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IP 프로토콜 (TCP/IP Protocol Suite)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 08 시스템 구성도 고려사항 * 웹 서버 클러스터 구성  클러스터 구축은 ㈜ 클루닉스의 Encluster 로 구축 (KT 인증,IT 인증 획득, 실제 클러스터 구축 사이트 200 여곳 )  웹 서버 클러스터는 Dynamic, Static, Image.
Advertisements

컴퓨터 종합설계 2012 년 2 학기 Syllabus 개요 (1/2) 목표  실 세계의 문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컴퓨터 공학적인 방법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팀을 주축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수행  프로젝트 계획에서부터 구현까지.
KPC 자격 강원지역센터 사업계획서 OO. OO. 제안사 명칭.
표준화의 필요성과 기구.
컴퓨터와 인터넷.
게임프로그래밍 입문 멀티미디어공학과 이재문.
Part TCP / IP(계속) 3. IP 주소 4. IP 라우팅 5. 응용 프로토콜.
인터넷의활용.
네트워크 기술을 통한 현재와 미래 소개.
컴퓨터 네트워크 Computer Networks
TCP/IP 프로토콜 (TCP/IP Protocol Suite)
MS-Access의 개요 1강 MOS Access 2003 CORE 학습내용 액세스 응용 프로그램은 유용한 데이터를
C 프로그래밍 I.
로봇 소프트웨어.
3 장 OSI 기본 참조 모델 OSI : Open System Interconnection
Network Lab. Young-Chul Hwang
24 장 TCP/IP 24.1 개요 24.2 네트워크층 24.3 주소 지정 24.4 서브넷팅틍
데이터베이스 및 설계 금오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이 이섭.
TCP/IP 프로토콜 (TCP/IP Protocol Suite)
데이터 통신 (Data Communications)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제 14장 Multicast & Broadcast
네트워킹 CHAPTER 13 Section 1 네트워킹의 개요와 java.net 패키지 Section 2 인터넷 주소와 URL
11 장 LAN 기본 개념과 Ethernet LAN
15장 X.25 패킷 교환망 15.1 X.25 계층 15.2 X.25와 관련된 기타 프로토콜 15.3 요약.
Chapter 21 Network Layer: ARP, ICMP (IGMP).
데이터 통신 (Data Communications)
HomeNetWork의 개념과 실생활의 예
컴퓨터과학 전공탐색 배상원.
한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컴퓨터 네트워크 실험실
TCP/IP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소켓 옵션을 이해하고 활용한다.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4. LAN의 배선체계 (3장. LAN: Local Area Network)
컴퓨터 네트워크 개념, 프로토콜, 프로그래밍 임 효 택, 송 주 석 dongseo. ac
FTP 프로그램의 활용 FTP 프로그램의 용도 인터넷 공간에 홈페이지 파일을 업로드할 때 필요
제 1장. 멀티미디어 시스템 개요.
17장 X.25 패킷 교환망 17.1 X.25 계층 17.2 X.25와 관련된 기타 프로토콜 17.3 요약.
인터넷.
1장. 인터넷의 개념과 주소.
한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컴퓨터 네트워크 실험실
2장. 인터넷의 개념과 주소.
2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등장 배경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정의
소규모 IPTV 사업자용 실시간 미디어 플랫폼 기술
Internet과 World Wide Web
컴퓨터소프트웨어설계및실험 년 1학기 실험계획 -.
Mobile braille system for the blind
MAIL CLIENT 김창우 윤성훈 이경재.
졸업 요건 충족을 위한 추가 이수 학점에 대해서는 ‘졸업요건‘ 규정 확인 바람
16 장 네트워크 보안 : 방화벽과 VPN 16.1 개요 16.2 기밀성 16.3 전자 서명 16.4 인터넷 보안
인터넷의 역사 김승년 김슬기 김한나.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데이터 마이닝 - 강의 개요 년 가을학기 강원대학교 컴퓨터과학전공 문양세.
2 네트워크 모델 학습 목표 모듈 개념을 알아보고 계층 구조의 필요성을 이해한다.
강의 소개 컴퓨터시뮬레이션학과 2017년 봄학기 담당교수 : 이형원 E304호,
통신프로토콜 전산정보학부 모바일인터넷과 권 춘 우
네트워크 환경 구축과 이미지 전송 호스트/타겟 통신 직렬 통신을 이용한 이미지 전송 수퍼 데몬 BOOTP 환경 구축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개요
홈 네트워크 시스템 Home Network System.
모바일인터넷기초 전산정보학부 모바일인터넷과 권 춘 우
제 15 장 인터넷 15.1 역사와 관리 15.2 TCP/IP 프로토콜 15.3 차세대 15.4 인터넷 접근
Commercialization of the Internet
통신프로토콜 전산정보학부 모바일인터넷과 권 춘 우
5.2.3 교환방식의 비교 학습내용 교환방식의 비교.
Wake On Lan 발표자: 김 홍 기 김홍기 조성오
Network Lab. Young-Chul Hwang
인터넷의 정의와 특징을 이해한다. 인터넷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이해한다. 인터넷의 용도에 대하여 이해한다.
정보통신일반 (1).
실전 프로젝트: 홈페이지 구축 시트콤 프렌즈 팬 사이트 구축하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 Home Network System.
Presentation transcript:

TCP/IP 프로토콜 (TCP/IP Protocol Suite) 한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이 재 광

수업계획 교과목명 : 정보통신응용 학수번호 : 15187-01 학점 및 이수구분 : 3학점, 전공선택 주당시간 : 강의(3시간) 수강대상 : 컴퓨터공학과 4학년 담당교수 : 이 재 광 연 구 실 : 공과대학 90704호 전화번호 : 7559(구내) E-mail : jklee@netwk.hannam.ac.kr

수업목표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에 대한 기본 원리 및 구조, 표준안을 이해한다 TCP/IP 네트워크 관련 기술과 개념을 이해한다

수업 방법 지난 수업 내용을 정리하고 추가 질문을 받는다 수업 내용을 제시하고, 수업을 진행한다 강의 내용에 대한 요점을 정리한다

평가 방법 평가기준 : 절대평가 중간고사 : 30% 기말고사 : 30% 과제물 : 30% 출석 : 10%

교재 및 참고문헌

교재 및 참고문헌(계속) 이재광외 5명, “TCP/IP 프로토콜”, MRC 미래컴, 2000 Behrouz Forouzan, “Introduction to Data Communication and Networking”, McGraw-Hill, 1998 김종상 역,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통신”, 희중당, 1995 성승희, 이인행, “데이터 통신과 프로토콜”, 홍릉과학출판사, 1991 안병호, 박정훈, “데이터 통신론”, 이한출판사, 1996 채기준, 김준년, “데이터 통신 및 분산망”, 희중당, 1995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Where do we now stand ?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Data Structure = Algorithm Analysis COBOL = PL/1 FORTRAN = F77 = Ada H.L.L L.L.L PASCAL C Data Structure = Algorithm Analysis System Programming Program Language Theory Computer Architecture Database Operating System Compiler Design Theory Computer Network Communication Technology

제 1 장 개요 1.1 프로토콜(protocol)과 표준(standard) 1.2 표준 기구 1.3 인터넷 표준 1.2 표준 기구 1.3 인터넷 표준 1.4 인터넷 관리 1.5 간략한 역사 1.6 요약

1.1 프로토콜과 표준 인터넷(Internet) 프로토콜(Protocol)과 표준(Standards) 구조적이고 조직적인 시스템 인터넷 동작 과정과 TCP/IP에 대한 이해 필요 프로토콜(Protocol)과 표준(Standards) 컴퓨터통신은 서로 다른 시스템에 있는 개체(entity)간에 이루어지며, 개체는 정보의 송수신에 관한 모든 일을 담당 데이터 통신을 위한 규칙의 집합으로 무엇을, 어떻게, 그리고 언제 통신할 것인가를 규정 합의된 규칙

