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art 1 스포츠 윤리의 기초.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Part 1 스포츠 윤리의 기초."— Presentation transcript:

1 Part 1 스포츠 윤리의 기초

2 목 차 윤리와 스포츠 1. 스포츠 경쟁의 윤리 2. 스포츠 윤리 규범 3.

3 Chapter 1. 윤리와 스포츠

4 Chapter 1. 윤리와 스포츠 1. 스포츠의 윤리적 기초 [1] 윤리와 도덕의 개념
- 윤리(Ethos – Ethics) : 더불어 살아가는 인간관계(Human Relation, Relationship)의 이치 → 사회, 문화의 장에서 일어나는 인간 삶의 바람직한 원리 - 도덕(Mores – Moral) : 사람(개인)의 도리. 개인의 심성 혹은 덕행 → 개인의 양심, 자율성, 품성 공통점 – 자율에 의해 실천되는 행위 그러나 이타적 행위의 총체 : 더불어 사는 사회의 순기능.

5 Chapter 1. 윤리와 스포츠 도덕성 – 행위의 도덕적 가치( ~이 있다, 없다) : 행위자 스스로 가지는 의지의 주관적 규정, 동기 예) 쓰러져 있는 할머니를 그냥 지나쳤다. 해석: 도움을 주지 않고 그냥 지나친 것은 중대한 법의 위반은 아니다. 그러나 행위자 스스로의 도덕적(개인의 양심, 자율성, 품성) 가치가 없다(도덕성이 없다)라는 평가를 받게 된다. ‘스포츠에서’ 예) 경기자가 쓰러진 상대선수를 배려하지 않았다. 해석: 규칙에 어긋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스포츠맨십에 어긋난다고 야유를 받을 수 있다.

6 Chapter 1. 윤리와 스포츠 <스포츠의 도덕성> - 규칙을 준수(합법칙성)을 뛰어넘어 선수 개개인의 도덕적 마음가짐(스포츠맨십)을 강조 - 스포츠맨십 : 소극적 합규칙성을 넘어 보다 적극적인 의지적 행위(개인의 도덕적 가치)

7 Chapter 1. 윤리와 스포츠 ‘날씨가 좋다’ 와 ‘헌혈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에서 “좋다”의 의미차이 ▶ 날씨가 좋다 – 감정과 기분의 표현 → 선(善, 착하다)의 의미 불포함. ▶ 헌혈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 – 행위의 결과나 평가 → 선(善, 착하다)의 의미 포함. 즉, 윤리학은 선에 대한 탐구에서 시작하고 그것은 도덕적 실천(행위)의 기본이 되는 가치를 의미한다.

8 Chapter 1. 윤리와 스포츠 일반적 선 – 사물의 현상을 묘사, 서술(도덕적 평가와 무관, 개인의 감정표현) - 좋은 패스, 도덕적 선 – 특정한 요구나 상황에 관계없이 그 자체의 본성이 목적으로서 추구할 만한 선 (내재적 선(intrinsic good) - 최고선)

9 Chapter 1. 윤리와 스포츠 최고선을 어디에 두느냐에 다양한 윤리학이 탄생 ▶ 목적론적 윤리학 –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 ▶ 쾌락주의적 윤리학 – 에피쿠로스의 쾌락론 ▶ 의무주의적 윤리학 – 칸트의 도덕적 의무를 실천

10 Chapter 1. 윤리와 스포츠 ☆ 스포츠에서의 최고선은 어디에 있을까? ☆ ▶승리, 명예, 금전적 보상, 쾌락, 건강, 행복....

11 Chapter 1. 윤리와 스포츠 2. 스포츠윤리학의 성격 [1]일반윤리와 스포츠윤리 스포츠윤리학: 스포츠에 관여하는 특정집단 및 스포츠활동에서 일어나는 도덕적 행위의 옳고 그름과 스포츠규범의 도덕적 가치를 밝히는 학문 스포츠윤리학이 일반윤리학과 같은 범주(불가분의 관계)에서 논의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12 Chapter 1. 윤리와 스포츠 스포츠윤리의 독자성 - 경쟁의 도덕적 조건과 진정한 승리의 의미 - 비도덕적 행위의 유형과 공정성의 조건 - 도덕적 자질과 인격의 함양 - 스포츠행위의 궁극적 목적과 교육적, 문화적 가치 탐색 - 스포츠의 도덕적 가치 옹호, 정당성 확보 - 스포츠맨십, 페어플레이 등과 같은 스포츠윤리규범의 확산과 공동체 삶의 변화

13 Chapter 1. 윤리와 스포츠 [2]응용윤리학 - 사회와 스포츠현장의 밀접한 관계: 인간생활의 일부분 - 스포츠의 사회적 기능확대 - 예기치 못한 윤리적 문제 발생 - 스포츠윤리학은 일반윤리학을 스포츠라는 인간공동체의 장에 응용하고 나아가 스포츠의 특수한 윤리적 상황을 통해 일반 윤리학의 변화 및 개선에 기여.

