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ublished byMark Walters Modified 5년 전
1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물매(물흐름 경사 지붕의 기울기) ① 지붕은 빗물의 흐름이 잘 되도록 적당한 물매를 둔다. ② 단위 (수평 길이(10cm)에 대한 수직 높이) ③ 지붕의 경사가 45도 즉 10cm 물매를 되물매 ④ 되물매를 초과하는 경우를 된물매라 한다. ⑤ 지붕의 물매는 간사이의 크기, 건물의 용도, 강우량 등 에 따라 정해진다
2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지붕의 종류 톱날지붕: 방직공장 솟을지붕 : 중기공장.
3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절충식 지붕틀 : 간사이가 작거나 칸막이 벽이 많을 때
4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절충식 지붕틀 (1) 지붕보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절충식 지붕틀 (1) 지붕보 ① 지붕보의 크기 : 지붕의 간사이가 4m, 6m, 8m일 때 끝마구리 지름은 180mm, 240mm, 300mm 정도의 소나무를 쓴다. ② 지붕보의 간격 : 1.8∼2m 정도 ③ 동자 기둥이나 대공은 100∼120mm 각의 것을 약 90cm 간격으 로 배치하고, 중도리나 마룻대는 100∼120mm 각의 크기를 사용 하며, 서까래는 5cm 각을 45∼50cm 간격으로 배치한다. (2) 종 보 지붕이 클 때 이중으로 보를 설치하여 낮은 동자 기둥, 낮은 대공을 세우기 위한 부재 (3) 베개보 지붕보가 길어 중간에서 이어야 할 때 중간에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직각으로 걸쳐 대는 부재(칸막이가 있을 때는 칸막이 도리라 한다.)
5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절충식 지붕틀 (4) 우미량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절충식 지붕틀 (4) 우미량 절충식 지붕틀이 모임 지붕일 때는 지붕귀에서 중도리, 마룻대 등을 받치는 동자기둥, 대공 등을 세울 수 있도록 지붕보에서 도리에 짧게 댄 보
6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양식지붕틀 : 왕대공지붕틀
7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왕대공지붕틀 : 인장력 압축력
8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왕대공 지붕틀 ① 일반사항 ㈎ 평보의 간격은 2∼3m 정도로 한다.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왕대공 지붕틀 ① 일반사항 ㈎ 평보의 간격은 2∼3m 정도로 한다. ㈏ ㅅ자보-휨을 받는 압축재, 빗대공-압축재 평보-휨을 받는 인장재, 달대공-인장재 ㈐ 이음 및 맞춤은 철물로 보강한다. ② 왕대공 ㈎ 왕대공은 평보에 짧은 장부맞춤으로 하여 평보 밑에서 감잡이쇠 를 댄다. ㈏ 왕대공 머리와 마룻대의 맞춤은 가름장 장부맞춤으로 한다. ③ ㅅ자보 ㈎ ㅅ자보의 상부는 왕대공에 빗 짧은 장부맞춤으로 하고, 양쪽에 띠 쇠를 대어 죈다 ㈏ ㅅ자보의 하부는 평보 위에 안장맞춤, 빗턱통을 넣고 장부맞춤으로 하여 볼트로 죈다.
9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왕대공 지붕틀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왕대공 지붕틀 ④ 빗대공 : ㅅ자보와 왕대공, 평보에 빗턱통을 넣고 장부맞춤으로 하여 꺾쇠로 보강한다. ⑤ 달대공 : 소요 단면의 반쪽을 각각 평보와 ㅅ자보의 양쪽에 대고 볼트로 죈다. ⑥ 대공 밑잡이 : 지붕틀 상호간의 연결을 더욱 튼튼히 하고, 평보의 옆휨을 막기 위하여 왕대공 하부에서 평보에 걸침턱으로 왕대공 상호 간을 연결한 것이다. ⑦ 대공 가새 : 대공 상호간을 V자형, X자형으로 연결하여 수평력에 저항할 수 있게 한 것이다. ⑧ 평 보 ㈎ ㅅ자보의 하단에는 압축력이 크게 작용하여 평보의 끝을 전단하려 하므로 이 부분을 길게 내야 한다. ㈏ 평보의 이음은 왕대공 근처에서 하며, 맞댄 이음(+턱솔 이음)의 양쪽에 덧판을 대고 산지를 끼워 볼트로 죈다.
10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왕대공 지붕틀 : 보강철물 ㈎ 처마도리와 깔도리:양나사 볼트 ㈏ 평보와 왕대공:감잡이쇠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왕대공 지붕틀 : 보강철물 ㈎ 처마도리와 깔도리:양나사 볼트 ㈏ 평보와 왕대공:감잡이쇠 ㈐ ㅅ자보와 평보:볼트 ㈑ 보와 처마도리:주걱볼트 ㈒ 큰보와 작은보:안장쇠 ㈓ 토대와 기둥:감잡이쇠, 꺾쇠, 띠쇠 *듀벨전단력 볼트는 인장력
11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접합의 종류와 특성 접합의 종류 : 이음, 맟춤, 쪽매
12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이음과 맞춤시 주의사항 ㈎ 재는 될 수 있는 한 적게 깎아낼 것 ㈏ 이음·맞춤은 응력이 가장 적은 곳에서 만들 것 예=평보는 왕대공 근처에 ㈐ 공작이 간단한 것을 쓰고 모양에 치중하지 말 것 ㈑ 이음·맞춤의 끝부분은 응력이 균등히 전달되도록 할 것 ㈒ 이음·맞춤의 단면은 응력의 방향에 직각으로 할 것 ㈓ 맞춤면은 정확하게 가공하여 빈틈이 없게 할 것
13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이음 ㈐ 은장 이음:난간 두겁 등의 이음 ㈑ 턱솔 이음:걸레받이, 난간 두겁 이음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이음 ① 맞댄 이음 : 덧판을 쓰고 큰 못 또는 산지나 듀벨을 써서 큰 압력 또는 평보와 같은 큰 인장을 받을 때 많이 쓰인다. ② 겹침 이음 : 2개의 부재를 단순히 겹쳐대고 산지, 큰 못, 볼트 등 으로 보강한 이음으로 비교적 큰 인장을 받을 때 쓰인다. ③ 그 밖의 이음 ㈎ 빗이음:이음 길이는 재춤의 1.5∼2배. 서까래, 장선, 띠장의 이 음 ㈏ 엇빗 이음:반자틀 이음 ㈐ 은장 이음:난간 두겁 등의 이음 ㈑ 턱솔 이음:걸레받이, 난간 두겁 이음 ㈒ 토대의 이음:주먹장 이음.
14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이음
15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맞춤 ① 왕대공과 마룻대 : 가름장 맞춤 ② 왕대공과 평보 : 짧은 장부 맞춤 ③ 왕대공과 ㅅ자보 : 빗턱통 맞춤 ④ 평보와 ㅅ자보 : 안장 맞춤 ⑤ 평보와 깔도리 : 걸림턱 맞춤 ⑥ 기둥과 가로재 : 짧은 장부 맞춤 ⑦ 토대의 모서리 : 연귀 맞춤.
16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지붕틀) 맞 춤
17
④ 마룻바닥은 직하의 지표면에서 45cm 이상으로한다 ⑤ 멍에는 내이음으로 주먹장 이음 또는 메뚜기장 이음으로 한다.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마루) 1층 마루 : 납작 마루, 동바리 마루 2층 마루 : 홑마루(장선 마루), 보마루, 짠마루, 합성보) 동바리마루 ① 동바리, 멍에 : 100∼120mm각(1∼2m 간격) ② 장 선 : 45∼60mm각(40∼50cm 간격) ③ 마룻널 : 두께 18mm 정도 ④ 마룻바닥은 직하의 지표면에서 45cm 이상으로한다 ⑤ 멍에는 내이음으로 주먹장 이음 또는 메뚜기장 이음으로 한다.
