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 33 장 총수요와 총공급.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 33 장 총수요와 총공급."—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 33 장 총수요와 총공급

2 KEY QUESTIONS 경제의 장·단기적 특징 및 차이는? 경기변동의 특징 및 원인은?
- 장기의 변화: 생산능력의 변화 ⇒ 경제성장 - 단기의 변화: 수요•공급여건의 변화 ⇒ 경기변동 경기변동의 특징 및 원인은? 총수요와 총공급을 이용하여 경기변동 을 설명하는 방법은? 총수요와 총공급의 이동을 초래하는 원인은?

3 단기 경기변동 대부분의 해에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은 증가한다. 어떤 해에는 성장률이 평균 보다 낮아 경기후퇴 가 발생했다.
지난 50년 동안 미국의 총생산은 연평균 3% 증가. 어떤 해에는 성장률이 평균 보다 낮아 경기후퇴 가 발생했다. 경기후퇴 (recession)는 실질소득이 감소하고 실업 이 증가하는 시기. 경기침체(depression)은 심각한 경기후퇴.

4 경기변동의 세 가지 중요한 특징 경기변동은 불규칙적이고 예측하기 어렵다. 대부분의 거시경제변수들은 함께 움직인다.
- 불경기와 호경기가 반복되지만, 그 지속기간에는 일정한 패턴이 없다. 대부분의 거시경제변수들은 함께 움직인다. - 소득, 지출, 투자, 건설 등이 변동폭은 다르지만, 거의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생산량이 감소하면 실업이 증가한다. - 실질 GDP 변동과 실업률 변동 사이에는 (-) 관계.

5 그림 33.1 : 미국경제의 단기 경기변동 추이

6 그림 33.1 : 미국경제의 단기 경기변동 추이

7 그림 33.1 : 미국경제의 단기 경기변동 추이

8 부록 그림 33.1 : 한국 경제의 단기 변동 추이

9 부록 그림 33.1 : 한국 경제의 단기 변동 추이

10 부록 그림 33.1 : 한국 경제의 단기 변동 추이

11 고전학파 이론과 단기 경기변동 고전학파의 거시경제 이론
경제의 통화량이 두 배로 증가하면 … 물가와 소득이 두 배로 증가하지만, 실질 변수는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통화량 변동에 따른 경제변수의 변 동은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가격과 소득이 변동하는데 시간이 걸리며, 이 기간 동안에는 통화량 변동이 실질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2 단기의 경기변동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고전학파 이론이 장 기적 현상은 잘 설명하지만 단기 현상은 잘 설명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경기의 단기적 변동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총 수요(aggregate demand)와 총공급 (aggregate supply) 모형이 사용된다. 총수요·총공급 모형의 두 변수 경제의 총생산량은 GDP로 표시. 물가수준은 CPI로 표시.

13 총수요곡선과 총공급곡선 총수요곡선 : 각 물가수준(CPI로 표시)에서 가계, 기업, 정부, 해외부문이 구입하고자 하 는 재화와 서비스의 수량(GDP로 표시)을 나 타내는 곡선. ※ Y = C + I + G + X 총공급곡선 : 란 각 물가수준에서 기업들이 생산, 판매하고자 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수량을 나타내는 곡선.

14 그림 33.2 : 총수요와 총공급

15 총수요곡선 Y = C + I + G + X 총수요는 다음 네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총수요곡선이 왜 마이너스 기울기를 가질까?
세 가지 이유 1. Pigou의 자산효과 2. Keynes의 이자율 효과 3. Mundell-Fleming의 환율효과

16 그림 33.3 : 총수요곡선

17 총수요곡선: (-) 기울기 피구의 자산효과 케인즈의 이자율 효과 (물가하락) → (富의 증가 느낌) → (소비증가)
(물가하락) → (화폐수요 감소) → (이자율 하락) → (국내 투자증가) M-F의 환율효과 (물가하락) → (이자율 하락) → (해외 투자 증가) → (달러 수요 증가 또는 원화 공급 증가) → (달러 절상 또는 원화 절하) → (수출 증가)

18 총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 변수들 총수요가 물가수준 아닌 다른 변수가 변할 경우 총수요 곡선 자체가 이동한다. 총수요 변화 요인
1. 소비자들의 소비지출 변화 2. 기업들의 투자지출 변화 3. 정부의 정책변화: 재정지출/조세의 변화, 통화정책의 변화 4.순수출의 변화: 환율 또는 해외경기의 변화,

19 총수요의 증가: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 물가수준 AS AD1 AD0 산출량

20 총수요의 감소: 곡선이 왼쪽으로 이동 물가수준 AS AD0 AD1 산출량

21 총수요곡선의 이동 물가수준 총수요 곡선 산출량 P1 D2 D1 Y1 Y2
Remove bullet in graph – graph needs no additional title??? D1 총수요 곡선 Y1 산출량

22 총수요를 증가시키는 요인 1. 주식가격의 상승, 부동산가격의 상승 2. 이자율의 하락 3. 통화량의 증가 4. 재정지출의 증가
5. 소득세의 감면 6. 수출의 증가 7. 환율의 상승 (원화가치의 하락)

23 표 33.1 : 총수요곡선 : 요약

24 장기 총공급곡선 한 나라의 생산능력은 본질적으로 그 경제의 부존자원의 양, 생산요소의 투입량, 기술수준, 법제도 및 정책능력에 달려 있다. (제 25 장) 즉 장기적으로 국내 총생산량은 물가수준과 무관하며, 장기총공급곡선은 수직선이다. 장기 총공급곡선은 고전학파의 이분성과 화폐 중립성을 반영한다. 단기 총공급곡선은 물가수준에 대해 플러스 기울기를 갖는다.

25 장기 총공급곡선 장기 총공급곡선은 자연산출량(natural rate of output )에서 수직
자연산출량: 실업률이 정상상태, 자연실업률과 일치할 때의 재화와 서비스 생산량 잠재산출량(potential output) 또는 완전고용 산 출량(full-employment output)이라고도 함. 경제의 산출량은 장기적으로 자연산출량에 수렴.

26 그림 33.4 : 장기 총공급곡선

27 총수요곡선과 총공급곡선

28 장기 총공급곡선의 이동 장기적으로 그 나라경제의 생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는 곡선을 이동시킨다. 1. 기술 진보
2. 인적·물적 자본의 축적 3. 자연자원의 변화 4. 자연실업률의 변화 5. 법적·제도적 환경의 변화: 국제무역, 규제

29 총수요-총공급 곡선을 이용한 장기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의 설명
총수요-총공급 곡선을 이용한 장기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의 설명 장기적으로 경제에 가장 중요한 변수는 기술 과 금융(통화)정책이다. 단기 산출량과 물가수준은 장기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 추세선으로부터의 이탈로 볼 수 있다.

30 그림 33.5 : 장기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 2. . and growth in the money supply shifts
그림 : 장기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 2. . and growth in the money supply shifts aggregate demand . longrun aggregate supply LAS 1990 Y 2000 LAS Y 2010 LAS Price AD 2000 Level 1. In the long run, technological progress shifts long-run aggregate supply . . . AD 1990 P 2000 4. . and ongoing inflation. P 1990 P 1980 AD 1980 Y 1990 3. .. leading to growth in output . Quantity of Output

31 단기 총공급곡선 단기 총공급곡선은 (+) 기울기를 가짐.
물가수준이 상승하면 생산자들이 공급하고자 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총 수량이 증가. 물가수준이 하락하면 산출량은 감소. 단기 총공급곡선의 기울기를 설명하는 이론 생산자들의 착각 임금 경직성 가격 경직성

32 그림 33.6 : 단기 총공급곡선

33 단기 총공급곡선의 기울기가 플러스인 이유 세 가지 학설 새고전학파의 착각이론
(New Classical Misperceptions Theory) 케인즈학파의 임금경직성 이론 (Keynesian Sticky-Wage Theory) 새케인즈학파의 가격경직성 이론 (New Keynesian Sticky-Price Theory)

34 새고전학파의 착각이론 생산자들이 가격의 변화가 나타내는 신호기능을 잘못 해석할 수 있다는 것
즉, 자기 제품가격이 상승한 것을 보고 마 치 자기가 생산하는 물건의 상대가격, 즉 실질 시장가치가 증가한 것으로 착각하여 생산량을 증가시킨다는 것

