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경제 및 경영환경 전망 2007. 2. 삼성경제연구소.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화 ) 주네덜란드대사관 (e)2013(e) GDP(%) 민간소비 (%) 투자 (%) 정부지출 (%)
Advertisement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 10 월 주식시장 전망 개인고객부 자산관리팀 월 중 주요 변수 ( 긍정적 요인 ) 주요국 증시의 긍정적 흐름 주요국 증시의 긍정적 흐름 지지선 확인 후 전 고점 돌파 기업실적 및 경제 호조 전망으로 상승 이중 바닥형성 후 상승 시도  서브프라임 이후 글로벌.
한국경제 : 전망과 과제 김 종 석 한국경제연구원 원장 ‥ 2 ‥ 한국 경제 ‘ 건강진단표 ’ 거시 경제 변수 2007 년 말 2008 년 3 월 말정상치 GDP 성장률 5.0%5.7%4.5% ~ 5.0% 실업률 3.2%3.4%3.0% 물가상승률.
하반기 석유시장 동향과 유가전망 이 달 석 (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현장에서 본 카자흐스탄 경제 동향 및 전망 알마티 무역관. 카자흐스탄 경제 관전포인트 ( 내부 )  정부 - 금년 4.26 일 대통령 선거 조기실시 => 차기 선거 2020 년 - 향후 5 년간 안정적 경제정책 추진 가능  개인 - 13 년까지는.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Google, Apple, Amazon 의 2012 년 2 분기 실적 분석과 하반기 전망  지난 7 월 대표 인터넷 기업 Google, Apple, Amazon 의 2012 년 2 분 기 실적이 발표된 가운데, 3 社 모두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증가했지만 실제 사업.
세계 스마트폰 시장 현황 및 당사 매출 분석 보고서 전략기획팀 이상훈 팀장.
2004 년 3/4 분기 경영실적 설명회 ( 금 ) 동부제강㈜. 본 자료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작성된 것으로 일부 내용은 회계감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재정적자 규모. 주요국 CPI 중국 수출에 밀접한 연관 경제지표일정 중국 2 월 물가지수 및 소매판매, 산업생산 미국 2 월 소매판매.
제 26 강 : 국제 수지 1 한국경제교육협회 일반인 표준 경제 개념 10. 국제 거래와 환율.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I I II III IV 목 차 I I 1. 인터넷의 어제와 오늘 Pre-Web 시대 Web 시대 Mobile & Social Internet 시대.
국제 석유시장 동향과 유가 전망 에너지경제연구원. 차 례 1. 국제유가 변동 추이 2. 최근 유가 급상승, 요인 진단 A. 석유실물시장 : 펀더멘털 B. 석유선물시장 : 투기수요 3. 결론 : 초고유가 지속의 배경 4. 하반기 유가전망.
2016 Weekly Stock Momentum Analysis Hanyang University Investment Club STOCKWARS 주간증시동향 ~ 3.17.
정부의 역할 –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POD&mid=tvh&oid=422&aid=
1 2. 시황 및 전망 ♦ 미국 금리인상 우려로 급락후 반등 과정  대형주 중심의 포트폴리오 수급이동이 KOSPI, KOSDAQ 의 극명한 수익률 차이를 보임.
경제 전망 IBK 경제연구소 세계경제 : 부활한 G1의 독주 자국 이익만 앞세운 통화정책으로 삐걱거리는 한 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국 자본시장의 변화 한양대 국제대학원 발표자료 동덕여대 중국학과 서봉교.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세계 석유시장 동향과 유가 전망 에너지경제연구원. I. 수요 동향 II. 공급 동향 III. 재고 동향 IV. 원유가 동향과 전망 차 례 1.
