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결혼 이민자 여성의 임신, 출산 지원과 건강보호를 위한 정책 과제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결혼 이민자 여성의 임신, 출산 지원과 건강보호를 위한 정책 과제"— Presentation transcript:

1 결혼 이민자 여성의 임신, 출산 지원과 건강보호를 위한 정책 과제
조금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산부인과 조교수

2 지역성 특성

3 지역성 특성

4 순서 우리나라 상황 결혼 이민자 산부인과 현재 관련 연구 상황 건강한 임신, 출산의 의미 임신 전 관리 산전 관리 산후 관리
신생아에 대한 영향 아빠의 영향 사회의 영향 제안

5 외국인과의 혼인 수 변화 총 혼인 중 비중 (%) 통계청. 2012년 혼인통계 결과

6 결혼 이민자 2000년부터 증가한 국제결혼에 기인하여 국내체류 결혼이민자 수도 증가하고 있음
2012년 기준 결혼이민자 및 혼인귀화자의 수는 267,727명이고, 국제결혼으로 출생한 자녀의 수는 168,583명임 결혼이민자의 비율은 전체 체류외국인 중 19.1%에 해당하지만 국제결혼에서 출생한 자녀들까지를 고려한다면 전체 이주 관련 인구의 31.3%가 포함

7 출산국별 외국인과의 혼인 현황 통계청. 2012년 혼인통계 결과

8 지역별 현황 안전행정부. 외국인주민 현황조사 13’.1

9 산부인과의 현재 결혼 이민자들의 임신, 출산 문제를 고려하는데 있어 사회적인 문제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10 매스컴을 통해 보이는 다문화 가정 임신, 출산 하동에서 진주 왕복 ‘출산 난민’ 시골 임신부의 병원길
시사하는 바가 있습니다. 첫째 진료가 제대로 이루어질까하는 문제- 가기 힘든 문제, 사고가 날수도 있고 힘들게 분만을 해야 하는 가 둘째 그들이 가서 정말 제대로 된 진료를 받을 수 있을까하는 것 22일 경남 하동군 한부규·띵티안이씨 부부가 스쿠터를 타고 농로를 달리고 있다. 띵티안이씨는 불룩한 배 때문에 남편을 꽉 잡지 못한다. 스쿠터·버스를 타고 1시간30분 만에 진주의 산부인과에 도착했다. [하동=박종근 기자]

11 매스컴을 통해 보이는 다문화 가정 임신, 출산 ‘구급차서 아기 낳은 외국인 화제’

12 다문화 가정의 임신, 출산

13 임신과 관련된 다문화의 학문적 접근

14 임신과 관련된 다문화의 학문적 접근

15 임신과 관련된 다문화의 학문적 접근 임신, 출산 문제에는 괴리감이 있다

16 임신과 관련된 다문화의 학문적 접근

17 의료진의 관심 혹은 연구 부족의 원인 1 소수? 민족 차별? 2 지역적 편중 3 민족적 특성 이해 부족 4

18 건강한 임신, 출산이란? 임신전 관리 산전 관리 산후 관리

19 임신 전 관리 및 상담의 조사표 약물요법/약 생활 습관 과거 병력 & 가족력 유전 여드름 치료제, 항경련제, 항응고제..
피임 여부/방법 기타 약물 복용 흡연 음주력 치과 치료력 위험한 화학물질, x-ray 노출력 과거 병력 & 가족력 유전 과거력 간질, 천식, 고혈압, 당뇨 B형 간염, 갑상선 질환, 수두……. 백신 접종력 홍역, 볼거리, 풍진, B형 간염… 혈우병, 다른 출혈성 질환, 근육이형성증, 다운증후군 출생 시 결함 (척추/심장/신장) 당신의 민족/배우자의 민족

20 성인 예방접종 (임신 전 필요한 접종)

