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3장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3장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3장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2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3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4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 전사 (1) 자선조직협회
영국은 19세기 자유방임주의의 원리 아래 산업혁명으로 인한 신흥자본가 및 기업가의 기부와 제공으로 많은 자선·박애시설 등을 설립 지나치게 우후죽순격으로 설립된 민간자선시설에 대한 조직화가 필연적으로 요구 목적은 중복적인 구빈을 타파, 자선활동 조정, 환경조사, 자력으로 빈곤 탈피

5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 전사 (1) 자선조직협회
빈민에 대한 철저한 환경조사로서 개별사회사업(Case Work)으로 발전 사례 명단 작성, 사례 분석회의를 통하여 빈자를 ‘가치있는’ 빈자와 ‘가치없는’ 빈자로 구분 우애방문원(Friendly Visitors) : 처음엔 자원봉사자, 나중엔 유급직원이 된 자선조직협회의 직원들을 지칭하는 용어

6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 전사 (2) 인보관(Settlement House)
1884년 바네트(Barnett) 목사는 최초의 인보관인 런던의 토인비홀(Toynbee Hall)을 시초로 이것이 오늘날의 집단사회사업(Group Work)으로 발전 사회환경이라는 요인이 사회문제와 원인으로 작용 설립목적은 교육과 문화적인 활동 향상,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에게 빈자들의 상황과 사회개혁의 필요성 홍보, 사회문제, 보건문제, 사회입법에 관하여 일반지역주민과 사회의 관심 유도 등

7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 전사 (2) 인보관(Settlement House)
인보관 활동의 특징은 사회문제에 대처, 사회개혁 추구, 빈궁한 사람들이라는 생각보다 이웃이라는 생각으로 접근, 사회 참여자로 변화, 개인보다는 가족과 근린 중심으로 활동, 옹호

8 1) 전사 (3)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운동의 비교

9 1) 전사 (3)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운동의 비교

10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2) 태동기(1950년대-1960년대 후반)
영국에서는 재가복지보다는 지역사회보호(Community Care)라는 개념이 더욱 일반적으로 사용 지역사회보호라의 개념은 입소하여 거주하는 생활시설에 대한 부정적 평가에서 출발 영국에서 입소시설은 1601년에 제정된 구빈법의 산물로서 구빈원에서 그 시초를 찾을 수 있음

11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2) 태동기(1950년대-1960년대 후반)
1959년에는 정신보건법(Mental Health Act)이 제정되어 지역사회보호가 법률적으로 명확하게 규정 정신병 환자들과 다수의 노인들이 소규모 주거보호(Residential Care)에 입소·보호

12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3) 형성기(1960년대 후반-1980년대 후반) (1) 시봄보고서(Seebohm Report)
1968년에 제출한 이 보고서의 초점은 사회서비스(social service)의 행정적인 재조직에 두고 있음 시봄보고서는 지역사회복지에 관심을 두고 공식서비스뿐만 아니라 가족,이웃 등의 비공식 서비스와 지역사회 주민의 참여를 강조하는 1960년대 후반 사회복지서비스 부문의 주요한 정책적 근거

13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3) 형성기(1960년대 후반-1980년대 후반) (1) 시봄보고서(Seebohm Report)
지역사회보호의 주체를 비공식서비스를 포함하는 공공과 민간의 다양한 조직으로 보았으며, 지방행정당국의 서비스를 고용, 교육, 주택당국, 가정원조, 경찰, 교회, 자원봉사조직, 친구, 이웃에 의한 서비스를 포함

14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3) 형성기(1960년대 후반-1980년대 후반)
(2) 하버트보고서(Harbert Report) 1971년에 제출된 이 보고서의 제목은 ‘지역사회에 근거한 사회적 보호(Community- Based Social Care)’. 이 보고서는 공공서비스와 민간서비스 외에 가족체계와 지역사회의 근린에 초점을 두면서 비공식 서비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공공과 민간서비스의 주요한 과업은 친구와 친척에 의하여 제공되는 비공식 보호를 지원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긴급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것을 강조