35 임금경직성 이론 명목임금의 변화속도가 물가의 변화속도보다 항상 느리기 때문에 임금은 경직적이라는 것
즉, 단기적으로는 임금 상승이 물가 상승을 따라잡을 수 없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실질 임금이 낮아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고용이 증가한다는 것 임금의 변화가 느린 이유는 단체협약 등 제 도적 요인과 사회적 관행 때문

36 가격경직성 이론 비슷한 이유로, 임금뿐 아니라 많은 재화의 가격도 물가수준의 변화에 비해 느리게 변화한다는 것
예: 메뉴비용이 있을 경우 일반 물가가 상 승해도 일부 기업이 가격을 올리지 않기 때 문에 단기적으로 해당 제품의 실질가격이 하락하여 판매량이 증가한다는 것

37 세 학설이 주는 시사점 세 학설 모두 단기적으로 사람들의 물가에 대한 인식(예측)과 실제물가가 다르면 산출량이 자연산출량과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사람들의 반응은 장기적으로 합리적이므로 이러한 착각이 반복될 수 없다. 따라서 장기적으로는 총공급곡선이 수직이 된다.

38 단기 총공급곡선 산출물의 공급량 = 자연산출량 + α (실제물가수준 Y = Y * + α (P – P e )
= 자연산출량 + α (실제물가수준 – 예상물가수준) Y = Y * + α (P – P e ) 장기적으로는 P = P e (명목임금/가격 조정) Y = Y * (자연산출량, 잠재 GDP)

39 단기 총공급곡선의 이동 단기 총공급곡선의 이동 요인 요소가격(임금, 국제원유가)의 변화 생산성의 변화
법적, 제도적 환경의 변화: 조세, 규제, 노동시장의 경직성 등 예상물가 수준의 변동

40 단기 총공급곡선의 이동 물가수준 총공급곡선 AS 1 AS 2 총수요곡선 산출량

41 그림 33.7 : 균형 GDP와 물가수준

42 경기변동을 분석하는 4 단계 어떤 사건이 총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지 총 공급곡선을 이동시키는지 결정
어느 방향으로 곡선이 이동하는지를 판단 그래프를 이용하여 최초 균형과 새로운 균형 을 비교 단기균형과 장기균형 및 단기에서 장기 균형 으로의 이행 과정을 추적

43 경기침체의 원인 경기침체에는 두 가지 원인이 있다. 총수요의 감소 총공급의 감소

44 총수요곡선의 이동으로 인한 경기변동 단기적으로 총수요곡선이 이동하면 경제의 산출량이 변동한다.
단기적으로 총수요곡선이 이동하면 경제의 산출량이 변동한다. 총수요를 구성하는 지출의 일부가 어떤 이유 로 감소하면, 총수요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하 여 국내총생산이 감소한다. 그 결과 국민소득이 감소하여 완전고용산출량(자연산출량)보다 작아지며, 실업률이 증가하지만, 물가는 하락할 것이다.

45 물가수준 총공급 PE ← A P1 ← B 총수요 Y1 YE 산출량

46 그러나 이러한 경기침체는 장기적으로 • • • 1.정부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저절로 해결된다.
1.정부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저절로 해결된다. 2.총수요의 감소로 인해 물가가 하락하였으나, 임금의 하방경직성으로 인해 단기적으로 실질 임금이 상승하여 실업이 발생하고 산출량이 감소한 것이다. 3.장기적으로 실업의 지속은 실질임금의 하락을 초래하여 고용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총공 급을 증가시켜 산출량이 다시 자연산출량 수 준으로 회복하게 된다. 4.이것을 ‘경제의 자기치유능력’이라고 한다.

47 그림 33.8 : 총수요감소의 장기 효과

48 그림 33.9 : 1900년 이래 미국의 실질 GDP

49 한국 GDP 성장률의 추세

50 총공급곡선 의 이동에 따른 경기변동 경제에 해로운 총공급충격으로 총공급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하면, 이 단기적으로 감소하여 경기침체가 유발될 수도 있다. 단기적으로 국민소득이 감소하여 자연산출량보다 작아지게 되고, 실업이 증가하며, 물가도 상승한다.

