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코 네트워킹 (CCNA) 4주차.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을지대학교 무선 네트워크 사용 방법 2010 년 06 월 01 일. 을지대학교 무선 네트워크 사용 방법 1. PC 무선랜 카드 활성화 및 체크 1 단계 : 시작 -> 설정 -> 네트워크 설정 2 단계 : 무선 네트워크 설정 선택 -> 마우스 버튼 오른쪽 클릭 -> 사용.
Advertisements

컴퓨터와 인터넷.
Part TCP / IP(계속) 3. IP 주소 4. IP 라우팅 5. 응용 프로토콜.
제 4장 환경설정과 IOS CLI 관리명령.
제 10장 Access-List.
Router Router의 역할 - Router는 Layer 3 (Network 계층) 장비이다.
Part 라우터(계속) 4. 라우터 서비스 설정 5.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팅 개요 1. 라우팅이란? 서로 다른 네트워크 영역의 통신을 가능하게 이어주는 것 라우팅 프로토콜
㈜디아이씨 SSLVPN 협력사 접속방법 2017년 4월.
Windows Server 장. Windows Server 2008 개요.
SSL - VPN 사용자 가이드 - IT 지원실 네트워크 운영팀 -.
실 습 Router Configuration.
NAT – Network Address Translation
LOGO 네트워크 운용(1).
Chapter 2. IP Address IP Address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함께 IP Address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인 서브넷팅, 수퍼넷팅, VLSM 등에 대해서 단계별로 접근할 수 있다. 몇가지 예제를 통해서 서브넷팅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제 7장 정적 라우팅 프로토콜.
LOGO 네트워크 운용(2).
3장. 라우터와 스위치의 기본설정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뇌를 자극하는 Windows Server 2012 R2
DPR-1630&1615 IP공유기 셋팅 방법 고객지원팀 작성자 : 정청석.
3장. 라우터와 스위치의 기본설정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모든 내용에 대한 저작권은 BANNA에 있으며, 허가된 사용자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Part 라우터 1. 라우터 장비의 이해 2. 라우터 네트워크 환경 설정 3. 라우팅 테이블 설정과 점검.
Windows Server 장. 사고를 대비한 데이터 백업.
실습1 : 장치 기본 설정 (basic configuration)
라우터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축 실습.
5장. 라우팅프로토콜 RIP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4장. 정적 경로 설정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컴퓨터 네트워크 II - 기말고사 토폴로지 발표자료
AP 모드 활용하기 WiFi 시리얼 보드 활용가이드 김영준 헬로앱스 (
3장. 라우터와 스위치의 기본설정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5장. 라우팅프로토콜 RIP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Network 네트워크 이론 및 실습 라우팅 프로토콜 - 1 5장.
Chapter 21 Network Layer: ARP, ICMP (IGMP).
11장. 포인터 01_ 포인터의 기본 02_ 포인터와 Const.
FTP 프로그램 채계화 박재은 박수민.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개발 트랙)                               퍼스널 오라클 9i 인스톨.
뇌를 자극하는 Windows Server 장. Windows Server 2008 개요.
4. LAN의 배선체계 (3장. LAN: Local Area Network)
Router Router의 역할 - Router는 Layer 3 (Network 계층) 장비이다.
4장. 정적 경로 설정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WOL(Wake-On Lan) 컴퓨터공학과 4학년 박기웅.
시스템 인터페이스 Lab3 Unix 사용법 실습.
Day-04(mon_9.6) Host_PC Router NAT NIC Switch ISP NAT Host Only
3장. 라우터와 스위치의 기본설정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2장. 인터넷의 개념과 주소.
3장. 라우터와 스위치의 기본설정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IP변경 요청 올더게이트.
뇌를 자극하는 Windows Server 2012 R2
HTTP 프로토콜의 요청과 응답 동작을 이해한다. 서블릿 및 JSP 를 알아보고 역할을 이해한다.
Part 라우터 1. 라우터 장비의 이해 2. 라우터 네트워크 환경 설정 3. 라우팅 테이블 설정과 점검.
ACL(Access Control List)
Adobe 제품 다운로드 및 설치 방법 안내 Adobe Creative Cloud Adobe License 권한을 받으신 분
(개정판) 뇌를 자극하는 Red Hat Fedora 리눅스 서버 & 네트워크
20 장 네트워킹과 인터네트워킹 장치 20.1 리피터(Repeaters) 20.2 브리지(Bridges)
Chapter 26 IP over ATM.
Teaming pms.
Addressing the Network – IPv4
11장 퀴즈 권세훈 이원우 주영옥.
Chapter 27 Mobile IP.
5장. 라우팅프로토콜 RIP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시스템 인터페이스 Lab1 X-window 및 명령어 사용.
제 6 장 IP 패킷 전달과 라우팅 6.1 연결형 서비스와 비연결형 서비스 6.2 직접 전달과 간접 전달 6.3 라우팅 방법
Part 05 TCP/IP 1. 네트워크 2. 포트번호.
Homework #3 - 페이지 모듈화 및 로그인처리 -
CCIT 네트워크 발표 정보보호학과 평문 사이트와 SSL 사이트, SSL strip과 데이터 변조를 이용한 로그인 취약점
1. SNMP Setting IP 설정 NetAgent Mini 카드에 제공된 CD의 Netility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Netility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네트워크에 있는 SNMP 카드를 찾게 됩니다. “Configure”를 선택하면 IP 설정.
3장. 라우터와 스위치의 기본설정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ARP.
4장. 정적 경로 설정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Presentation transcript:

시스코 네트워킹 (CCNA) 4주차

라우터 ( Part 7 ) 라우터란? 지능을 가진 경로 배정기 라우터 – 1. 경로결정, 2. 스위칭 라우터 – 1. 경로결정, 2. 스위칭 우리가 사용할 라우터는 시스코 라우터 (2811) 시스코 라우터 전세계 인터넷의 80% 를 점유 [ cisco 2811 ] http://www.cisco.com/en/US/products/ps5881/index.html http://kr.blog.yahoo.com/kgh57150/1694

라우터는 무슨 일을 할까? 1. 경로결정 : 라우터는 데이터 패킷이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길을 검사하고 어떤 길로 가는것이 가장 적절한지를 결정한다. 2. 스위칭 (Switching) : 그 길이 결정되면 그 쪽으로 데이터 패킷을 스위칭해 줍니다. 3. 라우터는 PC처럼 CPU 도 가지고 있고, 메모리도 가지고 있으며 또 인터페이스도 가지고 있다.

라우터는 어떻게 생겼을까? 1. 싼것은 몇 십만원에서 비싼것은 몇억원짜리까지 있다. 2. 단독형(일체형) 과 모듈형(확장형)으로 구분 3. 1개의 이더넷 과 2개의 시리얼 포트로 구성

라우팅 프로토콜 과 라우티드 프로토콜 1. 라우팅 프로토콜 : 운전기사로 생각하면 되고 라우터에 살면서 라우티드 프로토콜을 목적지까지 가장 좋은 길을 갈 수 있게 해 주는 방법 예) RIP, IGRP, OSPF, EIGRP 등 여러 가지가 있다. 2. 라우티드 프로토콜 : 라우터가 라우팅을 해주는 고객이 라 생각하면 된다. 예) TCP/IP, IPX, Apple Talk 등 우리가 아는 모든 프로 토콜은 전부 라우티드 프로토콜이다.

스태틱 라우팅 프로토콜 과 다이나믹 라우팅 프로토콜 스태틱 라우팅 프로토콜 과 다이나믹 라우팅 프로토콜 1. 스태틱 라우팅 프로토콜 : 한번 정해지면 죽으나 사나 정해진 그대로 수행하는 프로토콜. 스태틱은 라우터가 정해진 길만을 가기 때문에 일이 없는대신 사람이 일일이 구성해 줘야 한다. 또 일단 정해진 길에 문제가 생겨도 사람이 그 길을 고쳐 주어야 한다. 2. 다이나믹 라우팅 프로토콜 : 상황에 따라 그때 그때 변화가 가능한 프로토콜. 다이나믹은 라우터가 알아서 길을 찾는 장점이 있는 대신 라우터가 하는 일이 많다.

라우팅 테이블x so E0 To0 Network 150.1.2.0 Network 150.8.0.0 Token Ring 라우터(R) Routing Table 라우터(R) Network Interface 150.1.0.0 E0 150.2.0.0 To0 150.8.0.0 S0 Network 150.1.3.0 예를 들면 150.2.0.0 네트워크에 있는 어떤 PC를 찾아가는 패킷을 받아 들이게 되면 라우터는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에 150.2.0.0 으로 가는 길이 나와 있는지를 먼저 확인합니다. 그랬더니 자기 테이블에 150.2.0.0 으로 가려면 To 로 가라는 내용이 나와 있으니까 패킷을 토큰링쪽 인터페이스로 넘겨주게 되는것 입니다. 라우팅 테이블이란 라우터가 어떤 경로를 찾을 때 사용하는 것이고, 이것은 사용하는 라우터의 프로토콜에 따라 달라지며, 또 라우터는 항상 최적의 경로를 찾아 이것을 라우팅 테이블에 유지하고 있다

라우팅 테이블 다시 파워를 켜면 수초 또는 수분만에 다시 말들어 진다.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이라는 경로에 대한 지도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것은 RAM에 올라가기 때문에 파워가 꺼지면 전부 지워져 버린다. 다시 파워를 켜면 수초 또는 수분만에 다시 말들어 진다. 시스코 라우터에서 라우팅 테이블을 보는 명령어는 “show ip route” 이다.

