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의 예측성 1. 기후 예측성 2. 앙상블 평균과 예측성 3. Signal-to-Noise 비와 잠재 예측성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폭력. 폭력이란 무엇인가 우상의 눈물 물리적인 폭력 ( 최기표 ) VS 지능적인 폭력 ( 임형우, 담임선생님 )
Advertisements

1 박 2 일 !!! 인천마장초등학교 유수아. 1 박 2 일 멤버 인기순 위 1 위 이승기 2 위 엄태웅 3 위 은지원 4 위 김종민, 이수근 ※인터넷에서 본것이기 때문에 사람에따라 서 다를 수 있다. ※
녹색 물류 진단 제안서 로지스파크 닷 컴.
석관중앙교회 5남전도회 석 관 중 앙 교 회 회원 소식 통권 05-04호 발행일 : 2005년 04월 회 장 : 장진호 집사
검출기 눈, 사진, Photoelectric device, Photomultipliers, Image intensifiers, Charged Coupled Device,
지역사회복지론 1조. 요양보호시설에 대해서 황성국 임재형 이동영
- 예∙결산 및 기본재산 운영 신뢰도 제고를 위한 실태점검, 결산지원사업 -
SAR 영상자료를 이용한 해양 파라미터 추출 기법 연구
이산시스템의 모델 담당교수 : 정보통신공학과 고경철 교수 (cp) ( ) 홈페이지 :
계절풍 이겨내기 홍길동, 전우치, 김갑돌 과학.
Chaper 2 ~ chaper 3 허승현 제어시스템 설계.
Chapter 8 광역 대기오염.
Ⅳ. Improve Ⅳ. 개선(Improve) (1) 실험계획법 핵심요약 (2) 22 실험계획법 (3) 23 실험계획법
판별분석의 개념과 적용(→ 추계통계적 성격)
I 문학의 개념과 역할 1. 문학의 개념 (1) 언어 예술로서의 문학 (2) 소통 활동으로서의 문학
24 산성비(Acid Rain)의 지구 규모화 김병립 우성웅 화학공학과
4. 목적론적 윤리와 의무론적 윤리 01.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01.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02. 결과론적 윤리와 공리주의
An Adaptive Color Transient Improvement Algorithm
Application of Acoustic Sensing and Signal Processing for PD Detection in GIS 20003년 05월 10일 이 찬 영.
Chapter 10 Differential Amplifiers
제 16장 산과 염기.
 midi LOGGER GL220   신제품 소개 Dec, 2011.
Operational LRF Services
Multimedia Programming 06: Point Processing3
1강 이온 H 원소 : 한 종류의 원자로만 구성된 물질 1족 2족 13족 14족 15족 16족 17족
과거 제품의 신뢰성과 사용자의 안전성 문제에서, 지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단계로 변화
조기숙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주) 리더십 프런티어 대표이사
기후변화와 자연재해관리 제 2장 기후변화와 기후변동.
성탄절을 향한 길에서.
자동제어 영남대학교 기계공학부 정 병 묵.
논문을 위한 통계 논문과 통계의 기초 개념 하성욱 한성대학교 대학원.
Medical Instrumentation
Parallel software Lab. 박 창 규
기 초 통 계 인하대학교 통계학과.
대기오염의 종류와 오염원 1차 오염물질 2차 오염물질 자연적, 인위적으로 발생한 물질
액체의 종류에 따른 식물의 성장이 미치는 영향 탐구자 최선주 이지영 예다현.
Systems Engineering 충북대학교 토목공학부 토목시스템공학전공 정보기술기반 건설경영연구실
개항기 조선과 동아시아 박 범 한국역사입문Ⅱ.
장 흥 섭 경영학부 교수 현대소비사회와 소비자행동.
건설관리학 Chapter 10 생산성 관리.
연구를 위한 준비 참고문헌 카드 만들기.
Energy Grid 와 태양열 에너지 부산대학교 기계공학과 강율호.
제2주제 : BTL 민자사업의 효율적 운영 방안 왕세종 (연구위원).
*전해공업이란, 전해탱크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여 전해질의 물질 변화를 일으켜 목적하는 물질을 제조하는 공업.
기후변화시나리오 생산과 활용.
Two-Port and Three-Port Networks
대구의 부도심 대구의 주요축 동대구 부도심 4조 강민석 / 박성균 / 최은지/ 황재현/김예지.
뉴미디어 이용과 뇌 구조의 변화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REPORT 교 과 목 : 산업 및 안전공학 담당교수 : 곽효연 교수님 학 과 : 산업시스템 경영 학 번 :
산성비는 어떻게 생길까? 과학 본 차시의 주제입니다.
1. 물과 수자원.
기업회생 절차.
2. 윤리학의 원리와 적용 가. 상대주의와 절대주의.
1   제5강 조직구조,성과통제, 조직문화,리더십 경동대학교 이 광 근.
Can Digital Computers Think? - Summary
모사방지시스템 운영기준.
사도행전 13장 22절 말씀 –아멘 다 윗 을 왕 으 로 세 우 시 고 증 언 하 여 이 르 시 되 내 가 이 새 의 아 들
히스토그램 그리고 이진화 This course is a basic introduction to parts of the field of computer vision. This version of the course covers topics in 'early' or 'low'
Applied Electronic Circuit
자동제어공학 4. 과도 응답 정 우 용.
피아노에 대하여 인계초등학교 5-5 이도현.
경찰행정과 세미나 결과를 공개해야한다. VS 비공개로 해야한다. 경찰의 근무성적평정 제도.
K Nearest Neighbor.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와 지역 센터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승보.
제3장 사회조사방법의 기본개념 변수(variable): 사람, 물건, 사건 등의 특성이나 속성이 두 가지 이상의 가치(value)를 가질 때 변수라고 함. 즉 상호배타적인 속성들의 집합 1) 속성에 따른 분류 -. 명목변수(Nominal Variable): 분류에 기초를.
Linear Model.
김진승 한국물리학회 교육위원장, 전북대학교 물리학과
검출기 눈, 사진, Photoelectric device, Photomultipliers, Image intensifiers, Charged Coupled Device,
II-2. 지구 구성 원소와 지구계 1. 행성의 대기와 에너지 보존
제3장 선교 구역.반장학교 제1단계.
Presentation transcript:

기후의 예측성 1. 기후 예측성 2. 앙상블 평균과 예측성 3. Signal-to-Noise 비와 잠재 예측성 4. 다중모형 앙상블 예측 기법

1. 기후 예측성 기후 예측성은 장기 예보를 포함하는 그 이상의 시간에 대한 예측 수준을 의미 기후 예측 기술 향상에 다중 모형 앙상블(multi model ensemble)  예측 기법을 적용

2. 앙상블 평균과 예측성 N 개의 앙상블 멤버에서 모형의 에러 i 번째 예측의 에러 앙상블 평균 앙상블 평균의 예보 오차

3. Signal-to-Noise 비와 잠재 예측성 내부 변동성 : 각 해의 앙상블 평균으로부터 각 관측의 분산 앙상블 평균 분산 총 분산 모형의 오차 분산 모형의 예측성 평가 signal-to-noise 비 : 내부 분산에 대한 외부 강제 분산의 비

3개월 예보 시스템 기반 구축  GCPS 및 GDAPS의 예측 기후값(SMIP/HFP) 생산 : 강수 Summer Winter

3개월 예보 시스템 기반 구축  SMIP 기후값과의 비교 : 강수 (HFP-SMIP)

3개월 예보 시스템 기반 구축 ANOVA : 예측성 특성 GCPS SMIP/HFP(SUM) GDAPS SMIP/HFP(SUM) Forced variance Climate signals caused by external forcing Free variance Intrinsic transients due to natural variability

