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aea-X의 작용 기전
Algaea-X 의 작용 기전 (Overall) 물리적 스트레스/부상 물리적 스트레스, 부상 등은 영향받는 부위의 조직의 일부를 파괴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신체는 박테리아 등으로 부터 자체 방어를 위하여 급성염증을 일으킴으로써 감염으로 부터 신체를 방어한다. 이때 부작용으로 통증 및 부종 현상이 발생한다. 부상이 치유된 후에도, 면역세포의 수가 정상수준으로 완전히 돌아가지 않고, 통증에 대한 민감성이 올라가는 등, 만성통증 및 만성염증으로 이행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미세한 수준의 만성염증은 거의 감지되기 어려워 신경통이나 섬유근육통 (fibromyalgia) 등 원인 모를 만성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만성 염증은, 조직 주변에 산화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혈액순환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조직 단백질을 서서히 파괴함으로써, 노화를 촉진시키게 되며, 영향받는 부위에 따라 퇴행성 관절염 등을 발생시킨다. Algaea-X 는 항박테리아 활성, 항히스타민 활성등이 우수하여 급성염증에 처한 조직이 빠른시간 내에 정상화 시키는 효과가 탁월하다. 뿐만 아니라, 만성염증의 원인, 과정 및 결과를 동시에 제어하며, 혈류를 촉진함으로써 조직이 정상적인 기능과 재생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가 탁월하다. 따라서 원인 모를 만성 통증, 퇴행성 및 류마티스 관절염등을 근복적으로 치유하는데 있어서도 유래 없는 제품이다. 조직파괴 급성염증 통증 부종 만성염증 통증 민감성↑ 면역세포↑ 혈액순환 산화스트레스 ↑ 조직단백질 분해↑
Algaea-X 의 작용 기전 (급성통증 및 부종) 물리적 스트레스/부상 물리적 스트레스, 부상 등에 의해 조직 파괴가 일어나게 되면 감염으로 부터 자체 방어를 위하여 메커니즘 (급성염증)이 작동하게 된다. 파괴된 세포 나 침투한 박테리아 등의 자극으로 인하여 히스타민이 방출되고, 면역세포를 부상조직 주변으로 집결시키게 되면 각종 염증반응 및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히스타민의 작용으로 혈관벽의 투과성이 증가하여 부종이 발생하게 된다. 염증 반응에 의해 통증 물질이 다량 생성된다. 면역세포들이 강력한 활성산소들을 방출하여 박테리아 및 주변 세포 들을 파괴시킨다. Algaea-X 의 핵심성분인 마이톨은 자체적으로 항박테리아 활성이 우수하여 (Nagayama et al, 2002; Glombitza et al, 1985) 염증 자극 물질을 감소시켜 염증 유도 물질인 히스타민의 방출을 줄여주며(Shim et al, 2009; Li et al, 2008), 염증반응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뛰어나 (Kim et al, 2008), 부종의 원인(히스타민에 의한 혈관벽 투과성 증가)을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부종을 감소시킨다. COX-2 단백질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통증 물질의 생성을 신속히 감소시킨다. 면역세포들의 과도한 작용을 조율하여 부상 후유증 (만성화등) 을 최소화 한다. 조직파괴 급성염증 히스타민 방출 면역세포 증가 통증 활성산소 혈관투과성증가 박테리아 및 주변 세포 파괴 부종
Algaea-X 의 작용 기전 (만성통증) 부상 후유증, 노화, 반복적 운동스트레스 NF-kB ↑ 통증민감성 ↑ 면역세포↑ 교통사고나 부상 등의 후유증으로 인한 만성 통증 지속적인 운동스트레스에 의한 인대 주변 통증 노화과정에서 오는 오십견, 요통 등 만성 염증은, 조직 주변에 산화스트레스(ROS)를 증가시키고, 혈액순환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면역세포를 더욱 집결시키고, 각종 염증 단백질의 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염증 상태와 통증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Algae-X 의 핵심성분인 마이톨은 NF-kB의 활성 및 그로 인한 반응을 효과적으로 조율함으로써 만성염증 및 이로인한 만성통증을 근원적으로 제거한다. 염증 자극 물질(염증성 cytokine 및 산화스트레스 등) 에 의해 만성염증의 마스터키인 NF-kB가 활성화 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한다. (Jung et al, 2009) 통증 을 일으키는 염증단백질 들인 COX-2, iNOS 등의 발현 및 활성을 억제한다. (Jung et al, 2009, Hwang et al, 2006, Shin et al, 2005)) 항산화 능력이 우수하여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하는 각종 활성산소들을 제거함으로써 만성염증이 신속히 사라지도록 지원한다. .(Ahn et al, 2007; Senevirathne et al, 2006; Kang et al, 2003, 2005) 만성염증에 의한 혈액순환 부진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혈관확장 (Hong et al, 2006) 및 플라즈민 활성화 능력 (Fukuyama et al, 1989, 1990; Nakayama et al, 1989) 이 우수하여 조직 수준에서의 통증발생의 원인을 제거한다. 면역세포↑ 산화스트레스 ↑ NF-kB ↑ 통증민감성 ↑ 면역세포↑ 혈액순환 혈관 수축인자 혈액응고인자 염증단백질 ↑ 염증성 cytokines COX-2, iNOS ROS↑ 만성통증