51 물가수준 총공급 B → PE ← A 총수요 YE 산출량

52 스태그플레이션 총공급이 단기적으로 감소하여 경기침체가 발생하는 경우, 인플레이션도 함께 발생한다.
이런 현상을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라고 한다. 경기침체(stagnation)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 이 경우 총수요를 조절해도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없다.

53 그러나 이러한 경기침체는 장기적으로 • • • 1.정부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저절로 해결된다.
1.정부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저절로 해결된다. 2.총공급의 감소로 인해 국민소득이 하락하고, 실업이 발생하였으나, 3.장기적으로 실업의 지속은 실질임금의 하락을 초래하여 고용을 증가시키고, 총공급을 증가시 켜 산출량을 다시 자연산출량 수준으로 회복시 키게 된다. 4. 이것 역시 ‘경제의 자기치유능력’ 때문이다.

54 경기부양을 위한 정부의 정책 그러나 정부는 장기적으로 경제가 스스로 치유되도록 기다리지 못한다. ∵ 실업의 해소 필요성, 기업의 요구 등에 의해 단기적으로 경기부양 정책을 쓰도록 정치적 압력을 받기 때문. 총수요의 감소나 총공급의 감소에 의해 경기침체가 발생하는 경우, 정부는 총수요를 증가시키는 정책을 사용할 수 있다. 총수요를 조절하는 정책수단은 제34장에서 다룬다.

55 그림 33.11 : 총공급 감소에 대응한 총수요 확대정책 Price Level Long-run Short-run
1. When short-run aggregate supply falls . . . Price Level Long-run Short-run aggregate Supply AS AS2 aggregate AD2 supply C P3 policymakers can accommodate the shift by expanding aggregate demand . . . which causes the price level to rise further . . . B P2 A P1 but keeps output at its natural rate. Aggregate demand AD1 Natural rate Quantity of of output Output

56 정부정책의 효과 : 요약/결론 정부는 총수요의 조절을 통해 경기부 양과 물가안정을 동시에 달성할 수 없다.
정부는 총수요의 조절을 통해 경기부 양과 물가안정을 동시에 달성할 수 없다. 단기적으로 실현된 국민소득이 자연 산출량과 차이가 날 수 있지만, 이 차이는 장기적으로 유지되지 못한다. 그 이유는? ‘경제의 자기치유능력’ 때문이다.

57 Summary 고전학파 거시경제 이론은 명목변수들은 실질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이러한 가정이 장기적 으로는 정확하지만 단기적으로는 그렇지 않다 고 생각한다. 모든 경제는 장기추세선을 중심으로 단기 경기 변동을 경험한다. 경제학자들은 총수요·총공급곡선을 이용하여 단기 경기변동을 분석한다.

58 Summary 총수요곡선이 (-) 기울기를 갖는 이유는? 자산효과, 이자율효과, 환율효과
소비, 투자, 정부구입, 순수출에 영향을 미치 는 모든 사건이나 정책은 주어진 물가수준에 서 총수요곡선을 이동시킨다. 단기 총공급곡선이 (+) 기울기를 갖는 이유? 명목임금의 경직성 이론 물가의 경직성 이론 착각이론

59 Summary 경제의 생산능력을 변화시키는 사건은 단기 총공급곡선을 이동시킨다.
경제의 생산능력을 변화시키는 사건은 단기 총공급곡선을 이동시킨다. 또한 단기 총공급곡선의 위치는 예상 물가수 준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경기변동의 원인은 총수요곡선과 총공급곡선 의 이동이다. 산출량이 감소하고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60 Summary 장기 총공급곡선은 수직이다. 모든 경제는 장기추세선을 중심으로 단기 경 기변동을 경험한다.
경기후퇴가 발생하면 실질 GDP와 소득지표, 지출, 생산이 감소하고 실업은 증가한다. 단기적으로 국민소득이 자연산출량과 차이 가 날 수 있지만, 이 차이는 장기적으로 유지 되지 못한다. 경제의 자기치유능력 때문이다.


Download ppt "제 33 장 총수요와 총공급."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