3개월 예보 시스템 기반 구축 HFP 예측의 Forced signal reduction 에 대한 분석 SMIP signal – SMIP/HFP signal (a) GCPS (b) GDAPS Absolute value of COV of Prcp & Central Equatorial Pacifc SST (c) GCPS (d) GDAPS Central Equatorial Pacific SST : 180E-220E, 5S-5N

 APCC모델별 기후모의 및 특성 평가 (ANOVA) Forced Variance Free Variance Signal-to-noise ratio

4. 다중모형 앙상블 예측 기법 두 모형의 앙상블을 통해 얻어지는 최종 예측 3개 이상의 다수의 예측결과를 이용한 다중모형 앙상블 예측 기법 각 모형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법 각 모형사이의 교차 공분산 행렬을 이용 : 가우스-조던 (Gauss-Jordan) 소거법과 SV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과거 값으로부터 모형이 최소 에러를 가지게 하는 최적 결합 결정법

 APCC MME prediction skill Pattern correlation precipitation over monsoon region (40E-160E, 20S-40N) Prediction SST used (real forecast)

그림 5. APCC에서 사용하고 있는 세 가지 MME의 결과의 예이며 이는 아시아 몬순 지역 부근 (40-160E, 20S-30N)에서의 모의된 강수량과 관측 강수량과의 사이에 상관 계수의 시계열이다.

기후 변화 I. 이론 1. 기후변화의 정의 2. 기후변화의 요인 3. 자연적 기후변동 4. 인위적 기후변동 5. 기후 되먹임 6. 배출 시나리오에 관한 특별보고서

1. 기후변화의 정의 장기간에 걸친 기간(대체로 수 십년 또는 그 이상) 동안 지속되는 기후의 평균 상태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변동을 가지는 것 기후 변화는 자연적인 내부 과정이나 외부의 강제력에 의해서 야기

2. 기후변화의 요인 1) 되먹임 이론(Feedback theory) 2) 판구조론(Plate tectonics theory) 가. 기후 변화의 자연적 요인 1) 되먹임 이론(Feedback theory) 2) 판구조론(Plate tectonics theory) 3) 화산 폭발 4) 궤도 변화 (가)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율 (eccentricity)의 변화, (나) 지구 자전축의 황도 경사 (obliquity)의 변화 (다) 지구 자전축의 세차 (precession) 운동 5) 태양에너지와 태양 흑점의 변화 나. 인위적 요인에 의한 기후 변화 1)이산화탄소 및 기타 온실기체와 기후 변화 2) 인위적 활동에 의한 지면 상태의 변화

3. 자연적 기후변동 4. 인위적 기후변동 인위적 대기 조성 변화 태양과 지구에너지 수지 온실효과 강화 자연 온실효과 복사강제력과 강제력의 변동성 궤도 변화 태양에너지와 태양 흑점의 변화 인위적 대기 조성 변화 온실효과 강화 에어러솔 효과 토지이용의 변화

5. 기후 되먹임 (Climate feedback) Vs : the initial input V1: input signal V2 : output signal G : gain transfer function of system H : feedback factor GF : effective gain of the system (effective transfer function)  f : feedback of the system Zero feedback 에서는 f = 0, 이고  GF = G Negative feedback 에서는  f < 0,   0 < GF < G Positive feedback에서는  0 < f < 1,   GF > G 그림 2.  기후 되먹임을 보이는 도식도 (Smith,1987)

그림 3-2. 기후계에서 실현가능한 양의 기후 되먹임의 예 2: 수증기 되먹임 과정. 그림 3-1. 기후계에서 실현가능한 양의 기후 되먹임의 예 1: 알베도-기온 되먹임 과정 그림 3-2. 기후계에서 실현가능한 양의 기후 되먹임의 예 2: 수증기 되먹임 과정.