21 임신 전 관리 선천성 풍진 증후군 임신 12주 이내 노출 시 80%, 13-15주 54% 선천성 풍진 감염
귀머거리, 눈 결손 증세 (백내장, 녹내장, 망막증, 소안증) 심장 장애 증추신경계 장애 골증세, 비장증대, 간염, 혈소판 감소

22 인유두종바이러스 (HPV; Human papillomavirus)

23 인유두종바이러스 (HPV; Human papillomavirus)
감염률 및 바이러스 타입이 국가마다 다름

24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 권고안 1. 접종 대상 연령
10-25세 (bivalent)/9-26세 (quadrivalent) 여성 2. 최적 접종 연령 한국 여성의 첫 성경험 연령을 고려하여 15-17세를 최적 접종 연령으로 권장 3. 따라잡기 (Catch-up)접종 권장 대상 18-25세 (bivalent)/18-26세 (quadrivalent) 여성 26-55세 (bivalent)/27-45세 (quadrivalent) 여성 (면역원성 연구결과에 근거)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 학회

25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접종 사업

26 산전진찰의 필요성

27 산전진찰의 필요성 -전자간증 발생- 전자간증 발생의 위험 인자 분석 모체의 체질적 요인 전자간증 발생 초산부 유전적 요인
칼슘, 마그네슘, 아연 섭취 부족과 같은 환경적 요인 비만과 같은 지질이상 그리고 당뇨병을 비롯한 인슐린 저항증

28 산전진찰의 필요성 -임신성 당뇨병 발생- 임신성 당뇨병 발생 추이 임신성 당뇨병
임신 중 처음으로 인지되었거나 발생한 당대사 장애 임신 24-28주 선별 검사 거대아 및 거대아로 인한 난산과 견갑난산에 의한 분만 손상 증가 제왕절개 위험 증가 1차 치료: 식이요법과 운동 요법

29 산후 관리 전자간증,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병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 2.28배 뇌혈관 질환 발생 위험 1.76배
고혈압 발생 위험 3.13배 지속적인 관찰 가능 약 70%에서 당뇨병 발생 분만 후 6-8주 혈당 검사 당뇨병 질환 유무 이후 질병 발생 가능 환자 선별

30 향후 신생아에 미치는 영향 전자간증,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병 조산위험 증가 저체중아 위험 증가 성인기 고혈압 발생 증가
성인기 당뇨병 발생 증가

31 출산 특성 분석 (신생아 체중) 다문화 가정의 분만 및 출산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인종에 따른 출생 체중
인종에 따른 거대아 발생 위험 인종에 따른 저체중아 발생위험

32 저체중아 출산 “Birth weight is a strong indicator not only of a birth mother's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but also a newborn's chances for survival, growth, long-term health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UNICEF

33 저체중아 출산 저체중아 출생 체중: 2500g 미만 정상 출생 체중아에 비해 사망률 20배 증가 Over 20 Million Low Birthweight Infants Are Born Yearly In The Developing World

34 저체중아 출산 저체중아로 태어난 성인에서 증가하는 질환 만성폐쇄성 폐질환 유방암 골다공증 정신분열증 대사증후군 당뇨 고혈압

35 저체중아 출산 임신부의 영양 실조(malnutrition)가 저체중아 출산의 가장 중요한 원인임 원인 임신 전 영양 상태 불량
저신장 (short stature) 임신 중 영양 섭취 불량

36 태아 프로그래밍 ‘Barker Hypothesis’ 자극 (Stimulus) 모체의 영양실조 적응(Adaptation) ? ?

37 태아 프로그래밍 ‘Barker Hypothesis’
‘Poor fetal and infant growth increase susceptibility to metabolic syndrome later in life’

38 태아 프로그래밍 ‘Barker Hypothesis’

39 아버지의 영향 ?

40 아버지의 영향 ?

