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년 국내외 경제전망 및 기업에의 시사점 2007.11..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수출 ( 이전기업 ), 용역수출 ( 외국인면세점 ) 도 포함하는 광의 개 념 수출 ( 이전기업.
Advertisements

( 화 ) 주네덜란드대사관 (e)2013(e) GDP(%) 민간소비 (%) 투자 (%) 정부지출 (%)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 10 월 주식시장 전망 개인고객부 자산관리팀 월 중 주요 변수 ( 긍정적 요인 ) 주요국 증시의 긍정적 흐름 주요국 증시의 긍정적 흐름 지지선 확인 후 전 고점 돌파 기업실적 및 경제 호조 전망으로 상승 이중 바닥형성 후 상승 시도  서브프라임 이후 글로벌.
한국경제 : 전망과 과제 김 종 석 한국경제연구원 원장 ‥ 2 ‥ 한국 경제 ‘ 건강진단표 ’ 거시 경제 변수 2007 년 말 2008 년 3 월 말정상치 GDP 성장률 5.0%5.7%4.5% ~ 5.0% 실업률 3.2%3.4%3.0% 물가상승률.
현장에서 본 카자흐스탄 경제 동향 및 전망 알마티 무역관. 카자흐스탄 경제 관전포인트 ( 내부 )  정부 - 금년 4.26 일 대통령 선거 조기실시 => 차기 선거 2020 년 - 향후 5 년간 안정적 경제정책 추진 가능  개인 - 13 년까지는.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Google, Apple, Amazon 의 2012 년 2 분기 실적 분석과 하반기 전망  지난 7 월 대표 인터넷 기업 Google, Apple, Amazon 의 2012 년 2 분 기 실적이 발표된 가운데, 3 社 모두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증가했지만 실제 사업.
세계 스마트폰 시장 현황 및 당사 매출 분석 보고서 전략기획팀 이상훈 팀장.
우리회사의 경영상태는 ? Ⅰ Ⅰ 4/ 주요 경영성과 지표 ’10 년 ’11 년 ’12 년 ’13 년비고 자기자본 별무변동 부채 ↑ 매년 점증 자산 성장세 미약 매출액
제 26 강 : 국제 수지 1 한국경제교육협회 일반인 표준 경제 개념 10. 국제 거래와 환율.
신흥시장국가의 경제전망 및 리스크 이장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국제 석유시장 동향과 유가 전망 에너지경제연구원. 차 례 1. 국제유가 변동 추이 2. 최근 유가 급상승, 요인 진단 A. 석유실물시장 : 펀더멘털 B. 석유선물시장 : 투기수요 3. 결론 : 초고유가 지속의 배경 4. 하반기 유가전망.
2016 Weekly Stock Momentum Analysis Hanyang University Investment Club STOCKWARS 주간증시동향 ~ 3.17.
정부의 역할 –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POD&mid=tvh&oid=422&aid=
1 2. 시황 및 전망 ♦ 미국 금리인상 우려로 급락후 반등 과정  대형주 중심의 포트폴리오 수급이동이 KOSPI, KOSDAQ 의 극명한 수익률 차이를 보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국 자본시장의 변화 한양대 국제대학원 발표자료 동덕여대 중국학과 서봉교.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글로벌 유동성 상황과 국제금융계의 시각 한국은행 금융안정분석국 안정분석팀장 김일환.
2 차 전지 성장성과 수익성은 지속 2010 년 IT 용 2 차 전지 시장은 전년대비 15% 성장 예상 스마트폰 및 넷북 수요 확대로 소형 2 차전지 수익성 지속 모멘텀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 확대 애플 아이폰 출시와 같은 스마트폰 수요증가 다음주 애플 테블릿 PC.
기획조정실 요청 정유선 연구원 제작 2015년 1월 경기도 경제동향 경기개발연구원 유영성 연구기획실장 경기개발연구원 유영성 연구기획실장.
부산경제미래포럼 년 우리경제 전망과 과제 한국은행 부산본부 박 이 락
최근 경제 상황 및 전망 조 동 철 KDI.
베트남의 문화 & 경제 경영학과 김태성 경영학과 김시홍 벤쳐중소 전석곤 정통전공 송성식 전기공학 박주영 경제학과 서준영.
목 차 글로벌 금융위기의 배경 미국 및 각국의 정책대응 세계경제에 대한 영향 우리경제에 대한 영향 금융위기의 향후 전망
세계시장 탐방 제 1 강 Introduction 우리나라 수출입동향 무역학과 고중현 교수.
광주전남본부장 제주경제와 관광포럼 글로벌 및 한국 경제, 그리고 제주경제 전망 본부장 박성준.
주간 자산관리 전략( ) Wealthcare센터 서경덕 차장.
간밤 뉴~스.
‘옐런효과’로 보는 양적 완화 공지현, 강영아.
시장 진단 이 슈 추 세 - 미국 경기 부양 의지 확인 - 한국 증시 재평가 지속 - IT 업종 반짝 상승!
기업경기 및 소비동향 전망조사 현황 통 계 청
국제석유시장 동향과 유가전망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기업전략 三 星 電 子.
GNP/GDP 국민계정.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및 하반기 전망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2011년 경제전망 목차 Ⅰ. 세계경제의 흐름 Ⅱ. 국별 경제전망 Ⅲ. 국내 경제전망
거시경제학 강의 1 거시경제학에의 초대.
준비없는 대출금 창업 – 교육강화 ㆍ 재취업할 일자리제공
가계 저축률 : /kh_news/khan_art_view.html?artid
가계 부채가 늘어나는 진짜 이유는 따로 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박용호.
경제지수 리터당 휘발유 가격(원) 소비자 심리지수 현재경기 판단 취업기회 전망 미래경기 전망 리터당 휘발유값
계량분석에 의한 중동부유럽 경제위기 진단과 시사점
환율에 대하여 예비 9기 조영완.
2004년 무역환경 및 수출입 전망 한국무역협회.
제19장 솔로우 모형 제1절: 인구가 일정하고 기술진보가 없는 경우 제2절: 인구가 증가하는 경우
빅맥지수와 GDP per capita 의 상관도
년 10월호 영업현황1p 주가동향 3p 알림 4p.
제16장 투자 제1절 토빈의 q이론 제2절 옵션이론 제3절 건축투자 제4절 재고투자 제5절 맺음말.
<토론> 미국 금리인상 및 중국 환율 평가절하 전망과 한국에 미치는 영향
기술보증기금.
제4장 세계화 이슈 제1절 세계화와 빈곤 제2절 세계화와 환경 제3절 세계화와 노동 제4절 세계화와 지역화 논쟁.
2006년 국내경제 전망
2002 3/4분기 실적.
제8장 개방거시경제이론 제1절 주요개념 제2절 먼델-플레밍 모형 제3절 고정환율제도와 소규모 개방경제
㈜엔프라넷.
한국의 경제성장율 추이 저출산율 (25 ~ 29, 단위 %) 임금과 노동생산성의 변화율
폐업·도산 사유로 고용보험을 상실한 근로자 자료 : 한국고용정보원 제조업 23.8 % 기 타 36.8 % %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한국의 물류현황 분석 한국 통운㈜ 김대현.
년 11월호 영업현황1p 요약 재무제표 4p 주가동향 6p.
Bizforms PowerPoint 표준 신년도 사업계획서(제조) 원본 PPT 바로가기 >
2002년 상반기 기업설명회 Investor Relations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 2018년 1/4분기 성과평가보고서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 2018년 2/4분기 성과평가보고서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
Signal vs. Noise 차 영 주 와이즈경제연구소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2016 한국은행 국정감사 추경호 국 회 의 원 (대구광역시 달성군).
Presentation transcript:

‘08년 국내외 경제전망 및 기업에의 시사점 2007.11.

I.우리 경제 주요 이슈 저성장에서 벗어날까? 수출 호조 지속되나? 내수 회복은 언제? 지난 5년간 평균성장률 6~7%대 성장 가능할까? 성장 동인은? 수출 호조 지속되나? 최근의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은 우리 경제에 어떤 의미? 향후 환율의 움직임과 영향 내수 회복은 언제? 내수 회복의 동인, 속도 및 강도 투자는 살아날까?

세계경제 호황과 무역활성화 세계 경제성장률과 무역신장률 2002년 대비 2006년 수출증가요인 분해 2002년 2006년 증분 세계교역(억달러) 64,281 12,0576 56,295 한국수출(억달러) 1623 3321 1698 한국점유율(%) 2.5 2.8 0.3 점유율변화 요인 (억달러) 278(16.3%) 세계수요 요인 (억달러) 1421(83.7%) 세계경제성장률 세계무역신장률 한국수출증가율 19.2 17.0 15.8 13.1 12.2 9.0 7.1 6.5 4.9 4.3 3.3 3.3 주: 1. 점유율 변화요인=2006년 세계수입*(2006년 한국의 점유율-2002년 한국의 점유율) 2. 세계수요요인=2002년 한국의 점유율*(2006년 세계수입-2002년 세계수입) 1980년대 1990년대 2000~2006 2003~2006

개도국이 세계경제 성장 견인 9 서브프라임 쇼크 8 개도국 7 IT주가 폭락 아시아 위기 6 S&L 위기 5 세계 4 3 (%) 9 서브프라임 쇼크 8 개도국 7 IT주가 폭락 아시아 위기 6 S&L 위기 5 세계 4 3 선진국 2 1 1985 1988 1991 1994 1997 2000 2003 2006 주 : 2007년은 LG경제연구원 추정치

원화절상 폭 상대적으로 커 주요국 수출증가율과 통화절상률 10 브라질 러시아 8 캐나다 호주 6 아일랜드 한국 인도네시아 4 통화절상률(%) 10 브라질 러시아 8 캐나다 호주 6 아일랜드 한국 인도네시아 4 2 인도 프랑스 폴란드 독일 수출증가율(%) 5 10 15 20 노르웨이 25 30 35 -2 스위스 싱가포르 중국 미국 -4 일본 -6 주 : 1. 2003~2006년 연평균 변화율 기준 2. 통화절상률은 실질실효환율 기준임.

원화절상에 대한 기업의 대응 수출가격으로 전가하기보다는 비용으로 흡수 → 수출 채산성 악화 주요산업의 급속한 생산성 향상으로 단가 하락 개도국 수출확대 및 생산기지 활용 수출의 고부가가치화?

원화절상 대응(contin.) 원달러환율, 원엔환율, 수출단가지수 추이 180 600 수출단가지수(←) 160 800 140 120 1,000 100 1,200 80 60 1,400 원달러 환율(→) 40 1,600 20 1,800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7

원화절상 효과(contin.) 수출기업과 내수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 추이 14 12 10 수출기업 8 6 내수기업 4 2 (%) 14 12 10 수출기업 8 6 내수기업 4 2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주: 수출기업은 매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50% 이상인 기업 자료: 한국은행

원화절상 효과(contin.) 시나리오별 매출액, 영업이익, 수입중간재비용, 매출액영업이익률 2002년 시나리오1 시나리오 2 2006년 매출액(조 원) 159.3 169.5 180.3 294.3 영업이익(조 원) 16.1 -5.6 5.2 15.7 수입중간재(조 원) 34.9 26.6 54.9 매출액영업이익률(%) 8.1 -3.3 2.9 5.3 주: 시나리오 1은 2002년 경영실적치에서 원달러 환율이 2006년 평균값으로 바뀌고 다른 조건은 그대로라고 가정했을 때의 수치임. 시나리오 2는 시나리오 1에서 수출가격이 2006년 수준으로 높아졌을 때의 수치임. 자료: Kis Value 상의 상장·등록업체 중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50% 이상인 404개 기업

원화절상 효과(contin.) 주요 산업 경영성과 변화 수출가격(%) 매출액(%) 영업이익(%) 매출액영업이익률(%p) 섬유 15.7 -32.2 -196.1 -7.1 봉제의복 -6.1 17.2 -18.5 -1.3 정유 155.0 96.8 779.7 4.9 화학 75.0 31.9 -22.6 -2.9 철강 100.7 91.7 225.0 3.8 기계류 -7.3 108.4 149.6 1.3 컴퓨터 -27.2 -36.0 -* 3.1 전기 50.5 67.1 -18.8 -3.5 전자 -35.6 55.9 -5.7 -4.6 자동차 18.1 37.6 -23.8 조선 63.2 13.3 -1.6 전체 24.5 57.8 -2.7 주: 2002년 대비 2006년 연평균 변화율 기준.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2006년 수치에서 2002년 수치를 뺀 값임. *컴퓨터 산업의 영업이익은 2002년 –에서 2006년 +로 전환 자료: Kis Value 의 원자료를 바탕으로 계산

Ⅱ.향후 우리 수출 여건은? 2008년 세계경제 성장률 둔화 → 미국, EU 등 대부분 국가들의 성장률 둔화 예상 서브프라임 사태의 영향 개도국에 대한 전염효과 환율

세계경제-서브프라임 사태의 영향 주가회복에도 불구 금융불안 아직 해소되지 않아 미국 신용스프레드 유럽의 단기 금융시장 여전히 불안 2.5 6 은행간 단기금리(유로) 5 2.0 비우량회사채 4 1.5 3 1.0 우량회사채 2 0.5 1 0.0 2004 2005 2006 2007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세계경제-서브프라임 사태의 영향(contin.) 이번 위기는 글로벌 경기 호조기에 발생 1986년 S&L 사태 당시 미국은 경기 둔화 국면, 1998년 LTCM 파산 사태 당시 아시아 외환위기, 러시아 모라토리엄 선언 등으로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고조 미국의 적극적 금리 인하, 유동성 공급, 모기지 대출에 대한 정부 보증 확대 금리 인상 추세였던 일본·유럽의 8, 9월 정책금리 동결, 유럽의 유동성 공급 금융 당국이 적극적으로 대응 중 미국 주택경기 조정 상당기간 이어질 수 있어 선행지표인 신규 주택 착공 허가 증가율이 1990년대 초반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고 주택 재고 역시 S&L 사태 이후 가장 큰 폭 증가 정책금리 조정으로 모기지 연체율이 변화하는데 1년 정도의 시차가 존재. 적어도 내년 상반기까지는 모기지 연체율이 크게 낮아지기 어려움. 금리인하 효과 반영되는데 시차 존재 그러나…

세계경제-서브프라임 사태의 영향(contin.) 영국 등 유럽을 중심으로 모기지 위기 재발될 가능성 상대적으로 높아 미국보다 높은 주택가격 상승률 (%) 주택가격 상승률이 영국보다 높은 국가들 (%) 영국 폴란드 33.0 덴마크 10.5 노르웨이 미국 3.1 리투아니아 불가리아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아일랜드 스웨덴 미국보다 취약한 가계의 부채상환능력 (%) 에스토니아 스페인 가처분소득 대비 모기지대출 비율 모기지대출 중 변동금리 비중 프랑스 9.0 캐나다 8.4 104.8 39 호주 8.3 77.8 33 영국 7.5 영국 미국 영국 미국 주 : 2006년 말 기준, 전년대비 증가율

세계경제-성장 패턴의 변화 금융불안의 발생 메카니즘 글로벌 실물경제 흐름 긍정적 효과 개도국 미국, 유럽 부정적 효과 기술 이전 저물가 저금리 고성장 개도국 직접투자 미국, 유럽 투자 확대 생산성 증대 소비 확대 부정적 효과 글로벌화 확산 선진국 가계부채 증가 글로벌 유동성 확대에 따른 자산가격 급등 경상수지 적자 개도국 자산가격 급등 투자 과열 생산 증대 저금리 물가안정 수입 증대 수출 확대

세계경제-성장 패턴의 변화(contin.) 세계경제 흐름의 변화 서브프라임 위기의 의미 실물경제 파급경로 글로벌 유동성 확대 및 자산가격 급등이라는 금융적 현상이 소비수요 확대, 주택건설 경기 촉진 등을 통해 수요 측면에서 고성장에 기여 이러한 금융적 현상들이 성장을 가속시키보다 오히려 실물경기를 제약 당분간 선진국 소비위축에 따른 수요기반 약화 예상 ⇒ 세계 수요기반 확보가 향후 세계경제 고성장 지속의 관건 부동산시장 침체, 가계대출 위축으로 선진국의 소비둔화 미국은 경기조정기, 경기둔화의 폭이 깊고 기간도 길어질 전망 선진국의 소비위축으로 개도국 등 교역대상국의 수출둔화, 글로벌 수요기반 약화 다만 ‘선진국 소비-개도국 투자’의 순환구조 중에서 저축초과 상태인 개도국들의 투자 증가세는 지속될 여지가 있음. ⇒ 선진국의 부진을 개도국이 보완하는 성장구조 예상

세계경제-성장 패턴의 변화(contin.) 부동산 경기 및 소비 위축으로 미국경제 저성장은 당분간 지속 주택경기와 소비 동향 가계저축률 및 부채상환 비율 (%) (%) (%) 80 4 HMI(←) 15 14 가처분소득대비 부채상환 비율(←) 14 12 60 3 10 13 8 40 2 12 6 가계소비 증가율(→) 11 20 1 4 10 가계저축률(→) 2 9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8 -2 주 : HMI(Housing Market Index)는 건축업자 대상 조사 주택시장 평가 지수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미국 주택가격 상승 기대심리의 약화, 주택 금융기관 부실 등으로 주택가격 하향세 전망. UCLA 앤더슨 연구소는 미국 주택가격이 지난해 대비 10~15% 하락할 것으로 예상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역의 자산효과, 모기지 금리 및 연체율 상승 등으로 내년까지 소비위축 지속 전망 높은 가계부채와 제로에 가까운 가계저축률로 금리인하 정책에도 불구하고 차입을 통한 소비확대는 제한될 것임. 가계소비는 미국 GDP의 70%에 이르고 건설투자 전망도 어두워 금년 1.8%에 이어 내년에도 1.5%의 저성장 전망