14 Chapter 1. 윤리와 스포츠 [3] 실천윤리학 까뮈의 고백 : “내가 윤리를 실제로 배울 수 있었던 유일한 상황은 스포츠에서였다”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을 학문으로 정립한 최초의 사상가- 윤리학을 실천을 위한 학문으로 규정 - 윤리학은 이론적으로 이해되는 머릿속의 정보가 아니라 실천 속에서만 진실임을 찾을 수 있는 ‘행위를 산출하는 지식’- 체득의 과정

15 Chapter 1. 윤리와 스포츠 [4] 윤리적 행위로서의 스포츠 스포츠 - 룰(규칙)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경쟁적 신체활동 룰(규칙) - 공정성을 담보: 승패에 대한 승복을 가능하게 하는 본질적 조건 따라서 규칙준수에 대한 약속이 전제되어야 하고 그 약속은 그 자체로 도덕적 행위하고 할 수 없지만 어겼을 경우 도덕적 비난을 받는다.

16 Chapter 1. 윤리와 스포츠 3. 도덕 판단 [1] 가치의 개념 인간의 다양한 행위 가운데 좋음과 나쁨, 옳음과 그름의 도덕적 판단을 윤리학이 담당 가치(Value) :인간의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바람직한 것 혹은 인간의 제반 욕구를 만족시키는 대상이나 그 대상이 가지는 성질 – 개인의 욕구 충족과 깊은 연관

17 Chapter 1. 윤리와 스포츠 정신적 가치 물질적 가치 본래적 가치 비본래적 가치 목적적 가치 도구적 가치 지적, 도덕적, 미적 가치 사용, 교환 가치 물질적 가치-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닌 다른 목적을 위한 수단(도구적 가치) 스포츠에서 정신적 가치가 매우 중요하며, 스포츠윤리학은 스포츠의 도덕적 가치를 대상 도덕적 가치는 본래적 가치의 창조와 관련되며 다른 것의 수단이 아닌 그 자체로서의 목적이 되는 것-최고선: 페어플레이와 스포츠맨십이 대표적.

18 Chapter 1. 윤리와 스포츠 [2] 사실판단과 가치판단 판단-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사유작용 명제- ‘A는 B이다’라는 주어 + 술어의 형식 사실판단 – 실제 세계의 사건과 현상에 대한 객관적 진술(경험으로 검증 가능) 진위여부(참과 거짓)를 가릴 수 있다. 즉 존재(is)에 대한 진술 가치판단 – 옳음과 그름, 좋음과 나쁨 등에 대한 가치에 대한 진술 긍정적 가치판단 – 좋다, 옳다, 바르다 부정적 가치판단 – 나쁘다, 그르다, 악하다 가치판단 : 참과 거짓의 문제가 아닌 마땅히 해야 할 당위(ought)의 문제

19 Chapter 1. 윤리와 스포츠 [3] 윤리적 정당화 <조건> 1. 행위의 원리가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 2. 사회의 통상적인 규범과 일치할 것 윤리적 정당화는 스포츠선수들이 아무런 반성 없이 타율적으로 지켜왔던 스포츠규범을 스스로의 이성적 판단에 의해 내면화할 수 있는 계기를 가져다 준다.

20 Chapter 1. 윤리와 스포츠 [4] 도덕원리의 검토 어떤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 어려울 때 기준점이 되는 도덕원리의 4가지 유형 1 - 포섭검토 2 - 보편화 결과의 검토 3 - 반증사례의 검토 4 - 역할교환의 검토

21 Chapter 2. 스포츠 경쟁의 원리

22 Chapter 2. 스포츠 경쟁의 원리 스포츠윤리 문제의 생성을 알기 위한 전제조건 : 놀이와 게임의 정의가 필요 1. 놀이와 스포츠의 차이 - 놀이로서의 족구와 스포츠로서의 족구

23 Chapter 2. 스포츠 경쟁의 원리 놀이 게임 스포츠 체육 보건 레크리에이션(recreation) 운동

24 Chapter 2. 스포츠 경쟁의 원리 <카이요와(R. Caillois. 1913~1978)의 놀이의 분류> - 아곤(agon) - 미미크리(mimicry) - 알레아(alea) - 일링크스(ilinx)

25 Chapter 2. 스포츠 경쟁의 원리 <니체의 아곤> ◎ 인간의 속성 - 자연과 문화의 양면성을 가진다. ◎ 자연(디오니소스적 인간) - 정복, 억압, 착취(무질서와 혼동의 세계) - 투쟁 ◎ 문화 - 무질서와 혼동을 문화로 승계 : 시와 스포츠 → 경쟁 생존을 위한 투쟁(디오니소스적인 힘)이 예술과 스포츠에 의해 아름다운 경쟁으로 승화

26 Chapter 2. 스포츠 경쟁의 원리 2. 탁월성과 승리의 추구 [1] 탁월성의 의미 ◎ 탁월성(arete) - 그리스로마 신화의 전쟁의 신 아레스(Ares)에서 기원 ▶ 용기를 의미 ◎ 스포츠 : 일정한 규칙에 의해 선수의 신체적 탁월성을 경쟁하는 활동 그러나 탁월성은 단순히 기능, 운동수행 능력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도리를 갖춘 즉 덕이 있는 인간을 의미한다.

27 Chapter 2. 스포츠 경쟁의 원리 [2] 덕으로서의 탁월성: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 아리스토텔레스(BC384~BC322) - 탁월성에 도덕적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윤리학의 새로운 학문영역 개척 “강건한 사람이나 잘 뛰는 사람을 찬양하는 이유는 그들의 어떤 자질이 좋고 훌륭한 것과 관계하고 있기 때문”(아리스토텔레스) 일차적인 신체의 아레테 + 한 개인 전체의 습성(인간으로서의 덕) 강조 – 스포츠윤리학의 기초

28 Chapter 2. 스포츠 경쟁의 원리 [3] 승리의 추구 스포츠의 본질 – 경쟁을 통한 승리 추구 : 내적 욕구인 동시에 사회적 욕구 본능적 욕구인 동시에 정신적 심리적 만족을 위한 능동적 기대 따라서 승리추구는 그 자체가 목적인 내재적 선(善) 최고선

29 Chapter 2. 스포츠 경쟁의 원리 [4] 탁월성의 추구 아리스토텔레스의 현실태와 가능태 현재 보이는 모습(현실태)과 미래에 예상되는 모습(가능태) 스포츠에서의 탁월성의 추구는 현실의 모습에 안주하지 않고 자신의 가능성을 실현하고자하는 끊임없는 노력의 의미를 포함

30 Chapter 2. 스포츠 경쟁의 원리 3. 공격의 윤리성 [1]인간의 공격 본능과 스포츠의 역할 인간의 원초적 본능
- 자유로운 공격욕구의 충족, 파괴의 본능, 공격의 본능 스포츠 - 인간의 공격 본능을 문화적(합법적)으로 해소하고 배출함으로써 일종의 카타르시스 작용

31 Chapter 2. 스포츠 경쟁의 원리 [2] 공격성 이론 인간의 원초적 본능인 공격성을 문화적인 의식화, 의례화의 절차를 거쳐 새로운 가치를 생산 - 스포츠 프로이트(S. Freud) - 데스트루도(공격의 본능)를 리비도의 반대개념 :인간의 문명은 이러한 본능을 억제하는 역할 즉 스포츠는 자연상태의 잔혹하고 공격적인 인간의 본능(데스트루도)을 스포츠를 통해 억제

32 Chapter 2. 스포츠 경쟁의 원리 엘리아스(N.Elias) - 공격성의 제어와 근대 스포츠의 탄생은 동일한 역사적 과정 로렌츠 - 책임감있는 통제와 교육적 가치

33 Chapter 2. 스포츠 경쟁의 원리 [4] 스포츠 공격의 윤리적 배경 <스포츠에서 공격의 윤리성 판단 근거>
1) 타인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아야 한다. 2) 모든 공격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간접적인 형태로 나타난다. 3) 소통의 구조를 가진다. 4) 파괴적인 것이 아니라 생산적인 것이다.

34 Chapter 3. 스포츠 윤리 규범

35 Chapter 3. 스포츠 윤리 규범 1. 스포츠와 정의 [1] 스포츠에서의 정의 정의- 올바른 것, 혹은 마땅히 따라야 할 행위나 제도의 기준을 의미 스포츠에서의 정의 – 합법성, 합규칙성 + 공정성 절차적 정의 – 공정성의 확보를 위한 통제불가능한 불평등의 해소

36 Chapter 3. 스포츠 윤리 규범 [2] 스포츠에서의 평등 : 조건과 기회 균등으로서의 정의
자연적 불평등(선수의 타고난 체격조건과 신체능력)은 정의와 무관 스포츠에서의 승패는 신체의 자연적 불평등을 확인하는 절차가 아니라 탁월성의 검증 스포츠 – 신체적 불평등을 훈련과 노력에 의해 극복함으로써 조건과 기회의 균등이 정의로 작용

