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Presentation transcript:

1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2 역사적 배경 1601년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의 구빈법 지방정부로 하여금 빈곤한 자를 원조 시설중심 → 지역사회중심
시설중심 → 지역사회중심 일할 능력이 있는 빈곤자에게는 원조 X 수혜자격 검사를 통해 최하봉급액수 이하로만 원조제공

3 역사적 배경 지역사회중심의 구호 시설보호의 효율성 낮음(비용 多, 효과 低) 오늘날의 재가복지 서비스
최소한의 빈곤자, 최소의 액수, 최단 기간만 원조 (우애방문자들의 수혜자격 검사 – 오늘날의 자산조사) 실질적인 원조 X , 우애방문자들의 상담, 조언제공 수준 열등처우의 원칙

4 역사적 배경 우애방문자(friendly visitors) 인도주의적 기능 중산층 기독교 부인들이 상담 및 교육, 교화의 역할
빈곤을 가난한 자들의 탓(무지, 게으름) 차별대우하는 태도 사회통제적 기능 정부의 원조에 대한 수혜자격 평가, 조사, 등급제 실시 = 전혀 우애적이지 않은 사람들

5 역사적 배경 자선조직협회(Charity Organization Society : COS)
최초의 자선조직협회 : 영국 런던(1869) 미국의 경우 800여 개의 군소 자선단체들이 연합 자선적 원조를 직접 제공한 것이 아니라 자선단체들을 과학적으로 통합 조정해주는 역할 우애방문자들의 역할 : 도덕성 교화, 가족의 위계질서 유지 사회복지사들의 역할 : 수혜대상자 점검, 중복수혜 방지 개별사회사업(casework)의 시초

6 역사적 배경 인보관 운동(Settlement House Movement) 1885년 토인비홀(Toynbee Hall) 시초
1889년 제인 아담스가 세운 헐하우스(Hull-House) 일하는 모든 사람들이 이곳에서 숙식하며 생활 한 지역사회 내에서 함께 살면서 그 주민들과 하나가 됨을 표방 대학생들, 사회개혁가들 (→ 현대 지역사회 사회복지사들) 빈곤의 원인 : 무직(산업화 착취의 결과) 집단교육 및 토론을 통한 사회변화 모색(거주, 연구조사, 개혁) 형제자매 간의 우애의 질서 빈곤, 장애를 가진 소외계층에 대한 권한부여(empowerment) 강조

7 봉사에서 전문직으로 전문직으로의 발돋움 보수체계의 정립 우애방문자들의 봉사활동에 대가를 지불(지속성, 책임성↓= 책임성↑)
지도감독자 관리자를 고용(현재의 슈퍼바이저) 교육 및 훈련제도의 채택 교육의 필요성 대두, 교육프로그램 마련 뉴욕자선학교 6주간의 여름학교를 시작으로 발전(1년과정, 2년과정)

8 봉사에서 전문직으로 전문직 성장의 위기 정신의료영역, 심리학, 사회학 등 다른 학문들과의 원조과정을 통해 전문직으로 번창
1915년 플렉스너(의학교육 비평가) : 사회복지 전문직에 대한 비판 체계적 이론과 기술 부족 전문적 환경 개선 : 교육 및 훈련을 위한 학교 설립, 책 발간, 협회 구성 1917년 리치몬드의 사회진단(social diagnosis) 전문적 기술 습득 전문인으로서의 정착을 위한 노력 짧은 기간동안 빠른 발전이 이루어짐

9 봉사에서 전문직으로 전문직으로 정착 사회복지사들의 역할영역이 넓어짐(병원, 학교, 법정 등)
사회복지실천의 공통요소를 정리하는 작업필요 1929년 밀포드 회의(개별사회사업 방법론 발표) 병원, 아동상담소, 가족치료세팅 등 사적이고 개인적인 문제에 투입 1930년 대공황, 뉴딜정책으로 공공영역에 사회복지사 고용 시작 개인문제의 근원은 사회에 있음(직업상실, 우울증 등)

10 봉사에서 전문직으로 성장단계 치료적 접근방법의 회생 2차 대전 후 전쟁으로 인한 가족의 붕괴, 가족의 분리, 청소년 문제 등
복합적 문제를 가진 ct를 위한 새로운 방법 개발 아웃리치(outreach) 상담실에서 ct를 기다리기보다 ct가 있는 곳으로 접근 년대에 확산 지역사회를 접근대상의 단위로 봄(통합적 방법론의 정착) = 개인문제와 사회문제를 두루 섭렵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정착

11 봉사에서 전문직으로 한국에서의 정착 1921년 태화여자관(현.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최초의 지역사회복지관
미국의 인보관 운동의 형태(사회계몽, 사회개혁) 무지, 빈곤, 비위생, 차별, 착취로부터의 해방 1985년부터 복지관 설립이 활발해짐 현재 407개의 사회복지관 설립 1997년 정신보건법의 시행 : 정신보건사회복지사 탄생 1987년 사회복지전문요원(1997년부터 전담공무원) 탄생 2004년 사회복지사무소 시범운영

12 봉사에서 전문직으로 한국에서의 정착 최초 정식교육기관 : 1947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사업학과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한국사회복지관협회,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사회복지학회 등 공식모임 탄생 매년 9월 7일 ‘사회복지의 날’ 제정 자격제도 확립(2003년부터 국가자격시험 도입) 사회복지인력 확대(사회복지사, 자원봉사자, 일반인)


Download ppt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