2003 년 ¼ 분기 경영실적 April, 본 자료는 2003 년도 ¼ 분기 실적에 대한 외부 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 서 투자자 여러분의 편의를 위하여 작성된 자료입니다. 본 자료의 내용 중 일부는 회계감사 과정에서 달라질 수 있음을 양지하여.
2006 년도 사업계획 주식회사 조이테크. I 년 환경분석 II. 경영방침 III. 주요 경영지표 목 차.
2 차 전지 성장성과 수익성은 지속 2010 년 IT 용 2 차 전지 시장은 전년대비 15% 성장 예상 스마트폰 및 넷북 수요 확대로 소형 2 차전지 수익성 지속 모멘텀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 확대 애플 아이폰 출시와 같은 스마트폰 수요증가 다음주 애플 테블릿 PC.
기획조정실 요청 정유선 연구원 제작 2015년 1월 경기도 경제동향 경기개발연구원 유영성 연구기획실장 경기개발연구원 유영성 연구기획실장.
회사소개.
부산경제미래포럼 년 우리경제 전망과 과제 한국은행 부산본부 박 이 락
베트남의 문화 & 경제 경영학과 김태성 경영학과 김시홍 벤쳐중소 전석곤 정통전공 송성식 전기공학 박주영 경제학과 서준영.
간밤 뉴~스.
시장 진단 이 슈 추 세 - 미국 경기 부양 의지 확인 - 한국 증시 재평가 지속 - IT 업종 반짝 상승!
기업경기 및 소비동향 전망조사 현황 통 계 청
2005년 경영 환경 전망 2004년 10월 19일 홍 순 영.
4. 금융의 국제화 가.국제화와 세계경제 (1)국제화와 세계경제의 변화
과거와 현재의 한미 동맹과 미래전 홍우현 김홍빈 강승민 이장희 임현철
제 3 장 유통 환경 1. 거시 환경 2. 소비자 변화.
국제석유시장 동향과 유가전망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기업전략 三 星 電 子.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및 하반기 전망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주요산업별 2004년 활동평가 및 2005년 전망 석유•석유화학산업.
거시경제학 강의 1 거시경제학에의 초대.
가계 부채가 늘어나는 진짜 이유는 따로 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박용호.
경제지수 리터당 휘발유 가격(원) 소비자 심리지수 현재경기 판단 취업기회 전망 미래경기 전망 리터당 휘발유값
계량분석에 의한 중동부유럽 경제위기 진단과 시사점
환율에 대하여 예비 9기 조영완.
/foreign/others/newsview ?newsid= 보도 : 미국 뉴욕타임스(NYT)
2004년 무역환경 및 수출입 전망 한국무역협회.
년 10월호 영업현황1p 주가동향 3p 알림 4p.
0000년 ¼분기 00영업부문 판매현황 및 목표 달성율 팀.
OECD 평균 한국
<토론> 미국 금리인상 및 중국 환율 평가절하 전망과 한국에 미치는 영향
서울건해산물㈜ 겸영사업 내용
2006년 국내경제 전망
2002 3/4분기 실적.
제8장 개방거시경제이론 제1절 주요개념 제2절 먼델-플레밍 모형 제3절 고정환율제도와 소규모 개방경제
한국의 경제성장율 추이 저출산율 (25 ~ 29, 단위 %) 임금과 노동생산성의 변화율
미래에 부자가 되는 길 행복한 미래를 만드는 기술자 김송호.
여행용 자동통역서비스를 위한 서버형 한국어 대화체 음성인식 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폐업·도산 사유로 고용보험을 상실한 근로자 자료 : 한국고용정보원 제조업 23.8 % 기 타 36.8 % %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한국의 물류현황 분석 한국 통운㈜ 김대현.
인터넷인가? 모바일인가? 아직 기회는 남아있는가?
년 11월호 영업현황1p 요약 재무제표 4p 주가동향 6p.
Bizforms PowerPoint 표준 신년도 사업계획서(제조) 원본 PPT 바로가기 >
2002년 상반기 기업설명회 Investor Relations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Signal vs. Noise 차 영 주 와이즈경제연구소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2016 한국은행 국정감사 추경호 국 회 의 원 (대구광역시 달성군).
Presentation transcript:

2007년 경제 및 경영환경 전망 2007. 2. 삼성경제연구소

목 차 I 2006년 하반기 경기 진단 II 2007년 경제 전망 III 2대 난기류 요인 IV 기업의 대응

2006년 하반기 경제성장세 둔화 경제성장률 : 5.7%(상반기)  4.1%(하반기) - 고유가, 원高 추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내수둔화로 성장세 약화 최근의 경기상승 모멘텀은 2006년 상반기를 정점으로 약화 조짐 【 분기별 경제성장률 및 민간소비 변화추이 】 (전년동기대비, %) 경제성장률 민간소비 -2.0 -1.0 0.0 1.0 2.0 3.0 4.0 5.0 6.0 7.0 2004 1/4 2/4 3/4 4/4 2005 2006 SERI-1

내수경기 부진이 주요 원인 하반기 중 소비는 증가세 둔화 하반기 중 수출은 한자리 수 성장세 - 상반기(4.6%)에 비해 둔화된 3.7% 증가 예상 가계부채 조정은 마무리 되었으나, 소비의 원천인 소득증가가 정체 - 소비심리가 2/4분기 이후 지속적으로 위축 2006년 3/4분기 소비자태도지수는 기준치(50) 이하인 45.4로, 前분기 대비 3.9p 하락 하반기 중 수출은 한자리 수 성장세 - 세계경제 둔화와 원화강세로 9.4% 증가에 그칠 전망 수출 증가율: 13.8%(상반기) → 9.4%(하반기) 주요 교역국의 경제성장세가 하반기는 감속성장으로 전환 (중국: 10.9% → 9.5%, 미국: 3.6% → 3.1%) - 원貨 강세로 인한 수출기업 채산성 악화 지속 SERI-2

목 차 I 2006년 하반기 경기 진단 II 2007년 경제 전망 III 2대 난기류 요인 IV 기업의 대응

작년도 전망의 回顧 【 2006년 경제전망 】 4.8% 980원 960원 5.5% 5.2% 65억弗 15억弗 2006년 전망 2006년 실현(추정) GDP 성장률 4.8% 환율 980원 960원 금리 (회사채수익률 AA-) 5.5% 5.2% 경상수지 65억弗 15억弗 SERI-3

한국 경제는 하향 안정세(?) 한국 경제의 성장률은 4%대로 수렴하는 추세 【 한국의 경제성장률 변화】 (?) 9.5 8.5 12.0 9.5 10.0 8.5 8.0 7.0 6.0 4.7 4.8 (?) 4.0 3.8 4.0 3.1 2.0 0.0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 -4.0 -6.0 -6.9 -8.0 SERI-4

목 차 2007년 경제 전망 세계경제 전망 2006년 하반기 경기 진단 3대 난기류 요인 기업의 대응 I II 국내경제 전망 산업별 전망 III 3대 난기류 요인 IV 기업의 대응

세계경제는 감속성장으로 전환 【 2007년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 】 2005년 2006년 (추정) 2007년 (전망) 세계 (단위 : %) 2005년 2006년 (추정) 2007년 (전망) 세계 미국 유로지역 일본 중국 동남아 러시아 3.6 3.2 1.3 2.6 9.9 5.8 6.4 3.7 3.3 2.1 2.4 10.2 5.9 6.0 3.3 3.0 1.9 2.1 9.4 5.6 5.7 SERI-5

세계경제 불균형과 환율갈등 세계경제 불균형에 대한 우려 통상마찰과 환율갈등 - 미국 경상수지 적자는 2000년 이후 급증 추세 GDP대비 경상수지 적자비율: 2000년 4.2% → 2005년 6.4% - 반면, 중국과 일본은 대규모 흑자 지속 GDP대비 경상수지 흑자비율(2005년): 중국 5.2%, 일본 3.6% 통상마찰과 환율갈등 - 미국이 중국에 대해 다각적인 압박을 가할 것으로 예상 위안貨 절상, 관세장벽 완화, 지적재산권 보호를 요구 - 환율 갈등 해소를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 필요성 제기 SERI-6

글로벌 과잉 유동성의 축소 글로벌 과잉유동성으로 자산가격 앙등 현상 과잉유동성 축소과정에 진입 - 장기간 저금리 기조 지속으로 글로벌 과잉유동성 발생 2001년 중반에서 2005년 중반까지 각국 정책금리 0%~3% 수준 유지 과잉유동성 축소과정에 진입 - 각국의 금리 인상으로 과잉유동성 축소 본격화 미국에 이어 EU, 일본 등이 금리 인상에 동참 【 미, 일, 유로지역의 금리인상 추이 】 단위: % 6 5.25% 5 미국 4 유로지역 3% 3 2 2005/11/30 1 2004/06/30 일본 0.25% 2006/07/03 2004 2005 2006 SERI-7

