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Linux 기본명령어.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Linux 기본명령어."— Presentation transcript:

1 Linux 기본명령어

2 로그인 사용자 홈 디렉토리 로그인 사용자명 패스워드 Linux는 대소문자를 구분 사용자가 로그인하여 맨 처음 연결된 장소
사용자만이 알고 있는 사실이며 나중에 passwd 명령을 이용하여 변경 가능 Linux는 대소문자를 구분 login과 password를 입력할 때 대소문자를 정확하게 구분하여 입력 필요 가급적이면 사용자의 로그인명을 소문자로 하는 것이 혼동을 피할 수 있음

3 암호변경(passwd)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사용자 계정이 부여된 후 사용자가 처음으로 시스템에 로그인하면 새로운 암호를 물어 본다. 이를 입력하면 다시 한번 입력하도록 요구하고 사용자가 처음 입력했던 암호와 정확하게 일치하게 입력하면 시스템과의 연결을 완료하고 프롬프트를 보여준다.

4 암호변경(passwd) "passwd" 명령을 이용하여 암호를 변경 가능
대부분의 시스템 관리자들은 시스템 보안(security) 측면을 고려하여 입력한 암호의 적합성을 체크하는 프로그램을 설치 암호를 선택할 때 다른 사람이 추측하여 알아낼 수 없는 것으로 하는 것이 좋음.

5 사용자확인(identity) Linux 시스템은 시스템 관리자가 각 사용자에게 부여한 사용자번호(userid)와 그룹번호(groupid)에 의해 사용자를 확인 일반적으로 시스템이 사용자명과 userid, 그룹명과 groupid를 자동으로 바꾸어주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를 알 필요는 없음 사용자는 id와 groups 명령을 이용하여 자신의 userid와 groupid를 볼 수 있음 기본 그룹은 패스워드 파일에 있는 사용자명과 연관된 그룹명이 되며, 이것 역시 시스템 관리자가 부여

6 연결 끊기(exit) 원격 시스템과의 연결을 끊는 방법들
^D - 데이터 스트림(stream)의 끝을 의미. 또한 사용자와의 연결을 끊음(log off). 이 명령을 이용하여 연결을 끊는 것을 막아주는 것도 가능 ^C – 인터럽트 logout - 시스템 종료 exit - 쉘 종료

7 명령어 구조 명령어(command) Linux 시스템에서 명령어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인식
명령어 [옵션][인자] 인자(argument)란 명령어가 동작을 취할 대상(예: 파일)을 의미 옵션(option)은 명령의 내용을 여러 가지 방식으로 다르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함 Linux 시스템에서 명령어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인식 예: command와 Command는 다르다. 일반적으로 옵션은 하이픈(-)이 앞에 오며, 대부분의 명령에서 하나 이상의 옵션이 함께 사용 가능 명령어 -[옵션][옵션][옵션] 예를 들어, [/home1/gildong]%ls -alR은 현재 디렉토리는 물론 모든 서브 디렉토리까지 순환적으로 모든 파일에 대한 상 세정보를 보여 줌

8 도움말 얻기 Linux 매뉴얼(man 페이지라고 함) 온라인으로 Linux 시스템과 명령어 사용법을 설명
man 페이지를 사용하려면 프롬프트에서 man을 친 후 설명을 원하는 명령을 타이핑 명령 구조: man [옵션] 명령어 옵션 설명: -k 키워드 키워드와 매칭된 명령어 요약 줄을 열거한다 -M 패스 man 페이지에 대한 패스를 보여준다 -a 매칭되는 모든 man 페이지를 보여준다 (SVR4)

9 man의 사용 예 괄호 안의 번호는 man 페이지에서 이들이 찾아진 절을 의미

10 디렉토리 이동 및 관리 명령(1/9) Linux 파일 시스템 루트(root)부터 시작하여 트리 모양의 구조
루트 디렉토리는 슬래시(/) 기호로 나타냄 시스템 디렉토리와 사용자 디렉토리는 루트 밑에 포함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루트 디렉토리를 갖지 않으며 자신의 홈(home) 디렉토리를 가짐 사용자는 자신의 홈 디렉토리 아래에 다른 서브 디렉토리를 생성 가능

11 디렉토리 이동 및 관리 명령(2/9) pwd - print working directory
현재의 작업 디렉토리를 보여 줌. pwd 명령은 언제든지 파일시스템의 계층구조 상에서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를 알려준다. cd - change directory cd 명령은 디렉토리를 변경. cd 명령은 절대경로명과 상대경로명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절대경로명과 상대경로명에 대한 자세한 설 명은 5.2절에서 다루기로 한다. 명령 구조: cd [디렉토리]

12 디렉토리 이동 및 관리 명령(3/9) cd의 사용 예 cd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변경 cd / 시스템의 루트 디렉토리로 변경
cd /full/path/name/from/root 지정된 절대경로명으로 변경 (반드시 슬래시(/)가 먼저 나와야 한다) cd path/from/current/location 현재 위치에서 지정된 상대경로명으로 변경 (선행 슬래시(/)가 없다) cd ~사용자명/디렉토리 지정된 사용자명의 해당 디렉토리로 변경

13 디렉토리 이동 및 관리 명령(4/9) mkdir - make a directory
사용자는 자신의 홈 디렉토리 아래에 서브 디렉토리를 생성하여 계층 디렉 토리 구조 생성 가능 디렉토리의 절대경로명 혹은 상대경로명을 지정 가능 명령 구조: mkdir [옵션] 디렉토리 옵션 설명: -p 지정된 디렉토리에서 중간의 디렉토리도 같이 생성 -m mode 접근권한을 지정된 mode로 부여(SVR4)

14 디렉토리 이동 및 관리 명령(5/9) 현재의 디렉토리가 /home1/gildong 이라면
[/home1/gildong]% mkdir data 다음 예는 -p 옵션을 사용한 것으로 디렉토리 부분에 지정 된 경로에서 중간의 디렉토리까지 동시에 생성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15 디렉토리 이동 및 관리 명령(6/9) rmdir - remove directory
사용자가 어떤 디렉토리를 제거하려면 먼저 그 디렉토리의 내용부터 제거 해야 하고, 또한 현재 위치가 제거하고자하는 디렉토리에 있다면 그 디렉 토리를 제거 불가 먼저 상위 디렉토리로 옮겨가서 명령 구조: rmdir 디렉토리 또 다른 방법으로 rm 명령(이장의 뒷부분에서 설명한다)을 사용하여 제거 가능 이 명령을 사용하면 디렉토리가 비어있지 않더라도 디렉토리를 제거할 수 있다. 현재의 위치가 /home1/gildong에 있을 때 비어있는 디렉토리 /home1/gildong/data를 제거하고자 한다면 [/home1/gildong]% rmdir data 혹은 [/home1/gildong]% rmdir /home1/gildong/data

16 디렉토리 이동 및 관리 명령(7/9) ls - list directory contents
Linux 사용자가 가장 자주 사용하는 명령 ls 명령은 사용자의 디렉토리와 파일의 목록을 보여 줌. 옵션을 이용하면 파일의 형식, 크기, 접근권한, 파일생성 날짜, 수정날짜 등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음 명령 구조: ls [옵션][인자] 옵션 설명: -a 모든 파일을 열거. 히든 파일(.으로 시작하는 파일)도 함께 열거 -d 디렉토리명만 열거 -F 끝 부분에 항목의 유형을 표시 디렉토리 / 소켓 = 심볼릭 링크 @ 실행가능 파일 * -L 파일이 심볼릭 링크이면 그 링크가 참조하는 파일 혹은 디렉 토리에 대한 정보를 보여 줌 -l 상세 정보를 보여 줌

17 디렉토리 이동 및 관리 명령(8/9) 인자(argument)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현재 디렉토리의 목록을 보여 줌
인자에는 파일 혹은 디렉토리 등이 올 수 있고, 메타문자(*, ?)를 이용한 매칭 이용 가능

18 디렉토리 이동 및 관리 명령(9/9) mode 필드 나머지 9개의 문자는 3문자씩 3개의 세트로 구성
-l 옵션을 이용하여 볼 수 있으며 10개의 문자로 구성 첫 번째 문자는 다음 기호중의 하나가 된다: 문자 항목 유형 d 디렉토리 c 문자 유형의 특수 파일 - 일반 파일 l 심볼릭 링크 b 블록 유형의 특수 파일 s 소켓 나머지 9개의 문자는 3문자씩 3개의 세트로 구성 이것은 파일 접근권한을 의미: 처음 3문자는 사용자 자신(user)의 접 근권한을 나타내고, 두 번째 3문자는 그룹(group)에 대한 접근권한 을, 마지막 3문자는 시스템 상의 기타 다른 사용자(other)들의 접근 권한을 의미 각 문자에 대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 r 읽기(read) 권한 w 쓰기(write) 권한 x 실행(execute) 권한 - 접근 불가

19 파일관리 명령(1/6) 파일 관리 명령 cp - copy a file
파일을 생성하고 복사하고 삭제하고 접근권한을 변경하는 명령들을 말한다. cp - copy a file 한 파일의 내용을 다른 파일에 복사 명령 구조: cp [옵션]이전_파일명 새로운_파일명 옵션 설명: -i 대화방식으로 진행한다 (확인을 기다려서 요청에 따라 진행한다) -r 디렉토리를 순환적으로 복사한다 (서브 디렉토리도 모든 내용과 함께 복사한다)

20 파일관리 명령 (2/6)

21 파일관리 명령 (3/6) mv - move a file 파일의 이름을 변경
또한 지정된 파일 혹은 디렉토리가 현재의 경로가 아니라 면 이것은 그 파일 혹은 디렉토리를 다른 장소로 옮겨주 는 효과를 가진다. 명령 구조: mv [옵션]이전_파일명 새로운_파일명 옵션 설명: -i 대화식으로 진행 -f 목적지에 같은 이름의 파일이 존재해도 묻지 않고 수행 이 명령은 파일의 내용은 있던 곳에 그대로 두고 디렉토리 테이블의 항목만 변경

22 파일관리 명령 (4/6)

23 파일관리 명령 (5/6) rm - remove a file 파일을 삭제 명령 구조: rm [옵션]파일명 옵션 설명:
서브 디렉토리를 제거 -f 확인을 하지 않는다

24 파일관리 명령 (6/6) ls 명령으로 디렉토리의 목록을 보면 파일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실제로 그 내용까지 삭제한 것이 아니라 단지 디렉토리 테이블에서 그 항목을 제거한 것뿐이며 해당 inode를 사용하지 않는다는(unused) 표시를 한 것뿐이다.

25 파일 접근권한(File Permissions)
각각의 파일과 디렉토리는 자신만의 읽기 권한, 쓰기 권한, 실행권한을 가짐 파일의 접근권한을 보려면 ls 명령의 -l 옵션을 사용 ls -l" 명령을 주면 다음과 같은 형태의 결과를 보여준다. -rwxr-x--- user unixgroup size Month nn hh:mm filename 위에서 첫 번째 열의 문자와 하이픈(-)에 의해 지정된 부분(-rwxr-x---)은 파일의 유형과 접근권한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rwxr-x---와 같이 주어진다면 사용자(owner)는 그 파일에 대해 읽기, 쓰기, 실행이 가능한 반면에, unixgroup의 사용자들은 읽기와 실행이 가능하고, others는 전혀 그 파일을 접근할 수 없다.

26 파일 접근권한(2/6) chmod - change file modes
명령 구조는 3개의 문자(user, owner: u, group: g, other: o)와 관련 각 접근권한 유형은 대응되는 숫자로 표현: read=4, write=2, execute=1 혹은 read=r, write=w, execute=1 4 혹은 r의 접근권한은 read 접근권한을 지정 원하는 접근권한이 read와 write라면, 4(read)와 2(write)가 더해져 서 6의 접근권한으로 표현. 따라서 접근권한을 6으로 표현하면 read와 write의 접근권한을 가지게 됨

27 파일 접근권한(3/6) + 접근권한 부여 - 접근권한 제거 = 접근권한 설정 예: 각 사용자를 의미하는 기호 표현도 가능
사용자 유형과 함께 다음과 같은 연산자를 통하여 접근권한을 부 여 + 접근권한 부여 - 접근권한 제거 = 접근권한 설정 예: 소유자에게 read와 write의 접근권한을 부여하고자 한다면 "u=rw" 라고 기술 명령 구조: chmod nnn [아규먼트_목록] 숫자 모드 chmod [who]op[perm][아규먼트_목록] 기호 모드 옵션 설명: -i 강제로 수행(변경이 되지 않더라도 오류 메시지를 보여주지 않는다) -R 디렉토리 구조를 따라 내려가면서 서브 디렉토리의 모드도 순환적으로 모드를 변경 여기서 nnn은 user, group, other의 접근권한을 의미하는 3 문자들이고, who 는 u, g, o, a 중의 어느 하나를, 그리고 perm은 r, w, x 중의 어느 하나를 의미

28 파일 접근권한(4/6) chmod의 사용 예 public_html 디렉토리의 접근권한을 아래와 같이 부여하고 싶을 때
owner: read, write, execute group: read, execute other: read, execute

29 파일 접근권한(5/6) chown - change ownership chown 명령을 사용하여 파일의 소유권을 변경
대부분의 Unix 시스템에서 이 명령은 관리자만이 수행 가능 명령 구조: chown [옵션] user[:group] 파일 (SVR4) chown [옵션] user[.group] 파일 (BSD) 옵션 설명: -R 디렉토리 구조를 따라 아래로 순환적으로 수행 -f 강제로 수행. 오류 메시지를 보여주지 않는다

30 파일 접근권한(6/6) chgrp - change group
명령 구조: chgrp [옵션] group 파일 옵션 설명: -R 디렉토리 구조를 따라 아래로 순환적으로 수행 -f 강제로 수행.오류 메시지를 보여주지 않는다

31 디스플레이 명령(1/6) 파일의 내용을 보는데 사용할 수 있는 명령은 많다.
물론 부록에 설명되어 있는 vi 나 emacs 편집기를 사용하여 파일의 내용을 보거나 편집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파일의 내용을 볼 수 있는 명령들에 대해 알아본다.

32 디스플레이 명령(2/6) echo echo 명령은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그대로 표준출력 장치에 다시 보여주는 명령. 일반적으로 라인 피드에 의해 종료하지만, 이것을 변경할 수 있는 옵션은 많다. 명령 구조: echo [텍스트_문자열] 옵션 설명: -n <new-line>을 프린트하지 않는다(BSD) \c <new-line>을 프린트하지 않는다(SVR4) \0n n: 8-비트 ASCII 문자 코드(SVR4) \t 탭(SVR4) \f 폼피드(SVR4) \n 새로운 줄(SVR4) \v 수직 탭(SVR4)

33 디스플레이 명령(3/6) Cat 파일의 내용을 보여주거나 파일들을 연결할 때 사용 명령 구조: cat [옵션] 파일
옵션 설명: -n 각 줄에 줄 번호를 붙여준다 -v 탭, 새로운 줄, 폼피드를 제외하고 프린트할 수 없는 문자를 보여준다 -e 각 줄의 끝에 $ 기호를 보여준다(-v와 함께 사용할 때)

34 디스플레이 명령(4/6) more, less, pg - page through a file
more, less, pg 명령은 한번에 한 페이지씩 파일의 내용 을 보여준다. 이들 명령중에 사용자의 Unix 시스템에서 수행되지 않는 명령이 있을 수 있다. 명령 구조: more [옵션][+/pattern][파일명] less [옵션][+/pattern][파일명] pg [옵션][+/pattern][파일명] 이들 명령은 한 화면을 보여주고 나서 화면 하단에 프롬프트를 보인다 more의 경우 --계속--(6%) pg 의 경우 :

35 디스플레이 명령(5/6) head - 파일의 시작부분을 보여준다 head 명령은 파일의 시작부분을 보여준다. 명령 구조:
옵션 설명: -n number 파일의 처음부터 시작하여 보여줄 줄 수를 지정한다 -number 위와 같다

36 디스플레이 명령(6/6) tail tail 명령은 파일의 끝부분을 보여 줌 명령 구조: tail [옵션] 파일 옵션 설명:
-number 파일의 끝에서부터 보여줄 줄 수를 지정


Download ppt "Linux 기본명령어."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