 (35) 인력관리 (8) 정보관리 (13) 기능과 구조 (43) goverannce (10) management (6) 의사인력 (24) 간호인력 (3) 기능과 구조 (26) 의사인력 (23)

93 인증등급 판정

94 기준의 평가유형에 따른 상/중/하 개념

95 1단계: 각 기준(Standard)의 충족여부 결정
각 기준에 포함된 조사항목(ME)의 결과에 따라 기준별 조사항목의 충족률을 산정함 각 기준별 조사항목(ME)의 충족률(%) = (1a+0.5b+0c)/(a+b+c)*100 기준에 포함된 조사항목(ME)의 결과 :‘유/상’이 a개, ‘중’이 b개, ‘하’가 c개라고 가정 기준별 충족여부 결정 해당 조사항목(ME)의 충족률이 50%이상일 때 충족한 것으로 간주함

96 2단계: 영역(Domain)별 기준의 충족률 산정
각 영역별로 충족된 기준의 비율을 산정함 각 영역별 기준의 충족률(%) = 해당 체계 내 ′충족′한 기준의 개수 / 해당 체계 내 기준의 개수) × 100

97 3단계: 인증등급 결정

98 요양급여적정성평가 의료질평가 환자경험조사

99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건강보험으로 제공된 진찰․수술 등 의료서비스 전반에 대한 의약학적 및 비용 효과적 측면의 적정성 여부 평가 (법적근거) 국민건강보험법 제63조(심평원 업무) 및 제47조제5항(가감지급) (평가대상) 암·만성질환 등 35개 항목 대상(’19년) (평가내용·방법) 진료비 청구명세서, 의료기관 현황자료 등을 활용하여 진료행위의 평가기준* 부합 정도를 측정 * 진료지침 등을 기반으로 외국지표 참고 및 각계 의견을 수렴하여, 진료과정․결과 등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평가기준 마련

100

101 의료질평가 (2015)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의 일환으로 선택진료비 규모를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의료기관이 의료질 향상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건강보험 적용 추진

102 의료질평가지원금 의료기관이 환자에게 제공하는 의료서비스 수준을 측정하여 우수한 의료기관에게 지원
의료질 향상, 공공성 구현, 종별 기능에 맞는 역할 수행, 우수 의료 인력 육성, 연구․개발 수행 등 5개(의료의 질과 환자안전, 의료전달체계, 공공성, 교육수련, 연구개발)영역 평가 평가 영역별 지표 선정, 산출, 종합화(등급화)를 통해 의료기관에 대해 등급별로 차별화된 외래 및 입원 진료 수가 지급

103 가감지급 사업: 적정성평가와 의료질평가

104 환자경험 평가 대상기관: 상급종합병원 및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
조사기간: 월 중순 이후 시작하여 기관별 환자수를 충족하는 시점까지, 3~4개월 소요 예상 기관별 환자수: 병상 규모에 따라 차등 적용 입원환자 발생현황, 평가결과의 통계적 안정성 등을 고려 500병상 이상~1000병상 미만 150명, 1,000병상 이상~1,500병상 미만 200명, 1,500병상 이상 250명

105 환자경험 평가 추진경과 (‘14.7.~’15.5.)「환자중심성 평가모형 개발 연구」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15.7.~’16.3.) 환자경험 예비평가 실시(10개 기관, 3,000명 대상) (‘16.4.) 예비평가 결과보고 및 평가 계획(안) 의료평가조정위원회심의·의결 (‘16.5.~11.) 환자경험 평가분과위원회 평가세부계획(안) 논의 의료계·학계·소비자 등 각 계 의견수렴 및 관련분야 전문가 자문 (‘16.12.) 2017년 제1차 평가 세부추진 계획(안) 의료평가조정위원회 심의·의결

106

107 결과활용 평가대상 요양기관에 평가결과 및 비교정보 제공
평가결과 공개여부, 범위, 방법 등은 추후 의료평가조정위원회 심의를 통해 결정 (‘18.5월) 평가결과 보고 및 공개·활용(안) 의료평가조정위원회 심의

108 조별 웍샵

109 조별 평가기준 정리 평가부문별(Chapter) 평가기준 정리요약  그림으로 제시 평가기준별 참고자료 검색
용어 정의, 병원규정/지침/내규 예시 표/그림/사진으로 설명 참고자료 검색 네이버 구글(IHI, ISQua)

110 발표의 평가기준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는가(Chapter별 의미 등)? 용어를 명확히 설명하는가?
예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설명하는가? 화법이 적절하고 청중의 집중도를 도출하는가? 발표자료를 충실히 준비하였는가? 시작과 끝맺음?

111 The end


Download ppt "제9강 의료기관 인증제도."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