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4 장 인터넷 1. 4.1 네트워크 구성 2 LAN(Local Area Network) LAN  근거리 통신망으로 집, 사무실, 학교 등의 건물과 같이  가까운 지역을 한데 묶는 컴퓨터 네트워크 Serial port connection  가장 단순한 LAN.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 장 Unix/Linux 소개 1 Helpers. 1 장 내용 1. 왜 유닉스인가 ? 2. 유닉스 시스템 구조 3. 유닉스 역사 및 버전 4. 리눅스 설치 ( 별도 2 시간 실습 ) 5. 사용 환경 6. 사용자 계정 관리 Unix/Linux 2.
Advertisements

을지대학교 무선 네트워크 사용 방법 2010 년 06 월 01 일. 을지대학교 무선 네트워크 사용 방법 1. PC 무선랜 카드 활성화 및 체크 1 단계 : 시작 -> 설정 -> 네트워크 설정 2 단계 : 무선 네트워크 설정 선택 -> 마우스 버튼 오른쪽 클릭 -> 사용.
1 08 시스템 구성도 고려사항 * 웹 서버 클러스터 구성  클러스터 구축은 ㈜ 클루닉스의 Encluster 로 구축 (KT 인증,IT 인증 획득, 실제 클러스터 구축 사이트 200 여곳 )  웹 서버 클러스터는 Dynamic, Static, Image.
제 4 장 인터넷 창병모 네트워크 구성 2 LAN(Local Area Network) LAN  근거리 통신망으로 집, 사무실, 학교 등의 건물과 같이  가까운 지역을 한데 묶는 컴퓨터 네트워크 이더넷 (Ethernet)  제록스 PARC.
제 4 장 인터넷 네트워크 구성 2 LAN(Local Area Network) LAN  근거리 통신망으로 집, 사무실, 학교 등의 건물과 같이  가까운 지역을 한데 묶는 컴퓨터 네트워크 Serial port connection  가장 단순한 LAN.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영어영문 이충훈 정보통신 김재학. SSH( 보안텔넷 ) SSH 란 ? SSH(Secure Shell) 는 다른사용자가 세션을 엿듣지 못하도록 세션을 감싸주는 텔넷 응용프로그램으로 보안버전의 프로그 램입니다. 즉, 패스워드가.
7 장. 원격지에서 리눅스서버를 관리하자. 텔넷서버를 설치 / 운영한다. SSH 서버를 운영한다. VNC 서버를 설치 / 운영한다.
난이도 : 초급 제1장 앱 인벤터 소개 및 준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IP 네트워크 순천향대학교 정보기술공학부 이 상 정
컴퓨터와 인터넷.
목차 Contents 무선인터넷용 비밀번호 설정방법 Windows 7 Windows 8 Windows XP MAC OS.
정보 보안 개론과 실습 네트워크 해킹과 보안 3부 해킹 전 정보 획득 Chapter 10. 목록화.
Part TCP / IP(계속) 3. IP 주소 4. IP 라우팅 5. 응용 프로토콜.
조준희 (Cho, Junhee) TCP/IP 조준희 (Cho, Junhee)
Oozie Web API 기능 테스트 이승엽.
인터넷의활용.
김태원 심재일 김상래 강신택. 김태원 심재일 김상래 강신택 인터넷 통신망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인터넷의 자원 및 정보는 NIC가 관리 IP주소 또는 도메인으로 정보 검색 이용자 및 통신망 관한 정보를 제공.
제8장 네트워킹.
Chapter 7 Networking.
1. Windows Server 2003의 역사 개인용 Windows의 발전 과정
3 장 OSI 기본 참조 모델 OSI : Open System Interconnection
Network Lab. Young-Chul Hwang
제4장 인터넷.
PHP입문 Izayoi 김조흔.
제 7장 정적 라우팅 프로토콜.
DPR-1630&1615 IP공유기 셋팅 방법 고객지원팀 작성자 : 정청석.