1.1 프로토콜과 표준(계속) 프로토콜의 주요 요소 구문(Syntax) 의미(Semantics) 타이밍(Timing) 데이터 구조나 형식, 데이터가 표현되는 순서를 의미(예; 처음 8비트 – 송신자 주소, 두 번째 8비트 – 수신자 주소, 나머지 – 메시지) 의미(Semantics) 비트들의 영역별 의미로서 특정 패턴을 어떻게 해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어떤 동작을 할 것인가를 결정(예; 주소 – 목적지나 선택되어지는 경로) 타이밍(Timing) 언제 데이터를 전송하고 얼마나 빠른 속도로 전송할 것인가?

1.1 프로토콜과 표준(계속) 표준(Standard) 교역과 국제적인 통신에 필요한 상호 연결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조업체, 판매업체, 정부기관 및 기타 서비스 업체에게 지침을 제공 사실(de facto) 표준 공인된 기관에서 승인된 것은 아니지만 폭 넓게 사용됨으로써 표준으로 채택, 주로 새로운 상품이나 기술의 기능성 규정하고자 하는 제조업체에 의해 만들어짐 법률(de jure) 표준 공인된 기관에 의해 제정된 표준

1.2 표준 기구 국제 표준 기구(ISO)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각국의 표준제정위원회에서 선정된 위원들로 구성된 다국적 기구 1947년 창설(현재 82개국 회원) 상호 호환성, 품질 개선, 생산성 향상, 가격 저하를 위한 모델 제공 과학, 기술, 경제 분야 헌신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 www.iso.ch

1.2 표준 기구(계속) 국제전기통신연합(ITU-T)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CCITT(Consultative Committee for International Telegraphy and Telephony) 후신 일반 전기통신, 전화, 데이터 통신 시스템 표준 www.itu.int

1.2 표준 기구(계속) 미국립표준협회(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비영리 법인 미국과 미국 시민들의 복리를 위한 활동 수행 미국의 임의 표준 국가조정 기구 www.ansi.org

1.2 표준 기구(계속) 전기전자공학회(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전문공학 학회 전기공학, 전자공학, 무선공학, 컴퓨터와 통신의 국제 표준 개발 www.ieee.org

1.2 표준 기구(계속) 전자산업협회(EIA) 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 전자산업 발전을 위해 설립된 비영리기관 데이터통신의 물리적인 연결 인터페이스와 전자신호 규격 규정 www.eia.org

1.2 표준 기구(계속) 포럼(Forum) 신기술을 시험, 평가, 표준 제정 프레임 중계(frame relay) 포럼 북미, 유럽, 환태평양 지역을 대표하는 40여 개국 회원 논의 안건 : 흐름 제어, 캡슐화, 변환, 멀티캐스팅 결과는 ISO에 제출 ATM 포럼 사설교환기 및 중앙 교환국 업체 중심 상호 운용성을 위한 서비스에 대한 표준화

1.2 표준 기구(계속) 법규기관 연방통신위원회(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미국의 모든 통신 기술 통제 라디오, 텔레비전, 유선통신을 조정하여 공공의 이익을 보호 통신과 관련된 미국내 및 국제 교역에 관한 권한

1.2 표준 기구(계속) - 국내 표준 기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http://www.tta.or.kr 1988년 12월 설립 통신 사업자, 산업체, 학계, 연구기관 및 단체 등의 상호 협력과 유대강화 국내외 정보통신분야의 최신 기술 및 표준에 관한 각종 정보 수집, 조사 연구 및 보급 • 활용 정보통신 산업 및 기술 진흥과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

1.2 표준 기구(계속) - 국내 표준 기관 한국산업표준원(KISI) http://www.kisi.or.kr 산업표준 연구 개발 표준화 국제 협력 및 진흥 북한 표준 연구 정보산업 표준화 자본재 표준화 KSSN(한국 표준 정보망)운영

1.2 표준 기구(계속) - 국내 표준 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소 표준연구센터 http://pec.etri.re.kr 1989년 ETRI 내에 설립 초고속 정보통신 기반을 위한 표준/규격/기준 관련 기술의 연구 개발 주도 정보통신 산업체 중심의 표준화 활동 기반 조성 핵심 표준 기술의 산업체 이전 및 제공 국내 표준 활동 강화를 통한 정보통신 시장의 균형적인 발전 및 활성화

1.2 표준 기구(계속) - 국내 표준 기관 한국전자거래진흥원(KEB) http://www.keb.or.kr Korea EDI/EC Board 한국 표준 전자문서(KEDIfact) 제정, 고시 세계 전자문서 표준인 UN/EDIFACT 보급과 제정활동 참여 전자 거래 실현에 필요한 표준 연구개발

1.3 인터넷 표준 인터넷을 통하여 완전한 시험을 거쳐 사용되는 규격 반드시 지켜야 하는 협약된 규약 인터넷 드레프트(Internet draft)로 시작하여 상태에 따라 완성된 처리 절차를 가짐 인터넷 드레프트는 6 개월의 유효기간을 갖는 작업 문서 드레프트를 RFC(Request for Comment)로 발간(문서번호 지정) 완성 단계를 거친 후에 요구수준에 따라 분류

1.3 인터넷 표준(계속) RFC 완성 단계

1.3 인터넷 표준(계속) 완성 단계 제안 표준(proposed standard) 드레프트 표준(draft standard) 인터넷 공동체를 통하여 많은 노력과 충분한 논의를 거친 안정된 규격 드레프트 표준(draft standard) 적어도 2번의 독자적인 성공과 상호 운용성이 이루어진 규격 문제점은 계속적으로 수정이 이루어짐 인터넷 표준(internet standard) 구현이 완전히 이루어진 규격

1.3 인터넷 표준(계속) 기록 단계(historic) 실험 단계(experimental) 인터넷 표준이 되기 위한 단계를 통과하지 못한 규격 역사적인 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짐 실험 단계(experimental) 인터넷 운영에 영향을 주지 않고 실험적인 작업 규격 인터넷 서비스 기능으로 구현되지 않을 수도 있음 정보 제공(informational) 인터넷과 관련된 일반적이고 역사적인 튜토리얼 정보

1.3 인터넷 표준(계속) 요구 단계

1.3 인터넷 표준(계속) 요구 단계 요구(required) 권고(recommended) 모든 인터넷 시스템에서 최소한의 적합성 구현 예 : IP, ICMP, TELNET 권고(recommended) 최소한의 적합성이 요구되지 않음 유용성이 있기 때문에 권고 예 : FTP

1.3 인터넷 표준(계속) 선택(elective) 사용 제한(limited use) 미권고(not recommended) 요구도 권고 되지도 않은 등급으로 시스템에 유익할 경우 사용 사용 제한(limited use) 제한된 상황에서만 사용(실험 단계 RFC) 미권고(not recommended) 일반적인 용도에 적합하지 않은 것(기록 단계 RFC)

1.4 인터넷 관리 인터넷 조직 ※부록 K 참조

1.4 인터넷 관리(계속) ISOC(Internet Society) 1992년 설립 국제적인 비영리단체 인터넷 표준 제정 지원 IAB, IETF, IRTF, IANA등의 인터넷 단체 관리 및 지원 인터넷과 관련된 학술 활동 및 연구 담당

1.4 인터넷 관리(계속) IAB(Internet Architecture Board) ISOC를 위한 기술 자문 위원회 TCP/IP 프로토콜 그룹의 지속적인 개발 감독 인터넷 공동체 연구원들에게 기술적인 조언 제공 IETF와 IRTF를 통하여 수행 RFC 문서 편집 관리 다른 관련 기관과의 대외적인 창구 담당