고유가의 지속 국제유가는 고공행진 지정학적 불안요인이 최대 변수 - 국제유가는 배럴당 55 弗 ~65弗 수준 (두바이油 기준) 국제 석유시장의 타이트한 수급상황으로 고유가 지속이 불가피 지정학적 불안요인이 최대 변수 - 이란 核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 강도 및 이란의 대응이 변수 나이지리아의 정치혼란, 이스라엘-레바논 충돌 등도 주목 대상 【 두바이油 연평균 가격 변화 】 (弗/ bl, %) 2004년 2005년 2006년(추정) 2007년(전망) 국제유가 33.7 49.4 66.2 55-65 상승률 27.6 46.6 34.0 - SERI-8

목 차 2007년 전망 국내경제 전망 2006년 하반기 경기 진단 2대 난기류 요인 기업의 대응 I II 세계경제 전망 산업별 전망 III 2대 난기류 요인 IV 기업의 대응

2007년 경제성장률 4.3% 경제성장률(%) 민간소비(%) 고정투자(%) 설비(%) 건설(%) 4.0 3.2 2.3 5.1 2005년 2006년 2007년 연간 상반기 하반기(추정) 연간(추정) 연간(전망) 경제성장률(%) 민간소비(%) 고정투자(%) 설비(%) 건설(%) 4.0 3.2 2.3 5.1 0.4 5.7 4.6 2.1 7.3 -1.9 4.1 3.7 2.4 6.4 -0.1 4.8 4.1 2.3 6.9 -0.9 4.3 3.7 2.9 5.7 0.9 소비자 물가(%) 2.7 2.4 2.9 2.7 2.9 실업률(%) 3.7 3.6 3.5 3.5 3.6 경상수지(억 달러) 166 -3 18 15 -45 수출증가율(%) 수입증가율(%) 12.0 16.4 13.8 19.4 9.4 12.9 11.5 16.0 8.3 10.1 회사채 수익률(%) 4.7 5.3 5.2 5.2 5.2 SERI-9

소비 증가세 둔화: 3.7% 증가 전년(4.1%)보다 증가폭 하락 - 소득의 정체 등 구매력 제약 실질 국민총소득은 2005년 1분기 이래 1% 내외의 증가세 지속 원高로 인한 수출기업의 채산성 악화도 임금인상폭을 제한 【 실질임금 상승률 변화추이 】 (%, 전년동기대비) 3.3 3.8 2.7 5.2 0.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전산업 실질임금 상승률 제조업 실질임금 상승률 SERI-10

투자 증가세는 정체 설비투자는 5.7% 증가 예상 건설투자 증가는 0.9%로 답보 - 내수와 수출 둔화로 2006년 수준(6.9%) 하회 민간소비 둔화로 非제조업체들의 설비투자 증가세가 약화 - 설비투자규모는 적정 수준 하회 전망 설비투자는 2000~05년간 연평균 1.1% 증가하면서 1990~97년간 평균 증가율 7.8%에 크게 미달 건설투자 증가는 0.9%로 답보 - 국내 건설수주액 감소세 지속 -9.7%(2006년 1/4분기) → -14.7%(2/4분기) - 공공부문 건설투자 소폭 증가 민자사업 추진 등으로 토목건설 완만한 증가세 2007년 하반기 중 국토균형개발 사업도 일부 착공예정 SERI-11

수출 증가세 한자리 수로 둔화 수출 8.3% / 수입 10.1% 경상수지 적자전환: 44.8억弗 수출 8.3% / 수입 10.1% - 고유가와 주요국 금리인상으로 세계경제의 둔화추세 지속 - 대중국 수출 증가율 감소 부품·소재 산업의 중국 이전 등으로 2006년 상반기 11.9%로 축소 【 총수출 및 對중국 수출 증가율 】 (단위 : %)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상 총수출 19.9 -12.7 8.0 19.3 31.0 12.0 13.8 對중국 수출 34.9 -1.4 30.6 47.8 41.7 24.4 11.9 중국수출비중 10.7 12.1 14.6 18.1 19.6 21.8 21.0 경상수지 적자전환: 44.8억弗 - 외환위기 이후 9년간 흑자였던 경상수지의 적자 전환이 예상 무역수지 흑자는 전년대비 41억弗 줄어든 100억弗 규모 해외여행, 유학연수 등으로 인해 서비스 수지는 185억弗의 적자 SERI-12