Algaea-X 의 작용 기전 (관절염) 관절부상 후유증, 노화, 과체중, 무리한 운동 만성염증(NF-kB 활성화) 면역세포↑ 부상 후유증, 노화, 과체중, 무리한 운동 등으로 인하여 관절조직 이 파괴되는 속도가 회복되는 속도에 비해 커지게 되면, 관절조직이 점차 만성염증에 처하게 된다. 만성염증에 의해 조직 주변에 산화스트레스가 증가되고, 혈액순환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조직 단백질의 분해 속도가 과도하게 커짐으로써, 노화를 촉진시키게 되며, 퇴행성 관절염이 발생한다. 또한, 면역반응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에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이 발생한다. Algaea-X 의 핵심성분인 마이톨은 NF-kB와 이에 따른 일련의 염증성 반응의 활성화를 제어하며. 과도한 면역반응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탁월하며, 혈류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관절 조직의 회복속도를 극대화 시킴으로써 퇴행성 및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그로인한 통증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킨다. 염증 자극 물질(염증성 cytokine 및 산화스트레스 등) 에 의해 만성염증의 마스터키인 NF-kB가 활성화 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한다. (Jung et al, 2009; Ryu et al, 2009) 통증 및 조직 파괴를 일으키는 염증단백질 들인 COX-2, iNOS 등의 발현을 차단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Ryu et al, 2009, Shin et al, 2005) 관절조직을 형성하는 collagen, elastin 등의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 의 발현 및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관절의 윤활작용에 중요한 hyaluronic acid를 분해하는 hyaluronidase 억제 효과가 뛰어나다. (Kim et al, 2006; Joe et al, 2006) Bu et al, 2006; Shibata et al, 2002) 조직을 무차별로 파괴하며 염증을 지속시키는 작용을 하는 활성산소(ROS)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조직을 보호하고 염증을 신속히 종식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Ahn et al, 2007; Senevirathne et al, 2006; Kang et al, 2003, 2005)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하는 혈액순환 부진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혈관확장 (Hong et al, 2006) 및 플라즈민 활성화 (Fukuyama et al, 1989, 1990; Nakayama et al, 1989) 능력이 우수하다. 이에 따라 통증 제거 및 조직 재생 속도가 더욱 빨라진다. 과도한 면역작용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탁월하여 자가면역에 의한 관절 조질 파괴 (류마티스성 관절염) 를 막아준다. (Shim et al, 2009; Li et al, 2008; Kim et al, 2008) 관절부상 후유증, 노화, 과체중, 무리한 운동 면역세포↑ 산화스트레스 ↑ 만성염증(NF-kB 활성화) 면역세포↑ 혈액순환 혈관 수축인자 혈액응고인자 염증단백질 ↑ 염증성 cytokines COX-2, iNOS ROS↑ 관절조직 분해 속도↑ MMPs, hyaluronidase 관절퇴행화, 관절통
REFERENCES Ahn GN, Kim KN, Cha SH, Song CB, Lee J, Heo MS, Yeo IK, Lee NH, Jee YH, Kim JS, Heu MS, Jeon YJ, Antioxidant activities of phlorotannins purified from Ecklonia cava on free radical scavenging using ESR and H2O2-mediated DNA damage. Eur Food Res Technol (2007) 226:71–79 Bu HJ, Ham YM, Kim JM, Lee SJ, