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동향분석실장 노 성 호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수출 ( 이전기업 ), 용역수출 ( 외국인면세점 ) 도 포함하는 광의 개 념 수출 ( 이전기업.
Advertisements

( 화 ) 주네덜란드대사관 (e)2013(e) GDP(%) 민간소비 (%) 투자 (%) 정부지출 (%)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 10 월 주식시장 전망 개인고객부 자산관리팀 월 중 주요 변수 ( 긍정적 요인 ) 주요국 증시의 긍정적 흐름 주요국 증시의 긍정적 흐름 지지선 확인 후 전 고점 돌파 기업실적 및 경제 호조 전망으로 상승 이중 바닥형성 후 상승 시도  서브프라임 이후 글로벌.
한국 섬유산업 및 해외투자 현황 통상마케팅팀 팀장 김부흥. 1 목 차 1 1 한국 섬유산업 현황 2 2 한국 섬유산업 해외투자 현황.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법조분야의 국제화와 전문화 국내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법률서비스 제공 일부 국내 대기업들은 국내 기업들이 아니다 (?) [ 삼성전자, 현대 자동차, LG 전자 등 ]
세계 스마트폰 시장 현황 및 당사 매출 분석 보고서 전략기획팀 이상훈 팀장.
0 교차헤지 포지션 변화 이종통화 교차헤지 (Cross Hedge)  개념 : 선물시장의 거래대상이 한정되어 있는데 비해 현물시장의 금융상품은 무수히 많기 때문에 현물시장 상품과 다른 선물상품을 헤지에 이용하는 것을 말함. ex) 엔 / 원의 경우 CME 의 엔선물과.
우리회사의 경영상태는 ? Ⅰ Ⅰ 4/ 주요 경영성과 지표 ’10 년 ’11 년 ’12 년 ’13 년비고 자기자본 별무변동 부채 ↑ 매년 점증 자산 성장세 미약 매출액
2004 년 3/4 분기 경영실적 설명회 ( 금 ) 동부제강㈜. 본 자료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작성된 것으로 일부 내용은 회계감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철스크랩 가격 상승 원인분석 및 대응방안 ㈜스틸앤스틸 윤 용선. 발표순서 리스크 증가에 따른 대응방안 철스크랩 가격 왜 급등하나 철스크랩 가격 어떻게 결정되나 시기별 철스크랩 등락 요인 분석 철스크랩 가격 상승 거품인가 중장기 철스크랩 수요 증가 가격.
년 10 월 STS 통계 년 10 월 STS 생산, 판매동향  STS HR 을 제외한 냉연, 선재, 후판은 생산 및 판매 전년동월비 증가  STS CR 생산 (TCM 포함 ) : BNG, 대한전선의 생산증가, 중소업체.
재정적자 규모. 주요국 CPI 중국 수출에 밀접한 연관 경제지표일정 중국 2 월 물가지수 및 소매판매, 산업생산 미국 2 월 소매판매.
제 26 강 : 국제 수지 1 한국경제교육협회 일반인 표준 경제 개념 10. 국제 거래와 환율.
국제 석유시장 동향과 유가 전망 에너지경제연구원. 차 례 1. 국제유가 변동 추이 2. 최근 유가 급상승, 요인 진단 A. 석유실물시장 : 펀더멘털 B. 석유선물시장 : 투기수요 3. 결론 : 초고유가 지속의 배경 4. 하반기 유가전망.
2016 Weekly Stock Momentum Analysis Hanyang University Investment Club STOCKWARS 주간증시동향 ~ 3.17.
정부의 역할 –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POD&mid=tvh&oid=422&aid=
1 2. 시황 및 전망 ♦ 미국 금리인상 우려로 급락후 반등 과정  대형주 중심의 포트폴리오 수급이동이 KOSPI, KOSDAQ 의 극명한 수익률 차이를 보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국 자본시장의 변화 한양대 국제대학원 발표자료 동덕여대 중국학과 서봉교.
주간 자산관리 전략 ( ) Wealthcare 센터 서경덕 차장. 1. 주간 전체 펀드시장 동향은 ? 표 1 2. 국내 주식형 펀드시장 동향은 ? 표 2 3. 해외 주식형 펀드시장 동향은 ? 표 3 4. 섹터펀드시장 동향은 ? 표 4 5. 국내 주식시장.
5월 3주5월 3주 5월 4주5월 4주 6월 1주6월 1주 국제휘발유가 원 / l 정유사공급가 주유소판매가 1, 원 / l 1, 원 / l 국제휘발유가 국제휘발유가 정유사공급가 1, 관세 / 수입부과금.
5월 3주5월 3주 5월 4주5월 4주 6월 1주6월 1주 국제경유가 원 / l 정유사공급가 주유소판매가 1, 원 / l 1, 원 / l 국제경유가 국제경유가 정유사공급가 1, 관세 / 수입부과금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세계 석유시장 동향과 유가 전망 에너지경제연구원. I. 수요 동향 II. 공급 동향 III. 재고 동향 IV. 원유가 동향과 전망 차 례 1.
무역업의창업무역업의창업 무역업의창업무역업의창업. 무역업창업 2 무역업이란 ? 1 1 거래상대방 발굴방법 2 2 수입 / 수출 전망 3 3 수출입 절차 수출입 절차 4 4 목차.
2 차 전지 성장성과 수익성은 지속 2010 년 IT 용 2 차 전지 시장은 전년대비 15% 성장 예상 스마트폰 및 넷북 수요 확대로 소형 2 차전지 수익성 지속 모멘텀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 확대 애플 아이폰 출시와 같은 스마트폰 수요증가 다음주 애플 테블릿 PC.
년 상반기 경영실적 설명회 ( 목 ). 본 자료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작성된 것으로 일부 내용은 회계감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기획조정실 요청 정유선 연구원 제작 2015년 1월 경기도 경제동향 경기개발연구원 유영성 연구기획실장 경기개발연구원 유영성 연구기획실장.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외환제도의 역사 과거에 국가간 무역거래와 금융거래의 형태는? 금본위제도(1821~1914) 금환본위제도( 중간기 )
목 차 글로벌 금융위기의 배경 미국 및 각국의 정책대응 세계경제에 대한 영향 우리경제에 대한 영향 금융위기의 향후 전망
세계시장 탐방 제 1 강 Introduction 세계속의 우리나라 무역 무역학과 고중현 교수.
세계시장 탐방 제 1 강 Introduction 우리나라 수출입동향 무역학과 고중현 교수.
이 지표는 OECD 국가별로 휘발유 소비자 가격에서 세금이 차지하는 비율을 표시한 것입니다.
주간 자산관리 전략( ) Wealthcare센터 서경덕 차장.
간밤 뉴~스.
시장 진단 이 슈 추 세 - 미국 경기 부양 의지 확인 - 한국 증시 재평가 지속 - IT 업종 반짝 상승!
기업경기 및 소비동향 전망조사 현황 통 계 청
2005 1분기 경영설명회 ㈜ 세아베스틸.
제주신용보증재단 2014년 주요업무보고.
국제석유시장 동향과 유가전망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및 하반기 전망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기업 경영전략의 의의 경영전략 기업경영전략의 요소 확인 전략수행과 달성 기업의 모든 자원인 물적, 인적자원과 능력, 환경적인
거시경제학 강의 1 거시경제학에의 초대.
경제지수 리터당 휘발유 가격(원) 소비자 심리지수 현재경기 판단 취업기회 전망 미래경기 전망 리터당 휘발유값
계량분석에 의한 중동부유럽 경제위기 진단과 시사점
중국 조선업의 몰락 경영학과 윤동현.
환율에 대하여 예비 9기 조영완.
월별 외국인 입국통계와 국내에서의 card 이용액
2012 PISA 한국 VS 핀란드.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년 10월호 영업현황1p 주가동향 3p 알림 4p.
기술보증기금.
서울건해산물㈜ 겸영사업 내용
제4장 세계화 이슈 제1절 세계화와 빈곤 제2절 세계화와 환경 제3절 세계화와 노동 제4절 세계화와 지역화 논쟁.
2002 3/4분기 실적.
㈜엔프라넷.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한국의 물류현황 분석 한국 통운㈜ 김대현.
년 11월호 영업현황1p 요약 재무제표 4p 주가동향 6p.
Bizforms PowerPoint 표준 신년도 사업계획서(제조) 원본 PPT 바로가기 >
악재 : 중국 등 신흥국의 기술력 급부상, 미국의 금리 인상 → 수출 (매출) 부진
Bizforms PowerPoint 표준 신년도 사업계획서(제조업) 원본 PPT 바로가기 >
2002년 상반기 기업설명회 Investor Relations
수출입 물가지수와 경상수지 수출물가지수 경상수지(10억불) 수출액(10억불)
Signal vs. Noise 차 영 주 와이즈경제연구소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2016 한국은행 국정감사 추경호 국 회 의 원 (대구광역시 달성군).
Presentation transcript: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동향분석실장 노 성 호 2008 수출입 평가와 2009 전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동향분석실장 노 성 호 iit.kita.net

목 차 2008 수출입 평가 I 최근 무역환경 변화 II 2009 수출입 전망 III 우리 기업의 대응전략 IV

I. 2008 수출입 평가 www.kita.net

2008 수출입 평가 - 거시경제지표의 급변동 환율 급등 및 변동성 확대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 후 급락 물가지수 변동 추이 2008 수출입 평가 - 거시경제지표의 급변동 환율 급등 및 변동성 확대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 후 급락 자료: 한국은행 자료: Thomson Datastream 물가지수 변동 추이 불안정한 금리 자료: 한국은행 자료: 한국은행

2008 수출입 평가 - 금년 수출입 개황 1-11월 무역수지는 5월, 10월을 제외하고 매월 적자(누적 133억달러) 2008 수출입 평가 - 금년 수출입 개황 1-11월 무역수지는 5월, 10월을 제외하고 매월 적자(누적 133억달러) 1~11월 수출: 3,956억 달러(전년비 16.9%↑)로 6년 연속 두 자리수 증가 1~11월 수입: 4,090억 달러(전년비 26.6%↑)로 2004년(25.5%) 이후 최대 증가율 기록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은 수출과 수입 증가율 상승의 주요인 투자와 소비여력이 확대된 자원부국 및 개도국으로의 수출 증가 그러나 원유 중심의 수입단가 상승은 무역수지 적자를 초래 (290억달러) 금년 우리나라 수출입 현황 지역별 수출입 증가율 자료: 무역통계 자료: 무역통계

2008 수출입 평가 - 수출 4천억, 무역 8천억 달러 금년 우리 수출은 06년 3천억달러 이후 2년만에 4천억달러 달성 2008 수출입 평가 - 수출 4천억, 무역 8천억 달러 금년 우리 수출은 06년 3천억달러 이후 2년만에 4천억달러 달성 64년 처음 연간 수출 1억달러 달성 이후 4천배 이상 신장률 무역규모도 지난해 7천억달러 이후 1년만에 8천억달러 (67년 10억달러 이후 800배↑) 수출 4천억달러 달성 속도는 세계 수출10강 중 중국 다음으로 빠름 수출: 1천억달러 → 4천억달러: 13년 (중국 9년, 세계 10강 평균 17.2년) 무역: 3천억달러 → 8천억달러: 8년 (중국 6년, 〃 평균 13.2년) 우리나라 무역규모 변화 추이 국가별 수출 1천억→4천억달러 달성 속도 1천억달러 4천억달러 소요 기간(년) 중 국 1994 2003 9 우리나라 1995 2008 13 독 일 1976 1990 14 미 국 1975 1991 16 일 본 1979 네덜란드 1988 2005 17 벨기에 2007 프랑스 1985 2004 19 이탈리아 1987 2006 캐나다 영 국 1980 26 자료: 국제무역연구원 자료: IMF

2008 수출입 평가 - 수출시장 다변화 10월까지 대개도국 수출은 27.5% 증가, 비중은 69% 2008 수출입 평가 - 수출시장 다변화 10월까지 대개도국 수출은 27.5% 증가, 비중은 69% 대개도국 수출비중 : 87년 22.3% → 금년 69.5%, 처음으로 선진국의 2배 상회 수출국가도 87년 178개국에서 금년 228개국으로 확대 특히, 오일머니로 투자여력이 증가한 자원부국으로의 수출이 급증 금년 1-10월 대자원부국 수출은 28.3% 증가, 전체 수출증가율을 10%p 상회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42.4% 차지 20년간 선진국과 개도국의 수출비중 추이 對자원부국*에 대한 수출증가율 추이 자료: 국제무역연구원 자료: 지식경제부, 주: 중동(8), 동구(2), 아프리카(9), 중남미(5), 아시아(6)등 전세계 30개국

2008 수출입 평가 - 주력 수출품목의 재편 선박, 석유제품 1,2위 차지 반도체, 자동차 등은 마이너스 2008 수출입 평가 - 주력 수출품목의 재편 선박, 석유제품 1,2위 차지 2000년 이후 연도별 10대 수출품목 순위 변화 선박: 조선경기 호황 및 수주량 증가 석유제품: 고유가, 中 올림픽, 정유사 고도화설비 투자확대 순위 2000 2003 2005 2007 2008.1-10 1 반도체 선박 2 컴퓨터 자동차 석유제품 3 무선통신기기 4 5 6 디스플레이 7 합성수지 철강판 8 9 의류 영상기기 자동차부품 10 반도체, 자동차 등은 마이너스 반도체: 국제 메모리가격 급락 자동차 및 컴퓨터: 불경기 및 해외생산 수출 확대 2007 및 2008년 10대 수출품목 비중 2007 및 2008년 10대 수입품목 비중 자료: 무역통계 자료: 무역통계

2008 수출입 평가 - 에너지 수입 급증 금년 10월까지 6대 에너지 수입: 1,235억달러(65.5%↑) 2008 수출입 평가 - 에너지 수입 급증 금년 10월까지 6대 에너지 수입: 1,235억달러(65.5%↑) 이미 지난해 총 에너지 수입액 950억 달러를 상회 주로 원자재 단가 상승에 기인 (수입물량은 전년동기대비 6.1%에 그침) 주요 선진국 대비 낮은 에너지 효율성` 2007년 에너지 원단위(백만TOE/천달러) * 한국(0.322) > 스위스(0.096), 일본(0.101), 독일(0.162), 미국(0.206) 특히 주력산업이 에너지 多소비 업종인 중화학에 편중 → 산업부문 효율성 낮음 6대 에너지 수입(1-10월) 실적 비교 지역별 수출입 증가율 및 무역수지 (TOE/1인, %) 구 분 한국 미국 일본 프랑스 영국 총 에너지 소비 4.482 7.74 4.192 4.214 3.818 가정용 에너지 소비 0.389 0.852 0.38 0.706 0.694 에너지 소비 중 산업부문 비중 48.5 24.1 37.9 24.9 24 자료: 지식경제부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08.9)

2008 수출입 평가 - 對일 무역역조 300억 달러 금년 10월까지 대일역조는 290억 달러에 달함(전년동기비 42억달러↑) 2008 수출입 평가 - 對일 무역역조 300억 달러 금년 10월까지 대일역조는 290억 달러에 달함(전년동기비 42억달러↑) 연간 처음으로 대일역조 300억달러를 넘어설 전망 중간재의 對일 수입의존도 높음 → 수출 증가시 對일 수입도 증가 2000~2007년 우리나라 수출증가율 및 對일 수입증가율의 상관계수: 0.8932 특히 고도기술 부품소재 분야 기술력이 취약하여 대일역조 증가 * 9월까지 부품소재 관련 對일 무역수지: 184억달러 적자 對일본 무역적자 추이 가공단계별 대일 수출금액 (억달러) 2004 2006 2007 1차 산품 10 14 17 (3) 중간재 304 356 395 (70.2) 반제품 178 235 264 (46.9) 부품 및 부분품 126 122 131 (23.3) 최종재(자본재 등) 147 149 151 (26.8) 총 계 461 519 562 (100) 자료: 무역통계 자료: 국제무역연구원 주: ( )안은 비중(%)

