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경제와 취업 전망 이건준 박사
일반 정치 현황 인도는 유권자가 약 7억 명에 이르는 세계 최대의 민주주의 국가임. 높은 문맹률과 극심한 빈부 격차에도 불구하고 자유 민주주의에 대한 의식이 일반화 되어 있음. 인도는 현재 28개의 주와 7개의 연방직할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정부와 주 정부로 이루어진 연방제 국가임. 주 정부에는 대통령이 임명하는 5년 임기의 주지사가 있지만 실질적인 권한은 주 의회의 다수당 에 의해 임명되는 주 수상이 장악하고 있음. 인도는 강력한 중앙정부에 의해 주 정부의 권한이 제 한되는 준 연방제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일당 지배 현상이 줄어든 1990년부터는 주의 자율권 이 확대되고 있음. 주 정부는 주의 법률에 따라 운영되기 때문에 구조가 다양하지 못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연방정부 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 기본적인 주 정부 서열은 주 수상, 각료회의를 구성하는 장관과 부의 장관, 차관 순서로 이루어 짐.
일반 정치 현황 인도의 사법부는 연방 대법원(Supreme Court of India), 주 최고법원(High Court), 지 방법원(Lower Court)으로 구성되는 3심제 임. 대법원은 인도 헌법과 법률에 대한 궁극적인 해석권을 가지며 대법원의 판결은 모든 법원 에 대해 구속력을 가짐. 대법원은 총리의 추천으로 대통령이 임명한 대법원장 및 13명 이 하의 대법원 판사로 구성되며 고등법원은 각 주 별로 설치되어 있음. 인도 의회는 인도 최고의 입법기관임. 인도의 의회 제도는 영국식 전통을 이어 받아 헌법 에 의해 하원(Lok Sabha, House of People)과 상원(Rajya Sabha, Council of States) 로 구성되어 있음. - 의회는 입법부 이외에 행정에 대한 통제, 예산심의 및 결정, 개발 계획, 국제 관계 및 국가 정책에 대한 심의의 기능을 가짐.
일반 정치 현황 - 상원은 각주 및 연방직할지 의회에서 선출되는 238명 및 대통령이 임명하는 12명, 총 250명으로 구성되며, 임기는 6년으로서 매 2년마다 3분의 1씩 교체됨. 상원은 예산관계 법안(Money Bill)을 제외하고는 하원과 동일한 권한을 갖고 있기는 하나, 상원의원들이 간접선거에 의해 선출됨으로써 각주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사람이 선출되기 보다는 각 주 정당세력에 따라 선출되는 것이므로 진정한 민의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 기도 함. - 인도 하원은 헌법에 따라 최대 552명까지 의원을 가질 수 있는데, 그 중 530명은 주를 대 표하여 국민이 직접선거로 선출하고 나머지 22명 중 20명은 연방직할지에서, 두 명은 앵 글로-인디언 회의(Anglo-Indian Community)에서 대통령이 임명함. 현재 하원의 정원 은 545명으로 이 가운데 543명은 직접선거로 나머지 두 명은 임명을 통해 선출하고 있음. 각 주의 의석은 미 10년마다 실시하는 인구조사에 의한 인구분포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배분됨.
일반 정치 현황 인도 의회는 독립 이후 국민회의당(Congress Party)는 네루, 인디라 간디, 라지브 간디로 이어지며 정원을 독점했으나 1990년대 이후 인도국민회의(INC: India National Congress)와 인도 국민당(BJP: Bharatiya Janata Party) 양대 정당과 군소 정당들이 합 종연횡하면서 지금까지 연립정부를 구성해 오고 있음. 현재 정부는 국민 회의당을 중심으로 한 연립정부 통일진보연합 (UPA: United Progressive Alliance) 으로 인도 정부는 점진적인 외국인직접투자 개방 정책을 펼쳐왔으며 최근 소매업 해외업체 개방 확대 법안을 추진하며 전격적인 경제 개혁안을 추진하고 있음. 현재 15차 의회의 정당별 구성현황을 보면 인도국민회의(INC: India National Congress) 가 207명, 인도 국민당(BJP: Bharatiya Janata Party)가 115명이며 나머지 의원들은 기타 37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있음.
일반 사회 현황 인도 사회는 언어, 종교, 민족 등에서 무수한 다양성을 보이고 있음. - 인도의 헌법에서 인정한 공용어는 총 22개에 이르며 인도 사회는 힌두교(80.5%), 이슬람교 (13.4%), 기독교(2.3%), 시크교(1.9%) 외 불교, 자이나교 등 다양한 언어와 종교가 한 국가 안에 공존하고 있음. - 인도의 다양성은 인도의 강점이자 인도를 위협하는 요소임. 특히 다종교 사회로서 코뮤널리즘 (Communalism)에 의한 대립이 나타나며 이는 인도의 통합을 저해하고 있음. * 인구 절반이 25세 이하이며 젊은 인구 층은 인도경제의 큰 경쟁력임. - 유엔 인구보고서(2011)에 따르면2011년 기준 인도 전체 인구의 평균 연령은 28세로 경쟁국 인 중국의 35세나 브라질의 31세보다 낮음. 또한 12억 인구의 절반이 25세 이하이며 2060년까 지 인구증가는 지속될 전망임. 특히 2020년에는 4억 2500만 명 이상이 근로 연령층에 속함. - 반면 중국은 2025년 인구 약 14억 명을 정점으로 점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인도 내 코뮤널리즘(Communalism)은 보통 힌두교와 무슬림과의 대립을 뜻함.
일반 경제 현황 인도의 경제규모는 1991년 ‘경제개방 정책’ 채택 이후 5년 간 매년 평균 6% 이상 성장하였으며, 최근 2005~2011년간 연평균 경제 성장률은 7.6% 를 기록함. - 골드만 삭스의 보고서(2012)에 의하면 2014년 인도의 성장률은 7.2%로 전망됨 최근 소매부분 외국인 직접투자 확대 등 지속적인 경제개혁은 향후 인도의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배경이 되고 있음. 2011년 구매력 기준 GDP(Gross Domestic Product)는 세계 3위 이며, 2050년 구매력 기준은 세계 2위, 시장 환율기준 3위로 전망 됨
일반 경제 현황 - 한국, 중국, 인도 GDP 성장률 비교 -
일반 경제 현황 12억 인구를 기반으로 내수 중심의 방대한 소비시장이 형성 되어 있음. 내수 중심의 소비시장으로 인해 낮은 대외 무역 의존도로 글 로벌 경기변동에 대해 상대적으로 둔감하게 반응함. 전체 12억 인구의 약 30%가 중산층에 해당하며 이들의 연평 균 소득은 15%이상 증가하고 있음. 2025년도에는 인도 인 구의 41%(약 5.8억 명)이 중산층에 해당될 것으로 전망
일반 경제 현황(산업구조) 인도는 IT산업 원동력을 기반으로 하여 발전된 서비스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보임. 인도 경제에서 산업별 비중을 보면 농업 18.1%, 제조업 26.3%, 서비스업 55.6%로 서비스 산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보이고 있음. 특히 인도의 IT산업은 인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성장했으며 현재 세계 2위 소프트웨어 수출국으로 세계적 으로도 우수하며 이는 인도 경제를 이끌어온 원동력임. 대표적인 인도의 IT기업은 TCS(TATA Consultancy Services), Infosys, Wipro, HCL 등이 있으며 2012년도 상반기 신용평가사인 피치에 의하면 인도의 2012년 IT시장 전망을 ‘안정적’으로 평가함.
일반 경제 현황(산업구조) 인도의 IT 산업은 1980년대부터 크게 3단계를 거쳐 시대별 변화를 거쳐옴. - 제 1단계는 현재 인도의 주요 IT기업을 태동시킨 1980년대 역외 아웃소싱 모델이며, 제 2단계는 1990년대 후반 인도를 세 계의 콜센터로 거듭나게 한 BPO(Business Process Outsourcing) 비즈니스 모델임. 제 3의 단계는 2002~2006년도 IT 기업들이 국내 기반을 굳히고 본격적인 해외 기업 인수에 나선 인도 IT 기업들의 글로벌화라고 볼 수 있음. - 그리고 최근 2010년부터 태동되는 4단계 변화는 인도 IT산업이 서비스 위주에서 제품 위주로 이동하고 있는 구조적인 변 화를 지칭하고 있음. 2010년 인도의 신생 IT기업 중 소프트웨어 제품 기업이 52% 비중을 나타내며 최초로 IT 서비스 기 업 수를 추월했으며, 2011년에는 월 평균 12~15개 신생 소프트웨어 기업이 등장함. - 인도 소프트웨어 협회(NASSCOM: The National Association of Software and Services Companies)의 통계에 따르면 2012년, 인도 IT-BPO산업의 수출 및 국내 매출 규모는 약 1010억 달러로 예상되며 이는 인도 GDP의 7.5%를 차지하는 비중임. 인도 IT 시장은 향후 수년간 세계 최고속 성장률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되며, 세계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까지 현재 대비 3배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한국기업 인도 주요 주 진출 현황 -삼성전자/ LG전자(노이다: 생산공장)/ 두산중공업/ 삼성중공업/삼성엔지니어링/롯데건설/포스코건설/현대모비스 등 -삼성엔지니어링/두산중공업 등 -미래에셋/대한항공/두산중공업/LG전자 공장 등 -포스코 일관 제철소 -대웅제약 연구소/ 현대자동차 연구소 법인 등 -우리은행/현대자동차 공장/ /삼성 제 2공장/ 글로비스 등 -로템/삼성SDS/ LG CNS /서울시 해외무역소
취업 전망 (한국기업 활동) 전자분야 :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인도 가전시장의 50%를 점유하고 있음. 특히 삼성전자 는 핸드폰 시장에서 매출 1위를 기록하고 있음. 삼성전자는 인도 전국에 R&D센터, 생산 공장 등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음. 이와 관련된 수도권 지역에 50여개의 한국업체가 인도에 동반진출하여 영업중임 자동차 분야 : 현대자동차가 인도 자동차 시장의 20%를 점유하고 있음. 이와 관련된 첸나 이 지역에 150여개의 한국업체가 인도에 동반진출하여 영업중임 발전 분야 : 두산중공업이 1조원 짜리 3개의 발전소 프로젝트를 수주하여 공사중임. 또한 2000-3000억원 짜리 발전소 리모델링 프로젝트를 5개 수주하여 공사중임. 이와 관련된 5개의 한국업체가 인도에 동반진출하여 영업중임
취업 전망 (한국기업 활동) 인퓨라 분야 : 삼성건설이 델리지하철 공사를 수주하여 공사중임. 또한 뭄바이 지역에 85 층 고층건물 공사를 수주하여 공사중임. 삼성건설은 년 2조원 규모의 건설수주를 목표로 지속적으로 인도에 투자하고 있음. 포스코건설이 인도정부 제철소 프로젝트를 수주하여 수행중임. 쌍용건설이 도로공사를 수주하여 수행중임 제철 분야 : 포스코가 년간 120만톤의 제철소 설립을 오리샤 지역에 추진하고 있음. 포스 코 그룹사들은 제련분야에 5개의 공장을 운영하고 있음. 포스코는 지속적으로 인도사업을 확장할 계획을 가지고 있음 엔진니어링 분야 : GS엔진니어링, SK건설, 두산중공업, 포스코건설, 벽산건설, 삼성엔진 니어링, 삼성중공업 등이 인도 수도권 지역에 엔진니어링 설계 센터를 운영중 임.
취업 전망 (한국기업 활동) 금융 분야 :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이 영업권을 취득하여 은행 업무를 수행중 임. 미래에셋이 제2금융권으로 영업을 수행중 임. 외환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 산업은행 등은 연락사 무소 형태로 활동하면서 인도투자진출을 모색하고 있음. 제약 분야 : SD 제약과 LG생명과학이 의학품 생산 및 판매 를 하고 있음. 인도 의약품 및 의료기기 사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취업 전망 (다국적기업 활동) 500여개의 크고 작은 한국기업이 인도에서 활동 중임. 이에 따라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비즈니스가 성장하고 있음 금융 분야 : HSBD Bank, SC Bank, City Bank 등은 Korea Desk를 설치하고 한국인 담당자를 채용하여 한국기업 서비 스에 나서고 있음 서비스 분야 : KPMG, E&Y, PWC, Deloitte 등의 회계법인들 도 Korea Desk를 설치하고 한국인 담당자를 채용하여 한국 기업 서비스에 나서고 있음
감사합니다 Blog.naver.com/junin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