41 아버지의 영향 ? Ethnic p-Value KF/KM (N =444476) KF/FM(N =18593)
FF/KM (N = 2640) Maternal age (year) 31.12±3.92 26.95±5.39 32.25±4.31 <0.01 Maternal age (group)(%) <25 years 4.3 38.9 3.3 25-34 years 77.6 50.8 67.4 ≥35years 18.2 10.3 29.3 Paternal age (year) 33.41±4.32 39.69±5.7 34.52±6.06 Paternal age (group) (%) 1.6 0.6 3.8 60.7 16.6 50.9 37.7 82.9 45.3 Maternal education level (%) ≤9 years 1.0 27.6 2.9 10-12 years 28.0 45.8 18.0 ≥13 years 71.0 26.6 79.2 Paternal education level (%) 1.3 13.1 3.1 55.2 15.6 72.1 31.8 81.4

42 아버지의 영향 ?

43 아버지의 영향 ?

44 사회적 영향

45 임신, 출산 관련 문제의 의미 3 사회, 경제적 문제 국가적 문제 2 향후 개인 건강의 문제 자녀를 포함한 가족 전체의 문제
1 개인의 임신, 출산 문제

46 임신, 출산 관련 시기의 중요성 가족들의 전폭적인 지지 병원 방문 임 신 건강 정보에 민감 No disease

47 기존 사업 현재 임신, 출산 관련 지원 사업 임신 지원 사업 엽산제, 철분제 지원 사업 산모 식사 관리, 병원 동행
출산 지원 사업 출산 장려금 산후 도우미 모유수유사업

48 제안 (1) 미충족 연구 분야 실질적인 임신, 출산 건강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 필요 임신 전 상태 파악 산전 관리 확인
분만 특성 파악 합병증 발생 여부 산후 관리 특성 확인 태어난 아이들의 영향 및 건강 상태 남편이 임신 및 출산에 미치는 영향 임신, 출산의 사회적, 경제적 영향

49 제안 (2) 특성 연구 효과적인 대책 수립 실질적인 임신, 출산 건강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기본 연구의 필요성 공유
관련 자료 및 정보 수집 각 기관 연구 발주 (가장 효과적인 방법) 효과적인 대책 수립 맞춤형 지원 제도적 지원

50 제안 (3) 관련 정보 수집 정부 3.0 부처 혹은 기관 내 다양한 자료 (정보)의 공유 필요 서로의 제한점 보안
다문화 관련 정보 포털 부처 혹은 기관 간 다양한 정보의 수집 필요 가장 손쉬운 방법 정보 (자료)의 새로운 가치 창조 정부 3.0 부처 혹은 기관 내 다양한 자료 (정보)의 공유 필요 서로의 제한점 보안 자료 (정보)의 새로운 가치 창조 공공정보를 적극 개방·공유 부처간 칸막이를 제거 소통·협력함

51 각각 기관의 자료 연계 기관별 자료 통계청 자료 심평원 자료 출생 자료 출생 몸무게 출생 주수 기본 자료 부모 국적 부모 학력
부모 직업 병원 이용 자료 질병의 발생 질병 관련 처치 비용 발생 지속적인 관찰 가능 자료 수집 (각종 보건소 자료)

52 제안 (4) 지원 사업의 변화 다문화에 대한 이미지 개선 기존 지원 사업의 변화 의학적 특성 분석 및 파악
맞춤형 지원 사업화 (백신 접종 사업..) 지원 사업의 변화 – 의학적 지원 사업 필요

53 제안 (5) 특성화된 임신, 출산 지원사업 국가별 맞춤형 지원 사업 통역 사업 활성화 다양한 교육 자료 개발
다양한 IT 활용 (예, 앱, 알리미 서비스 개발) 지역 혹은 국가간 공동체 구성 지원 사업의 변화 – 의학적 지원 사업 필요

54 끝맺음 결혼 이민자의 민족적, 의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의료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인 의료 관리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국가의 미래에 투자하는 길이라고 생각됩니다.

55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결혼 이민자 여성의 임신, 출산 지원과 건강보호를 위한 정책 과제"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