15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3) 형성기(1960년대 후반-1980년대 후반)
(3) 바클레이보고서(Barclay Report) 1982년에 제출된 이 보고서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와 역할에 대하여 카운슬링이 아니라 지역사회보호 계획으로 전환하여야 한다고 하였음 대부분의 지역사회보호가 공공 또는 민간의 공식서비스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 주민들의 인간관계망인 비공식적 보호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보고, 비공식 서비스와 공식서비스 간의 파트너십을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

16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4) 발전기(1980년대 후반-현재) (1) 그리피스보고서
그리피스보고서는 ‘지역사회보호: 행동지침(Community Care: Agenda for Action)’이라는 주제로 핵심은 복지다원주의(Welfare Pluralism) 또는 복지주체의 다원화 이 보고서는 지방행정당국의 역할이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지방당국의 지역사회보호에 대한 책임과 감독역할을 제안 이러한 내용은 1990년의 영국 ‘국민보건서비스 및 지역사회보호법(National Health Service and Community Care Act)’으로 공표되어 지방정부 사회서비스국은 서비스의 공급자이기보다는 서비스의 구매자, 조정자로서 그 역할이 변화

17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4) 발전기(1980년대 후반-현재) (2) 1993년 지역사회보호 개혁
이 개혁에서는 시장경제의 원리, 즉 소비자 선택과 서비스 제공자 간의 경쟁을 통하여 지역사회보호서비스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케어매니지먼트의 도입으로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

18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9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 미국의 지역복지의 이념 (1) 사회진화론 (2) 급진주의 적자생존론에 기초
사회적으로 불이익을 받는 사람들의 권익을 보호하고자 하는 사상 노동운동과 인권운동으로 사회적약자의 생존권 투쟁에 앞장서고 있음

20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 미국의 지역복지의 이념 (3) 실용주의 사회개선에 초점을 두는 사상
당시 루즈벨트 대통령은 실용주의의 바탕에서 개인의 성장이 이루어지고 사회적 약자들의 권리를 보장하고 균등한 혜택을 주면서 지역사회복지를 실천하고자 하였음

21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 미국의 지역복지의 이념 (4) 자유주의
인간의 본성을 합리적이고 유연한 것으로 생각하며, 재산권보다 인권을 목표로 삼으며, 이를 달성하는 수단으로 사회적 조치를 강조 기회와 개인적 자유 및 사회적 분배 방식으로써 시장의 중요성을 인정

22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2) 자선조직 기간(1865-1914) (1) 사회적 상황
① 사회복지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자선조직협회, 인보관 운동, 도시연맹 (Urban Leagues)등의 등장 ② 지역사회 사업가들의 관심영역이 된 활동으로서 정치집단, 인종집단, 특정지역의 사회행동집단 등

23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2) 자선조직 기간(1865-1914) (2) 자선조직협회
미국 최초의 COS는 영국의 COS를 본받아 1877년 버팔로(Buffalo)에서 거틴(Gurteen) 목사에 의해 창설 COS가 의도하는 목적은 빈민을 구호하기 위해 설립된 많은 사회복지단체들의 업무를 조정하는 것은 물론, COS가 직접적인 구호와 서비스를 제공

24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2) 자선조직 기간(1865-1914) (2) 자선조직협회
COS의 주요 활동내용은 자선의 중복을 예방하고 빈자를 구호하기 위해 존재했던 수많은 민간단체들의 업무를 조정하기 위해서 창설되었으나, 기관들 간의 업무조정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구호와 서비스도 제공

25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2) 자선조직 기간(1865-1914) (3) 인보관
인보관활동은 영국의 COS보다 15년 뒤에 코이트(Coit)가 1886년 영국의 토인비홀을 방문한 다음에 미국 최초의 인보관을 세워 뉴욕시에 근린 길드(Neighborhood Guild, 현재 University Settlement)를 설립하였고, 1889년 아담스(Adams)와 스타(Staerr)가 시카고에 헐하우스(Hull House)를 설립

26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2) 자선조직 기간(1865-1914) (4) 다수의 구빈기관으로 인한 문제점 1
소수의 사회 지도층 인사에게 지나치게 의존 1 중복 구호와 고질적인 구걸 근성 2 유급의 구호담당직원 3 새로운 재원 모색 4

27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3) 지역공동모금과 협의회 발전시기(1914-1929) (1) 사회적 상황
지역공동모금의 시기( )는 제1차 세계대전의 종식과 대공황으로 연결되면서 산업화와 도시화 현상, 인종 간의 갈등심화 등이 가속화되는 시기 1920년까지 미국인의 반 이상이 도시에 거주하였으며,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생산품의 수요가 증대됨에 따라 산업도 크게 신장 ‘새로운 흑인(new negro)’이라는 호칭이 유행하면서 흑인들의 자긍심이 증진 도시화에 따라 도시민의 구조문제를 취급하는 사회복지기관들이 점차 증가

28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3) 지역공동모금과 협의회 발전시기(1914-1929) (2) 지역공동모금회
① 도시화, 도시빈곤의 문제해결의 사회복지기관 증가, 재정난의 어려움 ② 제1차 세계대전, 전시모금기구 설립, 공동모금제 발전의 촉진제 ③ 자선가들과 전문가들이 구호방법을 개선할 필요성

29 3) 지역공동모금과 협의회 발전시기(1914-1929) (2) 지역공동모금회 지역공동모금제도의 실시과정상에 나타나는 특징 1
공동으로 하는 것이 더 많은 모금 1 사회복지협의회에 의해 조직 2 거액의 기부자들 3 초기 지역공동모금회의 업무는 대부분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수행 4

30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3) 지역공동모금과 협의회 발전시기(1914-1929) (3) 사회복지기관협의회
우애방문원을 유급 직원으로 대체 COS에 뿌리를 두고 있는 리치몬드(Richimond)가 설립한 자선학교가 사회사업대학원으로 발전 사회계획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한 사회조사를 실시

31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3) 지역공동모금과 협의회 발전시기(1914-1929) (3) 사회복지기관협의회
COS지도자들과 다른 복지전문가들이 협의회를 조직하는 데 직접적으로 관여하였으며, 조직이유는 사회복지사업을 합리적으로 조직화하고 지역공동모금회의 모금 능력을 강화 협의회의 1차 목적은 지역사회의 문제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복지사업을 계획하고 조정하기 위함

32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3) 지역공동모금과 협의회 발전시기(1914-1929) (4) 전문 분야의 발전
리치몬드에 의해서 교육받은 사회복지사들은 거의가 사회문제 해결에서 환경적인 변화보다는 개인적인 치료를 중시하는 개별사회사업가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 1925년 스테이너(Steiner)가 집필한 최초의 지역사회복지와 관련된 교과서인 『지역사회조직(Community Organization)』이 발간

33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4) 공공복지사업의 발전시기(미국, 1929-1954) (1) 사회적 상황
1929년의 세계대공황으로 실업이 급증하고 은행과 증권시장이 도산하고 집, 농장, 영세사업체를 잃는 국민이 속출 당시 대공황으로 인해 지역사회복지사업이 대량의 사회복지수요를 감당하기에는 불충분 구호활동이 정부기관으로 이양되면서 본격적으로 공공복지사업이 전개

34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4) 공공복지사업의 발전시기(미국, 1929-1954) (1) 사회적 상황
사업별 노조는 초창기 미국노조운동의 발전에 커다란 공헌 뉴딜정책으로 흑인의 사회적 지위가 어느 정도 향상 대법원에서는 주택입주 제한과 시외버스 승차에 있어서의 흑인 차별을 불법화

35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4) 공공복지사업의 발전시기(미국, 1929-1954) (2) 공공복지사업의 출현
민간복지단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구빈과 이에 관련된 활동이 정부기관으로 이양되었으며, 지방 중심의 사업이 지역적 혹은 국가적 차원으로 확대 년 연방 긴급구호청에서 사회계획의 역할을 수행하였고, 이후 연방보장기관을 통해 복지업무의 기준을 설정하고 서비스의 조정, 사회문제의 실태 파악, 공교육에 대한 계획 등의 활동을 전개

36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4) 공공복지사업의 발전시기(미국, 1929-1954) (2) 공공복지사업의 출현
제2차 세계대전으로 군 관계 노동자와 군인의 수가 급증하였고, 이들을 위한 복지서비스의 수요가 늘어나게 되어 지방중심으로 행해졌던 공·사 기관의 지역사회계획 업무가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 1935년 사회보장법 제정, 년 전시복지기금(War Chests) 모금, 년 연방보장기관 설립, 1953년 보건·교육·후생부가 설립(나중에 연방보장기관이 계승) 등

37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4) 공공복지사업의 발전시기(미국, 1929-1954) (3) 전문 분야와 전문교육
1930년경 『사회사업연감(Social Work Year Book)』발간, 1939년 전국사회사업대회에 제출한 레인(Lane)의 보고서(지역사회조직의 실천분야, The Field of Community Organization), 1945년 맥밀런(McMillen)의 『지역사회복지조직(Community Organization for Social Welfare)』의 출간

38 5) 지역복지의 정착시기(1955년 이후) (1) 사회적 상황
년대 말까지 국가 주도사업의 강화와 세계경제의 도약시기이며, 미국의 공립학교에서는 흑백차별을 금지(school degradation)하는 대법원의 결정이 내려짐 1960년대와 1970년대 미국은 인종문제가 결부된 빈곤문제가 새로운 사회적 쟁점 시민권 운동의 성장, 빈곤과의 전쟁, 베트남전쟁 등은 시민 참여와 사회정의에 대한 활동을 더욱 촉진시킨 계기 1970년대 후반부터 ‘작은 정부’ 지향, 연방정부의 책임 하에서 지방·민간기업·가족에 중심을 두는 방향으로 변화

39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5) 지역복지의 정착시기(1955년 이후) (2) 지역복지정책의 추진
케네디와 존슨 행정부의 산물인 빈곤과의 전쟁(war on poverty)에 의해 더욱 확대 구체적인 사업으로는 Head Start, VISTA,Neighbor- hood Youth Corps, Job Corps, 직업훈련, 성인교육, 농촌주민부조, 법적원조, 보건, 주택, 소비자교육 등의 지역사회 활동 프로그램(CAP, Community Action Program) ‘레이거노믹스(Reaganomics, 미국 제40대 레이건 대통령의 경제정책)’로 불리는 신보수주의 세력화 과정에서 사회복지에 대한 정부지원이 축소

40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5) 지역복지의 정착시기(1955년 이후) (3) 전문 분야의 발전
지역복지를 가르치는 사회사업대학원 수는 1965년 36개에서 1969년 48개로 증가 사회사업대학원 석사과정에서 지역복지를 주전공으로 한 학생 수는 1960년 85명으로 전체 학생의 1.5%이었는데, 1969년에는 1,125명으로 전체 학생의 9%로 늘어남 1962년 사회사업교육협의회를 사회사업전문기관의 하나로 공식적으로 인정

41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5) 지역복지의 정착시기(1955년 이후) (4) 최근의 경향
지역중심의 지역복지에 있어서 평가 등 외부의 영향력이 증대 정부기관의 사업이 활발 ‘가능한 한 최대한의 참여’ 등과 같은 개념들이 상당한 호응

42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43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 지역사회복지의 맹아기: 전통적인 지역사회복지
국가나 군·현 단위의 행정적인 복지활동보다는 촌락단위의 자주적인 복지관행에 의한 것 촌락단위의 복지관행은 두레, 계, 품앗이, 향약과 같은 것이고, 국가단위의 지역복지사업은 의창, 상평창, 진휼청 등과 같은 것