18장. 방화벽 컴퓨터를 만들자.
Ch. 1 LINUX SYSTEM.
네트워크 보안 TCP/IP 네트워크통신 개념.
Chapter 02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
23 장 TCP/IP 23.1 개요 23.2 네트워크층 23.3 전송층 23.4 응용층 24.5 요약.
8. 네트워킹 (Networking) 9. 인터넷 (Internet)
네트워킹 CHAPTER 13 Section 1 네트워킹의 개요와 java.net 패키지 Section 2 인터넷 주소와 URL
11 장 LAN 기본 개념과 Ethernet LAN
인터넷 개요 중앙대학교 안 봉 현 2006년 4월.
5. 네트워킹 사용자 표시 : users/ rusers/who/w users 지역 호스트 상에 있는 사용자의 간단한 목록 표시
제 14 장 도메인 네임 시스템 정보통신연구실.
Chapter 21 Network Layer: ARP, ICMP (IGMP).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개발 트랙)                               퍼스널 오라클 9i 인스톨.
제9장 네트워킹 숙명여대 창병모 2011 가을.
ARP Project 조 충 호 교수님 김 세 진 조교님 조 진 형 변 익 수
TCP/IP 통신망 특론 2장 Link Layer 컴퓨터 네트워크 실험실 이희규.
FTP 프로그램의 활용 FTP 프로그램의 용도 인터넷 공간에 홈페이지 파일을 업로드할 때 필요
Chapter 19 솔라리스 네트워크 관리 Solaris1 . TCP/IP 개요
(개정판) 뇌를 자극하는 Red Hat Fedora 리눅스 서버 & 네트워크
WOL(Wake-On Lan) 컴퓨터공학과 4학년 박기웅.
시스템 인터페이스 Lab3 Unix 사용법 실습.
2장. 인터넷의 개념과 주소.
네트워크와 소켓 프로그래밍 Chapter 01. * 학습목표 TCP/IP 프로토콜의 동작 원리를 개관 소켓의 기본 개념을 이해
인터넷 따라 하기 ◆ 인터넷 시작 하기 ◆ 인터넷 끝내기 ◆ 홈페이지 방문 및 정보검색 ◆ 전자우편( ) 가입
22 장 전송층(Transport Layer)
Linux/UNIX Programming
제 15 장 BOOTP와 DHCP BOOTP 15.2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
제8장 네트워킹 숙명여대 창병모
Linux/UNIX Programming
뇌를 자극하는 Windows Server 장. 원격 접속 서버.
Internet 데이터 전송 목표: 인터넷의 개요 및 기본 내용을 살펴보고 VB에서의 데이터 전송 프로그래밍에 대하여 학습한다. 주요내용 인터넷의 개요 인터넷 데이터 전송 인터넷 프로그래밍 Winsock Client Server 프로그래밍.
(개정판) 뇌를 자극하는 Red Hat Fedora 리눅스 서버 & 네트워크
Network 네트워크 이론 및 실습 TCP / IP 4장.
제9장 네트워킹 숙명여대 창병모
Chapter 26 IP over ATM.
네트워크 환경 구축과 이미지 전송 호스트/타겟 통신 직렬 통신을 이용한 이미지 전송 수퍼 데몬 BOOTP 환경 구축
웹(WWW).
모바일인터넷기초 전산정보학부 모바일인터넷과 권 춘 우
Chapter 27 Mobile IP.
Introduction to JSP & Servlet
2장. 솔라리스10 설치. 2장. 솔라리스10 설치 Solaris 3. 솔라리스10 설치 후 설정하기 1. 텔넷 ( telnet ) 서비스 사용 SSH ( Secure Shell ) 서비스 사용 FTP ( File Transfer Protocol )서비스 사용 시스템.
01. 분산 파일 시스템의 개요 네트워크에 분산된 파일을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시스템 인터페이스 Lab1 X-window 및 명령어 사용.
ARP.
Presentation transcript:

제 4 장 인터넷 1

4.1 네트워크 구성 2

LAN(Local Area Network) LAN  근거리 통신망으로 집, 사무실, 학교 등의 건물과 같이  가까운 지역을 한데 묶는 컴퓨터 네트워크 Serial port connection  가장 단순한 LAN 이더넷 (Ethernet)  제록스 PARC 에서 개발된 LAN 구현 방법으로 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 3 Ethernet cable Ethernet card serial connection

같은 종류의 네트워크를 두 개 이상 연결하는 장치 데이터 패킷의 목적지를 추출하여 그 경로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로 보내주는 장치 ( 국내공항 ) 공유기 혹은 스위치라고도 함 라우터 (router) 4 Ethernet cable Router

프로토콜 변환기를 포함하는 일종의 고용량 라우터로 서로 다른 종류 의 LAN 을 인터넷에 연결하는 컴퓨터나 장치 ( 국제공항 ) 무선 액세스 포인트 (wireless access point, WAP)  네트워크에서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 컴퓨터 / 프린터 등의 무선 장치들을 유선망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장치 게이트웨이 (Gateway) 5 XNS(Xerox Network System) LAN Ethernet LAN AppleTalk LAN Ethernet LAN Gateway

4.2 인터넷 6

인터넷 (Internet) 인터넷  전세계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어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공개 컴퓨터 통신망 프로토콜 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 사이에 어떤 자료를, 어떤 방식으로, 언제 주고 언제 받을지 등을 정해놓은 규약  간단히 통신을 하기 위한 규약 ( 주소지정 방식 및 전송 방식 )  ( 예 ) TCP/IP TCP(Transport Control Protocol) IP(Internet Protocol) 주소지정 방식 : IP 번호 + 포트 번호 전송방식 : TCP/IP 또는 UDP/IP 7

TCP/IP 프로토콜 IP(Internet Protocol)  호스트의 주소지정과 패킷 분할 및 조립 기능에 대한 규약  인터넷 상의 각 컴퓨터는 자신의 IP 주소를 갖는다  IP 주소는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 하는 주소  각 호스트의 모든 서비스는 고유한 포트 번호를 가짐  포트 번호 확인은 $ cat /etc/services TCP(Transport Control Protocol)  IP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  데이터의 전달을 보증하고 보낸 순서대로 받게 해준다 ( 등기우편 ) UDP(User Datagram Protocol)  IP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  단순한 전송 모델로 데이터의 전달을 전혀 보증하지 않는다 ( 일반우편 ) 8

9 OSI 7 Layers & Internet protocol suite OSI 7 Layers Model Layer 7Application Layer 6Presentation Layer 5Session Layer 4Transport Layer 3Network Layer 2Data Link Layer 1Physical * OSI : Open System Interconnection Application TCPUDP IPv4, IPv6 Device Driver and Hardware Internet protocol suite sockets

10 인터넷에서의 데이터 흐름 Transport 포장 벗겨 위로 전달 Application Network Link Network Link Network Link Application Transport Network Link 도착주소 (IP) 전달 세그먼트 분할 + 포장 + 도착주소 중간주소 붙여 포장 ( 도착주소 or 라우터 주소 ) 중간주소를 local network 주소로 변환 포장 벗겨 도착주소 확 인 후 아니면 다시 포장 + 새중간주소 ( 옆의 다른 라우터 주소 ) 메시지 재구성 포장 벗겨 도착주소 확인 맞으면 위로 전달 포장 벗겨 위로 전달 Network 가 알고있 다 (routing table 유지 )

연결형 소켓 (connection oriented protocol : TCP(Transport Control protocol)) 11 연결형 시스템 호출 TCP/IP 서버 (server) 클라이언트 (client) 클라이언트로부터 연결이 올 때까지 대기 프로세스에 요청 read( ) bind( ) listen( ) accept( ) socket( ) write( ) socket( ) connect( ) write( ) read( ) Data 응답 Data 요청 연결요청 연결승인 (SYN,ACK) 승인 (ACK)

 비연결형 소켓 (connectionless protocol : UDP(User Datagram Protocol)) blocks until data received from a client data(request) process request data(reply) 12 비연결형 소켓 시스템 호출 UDP/IP socket() write() bind() socket() read() sendto() recvfrom() 클라이언트 (client) 서버 (server)

13 인터넷 주소 IP Address vs. Symbolic Address vs. Physical Hardware Address  IP Address 8 bit 4 fields = 32 bits ( 예 ) Class A, B, C, D Domain Name = Symbolic Address ( 예 ) csblade.incheon.ac.kr  Symbolic Address com ( 회사 ), edu( 교육기관 ), gov( 정부 ), org( 비영리기관 ), mil( 군용 ), XX(2 자리 국가코드 )  Physical Hardware Address =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 Ethernet hardware address(EHA)  $ ifconfig -a (Linux) 또는 $ ipconfig -all (Windows)  $ /sbin/arp -a 6-byte(8 비트 ) 수치 콜론으로 분리된 16 진수 ( 예 ) 20:81:0a:10:c4:93 ( 처음 두 octet 은 제작사 코드 )

호스트명 (hostname)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게 부여되는 고유한 이름 호스트명은 보통 사람이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이름 도메인 이름 (domain name) 이라고도 한다 $ /usr/bin/nslookup 호스트 | IP 주소 호스트명 IP 주소 cse.incheon.ac.kr multi.incheon.ac.kr csmail.incheon.ac.kr

DNS(Domain Name System) 호스트명을 IP 주소로 번역하는 서비스 DNS 는 마치 전화번호부와 같은 역할 nslookup (name server lookup) 명령어  도메인 이름 시스템 (domain name system) 서버에 호스트명 질의  관련 파일 /etc/resolv.conf $ /usr/bin/nslookup dig (DNS lookup utility) 명령어 $ /usr/bin/dig cse.incheon.ac.kr 15

로그인한 사용자 정보 $ finger 사용자 ( $ yum –y install finger* )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 로그인 했는지 등 사용자에 대한 자세한 정보 (.project.plan) $ w 사용자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들이 실행하고 있는 작업의 내용을 보여 준다 $ last 로그인 했던 사용자들의 로그인, 로그아웃 시간 기록을 보여 준다 16

4.3 사용자 통신 17

메시지 보내기 : write wrtie 명령어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 write 사용자명 [ 단말기명 ] $ write brain $ write brain pts7 wall(write all) 명령어  로그인된 모든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보냄  시스템 셧다운과 같은 긴급한 메시지를 전달할 때 사용됨 $ wall [ 파일 ] 메시지 허용여부 $ mesg [y|n] 18

4.4 파일 전송 19

ftp 파일 전송 프로토콜 (File Transfer Protocol, FTP) 의 약자 ftp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파일 전송을 위한 서비스 주로 파일을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 하기 위하여 사용 ftp 혹은 sftp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 전송 $ ftp [ 호스트명 ] $ sftp [ 호스트명 ] ( 주의사항 ) ftp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 방화벽 해제 상태에서 정상 동작 # service iptables stop # service iptables start 20

ftp (file transfer protocol) ※ 윈도우즈에서 cmd 실행하여 MSDOS command 창 에서 $ ftp [ 호스트명 ] $ ftp Connected to ( ). 220 localhost FTP server ready. Name ( :mysung): mysung 331 Password required for mysung. Password: 230 User mysung logged in. Remote system type is UNIX. Using binary mode to transfer files. ftp> ※ Linux 또는 Unix 환경에서 $ sftp $ sftp Password: Connected to sftp> 파일 전송 프로토콜 ftp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파일 전송을 위한 서비스 주로 파일을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 하기 위하여 사용 ftp( 유닉스 ) 혹은 sftp( 리눅스 ;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 전송 21

ftp 내부 명령어 명령어의미 !command 로컬 호스트에서 명령어 실행 lcd path 로컬 호스트의 작업 디렉토리 변경 cd path 원격 호스트의 작업 디렉토리 변경 get 파일명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mget 파일명 * 여러 파일들을 다운로드, 대표문자 사용 가능 put 파일명해당 파일을 업로드 mput 파일명 * 여러 파일들을 업로드, 대표문자 사용 가능 help 도움말 ls [path] 원격 호스트의 해당 디렉토리 리스트 pwd 원격 호스트에서 현재 작업 디렉트리 프린트 quit 종료 ascii 전송 모드를 아스키 모드 (ascii mode) 로 설정 ( 기본 설정이며 텍스트 파일 전송 시 사용 ) bin 전송 모드를 이진 모드 (binary mode) 로 설정 ( 실행 파일, 이진 파일 전송 시 사용 ) 22

4.5 원격 접속 23

( 참고 ) Linux 서버 방화벽 정지 ※ 서버에 대한 외부 ip 접근을 허용하려면 ( 즉, 집에서도 로그인 하려면 )  telnet 23 번 포트를 개방해야 함 방화벽 정지  # /sbin/service iptables stop 또는 # /etc/init.d/iptables stop 23 번 (ssh) 포트 개방  # iptables -I INPUT 1 -p tcp --dport 23 -j ACCEPT /*I( 아이 )*/  # iptables -I OUTPUT 1 -p tcp --dport 23 -j ACCEPT /*I( 아이 )*/ 방화벽 시작  # /sbin/service iptables start 또는 # /etc/init.d/iptables start 24

telnet Unix/Linux/Windows 환경에서 원격 호스트에 연결하여, 자신의 컴퓨 터를 마치 원격 호스트의 터미널처럼 사용할 수 있다  지역 호스트 (local host), 원격 호스트 (remote host) $ telnet 호스트명 ( 혹은 IP 주소 ) 포트번호 $ telnet Trying Connected to Escape character is '^]'. CentOS Linux release 6.0 (Final) Kernel el6.i686 on an i686 login: mysung Password: Last login: Wed Oct 16 10:11:11 from

ssh(secure shell) 원격 로그인 $ ssh 호스트명 $ ssh -l 사용자명 호스트명 $ ssh password: $ ssh –l stu password: 원격 명령 실행 $ ssh 호스트명 명령 $ ssh who 의 비밀번호 : mysung pts/2 Oct 4 11:30 ( ) 원격 로그인 혹은 원격 명령 실행을 위한 프로그램 보안을 위해 강력한 인증 및 암호화 기법 사용 기존의 rsh, rlogin, telnet 등을 대체하기 위해 설계됨 26

PuTTY PuTTY 을 사용하여 MS 윈도우즈에서도 ssh 를 사용 다운로드 한글 PuTTY telnet, ssh 등 사용 가능 27

ping 명령어 원격 컴퓨터의 네트워킹 상태를 확인 ( 호스트가 살아 있는지 알아보기 )  time(roundtrip time):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echo request 왕복시간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14 byte MAC header 20 byte IP header 8 byte ICMP header 18 byte ICMP Data Variable 4 byte MAC trailer  ttl(time to live = hop limit): 배달 오류 패킷을 버리는 시간 $ /bin/ping 호스트명 $ ping marvel.incheon.ac.kr PING marvel.incheon.ac.kr ( ) 56(84) bytes of data. 64 bytes from : icmp_req=1 ttl=127 time=0.211 ms 64 bytes from : icmp_req=2 ttl=127 time=0.198 ms 64 bytes from : icmp_req=3 ttl=127 time=0.202 ms ^C --- marvel.incheon.ac.kr ping statistics packets transmitted, 3 received, 0% packet loss, time 2000ms rtt min/avg/max/mdev = 0.198/0.203/0.211/0.017 ms $ ping eecs.mit.edu PING EECS.mit.edu ( ) 56(84) bytes of data. 64 bytes from EECS.MIT.EDU ( ): icmp_seq=0 ttl=239 time=229 ms 64 bytes from EECS.MIT.EDU ( ): icmp_seq=1 ttl=239 time=228 ms... 28

29 traceroute 명령어 /bin/traceroute :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echo request packets 이 목적지에 도착하기 위해 방문하는 게이트웨이 순서 추적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packets $ traceroute mail.incheon.ac.kr ( ) traceroute to mail.incheon.ac.kr ( ), 30 hops max, 60 byte packet ( ) ms ms ms ( ) ms ms ms ( ) ms ms ms ( ) ms ms ms ( ) ms ms ms 6 mail.incheon.ac.kr ( ) ms ms ms … $ traceroute eecs.mit.edu ( ) $ traceroute eecs.berkeley.edu ( ) $ traceroute ( )

30 네트워크 관리 유틸리티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된 파일 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 /etc/resolv.conf  /etc/hosts  /etc/services /sbin/ifconfig ( 또는 $ ip -s link):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 (enable/disable) $ ifconfig -a (cf.) Windows: ipconfig -all /sbin/arp: IP 주소를 하드웨어 주소 ( 이더네트 주소 ) 로 사상과 관리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arp -a ( 목록 ) $ arp -d hostname (su 가 삭제 ) $ arp -s hostname (su 가 등록 ) /sbin/route: IP 라우팅 테이블 ( 게이트웨이 정보 ) 관리 $ route /bin/netstat : 네트워크 상태 알아보기 $ netstat –a ( 네트워크 연결상태 ) $ netstat –i ( 인터페이스 구성 정보 조사 ) $ netstat –r ( 경로배정표 조사 ) $ netstat –s ( 네트워크 프로토콜 운용 상의 통계 ) (cf.) /usr/bin/top : 시스템 상태 알아보기

네트워킹 & 인터넷 31 ( 참고 ) 네트워크 디몬 (daemons) daemon=demon[ 발음확인 ] : 부팅시 시작되어 단일 태스크를 영원히 수 행하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inetd(eye-net-dee): master daemon [Linux] xinetd  [Solaris 11]: smf(Service Management Facility) 로 대체, inetadm 으로 서비스 관리 (root 만 ) $ /usr/sbin/inetadm – e talk 로 enable $ /usr/sbin/inetadm – d talk 로 disable Linux: /sbin/chkconfig --list (root 만 수정 가능 )  # /sbin/chkconfig --add telnet  SSH 22 번 포트 tcp INPUT, OUTPUT 열기 # iptables -I INPUT -p tcp --dport 22 -j ACCEPT # iptables -I OUTPUT -p tcp --sport 22 -j ACCEPT

4.6 월드 와이드 웹 32

월드 와이드 웹 (World Wide Web, WWW, W3) 월드 와이드 웹 (WWW) 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들을 통해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전 세계적인 정보 공간 하이퍼텍스트 (hypertext)  문서 내의 어떤 위치에서 하이퍼링크를 통하여 연결된 문서나 미디어 에 쉽게 접근  하이퍼텍스트 작성 언어 :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통신할 때에 사용하는 프로토콜  웹 문서뿐만 아니라 일반 문서, 음성, 영상, 동영상 등 다양한 형식의 데 이터 전송 URL(Uniform Resource Locator)  인터넷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자원들에 대한 주소 체계  33

웹 브라우저 (web browser) 웹 브라우저  WWW 에서 정보를 검색하는 데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 WWW 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소프트웨어  웹페이지 열기, 최근 방문한 URL 및 즐겨찾기 제공, 웹페이지 저장 웹 브라우저 종류  1993 년, 모자이크 (Mosaic)  1994 년, 넷스케이프 (Netscape)  1995 년, 인터넷 익스플로러 (Internet Explorer)  파이어폭스 (Firefox)  사파리 (Safari)  크롬 (Chrome) 34

크롬 (Chrome) 구글 크롬  빠른 속도가 장점이며 간결한 디자인으로 초보자도 쉽게 사용  악성코드 및 피싱 방지 기능을 사용하여 안전하고 보호된 웹 환경  35

사파리 (Safari) 애플 사파리  빠른 속도  모바일용 사파리 ( 아이팟, 아이폰, 아이패드 )  36

파이어폭스 (Firefox) 모질라 (Mozilla) 파이어폭스  사용자 편의를 위해 스마트 주소창, 탭 브라우징, 라이브 북마크, 통합 검색, 다양한 검색 엔진 지원 등을 제공  37

38 ( 참고 ) 네트워크 디몬과 네트워크 서비스 daemon=demon [ 발음확인 ] : 부팅시 시작되어 단일 태스크를 영원히 수행하 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 (Linux) xinetd ( /sbin/xinetd ) : master daemon $ /sbin/chkconfig [ --list ] # /sbin/chkconfig --add echo (root 만 수정 가능 ) (Unix) inetd (eye-net-dee) : master daemon [Solaris 9] /etc/inetd.conf 안의 서비스 요청 받으면 해당 daemon 의 사본 실행시키고 일이 끝나면 사멸시킴 ftp stream tcp nowait root /usr/sbin/in.ftpdin.ftpd telnet stream tcp nowait root /usr/sbin/in.telnetd in.telnetd shell stream tcp nowait root /usr/sbin/in.rshd in.rshd login stream tcp nowait root /usr/sbin/in.rlogind in.rlogind 등 [Solaris 10] smf (Service Management Facility) 로 대체, inetadm 으로 서비스 관리 (root 만 ) $ /usr/sbin/inetadm # /usr/sbin/inetadm – e talk 로 enable # /usr/sbin/inetadm – d talk 로 disable Unix/Linux

( 참고 ) 리눅스 방화벽 관리 방화벽 정지  # /sbin/service iptables stop 또는 # /etc/init.d/iptables stop 22 번 (ssh) 포트 개방  # iptables –I INPUT 1 -p tcp --dport 22 -j ACCEPT /*I( 아이 )*/  # iptables -I OUTPUT 1 -p tcp --dport 22 -j ACCEPT /*I( 아이 )*/ 23 번 (telnet) 포트 개방  # iptables –I INPUT 1 -p tcp --dport 23 -j ACCEPT /*I( 아이 )*/  # iptables -I OUTPUT 1 -p tcp --dport 23 -j ACCEPT /*I( 아이 )*/ 방화벽 시작  # /sbin/service iptables start 또는 # /etc/init.d/iptables start 39

핵심 개념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전세계적인 공 개 컴퓨터 통신망이다 ftp 혹은 sftp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telnet 혹은 ssh 명령어를 이용하여 원격 호스트에 접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 유틸리티  $ ping  $ nslookup  $ traceroute  $ route  $ ifconfig -a  $ arp -a  $ netstat -s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