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강의명 : 고전문학과한국문화교육 담당 교수 : 변승구 교수님 학번 : 이름 : 김우태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강의명 : 고전문학과한국문화교육 담당 교수 : 변승구 교수님 학번 : 이름 : 김우태"— Presentation transcript:

1 강의명 : 고전문학과한국문화교육 담당 교수 : 변승구 교수님 학번 : 0826009 이름 : 김우태
가 사 강의명 : 고전문학과한국문화교육 담당 교수 : 변승구 교수님 학번 : 이름 : 김우태

2 <목차> 1. 서언 7. 결어 2. 가사의 기원과 장르 3. 가사의 내용 4. 주요 작가와 작품
5. 대표적인 작품 분석 6. 다시쓰기 & 콘텐츠 활용

3 1. 서 언 가사란? 일제강점기까지 창작, 향유되어 온 우리 고유의 문학
장가(長歌),장편(長篇),장사(長辭),가사(歌詞),가사(歌辭)등과 같이 여러 가지로 쓰여짐(명칭이 여러 가지로 사용된 것은 장르 개념이 없이 편의에 따라 수의(隨意)로 부르거나 표기한 결과임) 3,4조 혹은 4,4조가 우세한 4음보격 무제한 연속체로서 일정한 율격을 지닌 다소 개방된 율문시라고 할 수 있음

4 2. 가사의 기원과 장르 1.가사의 기원 고려가요 특히 경기체가에서 기원 시조에서 기원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등 악장에서 기원 한시현토체에서 기원 교술민요에서 발생 불교계의 신라가요에서 발생

5 2. 가사의 기원과 장르 가사의 기원 고려 무신난 이후 관료 생활에 뜻을 버리고 강호에서 시부를 읊조리며 일생을 보내던 사대부들이 그들의 기호에 맞는 4음보격 민요의 리듬을 바탕으로 하여 토로한 것이 그 기원이 됨 형식적인 면에서 일정한 율격을 지니고 있어 시가의 성격을 띠기도 하고, 내용면에서는 느낌이나 생각, 체험 등을 서술하기 때문에 산문적 성격도 띠고 있음

6 2. 가사의 기원과 장르 2. 가사의 장르 서정 장르인 시가로 보는 견해 산문적인 수필로 보는 견해
제4의 장르인 교술 장르에 포함시키자는 견해 서정과 서사 또는 서정, 서사, 교술, 희곡이 복합된 혼잡 장르로 보는 견해

7 3. 가사의 내용 사대부가사 강호생활의 즐거움을 읊은 가사 정치적 패배와 회귀의지를 읊은 가사 유교적 이념을 읊은 가사
명승지와 유적지의 기행을 읊은 가사 현실 문제를 읊은 가사 역사와 고실을 통한 회고의 정을 읊은 가사

8 3. 가사의 내용 2. 민중세태가사 3. 규방가사 현실적 모순의 폭로와 비판 기존 관념에의 도전과 인간 본능의 추구
연정 및 신세한탄 민주의 소박한 꿈과 소망 3. 규방가사 여성교훈적인 가사 생활체험적인 가사

9 4. 주요 작가와 작품 조선전기 주요 가사 정극인 <상춘곡> 송순 <면앙정가>
정철 <관동별곡> 정철 <사미인곡> 정철 <속미인곡> 허난설원 <규원가>

10 4. 주요 작가와 작품 2. 조선후기 주요 가사 박인로 <누항사> 안조환 <만언사>
김인겸 <일동장유가> 홍순학 <연행가> 작자미상 <우부가> 정학유 <농가월령가> 김대락 <분통가>

11 5. 대표적인 작품 분석 사미인곡 이 몸이 태어날 때에 임을 따라 태어나니,
한평생 함께 살아갈 인연이며 이 또한 하늘이 어찌 모를 일 이던가? 나는 오직 젊어 있고, 임은 오직 나를 사랑하시니, 이 마음과 이 사랑을 비교할 곳이 다시 없다. 평생에 원하되 임과 함께 살아가려 하였더니, 늙어서야 무슨 일로 외따로 두고 그리워하는고? 엊그제에는 임을 모시고 광한전에 올라 있었더니,