AS 그리고 내부용과 외부용 라우팅 프로토콜x 1. AS (Autonomous System) : 하나의 네트워크 관라자에 의해서 관리 하는 라우터들의 집단. 2. 내부용 프로토콜(IRP) : AS 내부에서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 RIP, IGRP, OSPF, EIGRP ) 3. 외부용 프로토콜(ERP) : AS 외부에서 서로 라우팅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해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 EGP, BGP ) AS200 AS100 라우터 [ERP] EGP, BGP 라우터 라우터 라우터 라우터 라우터 라우터 [IRP] RIP, IGRP, OSPF, EIGRP [IRP] RIP, IGRP, OSPF, EIGRP

라우터의 중요한 몇가지 모드 1. 유저모드 : 현재 상태 확인 가능 2. 프리빌리지드(Privileged) 모드 : 운영자모드 3. 구성(Configuration) 모드 : 설정모드 4. 셋업(Setup) 모드 : 라우터가 부팅하면 자동으로 들어오는 모드 5. RXBOOT 모드 : 라우터의 패스워드를 모를경우

RXBOOT 모드x 라우터의 패스워드를 모르는 경우 라우터의 이미지 파일에 문제가 생긴경우 RXBOOT 모드 또는 ROMMON 모드라고 한다. 평소에는 사용할 일이 없다.

셋업(Setup) 모드x 라우터를 처음 구매해서 파워를 켰을때 라우터에 구성 파일이 없는 경우 라우터가 부팅되면서 자동으로 들어오는 모드 셋업(Setup) 모드에서는 라우터의 구성에 관계된 질문을 하나하나 던지게 된다.

유저모드 Router> 이 프롬프트면 유저 모드이다. 주로 테스트, 즉 현대 상태를 볼 수 있다. 핑(ping) 을 해 볼 수 있다. 라우터의 구성 파일을 본다거나 구성 자체를 변경할 수는 없다.

프리빌리지드(Privileged) 운영자 모드 유저 모드에서 “enable” 명령 사용. > 에서 # 으로 바뀐다. 모든 라우터의 명령이 가능하다. 구성을 볼 수도 있고 변경할 수도 있다. 다시 유저모드 복귀는 “disable” or “exit” 명령사용

구성(Configuration) 모드 라우터의 구성 파일을 변경하는 경우 사용 보통 Config 모드 라고 한다. 모든 파일 구성을 이곳에서 만든다. 프리빌리지드 모드에서 들어갈 수 있다. config terminal 명령어로 들어 갈 수 있다.

유용한 단축키 1. tab 키 : 자동 완성 기능 예) conf + tab키 = configure 2. terminal history size 30 : 이전에 내린 명령을 기억할 수 있게 한다. (최대 256개까지 가능) 3. cl? : clear clock 가 나타난다. 즉 cl로 시작하는 사용가능한 단어를 알려준다.

라우터 안에는 어떤것들이 살까요? 1. RAM : 라우터를 운용하는 운용 시스템이 올라가는곳. 2. IOS(Internetwork Operating System) : 시스코 라우터 운영체제 3. NVRAM(Non Volatile RAM) : 비휘발성램, 즉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정보가 날아 가지 않는다. 백업용 램이다. 4. ROM : 라우터 스스로 상태를 점검하고 또 어디서 운영체제를 가져다가 메모리에 올릴 것인지를 적어 놓는곳.

라우터의 내부 IOS R A M NVRAM (백업 구성파일) 플래시 메모리 (IOS 이미지) 현재 구성 파일 기타 프로그램 라우팅 테이블등 각종 테이블 버퍼용 메모리 명령어 수행기 NVRAM (백업 구성파일) 플래시 메모리 (IOS 이미지) 인터페이스

라우터 내부 명령어 1. show version : 소프트웨어 버전, 인터페이스의 종류, IOS 의 전반적인 내용. 2. show interface :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 강장 많이 사용하는 명령중하나 3. show run : 현재의 구성 파일을 보는 명령. 4. show ip route : 라우팅 테이블 정보 5. show flash : 플래시 메모리 보기

라우터 셋업 모드 --- System Configuration Dialog --- Continue with configuration dialog? [yes/no]: 다이얼 로그 방식으로 진행하겠냐? % Please answer 'yes' or 'no'. 다름 질문들은... 라우터 이름은 뭘로 할래? 패스워드는 또 뭐로 하지? 또 라우팅 프로토콜은 뭐로 할래? 등등 계속해서 질문을 하게된다. 그래서 우리는 “no” 라고 입력한다.