2008 수출입 평가 - 최근 수출 부진 가속 수출 증가율 하락 수출 단가 및 물량 하락 수출의 지역별 기여도 추이 2008 수출입 평가 - 최근 수출 부진 가속 수출 증가율 하락 수출 단가 및 물량 하락 자료: 무역통계 자료: 한국은행 수출의 지역별 기여도 추이 일평균 수출 둔화 자료: 무역통계 자료: 국제무역연구원

2008 수출입 평가 - 11월 동향 11월 수출은 전년동월비 18.3% 감소 2008 수출입 평가 - 11월 동향 11월 수출은 전년동월비 18.3% 감소 83개월만에 가장 큰 폭의 마이너스 증가 11월 수입은 유가하락으로 전년동기비 14.6% 감소한 290억 달러 11.1~20 : 원자재 7.7%↑, 자본재 23.6%↓, 소비재 17.7%↓ 무역수지는 10월부터 2개월 연속 흑자 반전 10월: 12억달러, 11월: 3억달러 흑자 11월 품목별 수출증가율 11월 지역별 수출증가율 자료: 무역통계 자료: 무역통계

II. 최근 무역환경의 변화 www.kita.net

최근 무역환경 변화 – 세계 경제 둔화 글로벌 경제 동반 침체 양상 주요국 경제 선행지수 추이 美, 유로존, 일본 등 선진국: 경기침체 진입 개도국 및 이머징 마켓 : 금융위기 전염 및 세계 수요 감소로 수출 둔화 - 자원부국: 원자재 가격 급락으로 경제 둔화 자료 : OECD stat IMF 세계경제전망 하향 수정 선진국: 2차 오일쇼크, IT버블위기보다 심각 2007 2008 2009 08. 10월 전망(A) 08. 11월 전망(B) B-A 전세계 5.0 3.7 3.0 2.2 -0.8 선진국 2.6 1.4 0.5 -0.3 미국 2.0 0.1 -0.7 0.8 유로 1.2 0.2 -0.5 일본 2.1 -0.2 신흥국 8.0 6.6 6.1 5.1 -1 중국 11.9 9.7 9.3 8.5 자료 : IMF World Economic Outlook 14

최근 무역환경 변화 – 美 실물경제 침체 진입 금융위기의 파급경로: 경기침체의 악순환 진입 美 소비자 신뢰지수 하락세 금융부문 (Wall Street) 실물경제 (Main Street) 주택 버블 붕괴 담보가치 하락 <소비자> 소비심리 위축 매출 둔화 수익성 악화 <기업> 투자/생산/ 고용 감소 <금융권> 파산 및 합병 자금 회수 (유동성 확보, 거래상대방 위험) 주가폭락 자산가치 하락 채권 부실화 신용경색 소득 감소 구조조정 급여동결 대출 감소 유동성 악화 美 소비자 신뢰지수 하락세 美 소매판매 및 산업생산 추이 자료: Thomson Datastream 자료 : Thomson Datastream 15

최근 무역환경 변화 – 중국 경제 성장 둔화 조짐 2008년 3/4분기 경제성장률 9.0%로 둔화 2007년 2/4분기 이후 5분기 연속 둔화, 1~3분기 성장률은 9.9% 정부의 긴축정책과 세계 금융위기로 인한 수출기업의 경영악화가 원인 수출이 소폭 둔화, 투자와 소비는 양호한 성장세 유지 그러나, 세계 금융위기의 심화로 인해 소비 및 기업 생산 위축 3/4분기 기업경기지수: 128.6(-16.1%p) 소비자신뢰지수: 93.8(-3.0%p) 10월 공업생산증가율 8.2%, 4개월 연속하락, 9월은 11.4%) 중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 변화 추이 중국의 주요 경제 지표 구 분  2006년 2007년 2008년 1Q 2Q 3Q 소 매 판 매 13.7 16.8 20.6 22.2 23.2 고정자산투자1) 24.5 25.8 25.9 26.8 27.6 수 출 27.2 25.7 21.4 22.4 23.9 수 입 20.0 20.8 28.6 32.6 28.2 무역수지 1,775 2,622 414 579 540 소비자물가 1.5 4.8 8.0 7.8 7.0 생산자물가 3.0 3.1 6.9 8.4 8.3 자료: 중국통계국 자료 : 중국통계국 주: 고정자산투자, 물가지수는 누적 단위: %, 억달러 16