18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마루) 납작마루 콘크리트 바닥에 직접 멍에와 장선을 걸고 마룻널을 깔거나, 장선만을 깔고 마룻널을 까는 마루로서 사무실, 판매장 등과 같이 외부에서 직접 출입에 편하도록 하기 위하여 쓰인다.
19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마루) 홑마루 ① 층도리와 칸막이 도리에 직접 장선을 걸쳐 대고 마룻널을 깐다. ② 간사이가 2m 이하일 때 쓰인다. ③ 복도와 같이 간사이가 좁을 때 많이 쓰인다. ④ 장선은 40∼50cm 간격으로 배치한다.
20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마루) 보마루 (2층마루, 누마루) ① 2m 정도의 간격으로 보를 걸치고 이 위에 장선을 배치하여 마룻널을 깐다. ② 간사이가 2.5m 이상일 때 쓰인다. 짠마루 ① 큰 보를 간사이가 작은 쪽은 3∼5m 간격으로 걸쳐 대고 이 위에 직각 방향으로 작은 보를 약 2m 간격으로 걸쳐 댄 다음 장선을 걸치고 마룻널을 깐다. ② 간사이가 6m 이상일 때 쓰인다
21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계단) 계단의 모양에 따른 분류 ① 곧은 계단 ② 꺾은 계단 ③ 돎 계단 계단의 재료에 따른 분류 ① 목조 계단 : 틀 계단, 옆판 계단, 따낸 옆판 계단 ② 철근 콘크리트조 계단 ③ 철골조 계단 ④ 석조 계단
22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계단) 계단의 각 부분명칭
23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계단) 계단의 각 부분명칭 ① 계단의 물매는 단 높이와 단 너비의 비로정해진다. ② 디딤바닥 : 계단 한 단의 바닥(27-30cm) ③ 챌판 : 계단 한 단의 수직면(15-18cm) ④ 계단참 : 중간에 단이 없이 넓게 된 다리쉼의 면 높이 3∼4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해야 한다. ⑤ 난간 두겁 : 난간 위의 손스침이 되는 빗재 디딤 바닥의 중심에서 75∼90cm 정도의 높이로 한다. ⑥ 난간동자 : 난간 두겁을 중간에서 받는 가는 기둥 ⑦ 엄지기둥 :난간 양끝의 굵은 기둥
24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계단) 틀계단 ① 계단의 너비는 1m 정도이며, 주택에 주로 많이 쓰인다. ② 옆판에 디딤판을 통 넣고 2∼4단 걸러 통장부 맞춤 쐐기치기로 한다.
25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계단) 옆판계단 ① 계단 옆판, 디딤판, 챌판, 엄지기둥, 난간 등으로 되어 있는 계단이다. ② 옆판의 위끝은 계단받이보에 걸치고 주걱 볼트 죔으로 하며, 밑끝은 멍에에 걸쳐 댄다. ③ 디딤판은 옆판에 동파 넣어 밑에서 쐐기를 치고 빠지지 않게 못을 박는다. ④ 챌판은 디딤판에 홈을 파 넣고 옆판에는 통 넣고 쐐기치기한다. ⑤ 계단의 너비가 1m 이상이 될 때 챌판의 중간부를 계단 멍에로 받친다.
26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계단) 옆판계단 ①.
27
건축일반구조 ( 목구조-계단) 따낸 옆판 계단 ① 디딤판이 닿는 곳마다 옆판을 따내어 디딤판을 얹어 넣은 것이다. (옆판을 상당히 따내게 되므로 옆판 너비를 크게 하여야 한다.) ② 챌판과 따낸 옆판과는 안촉 연귀 맞춤으로 한다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