라우터에 명령을 입력하자. Router>enable <-- 프리빌리지드 모드로 전환. Router#configure terminal <-- 구성모드로 전환.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outer(config)# <-- 구성모드 Router(config)# : 유저모드에서는 구성모드로 들어 올 수 없기 때문에 항상 프리빌리지드 모드로 변경 후 구성모드로 들어와야 한다.

라우터 호스트명 변경과 암호변경(부여) Router>enable Router# Router#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outer(config)# Router(config)#hostname Cisco-R1 <-- 호스트 이름변경 Cisco-R(config)# Cisco-R(config)#enable password koreait <--암호변경(부여)

telnet 설정하기(1) Router>enable Router#configure terminal 그대로 외워!! ()로 냈음! Router>enable Router#configure terminal Router(config)#interface fastEthernet 0/0 Router(config-if)#ip address 192.168.23.254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utdown <-- 중요!! “이더넷 포트의 활성화” Router(config-if)#exit Router(config)# Router(config)#username young1 password young1 Router(config)#line vty 0 4 <-- 가상 터미널은 5개까지 가능. Router(config-line)#login local <-- 접속시 사용자와 암호를 물어 보도록 설정. #login만 하면 패스워드만 물어보고, #login local 하면 ID, PASSWORD 모두 물어보게 된다.

telnet 설정하기(2) Router(config-line)# exit Router(config)#username young01 password young11 Router(config)#line vty 0 4 - telnet 접속 시 필수 Router(config-line)#login local Router(config)#username young02 password young22 Router(config)#line vty 0 4 : TELNET 접속 후 확인하기

telnet 설정하기(3) [구축순서] 라우터, 스위치, PC 를 연결한다. 라우터를 설정한다. 192.168.23.254 (255.255.255.0) [구축순서] 라우터, 스위치, PC 를 연결한다. 라우터를 설정한다. PC에 IP를 부여하고 Telnet 명령으로 접속 한다. 192.168.23.1~3 (255.255.255.0)

Login local 과 login Router(config)#line vty 0 4 - telnet 접속 시 필수 Router(config-line)#password young99 Router(config-line)#login Router(config-line)#exit Router(config)# [login local 과 login] login local 은 로그인과 암호를 입력하여야 하고 login 은 암호만 입력하면 된다.

실습과제1. 1. PC10.1.1.2 에서 라우터1 로 telnet 으로 접속이 가능하도록 디자인 하시오. 2. telnet 접속후 enable 명령 을 통해 프리빌리지 모드로 접속 할 수 있도록 디자인 하시오.

실습과제2 문제1. PC10.1.1.2 에서 PC10.1.2.2 로 ping-test 가능하도록 디자인 하시오. 문제2. 라우터에 telnet 으로 접근 시 암호만 접속하면 접근 가능하도록 작업하시오. (사용암호: koreait)

DHCP 설정하기(1)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ip dhcp excluded-address 10.1.2.1 Router(config)#ip dhcp pool dhcp1 Router(dhcp-config)#default-router 10.1.2.1 Router(dhcp-config)#network 10.1.2.0 255.255.255.0 DHCP 설정 중 제외할 IP DHCP 이름을 준다. 게이트웨이설정 /24이기 때문에 10.1.2.0이 네트워크 주소 DHCP 서버에 제외할 IP를 부여한다. DHCP pool 이름을 부여한다. 게이트웨이를 설정한다.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DHCP 설정문제 1. 2개의 네트워크에 대하여 DHCP 라우터를 설정하시오. 2. 라우터에 telnet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시오. 3. 10.1.1.2 와 10.1.2.3 의 Ping 을 확인하시오.

DHCP 풀이

정리 1. 라우터란? 2. 라우터의 구성 3. 라우팅 프로토콜 과 라우티드 프로토콜 4. 라우터의 중요한 몇가지 모드 5. 라우터의 내부 6. 라우터 셋업 7. 라우터 명령어. 8. 라우터 호스트명 변경과 암호변경(부여) 9. telnet 설정하기 10. DHCP 설정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