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오픈마켓 구축사례와 스마트교육 2011. 9. 26 교육과학기술부 발표. 1 Contents III. T 스마트러닝 서비스 I. Intro II. 음악시장 변화와 MelON.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오픈마켓 구축사례와 스마트교육 2011. 9. 26 교육과학기술부 발표. 1 Contents III. T 스마트러닝 서비스 I. Intro II. 음악시장 변화와 MelON."— Presentation transcript:

1 오픈마켓 구축사례와 스마트교육 2011. 9. 26 교육과학기술부 발표

2 1 Contents III. T 스마트러닝 서비스 I. Intro II. 음악시장 변화와 MelON

3 2 I. Intro - 620 만 명 가입, 550 만 건의 정보 보유 - 민간 / 공공 및 개인의 우수한 콘텐츠를 교육적으로 활용 스마트 교육의 오픈마켓

4 3 음악 서비스 ( 국내 1 위 ) UV 380 만명 MELON 마켓점유율 29% 로 단기간 내 성장 UV 1,480 만명 11 번가 스마트폰용 App. 오픈마켓 ( 국내 1 위 ) UV 480 만명 T-Store I. Intro SK 텔레콤의 오픈 마켓

5 4 III. 음악시장 변화와 MelOn 가요의 한류 바람 음악산업규모 2001 년 2005 년 2008 년 음반시장 3,773 억원 1,093 억원 802 억원 온라인 911 억원 2,672 억원 5,264 억원 총 시장 규모 - 6,469 억원 13,156 억원 참조 : 음악산업백서

6 5 iPod Killers New rivals take aim at the champ “ 한국의 SK Telecom 은 $5 가 격에 한달 동안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70 여만 곡 에 대해 핸드폰, PC, 기타 뮤직 플레이어에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게 하고 있다. 미국의 유 사한 서비스와 비교했을 때, 서비스를 받는 한국의 고객들 은 원하는 곡에 대해 언제, 어 디서든 이용 가능하게 조성된 환경에 있으므로, 이러한 것들 이 더 쉽게 가입자를 끌어들이 는 요인인 것으로 보인다. “ Business Week(15/4/2005) III. 음악시장 변화와 MelOn Melon 서비스 서비스 : 언제 어디서나 음악을 즐 길 수 있는 디지털 음악서비스 음원 보유 : 220 만곡 매출 : 1,389 억원 (’10 년 로엔 ) 영업이익 : 164 억원

7 6 III. 음악시장 변화와 MelOn MelOn 의 Global 진출

8 7 Sourcing Digital 환경에서의 Contents 활용 증대, 음원 확보 역량 중 요성 증대 기획사 / 음반사로부터 Contents 를 확보하는 접점 POCDevice 고객에게 Contents 를 Delivery 하는 Core Business 영역 고객의 Music Contents 사 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Device 존재 Contents 의 Digital 化 다양한 형태의 POC 로 확장 Device 보급 정도 = POC 의 고객 기반 DRM*DRM 공중파 /CATV 유선 POC 무선 POC Fixed Portable PC PhoneMP3P Major 음반사 대형 기획사 Agency Digital 음원 공급자 *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원권 보호 불법유통 차단 III. 음악시장 변화와 MelOn 서비스 구조

9 8 신뢰할만한 DRM 개발을 통한 음원권자의 신뢰 확보 - 음원 규격 표준화 추진 : DCF(Digital Content Format), MP3 ※ 당시 인터넷 불법복제 시장 확대로 음반시장이 ‘01 년 4,000 억원에서 ’04 년 1,300 억원으로 축소되고 있었으나, 음원 공급자들은 선뜻 디지털시장으로 뛰어들지 못하고 있었음 MLB(Music License Bank) 구축을 통한 다량의 음원 Source 확보 - 국내외 음원 권리의 DB 화 ( 현재 220 만건 ) - 음원 Source 를 활용한 다양한 2 차 저작물 ( 컬러링, 벨소리 등 ) 의 사업기회 창출 거래의 안정성과 투명성 확보 - 기존 영세 유통사업자 → 이동통신 통한 청구 / 수납 / 정산 - 합리적 유통수수료 체계 구축 ( 저작권, 실연권, 인접권 *) * 저작권 : 작곡가 / 작사가, 실연권 : 가수 / 연주자, 인접권 : 음반제작자 성공요인 : Seller Side III. 음악시장 변화와 MelOn

10 9 ※ 당시 무료시장에 익숙해 있는 대부분의 소비자는 유료지불에 대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유료서비스에 대하여는 차별화된 이용편의성을 요구하고 있었음. 지불의향 제고를 위해 고객 중심의 다양한 상품 제공 및 구매 비용절감 - CD/ 앨범 단위의 구매형태를 곡단위로 변경하여 필요한 곡만 선별 구매 (15,000 원  900 원 ) - DRM 을 활용하여 일정기간 음원을 임대하는 월정액 ( 렌탈형 )/ 스트리밍 상품 최초출시 ( 미국 Napster, Yahoo 등도 차용 ) N-Screen 서비스 제공 및 각 Screen 별 차별화된 UI 제공 - 휴대폰, MP3 Player, PC - 감상 List 등을 Server 에서 직접관리, Cloud 형 서비스 제공 지속적인 소비자 음악 감상 편의성 확대 중 - 초기 DRM 중심 음원 → Non DRM 형 서비스 추가 (MP3 형식 ) - 스마트 폰, Tablet PC 등의 Point of Contact 지속 확장 성공요인 : Buyer Side III. 음악시장 변화와 MelOn

11 10 성공요인 : 경쟁과 협력 정부 유관 단체 사업자 불법음원 시장에 대한지속적 규제 및 양질 콘텐츠 진흥 공청회 등을 통한 Market Rule Setting 기반 마련 선발 사업자 (SKT) 과 후발 사업자 (KT, 벅스 등 ) 과의 건전한 경쟁 콘텐츠 경쟁을 통해 대형 음원사 등장 (SM, JYP, YG) 멜론 MLB 기반의 다양한 콘텐츠 및 부가시장 창출 ( 공연사업 등 ) 콘텐츠 생산자 이익을 대변하여 양질의 콘텐츠 생산 기반 마련 - 저작권 관련 협회 등 III. 음악시장 변화와 MelOn

12 11 Market Place Ecosystem 의 자생적 형성이 중요하며, 양질의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생산될 수 있도록 콘텐츠 제공자를 위한 제반 Infra. ( 시스템, 제도 등 ) 구축이 필요하고, Ecosystem 내 Player 간의 긴밀한 협력과 특히, 정부차원에서는 사업자 / 생산자의 Involvement 제고를 위한 Motivation System 마련 필요 이슈 및 시사점 오픈마켓 구축 : 정부주도형 vs. 민간사업자 참여형 서비스 유형 : 무료 콘텐츠 중심 vs. 유료 콘텐츠 중심 서비스 운영 방식 : 창고형 vs. 개인 맞춤형 콘텐츠 표준 : 정부표준 제시 vs. 시장자율 III. 음악시장 변화와 MelOn 주요 검토사항 오픈마켓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13 12 III. T 스마트러닝 서비스 ※ 서비스 시연

14 13 Pain Point III. T 스마트러닝 서비스 개인별 평가 및 수준별 맞춤 지도의 한계 “ 틀린 것을 일일이 체크해주고 피드백 해주는 것이 부담스러워요 ” “ 교재만 5~6 권에 노트, 전자사전, 단어장 … 어떤 건 무거워서 두고 다닐 때도 많아요 ” 학습을 위한 필요 도구 이용이 불편 “ 계속 인터넷 서핑하고 게임하고 공부에 필요 없는 것 할 까봐 PC 하고 노트북을 거실에 두고 있어요 ” 지속적 동기부여를 위한 학습 환경 조성 Needs 보다 효과적인 교재에 대한 Needs ( 배경 지식 ) “ 인강은 듣는 사람 평균에 맞추잖아요, 나는 이해가 안 가는데 …” 김우 O 학생 유원○ 교사 박세○ 학생 진희○ 주부 “ 그룹 활동을 하게 되면 말을 많이 할 수 있고 서로 가르쳐주면서 배울 수 있어서 좋은데 … 자주 하지는 않아요 ” 박예 O 학생 “ 문제풀이만 있는 교재는 지루해요 ” 강상○ 학생 “ 근육 모형을 보면서 근육 이름들을 외우면 학원 교재만으로 보는 것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었어요 ” 박지○ 학생 교사 학생 학습 도구 교재 / 부교재 학습 구성 요소

15 14 추진 방향 Contents 제휴 및 확보 Contents 제휴 및 확보 Eco-System 형성  말하기, 쓰기 능력 향상 중심의 영어 학습 코스웍 개발 ( 수학, 과학, 논술 코스웍 등 단계적 확대 )  디지털 참고서 / 문제집, 잡지, e-book,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Contents 확보 ( 업계 Leading Contents 를 디지털화하고 분절 판매 시도 ) ※ 음악시장이 CD 판매에서 디지털화 하면서 곡당 판매 사례와 유사  협력 파트너와의 Win-Win Model 개발  다양한 교육 관계자와 협력구조 구축 ( 교총 제휴 : 스마트러닝 추진 협력, 스마트러닝 포럼 참여 등 ) Smart 한 Platform Smart 한 Platform  개인화된 학습 DB 를 통한 LMS 1) 개발 및 개방형 표준 플랫폼 구축 ( 예 ) SCORM 2), HTML5 등 )  음성인식, 자연어처리 기술기반 영어 IBT 방식 자동평가 시스템 개발  학습 Monitoring, 정보화 역기능 해소를 위한 기술 개발 1)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 2) SCORM: Sharable Content Object Reference Model (e 러닝 콘텐츠 표준 규격 ) III. T 스마트러닝 서비스

16 15 “ICT 와 교육이 결합하여 새로운 교육 생태계를 만든다.” - 이데일리 - “SKT, `T 스마트러닝 ` 출시.." 태블릿으로 자기주도학습 “ - 머니투데이 - “SK 텔레콤, ' 스마트러닝 ' 으로 사교육비 절감한다 ” - 중앙 - “ 태블릿 PC 속으로 학원이 들어갔다 ” - 아이뉴스 24- " 교육이 통신 만나면 ' 불평등 ' 줄어든다 “ - 디지털데일리 - “ 스마트러닝, 사교육비 해법 … 학원 ? 책가방 시대 끝난다.” - 한겨레 - “ 태블릿 PC 로 학원강의 듣는다.” III. T 스마트러닝 서비스

17 16 감사합니다. SK 텔레콤 IPE 사업본부 팀장 김돈정 010-3687-0087 ehswjd@sk.com


Download ppt "오픈마켓 구축사례와 스마트교육 2011. 9. 26 교육과학기술부 발표. 1 Contents III. T 스마트러닝 서비스 I. Intro II. 음악시장 변화와 MelON."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