최근 무역환경 변화 – 범세계적인 경기부양정책 금융위기와 실물침체는 서로 맞물려 있어 대책도 동시에 시행되어야 함 전세계적인 금리인하와 통화증발이 시행 중에 있고 재정지출확대와 세금감면이 뒤따르고 있음 미국,일본,중국,EU국가등 사례소개 보호무역주의의 등장을 경계해야 함. 특히 오바마 정부가 보호무역주의로 회귀하지 않도록 국제적인 압력을 가해야 함 주요국 초저금리로 Reflation 정책 공조 주요국 구제금융안 규모 국 가 규 모 미 국 7,000억달러 독 일 5,150억유로 (6,450억달러) 영 국 4,000억파운드 (5,900억달러) 프 랑 스 3,600억유로 (4,500억달러) 네덜란드 2,000억유로 (2,500억달러) 러 시 아 2,100억달러 스 웨 덴 15,000억크로나(1,900억달러) 한 국 1,300억달러 오스트리아 1,000억유로 (1,250억달러) 싱가포르 1,500억싱가폴달러(1,000억달러) 자료: Thomson Datastream 자료 : FT 17

최근 무역환경 변화 – 미국發 신용경색 진정국면 대형금융기관의 파산위험은 일단 해소 유동성 무한정 공급 및 은행간 거래의 정부 지급보증 등 대대적인 안정화 조치로 최악의 위기는 모면 건전성 회복은 진행중이나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임(내년 상반기) 부실자산제거(디레버리징), 자본재충당, 리스크 관리 강화 금융위기의 완전한 해소는 실물경기의 회복이 되어야 가능함 글로벌 단기자금 금융시장, 리먼브라더스 파산 이전 수준으로 안정세 복원 자료: Thomson Datastream 18

III. 2009 수출입 전망 www.kita.net

2009 수출입 전망 – 거시 지표 국제 환율 추이- 엔화, 달러화 강세 09년 말까지 하락 추세, 평균 1,200원대 자료 : 인포맥스 (주요 시중은행 원/달러 환율 전망치) 국제 유가 하락 지속 해외 주요기관 평균유가 전망(달러/배럴) 유종 2008 2009 CERA (11/13) Dubai 99.6 76.0 WTI 104.9 81.0 EIA (11/12) 101.4 63.5 PIRA (11/24) 100.4 59.1 자료: Thomson Datastream, Petronet 자료 : Petronet 20

2009 무역환경의 변화 - 수출입환경 변화 기후 환경관련 규제 확대 세계 무역질서의 변화 에너지 효율의 중요성 증대 후발개도국의 기술력 급상승

2009 수출입 전망 - 2001 vs 2009 2000년 이후 우리 수출은 세계 경제 성장과 민감하게 반응 <01년과 09년 경제불황기 성장률 비교> 2000년 이후 우리 수출은 세계 경제 성장과 민감하게 반응 IT 버블 붕괴 구 분 부동산 버블 붕괴 2000 2001 2008 2009 4.7 2.2 세계경제 3.9 4.0 1.2 선 진 국 1.5 -0.3 5.9 3.8 개 도 국 6.9 5.1 8.5 한 국 4.1 3.0 51.6 -13.1 국제유가 46.1 -15.0 IT버블 붕괴시(2001년) . 우리수출증가율 (2000년)19.9% → (2001년) -12.7%