1.4 인터넷 관리(계속)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SG(Internet Engineering Steering Group)에 의해 관리되는 작업 그룹 운영상의 문제점 파악, 해결책 제공 인터넷 표준 규격 개발, 검토 현재 9개의 작업반(working group) 활동 (applications, internet protocols, routing, operations, user services, network management, transport, IPng, security)

1.4 인터넷 관리(계속) IRTF(Internet Research Task Force) IRSG(Internet Research Steering Group)에 의해 관리 되는 작업 그룹 인터넷 프로토콜과 응용, 구조, 기술과 관련된 장기간 연구 주제를 중점적으로 다룸

1.4 인터넷 관리(계속)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1998년 10월까지 인터넷 도메인 네임과 주소 관리 책임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 TCP/IP 프로토콜에 관련 정보 수집과 분배 책임 KRNIC(Korea Network Information Center) www.krnic.or.kr

1.5 간략한 역사 1967년: 미국방성의 ARPA(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에서 각 호스트를 IMP(Interface Message Processor)라는 특정 컴퓨터에 연결하는 아이디어 제안 1969년 : IMP를 통하여 4 개의 노드(UCLA, UCSB, SRI, UU)를 연결하는 ARPANET 설립, NCP(Network Control Protocol)라는 소프트웨어가 호스트간의 통신 제공 1973년: TCP/IP 개발 시작(Vint Cerf, Bob Kahn 등) 1977년: 인터넷에서 TCP/IP 시험(ARPANET, 패킷 라디오, 패킷 위성) 1978년: UNIX를 교육/연구 사이트에 배포(네트워크 소프트웨어 포함)

1.5 간략한 역사(계속) ANSNET(Advanced Network and Service) 1981: CSNET 설립(NSF 지원) 1983: TCP/IP가 ARPANET의 공식적인 프로토콜이 됨 1983: MILNET 설립 1986: NSFNET 설립(미국 전역에 T1라인 백본 제공) 1990: ARPANET 해체, NSFNET 로 대체 1995: NSFNET 연구용 네트워크 ANSNET(Advanced Network and Service) IBM, Merit, MCI 사가 공동으로 설립한 네트워크 고속 인터넷 백본 구축

1.5 간략한 역사(계속) 오늘날의 인터넷

1982년 서울대와 KIET(전자통신연구소의 전신)간의 TCP/IP로 SDN시작 1.5 간략한 역사(계속) 국내 인터넷 역사 1982년 서울대와 KIET(전자통신연구소의 전신)간의 TCP/IP로 SDN시작 1983년 미국으로 UUCP Dial-up 연결 1984년 유럽으로 X.25를 이용한 UUCP 연결 1987년 교육연구전산망 추진위원회 구성 1988년 연구전산망 기본 계획 확정 교육망이 BITNET과 연결

1.5 간략한 역사(계속) 1990년 HANA/SDN이 인터넷에 56Kbps로 연결 1993년 HANA/SDN이 56Kbps에서 256Kbps로 확충 1994년 한국통신, 데이콤에서 인터넷 상용 서비스 시작 1995년 INET, 나우콤에서 인터넷 상용 서비스 시작 1995년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사업 시작

1.5 간략한 역사(계속) 1996년 7천 이상의 호스트 컴퓨터들이 연결됨 1997년 한국 인터넷 협회 설립 1998년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 사업 1단계 완료 2000년 각종 초고속망 구축기술로 각종 초고속망서비스가 이루어짐 (하나로, 두루넷, 드림라인, 신비로) 2001년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 사업 2단계 완료 2002년 6월 현재 전국 144개 지역 연결 및 초고속광전송망 구축 (155Mbps ~ 40Gbps)

1.5 간략한 역사(계속) 전세계 인터넷 접속도

1.5 간략한 역사(계속) 국내 인터넷 이용자 수

1.5 간략한 역사(계속) 국내 인터넷 현황

1.5 간략한 역사(계속) 국내 ISP 현황

1.5 간략한 역사(계속) 국내 인터넷 연결 현황 http://stat.nic.or.kr/network/m/2002/06.html

1.6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