12 5. 대표적인 작품 분석 그 동안에 어찌하여 속세에 내려 왔느냐? 내려올 때에 빗은 머리가 헝클어진 지 3년일세. 연지와 분이 있네마는 누구를 위하여 곱게 단장할꼬? 마음에 맺힌 근심이 겹겹으로 쌓여 있어서 짓는 것이 한숨이요, 흐르는 것이 눈물이라. 인생은 한정이 있는데 근심은 한이 없다.

13 5. 대표적인 작품 분석 사미인곡 송강 정철이 조정에서 물러나 전남 담양 창평에서 지은 작품
왕과 자신의 충정을 하소연할 목적으로 지은 작품 왕과 자신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표출하지 않음 계절에 따른 자연의 변화를 그리면서 솟아오르는 연군의 정을 엮어 낸 솜씨가 탁월한 작품임 <속미인곡>과 함께 가사문학 최고의 걸작으로 꼽히고 있음

14 5. 대표적인 작품 분석 2. 규원가 엊그제 젊었더니 어찌 벌써 이렇게 다 늙어버렸는가?
어릴적 즐겁게 지내던 일을 생각하니 말해야 헛되구나. 이렇게 늙은 뒤에 설운 사연 말하자니 목이 멘다. 부모님이 낳아 기르며 몹시 고생하여 이 내 몸 길러낼 때, 높은 벼슬아치의 배필은 바라지 못할지라도 군자의 좋은 짝이 되기를 바랬더니, 전생에 지은 원망스러운 업보요, 부부의 인연으로 장안의 호탕하면서도 경박한 사람을 꿈같이 만나, 시집간 뒤에 남편 시중들면서 조심하기를 마치 살얼음 디디는 듯 하였다.

15 5. 대표적인 작품 분석 2. 규원가 허난설헌이 지은 가사
조선조 봉건사회에서 독수공방하여 겪는 부녀자의 고독한 심정을 노래한 ‘규방가사’임 작품에 담겨져 있는 슬픔은 여성인 작자 자신이 사회 속에서 겪어야 하였던 외로움과 한(恨)의 표출임 사계절의 자연물을 통해 화자의 심정을 노래함

16 5. 다시쓰기 & 콘텐츠 활용 설렘으로 시작했던 大1학년 학교생활 처음에는 어색하고 낯설었던 우리모습 MT가서 서로서로 알아갔고 선배동기 국문학제 시작하며 고생했던 국문학우 선배동기 모두모두 격려하며 추억쌓고 가슴떨린 공연당일 북춤실력 뽐네었네 봄이지나 여름지나 여자친구 없었지만 아름다운 추억거리 선배들과 만들었네 여름방학 지나가고 2학기가 시작되어 국문인들 배우고자 학술답사 떠났다네 그렇지만 배움잊고 음주가무 즐겼다네 大1학년 나에게는 소중했던 추억거리 20살, 순수했었던 우리들의 대학생활

17 6. 다시쓰기 & 콘텐츠 활용 가사는 다양한 내용들이 있기 때문에 영화나 연극, 드라마, 지역 상품으로 콘텐츠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18 7. 결 어 가사문학에는 다양한 삶의 모습들과 다층적 세계관 및 이념 들이 총체적으로 투영되어 있다. 고려 말에 발생하고 조선초 기 사대부계층에 의해 확고한 문학 양식으로 자리 잡아 조선 시대를 관통하며 지속적으로 전해 내려온 문학의 한 갈래이 며 장르 자체가 지닌 폭넓은 개방성 덕분에 양반가의 부녀 자, 승려 등 기술 능력을 갖춘 모든 계층이 참여했던 관습적 문학양식이라 할 수있다.

19 Q & A

20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강의명 : 고전문학과한국문화교육 담당 교수 : 변승구 교수님 학번 : 이름 : 김우태"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