그림 4. 이산화탄소의 배증을 한 경우에 대한 GCM 모의 강수량 증가율 (%) 과 전구 평균 기온의 증가 (C)의 결과

그림 5. 1750년과 비교하여 볼 때 서기 2000년에 있어서 기후 시스템의 전 지구적 평균 복사 강제력 그림  5.  1750년과 비교하여 볼 때 서기 2000년에 있어서 기후 시스템의 전 지구적 평균 복사 강제력

6. 배출 시나리오에 관한 특별보고서 (Special Report on Emission Scenarios, SRES) 1996년 IPCC는 새로운 배출시나리오 (SRES 시나리오)를 개발 A1 지역 간의 수렴, 가능성의 축적 및 사회 문화적 교류의 증대 A2. 지역 중심의 경제 본위의 정책 구조 B1 A1 줄거리와 같은 세계를 설정하지만, 물질력의  감소와 깨끗하고 재생효율적인 기술의 도입 B2.   지역 중심의 환경 지속형 정책 구조

그림 6. 시나리오 A2와 B2에 대한 기온 변화 경향 (from IPCC 제 3차 평가 보고서)

그림 7. 시나리오 A2와 B에서 대한 강수량의 변화 경향 (from IPCC 제 3차 평가 보고서)

1. 지구 온난화 2. 오존층 파괴 3. 사막화 4. 산성비 5. 극한 기후 발생의 증가 기후 변화 II. 이슈들 1. 지구 온난화 2. 오존층 파괴 3. 사막화 4. 산성비 5. 극한 기후 발생의 증가

1. 지구온난화 그림1-1.지난 1000년간의 북반구 기온. (from IPCC, 2001).

그림 1-2. 온도계로 관측된 지난 140년 간의 전 지구 기온 변화 그림 1-2.  온도계로 관측된 지난 140년 간의 전 지구 기온 변화

그림 2. 서울, 대구, 부산, 목포에서의 연평균 기온의 시계열. 우리나라에 나타나는 온난화 그림 2. 서울, 대구, 부산, 목포에서의 연평균 기온의 시계열.

2. 오존층 파괴 성층권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오존이 생성된다. O2 + hv -> O + O     O + O2 + M -> O3 + M   이와 동시에 성층권에서 질소화합물 등에 의해 오존이 파괴된다.( 크루첸 ,1970)     NO + O3 -> NO2 + O2     NO2 + O -> NO + O2 1985년 파멘 등은 오존홀이 CFC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였고 이 화학적 메커니즘은 성층권에서의 오존 파괴에 매우 효과적이다. (초기 이론은 몰리나와 로랜드, 1974)     Cl + O3 -> ClO + O2     ClO + O -> Cl + O2

그림 4. 오존층의 파괴를 보여주는 돕슨단위의 오존전량의 시계열. 매해 남반구 봄철인 10월의 월평균 장이다.

3. 사막화 (desertification) Charney의 양의 피드백 과정이 사막화의 가설 과잉 방목 -> 지면 알베도의 증가->알베도가 증가되면 지표에서 흡수되는 태양 복사량의 감소 -> 대기는 복사 냉각 -> 복사 냉각을 보상하는 하강류에 의해 기온은 증가하고 수는 감소한다 ->강수량의 감소에 의해 식생을 포함한 지표는 더욱 약화되는 양의 피드백이 가동 그림 5. 사막화는 사막 (가운데 지역)이 한번 형성되면 주위를 점점 사막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이며 가운데 사막 지역은 점점 넓어져 사막을 넓혀간다

4. 산성비 화석 연료 연소시(공장, 화력발전소), 화산의 분출물, 식물의 부패시 SO2 + H20 → H2SO3 (아황산)           자동차 배기 가스를 통해 나오는 질소 화합물과 결합           N2 + O2 → 2NO           2NO + O2 → 2NO           3NO2 + H2O → 2HNO3 (질산) + NO

5. 극한 기후 발생의 증가 그림 6. 극한 날씨와 이상 기후의 발생에 있어서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식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