37 Chapter 3. 스포츠 윤리 규범 [3] 평균적 정의와 분배적 정의 아리스토텔레스 자연적(광의)의 정의 – 사람들의 승인여부와 관계없는 어디서나 동일한 힘을 갖는 정의 협의의 정의 1)평균적 정의 : 같은 것은 같게 2)분배적 정의 : 다른 것은 다르게

38 Chapter 3. 스포츠 윤리 규범 가. 스포츠에서의 평균적 정의 나. 절차적 정의와 평균적 정의
평균적 정의 – 모든 사람이 동등한 권리를 가지는 절대적 평균 : ‘같은 것은 같게’ - 모든 인간은 동등하게 스포츠에 참여할 기회를 가진다. 나. 절차적 정의와 평균적 정의 절차적 정의 – 평균적 정의를 최대한 합당하도록 보완하는 정의 – 통제불가능한 자연적 현상: 추첨, 공수전환 평균적, 절차적 정의에 의해 통제되지 않는 통제불가능성 – 결과의 불확실성(스포츠의 묘미)

39 Chapter 3. 스포츠 윤리 규범 다. 분배적 정의
사람들 사이의 불평등을 다르게 다룸으로써 개인에게 합당한 몫을 부여하는 것 승자와 패자의 차등 탁월성과 밀접한 관계- 난이도에 따른 차등적 점수 부여

40 Chapter 3. 스포츠 윤리 규범 [4] 공정으로서의 정의 : 롤즈의 정의론 ‘공정으로서의 정의’ ; 합의의 절차가 공정하면 그 절차를 통해 나온 결과도 정의롭다 절대불변의 가치가 아니라 사회구성원의 합의의 대상 - 원초적 입장 - 무지의 베일

41 Chapter 3. 스포츠 윤리 규범 ◎ 정의의 1원칙 – 평등한 자유의 원칙 ◎ 정의의 2원칙 – 차등의 원칙, 기회균등의 원칙 스포츠 – 규칙의 공정성이라는 정의의 원칙에 합당하는 매우 유의미한 사회적 장치

42 Chapter 3. 스포츠 윤리 규범 2. 페어플레이 [1] 페어플레이의 유래 근대 스포츠의 탄생 – 규칙과 통일의 공정성 확보 영국의 젠틀맨십 도덕규범의 발견 – 교육제도에 편입 – 이상적인 도덕교육으로 승화

43 Chapter 3. 스포츠 윤리 규범 [2] 페어플레이의 의미 정정당당한 경기참여 : 형식적 페어플레이 – 규칙의 숙지와 준수 경쟁상대에 대한 도덕적 태도: 비형식적 페어플레이 – 경쟁자에 대한 배려를 습관적으로 몸에 익힌 도덕적 능력 [3] 도덕규법으로서의 페어플레이 규칙의 준수 – 어떤 상황에서 해야 할 행위와 하지 말아야 할 행위에 대한 요구와 제재 평가의 기준 – 올바른 행위와 그렇지 못한 행위를 구분하는 규범의 역할

44 Chapter 3. 스포츠 윤리 규범 3. 스포츠맨십 [1] 스포츠맨십의 역사 기사도 정신 – 젠틀맨 십 – 스포츠맨십 스포츠맨십 – 스포츠경기에서 일반적인 윤리 덕목을 지키는 정신으로 정착한 것

45 Coapter 3. 스포츠 윤리 규범 [2] 보편적 도덕규범으로서의 스포츠맨십 스포츠맨십 – 승리에 집착하지 말고 경기 자체를 즐기며 경쟁에서는 악의 없는 순수한 경쟁과 상대방에 대한 배려, 규칙의 준수, 페어플레이, 심판의 권위에 대한 복종, 결과의 수용, 패자의 격려, 승자에 대한 축하

46 Coapter 3. 스포츠 윤리 규범 [3] 명예의 윤리로서의 스포츠맨십 사회의 윤리(명예로운 도덕적 자세)와 일치 명예존중, 금전적 대가를 바라지 말 것, 모욕 삼가 등 전사에게 요구되었던 의무와 일치

47 Chapter 3. 스포츠 윤리 규범 [4] 스포츠맨십과 페어플레이의 차이 스포츠맨십 페어플레이
<스포츠윤리규범의 구조> 규칙준수 행위규정 /경쟁의 조건 동등한 경쟁조건 / 정정당당함 스포츠의 정신적 가치 / 인간의 보편적 미덕


Download ppt "Part 1 스포츠 윤리의 기초."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