44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 지역사회복지의 맹아기: 전통적인 지역사회복지 (1) 촌락단위의 복지활동 ① 두레
두레는 농민들의 상호협동체로서 촌락의 내부질서, 공동방어, 공동노동, 공동유흥, 상호부조 등의 역할로서 민족의 촌락자치질서를 이끌어 온 모체 두레는 사회의 발달과 분화되는 가운데 쇠퇴하였지만 노동형식, 부역노동, 농촌개발 등 그 구조와 역할은 오늘날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

45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 지역사회복지의 맹아기: 전통적인 지역사회복지 (1) 촌락단위의 복지활동 ② 계(契)
계는 신라시대 화랑도의 향도계에서 시작되어, 자생적으로 발전 지역공동체의 친목, 씨족의 화목 계 조직은 공익, 산업, 영리, 친목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발달

46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 지역사회복지의 맹아기: 전통적인 지역사회복지 (1) 촌락단위의 복지활동 ③ 품앗이
품앗이는 부락 내 농민들이 노동력을 서로 차용 또는 교환하는 조직으로서 우리나라 농촌의 가장 대표적인 노동협력양식

47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 지역사회복지의 맹아기: 전통적인 지역사회복지 (1) 촌락단위의 복지활동 ④ 향약
향약은 지식인들 간의 민간자치적인 상부상조의 협동조직으로서 지역주민의 순화, 덕화, 교화 등을 목적 향약의 4대 강목 중 환난상휼(患難相恤, 어려운 일은 서로 돕는다.)은 촌락단위의 복지성 약정

48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 지역사회복지의 맹아기: 전통적인 지역사회복지 (1) 촌락단위의 복지활동 ⑤ 사창(社倉)
사창은 재앙이나 흉년에 대비하여 100호를 1사로 하고, 모든 촌락의 주민들이 참여하게 하고, 추수기에 미리 지역주민에게 곡식을 징수 또는 기증받아 공동으로 저장해 두었다가, 흉년이나 기근이 찾아오면 난민을 구제하는 촌락단위의 구휼제도로 의창, 상평창과 더불어 삼창의 하나

49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 지역사회복지의 맹아기: 전통적인 지역사회복지 (1) 촌락단위의 복지활동 ⑥ 공굴(共屈)
공굴은 마을 안에 중병자나 불구자, 과부, 초상 당한 사람이 있을 경우 같은 마을 사람들이 무보수 공동으로 농사를 지어 주는 제도 ⑦ 부근(附近) 부근은 공굴보다 봉사범위가 넓어서 농사일뿐만 아니라 동네사람이 집을 신축 할 때 또는 10세 미만의 아이가 죽었을 때의 장사 등 동원봉사를 의미

50 1) 지역사회복지의 맹아기: 전통적인 지역사회복지
(1) 촌락단위의 복지활동 ⑧ 향도(香徒) 향도란 상여를 매는 사람이란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주로 마을에 흉사가 있을 때 무보수로 봉사활동 ⑨ 고지(雇只) 고지는 궁핍한 마을 사람들끼리 연대책임으로 농업경영자와 노동청부의 계약을 맺고 양식이 떨어진 춘궁기에 노임으로 양식을 선불 받아 그것으로 춘궁기를 나고 농번기에 계약된 노동을 제공하는 것 ⑩ 부조(扶助) 부조는 오늘날 금품공여와 같은 것

51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 지역사회복지의 맹아기: 전통적인 지역사회복지 (2) 정부에 의한 인보제도
① 목민심서에 애민육조로 표현되고 있는 6가지 복지시책 ㉠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양로(養老) ㉡ 고아를 대상으로 하는 보호(保護) ㉢ 지극히 가난하여 상을 치를 수 없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애상(哀喪) ㉣ 남의 힘에 의존하지 않고서는 살 수 없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진궁(振窮) ㉤ 불치의 환자나 위독한 병자를 대상으로 하는 관질(寬疾) ㉥ 수재·화재·기근 등 재앙을 당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구재(救災)

