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ot File System 충북대학교 지능로봇연구실.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Linux1 Linux 개요 Linux 방문하여 홈페이지 등록하기 Vi 편집해 보기. Linux2 개요  Linux 란 ? 1991 Linus Benedict Torvalds 가 만든 Unix 의 한 버전 GNU(GNU is Not Unix) » 프로그램이나 정보의.
Advertisements

1/15 16 기 장영일 Ext File System. 2/15 처음에 Minix 가 사용되었다 ( 제약사항 ) 최대로 저장할 수 있는 파일의 크기 – 64M : 16bit 정수로 블록 주소 지정 -> 1024( 블록 기본 사이즈 ) * (2^16) = 64M.
Geek-OS 단국대학교 정영진 Geek-OS 설치 및 개발환경구축 정영진
SPARCS 10 이 가 영 기본 UNIX 명령어. 일단 로그인 ! Linux login 시 계정을 입력하거나 root 를 입력 Root -> # 일반 사용자 -> $ 패스워드 : echo 기능을 꺼서 볼 수 없다. 대소문자 구분 패스워드 처음 설정 시 : ~$ passwd.
Embedded System Lab. II GUI Programming in Embedded Linux 경희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조 진 성.
2013 년 2 학기 임베디드 프로그래밍. 권장사양  HOST PC 권장사항  리눅스 배포판이 설치된 PC - 권장 배포판 : Asianux open edition3 ( 라곤 하지만 Ubuntu, Fedora, CentOS 등 다양한 리눅스 프랫폼이 가능 )  PC.
KAIST 09 SPARCS 10 안재만 (Kuss).  OS  Kernel & Shell  OS Layer  Linux  Linux / GNU  Linux 역사  Linux 배포판  Linux Directories.
성결 어린이 영등포교회 유년부 정답은 뒷면에 제 11-31호 2011월 8월 14일 어디로 가세요?
Managing Filesystems, Swap Space, and Devices
기업복지컨설팅 전산 교육
Ⅵ. 빛(단원학습목표).
조교: 컴퓨터 응용 실험 컴퓨터공학 연구실 2005년 11월 10일
강 명 수 쉘 관리 강 명 수
Distributed and Cloud Computing Lab. Embedded System Software 개발 환경 설정 Dep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1.
개발 환경 설치 Embedded System Software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환경 (1) Lecture #3.
시작부터 끝까지 진지한 궁서체로 진행하는 완벽한 주입식의 하드코어한 리눅스/장난감 세미나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을 위한 리눅스 환경설정.
U-boot(Universal Bootloader)
통로이미지㈜ 마케팅실 신입/경력 모집 ◎ 모집부분 및 자격요건 ◎ 채용인원 ◎ 전형절차 ◎ 제출서류 ◎ 연봉 ◎ 사전인터뷰
Linux University of Seoul Computer Science Park Jong wook
컴퓨터 네트워크 실습.
제6장 FUSING.
Cross Compiler를이용한 커널 컴파일 및 포팅
PXA270 개발환경 설정 Ubuntu 실습용.
개발 환경 개발 환경 개요 PXA270과 타겟 시스템 툴체인 환경 구축 JTAG 유틸리티 미니컴 Make 유틸리티
크로스 컴파일 환경 구축.
NFS, FTP coearth, george.
cafe.naver.com/embeddedcrazyboys
제16장 QT/Embedded.
제4장 Cross Compiler 설치.
Geek OS Setup 정범종
Minicom,tftp,nfs설정,vnc설정
FUSING.
임베디드 프로그래밍 Lecture #
디바이스 드라이버.
1 유닉스 시스템 프로그래밍 개요.
강 명 수 소프트웨어 관리 강 명 수
Tftp, nfs, samba 실습 임베디드 시스템 I.
[beginning] Linux & vi editor
Linux 9.X 기초에서 활용까지 Chapter 09 쉘(Shell).
유닉스 이론과 실습 √ 원리를 알면 IT가 맛있다 컴퓨터정보계열 이광규.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의 기본 개념 강의 목표 내용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의 기본 개념과 주제 제시 1. 임베디드 시스템
목차 커널의 개념 및 기능 커널 포팅 램디스크.
Development Environment of Embedded System : part 1
Linux 9.X 기초에서 활용까지 Chapter 07 프로세스 관리.
IPython Notebook + Spark + TensorFlow on Linux
UNIX Unbounded A Beginning Approach
컴퓨터 네트워크 실습.
영덕풍력발전단지 준공 기념식 행사(안) 경영기획실.
임베디드 시스템 개론 3주차 Embedded System..
Embedded System Porting (2)
Geek OS.
리눅스 명령어 실습 임베디드 시스템 I.
제2장 유닉스/리눅스 사용.
Geek-OS Project 정영진
Crontab.
실시간 자원 량 정보 제공을 결합한 Heartbeat
Mips cross compile OS LAB.
7장: 빛의 간섭과 회절 빛의 간섭 단일슬릿과 회절 회절격자 – 더 선명해진 간섭무늬.
2018 봄학기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CSE
리눅스: Lecture 1 강의개요 중앙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손 봉 수 교수.
Appendix. WURFL 브라우저 살펴보기
4장 서버 구축을 위해 알아야 할 핵심 개념과 명령어
유닉스 개요 및 기본 사용법 ㅎㅎ 유닉스 개요 유닉스 시스템 접속 방법과 명령 사용법.
운영체제 RaspberryPi Sejin Oh.
Unix 방문(접속하여 로그인) 하기 수퍼 유저 되어 사용자 계정 만들기 Unix의 아파치 웹 서버에 홈페이지 등록하기
Telnet 을 활용한 Linux 메뉴얼 오두환.
임베디드 리눅스 설치 및 동작 Lecture #5.
Intelligent software Lab. 전재원
Presentation transcript:

Root File System 충북대학교 지능로봇연구실

ROOTFILESYSTEM 1. Linux의 File System 2. Shell Intelligent Robots Laboratory 10. 27. 14 1. Linux의 File System Root(/)를 기초로 하는 트리 구조의 filesystem 비 UNIX계통 OS에서 각각의 filesystem이 드라이브 숫자나 이름으로 구별됨과 대비 물리적인 실제 filesystem을 Virtual File System(VFS)인터페이스 계층을 통해 다루어 운영체제 의존에서 분리 저장장치 뿐 아니라 장치의 자원을 모두 파일시스템으로 표현 커널 내부 작업을 볼 수 있도록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proc filesystem을 생성 2. Shell 상용자의 명령어를 해석하고 커널이 알아들을 수 있게 지시 종류 : Bourne shell(sh), bash, c shell(csh), Korn shell(ksh)

ROOTFILESYSTEM 1. Linux Filesystem의 구성 Intelligent Robots Laboratory 10. 27. 14 1. Linux Filesystem의 구성

ROOTFILESYSTEM 1. Root 비밀번호 설정 2. Busybox Intelligent Robots Laboratory 10. 27. 14 1. Root 비밀번호 설정 $sudo passwd 사용할 root계정의 비밀번호 입력 $sudo mkdir /opt/toolchain $sudo cp -R ~/toolchain/* /opt/toolchain $su #vim ~/.bashrc export PATH=$PATH:/opt/toolchain :wq #source ~/.bashrc #exit Linux Module Utilities -> Simplified modutils 체크 해제 #make #make install (INSTALL_PATH설정값에 유의.) _install 디렉터리가 있는지 확인 2. Busybox $mkdir rfs && cd rfs $tar xvjf busybox-1.22.1.tar.bz2 $cd busybox-1.22.1 vim Makefile … CROSS_COMPILE ?= -> CROSS_COMPILE = arm-linux-gnueabi- … INSTALL_PATH = ./ :wq #make defconfig #make menuconfig

ROOTFILESYSTEM 3. Busybox를 이용한 Root filesystem 만들기 Intelligent Robots Laboratory 10. 27. 14 3. Busybox를 이용한 Root filesystem 만들기 $cp -dpR /dev/tty3 dev $cp -dpR /dev/tty4 dev $cd .. $umount mnt_ram/ $gzip ramdisk $dd if=/dev/zero of=ramdisk bs=1k count=8192 $mke2fs ramdisk $mkdir mnt_ram $mount -o loop ramdisk mnt_ram $cp -dpR busybox-1.22.1/_install/* mnt_ram/ $cd mnt_ram $mkdir lib dev $cp -dpR /opt/toolchain/arm-linux-gnueabi-gcc/arm-linux-gnueabi/libc/lib/arm-linux-gnueabi/l* lib/ $cp -dpR /dev/null dev $cp -dpR /dev/console dev $cp -dpR /dev/tty2 dev 4. smdk-usbdl를 이용한 로드 환경에 맞는 smdk-usbdl 준비 예시 - $sudo cp /home/a/Downloads/dltool/smdk-usbdl /usr/bin/ 타겟보드 u-boot에서 dnw명령어 사용 SM7S4412# dnw 50000000 ramdisk 로드 $smdk-usbdl –f ramdisk.gz –a 0x50000000 커널 부트 파라미터 설정 SM7S4412# setenv bootargs console=ttySAC0,115200n81 root=/dev/ram0 rw ramdisk=8192 initrd=0x50000000,8M mem=512M rdinit=/sbin/i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