원/달러 환율 : 925원 글로벌 달러貨 약세 지속 위안貨 추가절상 원貨의 나홀로 강세 중단 【 주요 환율 전망 】 - 미국의 금리인상 중단, 미국경제 성장세 둔화, 대외 불균형 문제가 부각 반면, 일본과 유럽은 추가적인 금리인상이 예상 위안貨 추가절상 -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절상 압력과 중국정부의 경기과열 진정책 구사 원貨의 나홀로 강세 중단 - 경상수지 적자, 외국인 주식 순매도 지속 등으로 달러貨 공급우위기조 약화 - 글로벌 달러貨 약세는 그 동안 대폭 강세를 기록한 원貨보다 엔貨, 위안貨에 집중 【 주요 환율 전망 】 2004년 2005년 2006년(추정) 2007년(전망) 원/달러 1,144 1,024 960 925(+3.8%)* 엔/달러 108.1 110.3 114.2 105(+8.8%) 위안/달러 8.277 8.193 7.951 7.43(+7.0%) 달러/유로 1.244 1.258 1.31(+4.1%) SERI-13 * 괄호 안은 각 통화의 달러貨 대비 절상률

목 차 2007년 전망 산업별 전망 2006년 하반기 경기 진단 2대 난기류 요인 기업의 대응 I II 세계경제 전망 국내경제 전망 산업별 전망 III 2대 난기류 요인 IV 기업의 대응

IT 산업 : 반도체의 성장세 2006년 대비 수급전망 주요 이슈 정보통신 생산 : 4.8% 증가 수출 : 6.5% 증가 수출회복으로 생산이 성장세로 전환 신규서비스 수요 및 PC 교체수요 DMB, HSDPA, 와이브로 등 신규 서비스 윈도 비스타 출시로 PC 수요 증대 반도체 생산 : 11.5% 증가 수출 : 14.3% 증가 세계 메모리시장 성장세 - 2007년까지 15%대 성장 전망 D램은 공급부족, 낸드플래시는 공급 과잉 전망 가전 생산 : 0.9% 증가 수출 : 2.2% 증가 내수는 둔화, 수출은 소폭 회복 - LCD TV가 가전수출 회복세 주도 외국기업들의 국내시장 공략 강화 : SERI-14

주력 산업 : 내수부진, 수출로 활력 모색 2006년 대비 수급전망 주요 이슈 자동차 생산 : 4.3% 증가 수출 : 4.1% 증가 내수, 수출의 정체 일본 기업의 강세 지속 - 저가 보급형 수입차의 국내 공세 강화 조 선 건조량 : 9.1% 증가 건조량과 수주잔량에서 사상 최대 실적 호황의 지속으로 생산능력 확충 가속화 일본과 중국의 반격 - 대규모 시설투자, 설비증설을 진행 석유화학 생산 : 4.5% 증가 수출 : 8.5% 증가 수출물량이 내수를 능가 - 중국시장의 수입수요 지속으로 수출↑ - 섬유, 건설, 가전 등 전방산업의 수요부진으로 내수는 감소 경기하강, 高유가로 수익성은 저하 : SERI-15

서비스 산업 : 소비심리 위축으로 부진 2006년 대비 수급전망 주요 이슈 건 설 국내 : -2.0% 증가 해외 : 6.5% 증가 국내수주 감소, 해외수주 증가 SOC 투자규모는 소폭 감소 부동산 시장 안정과 규제완화 기대감 유 통 대형마트 : 8.2% 증가 백화점 : 3.4% 증가 대형마트와 인터넷쇼핑이 성장을 주도 백화점 약세, 재래시장 침체 시장성숙으로 인한 산업재편 - 까르푸, 월마트, 우리홈쇼핑(2006년) 문 화 방송 : 11.7% 증가 게임 : 12.7% 증가 신규 디지털 방송서비스 및 게임수출이 성장 주도 동영상 UCC* 콘텐츠의 부상 - 주요 포털의 동영상서비스 및 동영상 전문사이트 인기 : * UCC(User Created Content): 네티즌이 직접 제작한 콘텐츠 SERI-16

2007년 산업 전망 : 정보통신, 반도체 강세 【 2007 주요산업 생산증가율 전망 】 산업 2006년(추정) (단위 : %) 산업 2006년(추정) 2007년(전망) IT 산업 정보통신 반도체 가전 -0.4 7.9 1.4 4.8 11.5 0.9 주력산업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4.5 15.0 3.7 4.3 9.1 서비스산업 건설 유통 문화 -1.4 4.6 10.6 -2.0 4.2 9.7 주 : 조선은 건조량, 건설은 국내수주, 유통과 문화산업은 전체 평균 SERI-17

