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문화 Culture 1. Concept of Culture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문화 Culture 1. Concept of Culture"— Presentation transcript:

1 문화 Culture 1. Concept of Culture
1) the totality of the human creation and use of symbols and artifacts. 2) (E. B. Tylor) "culture is complex whole which includes knowledge, belief, art, morals, law, customs, and any other capabilities and habits acquired by man as a member of society". => It may be taken as constituting the "way of life" of an entire society, and this will include codes of manners, dress, language, rituals, norms of behavior and systems of belief. (한 사회의 구성원들의 삶의 방식을 구성하는 모든 유무형의 요소들의 복합적 전체) ※ 유사개념들 culture vs civilization : culture is wider concept than civilisation. Nature vs Nurture : biological determinants / Nurture: social determinants

2 2. 문화의 구분 : i)유형문화(2차 문화, 가시적 문화) + 무형문화(1차 문화, 비가시적 문화) - 유형문화(2차 문화, 가시적 문화) : 문화의 내용을 재현하는 대상, 기호(상징), 기술 등 - 무형문화(1차 문화, 비가시적 문화) : 문화의 내용을 형성하는 신념, 사고, 가치, 규범 등. => 2차 문화를 프로그램밍하는 문화.

3 ※ 생각해 볼 개념들 국화와 칼: 죄의 문화 vs 수치의 문화 가치와 규범: 대학생들의 부정행위(동양) / 길거리에서의 kiss(서양) 문화적 다양성: 개고기 /소고기 / 달팽이 / 민족중심주의 ; 문화적 충격, 문화 상대주의, 문화다원주의 => Q: 문화 상대주의의 가능성과 한계 (예: 아프가니스탄의 Taleban 정권 또는 북한정권의 정체에 대한 인정의 문제) 21세기의 현실: 다문화주의, 문화다원주의, 단일민족주의 관념의 점진적 쇠퇴 => 인정의 정치(politics of Recognition)

4 문화와 사회에 관한 고전이론 Marx, Durkheim, Weber Marx Durkheim Weber 관점 구조주의적 갈등론
Marx Durkheim Weber 관점 구조주의적 갈등론 사회 불평등론 구조주의적 기능론 상호주관주의적 상징론 이해(interpretive) 사회학 문화해석:   문화를 보는 입장  유물론적 문화관  통합론적 문화관  상징적 문화관  Base(substructure): 재산, 생산수단, 경제제도 Superstructure: 위의 것을 합리화(정당화)시켜주는 이념, 제도, 지식, 법률, 종교 또는 예술 등등. => Ideology의 역할 => alienation 현상 전통적으로 공동의 규범과 도덕적 신념, collective conscience(집합적 표상의식) 과 같은 문화적 facts -주로 종교의 기능 - 가 사회적 통합과 구성의 원천이 되어 왔다.(Mechanical solidarity가 지배적인 사회형태). => 그러나 산업화(근대화)와 더불어 분업과 전문화와 같이 통합과 상호의존 관계가 분화된 사회의 등장으로 전통적 사회구성 기제는 바뀌고 있다고 봄(Organic solidarity가 지배 적인 사회 형태) i) Marx, Durkheim과 같이 조직, 사회 또는 국가 등의 개념을 macro-level에서 다루기보다는 의미나 가치를 수반하는 개인의 행위를 micro-level에서 다루는 입장. Ii) Marx가 관념을 단순히 물질적 이해관계의 반영이라고 본 것에 반대해서, 관념적 힘들이 경제적 행위와 구조에 심중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독립적 변수일 수 있다고 봄 => 자본주의의 발전과 종교의 관계. 이 구조의 근본적 전환을 위해 초기자본주의의 혁명적 전환을 의도함 society = religion 전통 종교의 현대 속의 기능적 대안물을 찾고자함. 자본주의의 기원: 개신교 윤리가 초기자본주의 촉발에 지배적 영향을 미쳤다고 봄.

5 문화연구의 최근 경향들 – 문화현상에 대한 비판
1. Marxist의 문화 비판 – Marxist적 시각에서 i) Gramsci의 Hegemony 이론 정통 Marxist 와는 달리 토대로부터 독립해 자율적으로 존속되고 번창하는 또 다른 차원의 문화적 영향력이 작동함을 가정함(일종의 문화적 ideology론). => 예컨대, 이데올로기로서 media는 문화적 영향력을 갖고 우리의 현실 경험을 일관된 방향으로 해석토록 끌어간다. (그람시에 의해, 노동자의 의식을 왜곡되게 몰아간다고 주장됨). => 정통 ideology는 의식적이며, 주로 정치적 영역에서 기능하지만, hegemony는 의식적이지 않으며 주로 사회․문화적 영역에서 기능한다.  (피지배 계급에 대한 직접적 강압이 아니라 문화적 수단을 통해 사회문화적 지도력을 발휘하는 능력 발휘 가능)

6 ii) Althusser의 사회구성체론 Marx의 토대에 의해 상부구조가 종속된 경제 결정론적 도식이 아닌 경제적-정치적-이데올로기적 실천의 기제를 갖는 중층적 사회구성체론을 제시함. =>문화 차원의 상대적 자율성 - “문화 분석은 이데올로기 분석이다” 이데올로기는 현실문제들에 대한 거짓 해결책이지만, 진실처럼 보이게 만든다. 하지만 Marx의 부정적 이데올로기관 - 허위의식으로서의 이데올로기 - 과는 다르게 이데올로기(문화)는 세상의 물질적 상황을 해석하고 이해하고 경험하고 살아내는 개념 틀로 기능한다고 봄. 곧 이데올로기는 현실인식을 형성하고 결정한다고 봄. => 이데올로기는 사상의 집합체가 아니라,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ISA; 교육, 종교, 가족, 정치, 미디어, 문화)의 행위와 생산을 통해 재생산된 육체적 행위이다.

7 2. 문화산업(Cultural Industry) 비판
여가활동과 여가 경험의 상품화를 목표로 삼는 상업자본주의적 산업 유형. 대중들의 문화적 욕구를 조작하며, 대중들이 선택한다고 여겨지는 문화산업 상품의 선택은 결국 제한된 선택의 폭 안에서 이루어진다. Frankfurt School - Adorno & Horkheimer. 진정한 의미의 문화와 상업자본의적 기제에 의해 만들어지는 문화와의 차이 인식 =>  "문화산업"이라는 개념 제시.  문화산업: 영화, 그림, 잡지, 라디오, TV, 전기 소설물류 등의 상품들이 수행하는 이데올로기적 기능에서 찾음. => 문화산업은 대중 기만에 바탕을 둠 

8 3. 문화연구 (Cultural Studies) - Birmingham School의 Cultural Studies
버밍햄 대학의 현대사회연구소(CCCs: Centre for Contemporary Cultural Studies) 를 중심으로 전개된 문화연구의 흐름. 엘리트주의적 문화해석에 대항하여 대중문화를 연구함. 노동계급의 문화에 대한 문화개입적 연구 이들의 연구에 의해, 문화의 개념 자체는 더욱 더 민주화되고 사회화되는 경로를 갖게 되었으며, 따라서 문화는 모든 실천적 상호관계들의 복합적 총체로서 이해되어야 함을 강조했음.


Download ppt "문화 Culture 1. Concept of Culture"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