세계경제-성장 패턴의 변화(contin.) 중국, 인도, 중동 등 개도국의 왕성한 투자 지속 세계 GDP 대비 투자 비중 개도국 투자 증대에 따른 위협 요인 개도국 투자 증대에 따른 위협 요인 (단위 : %) 22.2 전체 투자 20.6 개도국 기업의 부상 6.7 개도국 투자 4.9 공격적인 투자로 규모의 경제 확대 및 가격 하락, 기술 수준 향상으로 경쟁력 강화 선진기업의 아웃소싱 확대 15.7 15.5 선진국 투자 기술, 제품개발, 서비스에 강한 선진기업의 아웃소싱 전략의 실효성 확대 ⇒ 개도국의 투자는 세계경제 성장에 기여하지만 우리 기업에게는 기회와 위험 공존 2002년 2006년 개도국 투자에 필요한 기계류, 철강, 운송기기, 전자부품, 기초화학 제품 등 수요확대

세계경제-성장 패턴의 변화(contin.) 선진권과 개도권의 세계경제 비중 변화 세계 수입시장 변화 (%) (10억 달러) 65 6,000 (8.3%) 60 5,000 2000 선진권 2005 54.3('12) 4,000 2012 55 51.4('06) 3,000 (5.9%) 50 (19.2%) 개도권 2,000 45 48.7('06) (12.5%) (10.1%) 45.7('12) 1,000 (17.8%) (6.8%) (8.3%) (11.0%) 40 35 미국 유로 동구 CIS 중국 일본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 1992 1995 1998 2001 2004 2007 2010 주 : IMF(2006.11) 발표 실적과 LG경제연구원 전망치를 이용해 계산 주 : Global Insight (2007.3), ( )는 2005~2012년 평균신장률임.

세계경제-성장 패턴의 변화(contin.) (단위 : %) 2006 2007 2008 상 하 연간 세계경제 5.4 5.1 4.8 4.9 4.4 선진국 미국 일본 유로 3.1 3.3 2.2 2.7 2.4 1.7 2.1 2.3 1.9 1.8 2.5 1.5 개도국 중국 인도 동남아 중남미 러시아 동구 중동 아프리카 7.9 10.7 9.2 5.5 6.7 6.0 5.7 11.5 9.1 5.3 5.6 6.1 7.4 10.9 7.5 4.5 6.6 6.3 7.7 11.2 8.3 4.7 6.2 7.0 10.0 5.8 엔/달러 환율 (평균) 달러/유로 환율 (평균) 국제유가(WTI, 달러/배럴) 116.2 1.26 66.0 120.1 1.33 61.5 116.7 1.38 74.6 118.4 1.35 68.1 112.0 72.6 주 : IMF, OECD 등을 참고로 한 LG경제연구원 전망치

국제 원자재가 상승세 지속 세계경제의 석유의존도와 국제유가 추이 세계경제의 석유의존도는 아직 4% 대에 그치고 있으며, 국제유가가 100달러 이상으로 오르더라도 최근 같이 점진적으로 진행될 경우 석유 수요의 급격한 감소는 어려울 전망 세계경제의 석유의존도와 국제유가 추이 (달러/배럴) (%) 주 : 국제유가는 WTI, BRENT, DUBAI 평균 기준임. 석유의존도는 세계 원유소비금액에 대한 세계명목 GDP 기준임. 2 4 6 8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00 ’08(F) 20 40 60 80 석유의존도(←) 국제유가(→) ’05 자원개발 가능 지역 확산 70달러를 넘는 국제유가로 심해 유전, 오일샌드, 초중질유(超重質油) 등 비 재래형 석유자원 개발이 가능해 짐. 오일샌드를 가진 캐나다, 초중질유를 가진 베네수엘라 등에서 개발 수요 확대 전망 고유가로 인해 에탄올, 태양광 등의 대체 에너지 개발에 박차 농산물 가격 급등으로 비농산물을 활용한 에탄올 개발이 가속화 신에너지 이용 자동차의 보급 확대, 자원 절약형 제조기술의 부가가치 확대 자원 절약 기술 각광 자원보유국 경제 활성화 자원보유국의 경제개발이 촉진되고 경제성장세 확대, 통화가치 절상 추세 가속화 전망

글로벌 저물가 시대의 종언 중국 물가 및 미국의 대중 수입물가 추이 -2.0 -1.5 -1.0 -0.5 0.0 0.5 1.0 1 2 3 4 5 6 7 미국의 대중 수입물가(→) 중국의 소비자물가(←) 2005 2006 2007 (%)

달러화, 신뢰 하락으로 약세 과거 금융시장 불안 시 엔/달러 환율 추이 (86.8~94.4) (98.8~99.12) (엔) “서브프라임 위기로 금융센터로서 미국의 위상 하락⇒ 달러 약세와 고금리” (Ken Rogoff ) 해외로부터의 미국 민간채권 매입액 4,000억 달러… 30%가 ABS이고, 그 절반 이상이 모기지 관련 채권 ⇒ 해외 투자자의 자금 회수 시 달러화 약세 그러나 급격한 약세 가능성은 높지 않음. : 중국 등 상대국의 수출 어려워지고, 이미 달러화 약세는 상당 수준 진행 S&L 사태 LTCM 사태 250 200 150 100 -38% -27% 50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원화 환율 달러당 800원대? (단위 : 원) 1,423 전망 1,274 1,258 1,263 원/유로 1,200 달러약세로 원화강세가 이어질 전망. 다만 경상수지 적자 전환으로 원화 강세는 2% 수준으로 완만히 진행 미일 금리차 축소와 엔캐리의 부분적인 청산에 따라 원/엔 환율은 800원대를 회복할 것으로 보임. 유로 및 위안화도 원화보다 빠른 절상세를 보이면서 원/유로 및 원/위안 환율 상승 달러화의 급락과 원화의 급격한 강세 가능성도 잔존 1,145 1,059 1,024 955 931 930 915 원/달러 822 812 786 원/100엔 2004 2005 2006 2007 2008 주 : 연 평균 환율 기준

개도국에 대한 수출이 주도 주요 수출 품목의 대미·대중 의존도 12.7% 50 대중 의존도가 높은 산업 전지 40 컴퓨터 부품 (대중 의존도, %) 12.7% 50 대중 의존도가 높은 산업 전지 40 컴퓨터 부품 합성수지 30 평판 디스플레이 일반기계 반도체 산업용전자 21.8% 20 철강 자동차부품 무선통신기기 섬유 가전 10 영상기기 대미 의존도가 높은 산업 자동차 조선 (대미 의존도, %) 5 10 15 20 25 30 주 : 2007년 1~8월 자료 기준. 의존도는 품목별 수출에서 미국과 중국에 대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 중국의 수출용 수입 비중이 높은 점은 추가 고려할 사항 전지(축전지 및 건전지), 산업용 전자(방송통신기기, 무선교환기 및 중계기, 전자응용기기, 계측제어분석기 등), 영상기기(LCD TV, PDP TV, VCR, 비디오카메라 등)

Ⅲ. 국내 경제 여건 돈이 있어도 못쓴다 VS 돈이 없어서 못쓴다 투자부진 장기화 건설 경기 고용 물가

내년도 우리 경제의 특징 내수의 성장 기여도 상승 수출 기여도 하락 내수 기여도 확대 5.0 5.0 (%p) 4.7 4.8 10 4.2 그동안 원화강세에도 불구하고 세계경제 호황에 힘입어 우리 수출은 5년 평균 18%대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며 성장 견인 ⇒ 내년에 세계경제가 둔화되면서 수출의 성장기여도가 축소될 전망 경제성장률 8 6 수출 내수 4 2 내수 기여도 확대 지난 수년간 가계 부실화로 인한 부채 조정의 영향과 구매력 개선 미흡으로 소비회복이 부진 ⇒ 소득수준 향상에 따라 소비욕구가 증대되고, 대규모 개발사업 본격화에 따른 건설경기 회복 등이 내수 심리 회복의 계기가 될 가능성 2004 2005 2006 2007(F) 2008(F) 뚜렷한 회복 없이 성장률 5% 내외에서 경기가 단기적으로 부침을 반복하는 국면이 지속 내수의 성장에 대한 기여도는 2007년 3.9%p 에서 2008년 4%대 후반으로 높아질 전망

소비는 완만한 회복세 가계의 실질구매력과 민간소비 증가율 회복 이유 회복 제약 요인 건설 관련 파생수요 증가 (%) 회복 이유 부채 조정기 14 12 건설 관련 파생수요 증가 취업자 증가, 체감경기 개선 지연된 소비수요 실현 10 8 6 실질구매력 4 민간소비 2 회복 제약 요인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 주 : 가계의 실질구매력 = 명목임금/소비자물가지수 ×취업자수 고용불안, 미래 대비 세금 및 부채상환부담 증가 해외소비 증가 올해 기업 실적 호전에 따른 임금 상승, 건설 및 서비스업 회복에 따른 고용사정 개선 등으로 가계의 구매력 소폭 개선 경기 양극화 지속, 고용 불안정성, 금융시장 불안 등은 본격적인 소비증가에 걸림돌

소비의 서비스화 지속 소비시장 증감 규모 (2002년 대비 2006년) 소비품목별 증가율 (2003~2006년 평균, %) 45.5조원 (71.1%) 의료보건 9.3 교육 8.1 20.7조원 (32.4%) 음식,숙박 4.0 교통 3.7 +2.9조원 (4.6%) -5.1조원 (-8.0%) 의류,신발 3.6 식료품 3.6 내구재 준내구재 비내구재 서비스 통신 1.2 주 : ( )는 4년간 소비시장 증가 금액(64조원)에서 부문별 증감액이 차지하는 비중 오락문화 0.9 평균 4.1% 가전, 자동차 등 내구재 시장 규모 4년간 5조원 감소 vs. 서비스 소비 46조원 증가 서비스 소비가 시장 주도할 전망 통신, 오락문화 관련 소비 증가세 정체 의료보건, 교육 관련 시장 규모 확대 예상 국내소비 4.1% vs. 해외소비 15.3% 증가

중장년층 소비시장 부상 연령대별 인구 변화 임금수준별 근로자 구성비 변화 9 40 1994년 8.4 2005년 7.9 (백만명) (%) 9 40 1994년 8.4 2005년 7.9 2006년 8 2012년 7.4 7 6.5 30 6.3 6 22.3 22.9 21.6 5 20 17.6 4.4 4.2 4.2 15.6 4 3 10 2 1 ~100만원 (~50만원) ~150만원 (~100만원) ~200만원 (~150만원) ~300만원 (~200만원) 300만원이상 (200만원이상) 0~9세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이상 자료 : 통계청, 추계인구( 2006. 11.) 주: ( )는 1994년 기준 자료 : 노동부,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

건설선행지표 서서히 회복 건설투자와 건축착공면적의 추이 (%) (%) 20 40 분양가상한제, 청약가점제 등의 적용으로 하반기에는 민간주택 중심으로 부동산 경기 냉각될 전망 내년에는 대규모 개발사업 시행과 일부 규제완화 등에 힘입어 회복세 전환 건설투자의 선행지표인 건축착공면적 증가율은 2006년 2/4분기에 저점을 형성한 뒤 상승 중 올 하반기 이후 착공되는 행정복합도시, 혁신도시, 기업도시 등 지역균형 개발사업과 2기 신도시 건설, 미군기지 이전 등이 차질 없이 추진될 것인지가 관건 15 30 건설투자(←) 20 10 10 5 건축착공면적(→) -10 -5 -20 2003 2004 2005 2006 2007 * 주: 전년동기비 증가율 기준. 건축착공면적은 2년간 누적치 기준

국책 대형건설 사업 예정 주요 대규모 건설 사업 추진 일정 행정도시 기업도시 혁신도시 경제자유구역 2기 신도시 강북뉴타운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행정도시 1단계(~2015년. 약 40조원) (~2020년. 약 18조원) 기업도시 혁신도시 (~2012년. 9조원) (~2020년. 약 31조원) 경제자유구역 양주 회천(2.5조원) 양주 옥정(3.7조원) 판교( 8조원) 광교( 9.4조원) 2기 신도시 김포( 9.2조원) 파주( 7.7조원) 송파(후분양) 검단(9조원) 평택( 7조원) 강북뉴타운 (~2025년. 약 40조원)