목 차 2대 난기류 요인 2005년 하반기 경기 진단 2007년 전망 기업의 대응 I II III 美國경제 硬착륙 여부 北韓 核문제 악화 IV 기업의 대응

1. 미국경제 硬착륙 여부 현재 미국경제는 ‘軟착륙’ vs ‘硬착륙’의 岐路 硬착륙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 - 미국경기가 하강국면에 진입했다는 것은 전문가의 컨센서스 2006년 1Q에 정점을 찍고, 2Q 이후 하강국면에 진입 - ‘軟착륙’이냐, ‘硬착륙’이냐를 놓고 논쟁이 가열(2007년 성장전망치) 시티(3.1%), CSFB(3.1%) vs. JP모건(2.8%), 메릴린치(2.3%) → 아직까지는 軟착륙에 더 많은 공감대 硬착륙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 - 금리 상승으로 인한 가계소비 위축 - 주택버블의 붕괴 가능성 부동산 가격하락은 逆자산효과(negative wealth effect) 초래 - 高유가의 지속 SERI-18

1. 미국경제 硬착륙 여부 (계속) 미국경제가 硬착륙할 경우, 한국 경제는 3%대 성장 Base Worst 3.3% 세계 미국 성장률이 2.3∼2.5%으로 급락  세계경제는 2.7%로 동반하락  한국경제는 3.9% 성장 미국경기 급락  세계 각국의 對美 수출 둔화  세계경제 성장세 둔화  한국의 수출둔화  한국의 경제성장세 둔화 Base   Worst 3.3% 세계 2.7% 3.0 미국 2.3∼2.5 1.9 유로지역 1.6 2.1 일본 1.8 9.4 중국 8.8 4.3 한국 3.9 SERI-19

2. 북한 核문제 악화 6者 회담은 5차 회담(2005.11) 이후 교착상태가 지속 - 미국(先 핵포기)과 북한(先 체제보장)의 입장이 대립 - 북한 달러 위폐, 돈세탁에 대한 미국의 금융제재가 새로운 걸림돌 북한(금융제재 해제 6자회담 선결조건) vs 미국(제재, 核은 별개) 추가 미사일 발사 및 핵실험 강행, 추가제재의 악순환 - 북한은 부시 행정부와 협상에 대해 기대하지 않는 분위기 - 核실험을 통해 ‘核보유 군사강국 북한’의 기정사실화를 기도할 경우, 과거와는 차원이 다른 위협 안보 리스크 확대 시 소비와 투자심리는 냉각, 환율 및 주가는 약세로 반전 SERI-20

목 차 I 2006년 하반기 경기 진단 II 2007년 전망 III 2대 난기류 요인 IV 기업의 대응

경영환경의 새로운 분수령, 2007년 미국 경제의 硬착륙 여부 韓美 FTA 타결? 대선 정국 1987년 1997년 2007년 10년 주기 1987년 1997년 2007년 (민주화 시작) (외환위기 발발) (?) 미국 경제의 硬착륙 여부 韓美 FTA 타결? 대선 정국 SERI-22

顯在的 리스크에 대한 대비 노사관계에 대한 준비 한미 FTA 체결에 대비 복수 노조 시대에 대비 현장완결형 체제: 현장관리자의 조직관리 역량 제고 교육 및 근무여건 개선 등을 통한 우회적 대응책 마련 한미 FTA 체결에 대비 기업지배구조, 투명성 등 제도적 이슈에 대한 대응책 마련 서비스 시장 개방으로 인한 시장환경 변화에 대비 SERI-23

지속성장을 위한 체질 확보 미래 신 사업 발굴을 위한 체제 정비 글로벌 M&A의 전략적 활용 가능성 검토 樹種사업 발굴을 1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상시화, 일상화 외부의 혁신기술 수용채널 다양화 롱테일의 법칙 혁신의 기회 탐색 글로벌 M&A의 전략적 활용 가능성 검토 보수적인 일본기업 조차도 M&A로 선회(도시바 등) 신 성장동력 및 역량 확보를 위한 도구로서 적극적인 활용을 검토 SERI-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