< 35개국 수입 증감율(‘09-’08, %p) > 2009 수출입 전망 - 수출입 전망 2009 수출입은 모두 한 자리수 증가 전망 수출은 세계경기 침체에 따른 세계적인 투자 및 소비위축으로 수출단가 및 물량 효과가 금년에 비해 크게 반감될 것으로 예상 , 어려운 수출여건 가운데 품목별로는 선박, 무선통신기기, 자동차부품 등이 지역별로는 중동, 중남미, 아프리카 등이 어려운 가운데 호조 지속 전망 <우리 수출비중 및 수입증가율 변화> < 35개국 수입 증감율(‘09-’08, %p) > -40%↑ 인도, 브라질 -40%↓ 폴란드, 터키 -30%↓ 베트남, 인도네시아, 러시아, 태국, 호주, 칠레, 프랑스, 중국, 헝가리, 이란 -20%↓ 일본, 싱가폴, 파나마, 홍콩, 이태리,벨기에, 필리핀, 스페인, UAE, 사우디 -5%↓ 카나다, 네덜란드, 독일, 영국,말레이지아, 멕시코, 미국 증가 나이지리아, 남아공, 대만

2009 수출입 전망 – 호조 시나리오 내년 신3저 시대의 도래 예상 전세계는 경제 회복을 위해 다양한 부양책 계획 2009 수출입 전망 – 호조 시나리오 내년 신3저 시대의 도래 예상 신3저(저유가, 엔저, 저금리) 및 위완저, 저물가 금융위기 타개를 위한 국제 공조체제의 결실, 자금의 순환 중국 등 개도국 경기의 조기 회복 전세계는 경제 회복을 위해 다양한 부양책 계획 * 미국 : 오바마 정부의 과학, IT, 의료, 환경정책 계획 자동차 3사에 대한 부양책 실시 내년 2월 디지털 위성 방송의 시행 등 * 중국 : 2010년까지 4조 위안 투입하는 경기부양책 발표 (저소득`층 주택건설, SOC 확충, 농촌기반시설 확충, 환경보전) 3,486개품목 수출증치세 환급율 인상(10.2) 등 * 중동 : 신규 SOC 투자 지속

2009 수출입 전망 - 품목별 수출 전망 `품 목 억달러(증가율) 호부진 사유 섬 유 류 140 ( 1.6) `품 목 억달러(증가율) 호부진 사유 섬 유 류 140 ( 1.6) - 내구재 및 의류는 물량감소 예상 - 직물 및 섬유사는 단가상승으로 수출 증가 석유 제품 288 (△27.0) - 공급물량 증가 및 유가하락으로 단가 급락 - 휘발유에 대한 개도국 수요 지속 석유 화학 320 ( △4.5) - 역내(중동)의 공급물량 증가로 가동율 저하 - PP, PVC, ABS의 맞춤형 시장공략 주효 철강 제품 278 ( △7.6) - 단가하락, 전세계적인 수요 감소 예상 - 열연․냉연강판의 수출물량 확대 가능 일반 기계 395 ( 8.2) - 일반기계 수출은 세계경기 동향에 민감 - 내연기관 및 건설광산기계는 두자리수 호조 자동차 부품 175 ( 12.5) - 전세계적인 자동차 생산 및 수요 감소 - 엔고효과 및 완성차 해외생산 확대로 호조

2009 수출입 전망 - 품목별 수출 전망 `품 목 억달러(증가율) 호부진 사유 자 동 차 410 ( 4.0) 2009 수출입 전망 - 품목별 수출 전망 `품 목 억달러(증가율) 호부진 사유 자 동 차 410 ( 4.0) - 수요 침체, 해외생산 수출확대로 부진 지속 - 대형․SUV 시장 침체로 소형차 수출 호조 선   박 530 ( 23.2) - 해상물동량 감소, 중소 조선소의 자금압박 - 3년치 수주물량 확보로 안정적 수출 예상 가정용 전자 136 ( 2.9) - 중국의 저가공세, 해외생산기지 이전 확대 - 브랜드인지도 상승, 대미 칼라TV 수출 확대 무선통신기기 271 ( 10.3) - 단가하락, 신흥국 경기 침체로 수출 차질 우려 - 인지도 상승, 유통망 확대 및 중저가제품 공략 디스플레이 416 ( 4.9) - 대규모 신규라인 가동으로 패널가격 급락 - 2월 미국의 디지털 방송 개시로 수요 증가 반 도 체 418 ( 12.1) - 수요위축, 업계 채산성이 사상 최악 - 시황악화에 따른 감산으로 단가 소폭 상승