투자압력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투자는 부진 제조업 평균가동률 추이 2007년 주요 산업별 투자 증가율 (%) 68.2 산업생산지수 (←) 90 (단위 : %) 160 생산능력지수 (←) 140 46.2 85 38.2 120 26.2 100 80 18.6 18.5 11.5 7.6 80 3.2 -11.5 60 75 가동률(→) 정유 화학 통신 철강 운수장비 운송창고 전기/가스 자동차 IT 40 유통/숙박/건설 7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주 : 2007년 3분기는 7월 자료 자료 : 산업은행, 2007년 설비투자 간이조사(2007.8) 제조업(3.9%)보다 비제조업(18.9%), 수출기업(1.3%) 보다 내수기업(12.2%)의 투자가 활발할 전망 가동률이 높은 조선, 전기가스 부문의 투자 증가 예상… 전기전자 부문은 대규모 투자 일단락으로 투자 부진 전망

고용은 소폭 개선 경기회복 및 임금 상승으로 물가 소폭 상승 부문별 취업자 유발 전망 소비자물가상승률 요인 분해 (단위: 만명) 32.0 (단위 : %) 핵심 물가 기여도 29.0 2007 3.5 3.6 농산물 및 석유류 기여도 2008 16.1 2.8 14.8 0.7 0.9 2.7 0.1 2.2 2.2 0.6 0.2 8.3 8.3 0.6 7.6 5.9 2.7 2.8 2.7 2.1 2.0 1.6 소비 투자 수출 전체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1~8. 주 : 2003년 산업연관표의 최종수요항목별 취업유발계수와 성장전망치를 통해 추산. 전년대비 취업자증가 수 기준 주 : 핵심물가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소비자물가지수 고용흡수력이 높은 소비, 건설 부문의 회복세에 힘입어 내년 취업자 수 증가는 3년만에 30만 명을 넘어서고, 실업률은 올해보다 낮은 3.2% 전망 임금 상승률은 올해 기업수익 개선, 노동수요 증가로 올해 5%대 중반에서 내년에는 6%대로 상승 경기회복에 힘입어 총수요 압력과 관련된 핵심물가 상승률이 올들어 상승세로 반전 내년에도 총수요압력이 완만하게 상승하는 가운데 임금상승, 원화절상 폭 축소 등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보다 0.3%p 높은 2.7%

국내경제지표 전망 2006 2007 2008 상 하 연간 GDP성장률(%) 민간소비 건설투자 설비투자 5.0 4.2 -0.4 7.6 4.5 4.1 3.5 11.4 4.6 2.4 3.7 4.8 4.4 2.9 7.5 4.7 6.0 7.1 수출(통관, %) 수입(통관, %) 경상수지(억달러) 14.4 18.4 61 13.8 -16 13.2 12.9 71 13.4 54 11.6 14.3 -40 소비자물가(%) 실업률(%) 2.2 3.4 2.6 3.2 3.3 2.7 원/달러 환율(평균) 원/엔 환율(평균) 원/유로(평균) 회사채수익률(%) 955 821 1,200 5.2 934 778 1,241 5.4 927 794 1,275 5.7 931 786 1,258 5.6 915 817 1,263

Opportunities 선진국보다는 개도국, 소비보다는 투자 중국, 러시아, 브라질 등은 소비시장으로도 유망 BRICs에 이어, 중앙아시아, 베트남, 중동국가 등 차세대 유망 시장에 주목 유럽의 비중 확대, 유로화 강세 활용 내수회복은 부진하지만 소비의 양극화, 서비스화 지속 대규모 국책사업에서 기회 발굴 원자재가 상승으로 에너지관련 사업 지속 확대

Risks 미국 경제 부진, 국제금융시장 불안 장기화, 달러화 급락 신용경색, 부동산버블 붕괴 등 전염효과 가능성 선진국 경제 부진으로 개도국까지 침체될 경우 장기 불황 유가 급등, 중국의 인플레이션으로 글로벌 인플레 도래, 금리 상승(기타 개도국도 임금 급등) 급격한 원화 절상시 수출 경쟁력 약화 국내 부동산 경기 급랭시 가계대출 부실화 우려

경영 이슈 개도국 시장 공략 강화 내수시장의 양극화에 대응-감성 마케팅, 오감 마케팅 지역 특성에 맞는 제품 개발, 브랜드 구축, 신시장 개척 등 수요 개척 개도국 시장에서의 경쟁 격화, 생산비용 상승 대비 제품 가격 하락압력, 선진국의 새로운 Biz model 출현에 주목 내수시장의 양극화에 대응-감성 마케팅, 오감 마케팅 제조업의 서비스화, 솔루션화, 디자인화 경향에 대응 고유가/고원자재가에 대한 대응 달러화 대비 원화 강세 대비, 기타 통화대비 약세 활용 금리는 당분간 안정세, 장기적으로는 상승 예상 창의적인 Biz모델 수립과 실행이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