52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 지역사회복지의 맹아기: 전통적인 지역사회복지 (2) 정부에 의한 인보제도 ② 오가통
조합원은 인보공제의 의무로서 농사일을 돕고(耕耘相助), 출입자를 살피고(出入相守), 병자를 돕는(疾病相救) 일 ③ 국가단위의 상설복지기구 국가단위의 상설복지기구는 의창, 상평창, 진휼청, 동서대비원, 활인서, 혜민서, 기노소(耆老所) 등이 있음

53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2) 지역사회복지의 형성기: 1910-해방까지 (1) 사회적 상황
한국 농업을 식민지적 구조로 변경하고자 토지조사사업, 산미증산계획 등을 실시 학교교육제도의 실시로 학계 및 향계 등도 서당이 폐지되면서 소멸 혈족단체인 종계 또는 화수계는 개인주의 사상의 침투로 붕괴

54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2) 지역사회복지의 형성기: 1910-해방까지 (2) 협동조합운동
1926년의 협동조합운동회사가 설립되었으나 일본제국주의의 감시와 탄압 등으로 인하여 단명 1925년에 농민회사를 설립하였지만 경영의 미숙으로 충분히 발달하지 못함 일제는 자발적이고 민간주체적인 협동조합은 억제하고 관제조합이나 농촌진흥운동을 장려

55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2) 지역사회복지의 형성기: 1910-해방까지 (3) 일제하의 사회복지사업
조선구호령은 공공부조의 기본이 된 법으로서 일본의 구호법(1929년 제정 1932년 실시)을 바탕으로 하여 1944년 3월에 실시 사회복지시설과 사업으로 각종 어린이 보호시설이 설립·경영되었는데, 육아시설(전국 22개소), 임산부상담소(5), 탁아시설(4), 영아건강상담소(5), 빈궁아교육기관(9), 불량아감화시설(5), 맹아보호시설(2), 육아협회 등이 설치되어 운영

56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2) 지역사회복지의 형성기: 1910-해방까지 (3) 일제하의 사회복지사업
공설일용품시장, 인사상담소, 경성부립도서관, 방면사업, 공익전당포 등을 설치하여 구빈뿐만 아니라 방빈사업을 위한 시설을 갖추었음 1941년 방면위원제도를 전면 개편하여 요보호자들에 대한 보호,구제, 직업알선 등 ‘case work’ 업무를 담당

57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2) 지역사회복지의 형성기: 1910-해방까지 (4) 지역복지에 관한 연구활동
일제시대의 사회복지관련 연구활동은 각종 문헌발간, 사회사업 강습회의 개최, 사회사업협회의 설치 등으로 비교적 활발한 연구

58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3) 지역사회복지의 정착기: 해방 후-90년대 (1) 사회적 상황 (2) 사회복지공동모금
생활시설 사업이 주류 (2) 사회복지공동모금 민간자원을 동원하여 사회복지 향상에 기여하는 것 1971년 한국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구성됨에 따라 민간주도의 공동모금운동이 전개되었으나 사회적 여건과 홍보 부족

59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3) 지역사회복지의 정착기: 해방 후-90년대 (2) 사회복지공동모금
1980년 사회복지사업기금법을 제정, 관주도의 불우이웃돕기운동이 전개 1997년 사회복지공동모금법 제정, 1999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으로 제정

60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3) 지역사회복지의 정착기: 해방 후-90년대 (3) 외국민간원조기관과 지역사회복지
외국민간원조기관이란 그 본부가 외국에 있고 그 본부의 지원으로 국내에 보건사업, 교육사업, 생활보호, 재해구호 또는 지역사회개발 등의 사회복지사업을 행하는 비영리적 사회사업기관으로서, 그 사업자원이 외국에서 마련되고 외국인에 의해 운영되는 기관 외국민간원조단체한국연합회(KAVA, Korea Association of Voluntary Agencies)가 1952년 7개 기관이 모여 조직되었으며, 1955년 사무국 설치로 연합회로서의 기능을 갖추게 됨

61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3) 지역사회복지의 정착기: 해방 후-90년대 (3) 외국민간원조기관과 지역사회복지
1964년에는 70여 개로 늘어났고, 1970년대 후반부터 철수 KAVA의 사업내용은 70여 개의 단체 중 28개는 교육, 보건, 사회복지, 구호 및 지역사회개발의 사업에 직접적인 유대를 가지고 있었으나, 42개 단체는 주로 기독교 복음전파의 사명과 목적을 갖고 종교사업에 치중하면서 부수적으로 교육, 구호, 보건, 사회복지 분야에서 사업활동을 전개

62 3) 지역사회복지의 정착기: 해방 후-90년대 (4) 지역사회개발사업과 새마을운동
1970년대 지역사회개발사업은 새마을운동사업으로 전환 새마을운동은 1971년 9월 ‘근면·자조·협동’을 새마을 정신으로 규정하였고, 중점사업으로 1971년 마을 진입로, 소하천, 소류지의 정비, 공동우물, 공동빨래터, 퇴비장설치, 마을식수 등이 있으며, 1972년 안길, 농로, 간이급수가 추가되었고, 1973년 마을 발전수준에 따라 기초마을, 자조마을, 자립마을로 구분하였고, 1975년 증산운동, 근검운동, 인보운동에 역점을 두었음 1976년 도시새마을운동이 본격화 과업중심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데 치중하는 경향

63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3) 지역사회복지의 정착기: 해방 후-90년대
(5) 지역사회개발모델에서 지역사회행동모델로 확대 1980년대 후반 이후 각 민간단체들을 중심으로 ‘바른 삶 실천운동(YMCA)’, ‘공해추방운동’, ‘경제정의실천운동’, ‘복지권실천운동(참여연대)’ 등 (6)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교육 1947년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사회사업학과, 1953년 중앙신학교(현 강남대학교), 1958년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대학원 및 이듬해 사회사업학과를 설치, 1963년 중앙대학교 사회사업학과의 설치로 발전

64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3) 지역사회복지의 정착기: 해방 후-90년대 (7) 사회복지관
1921년의 태화기독교 사회복지관인데, 이 사회복지관이 1980년대에는 전국적으로 확대·건립 사회복지관은 주로 영구임대주택단지 내에 건립이 시작되었으며, 민간에 의한 건립이 활성화되었으며, 1989년 건립과 운영에 국고보조지침이 마련

65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4) 지역사회복지의 발전기: 1990년 이후 (1) 사회적 상황
1990년대 이후 지역중심성과 전문성 강화, 재가복지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종합적인 프로그램으로 발전, 2000년 10월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시행으로 지역사회 중심의 자활지원사업 전개,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66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4) 지역사회복지의 발전기: 1990년 이후 (2) 사회복지관과 재가복지의 발전
2017년 말 현재 전국에 464개소가 설치·운영 1997년 사회복지사업법의 개정에 의해 모든 사회복지시설·기관·단체가 3년마다 평가를 실시 재가복지는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등의 부설기관 형태로 1980년부터 재가복지봉사센터를 설치·운영

67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4) 지역사회복지의 발전기: 1990년 이후
(4) 지역사회개발 및 사회행동모델의 실험과 적용 지역복지정책 개발사업, 각종 빈곤정책 프로그램 등과 관련된 조례제정운동을 비롯하여 다양한 사회행동을 실현

68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4) 지역사회복지의 발전기: 1990년 이후 (5) 지역사회복지계획
2006년 8월 말까지 모든 기초자치단체는 제1기 지역사회복지계획( )을 사회복지의 전 분야에 걸쳐서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세운 것을 제출 각 광역자치단체는 기초자치단체의 서비스를 취합하는 한편 시설, 기관, 단체, 서비스를 약간의 조정은 하지만 거의 그대로 수용하는 광역자치단체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 제2기 지역사회복지계획 ( )을 수립하였고, 제3기 지역사회복지계획( )이 진행 중

69 제4장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원칙·가치·윤리 및 과정


Download ppt "제3장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