<2009년 수출입 전망(억달러, %) > 2009 수출입 전망 - 수출입 전망 한편 수입은, 자본재와 소비재는 내수경기 위축으로, 원자재는 국제유가의 하향 안정으로 금년에 비해 크게 줄어들 전망 . 내수경기 부양을 위한 정부의 공공부문에 대한 투자 확대, 세계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4/4분기를 전후하여 자본재 등 설비투자용 수입 증가 예상 무역수지는 1년만에 흑자 반전 기대 그러나, 세계경기 침체가 가속화되고 있어 우리 수출 환경은 예상 보다 악화될 가능성도 있음 <2009년 수출입 전망(억달러, %) > 2007 2008(p) 2009(e) 수 출 3,715 (14.1) 4,400 (18.4) 4,778 ( 8.6) 수 입 3,568 (15.3) 4,469 (25.3) 4,746 ( 6.2) 수 지 146 △69 32 자료: 국제무역연구원

IV. 우리 기업의 대응전략 www.kita.net

주요 거시경제지표 변동요인 파악, 수시 모니터링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 리스크 관리 철저 환율,외환시장 예측 불가 세계경제 둔화 예측 불가 KIKO 성공의 함정 환손실 확대 중복.과잉 투자 자금조달 어려움, 기업 경영환경 악화 흑자도산 위기 직면 주요 거시경제지표 변동요인 파악, 수시 모니터링

매출 비용 비용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 비용의 절감 매출 불황기의 시대 , 불요불급한 비용을 우선 절감 원자재 구입 (a)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 비용의 절감 원자재 구입 (a) 물류비용 생산비 (b) 매출 비용 비용 매출 세금 마케팅 (c) 운송 (d) 금융비용 마진 : 매출액 - ((a)+(b)+(c)+(d)) 마진 : 비용 절감액 전액 불황기의 시대 , 불요불급한 비용을 우선 절감

마케팅은 상대방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하는 데서 출발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 가격 < 품질 < 만족도 우리 수출제품의 향방 가격 경쟁력 품질 경쟁력 만족도 경쟁력 원자재 조달 생산성 향상 인건비 절감 환율 변동성 고기술 지향 다기능 지향 품질 향상 경쟁사 우위 비가격 경쟁 - 포장, 선적, 디 자인,사후관리 마케팅 강화 - 구매자,사용자 영향력,지불자 마케팅은 상대방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하는 데서 출발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 위기를 기회로 활용 위기 기회 과거 경제위기때마다 우리 수출은 회생의 원동력 70년대 오일쇼크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 위기를 기회로 활용 과거 경제위기때마다 우리 수출은 회생의 원동력 70년대 오일쇼크 中東市場 특수 위기 기회 IMF 외환위기 IT 수출 특수 新3低(금리,엔화,유가) 환경,에너지 산업 중동, 중남미, 아프리카 미국 금융위기 例) 국제유가 상승 긍정의 힘 석유제품 수출확대 對자원부국 수출확대 에너지 효율성 의식 확산 국내물가 상승 제조원가 부담 가중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 수출지원기관 철저 이용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 수출지원기관 철저 이용 아이디어에서부터 수출대금 회수까지 정부의 지원정책 이용 제품 아이디어 해외시장 동향 상품화 전략 제품 디자인 기술력 지원 자금 지원 (중기청, KOTRA] (디자인 진흥원] (중기청,중진공, 기보] 통관 수출품 운송 신용조사 계약체결 해외 마케팅 전시회 참가 (세관, RADIS) (수출보험공사] (정부, 지자체,KOTRA] 내년 경기부양을 위한 정부의 지원책 확대 예상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 인재의 양성 人才의 양성 중소기업의 人災를 막고, 人財를 불러옴

[ 5G 전략 ]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 Great Korea의 주축 우리무역의 VISION : 2010년 수출 5천억불 무역 1조불 신수출 동력산업 발굴 [ 5G 전략 ] 친환경 수출산업화 무역강국 대한민국 글로벌 인재 양성 신제품 해외수요 창출

감사합니다! iit.kit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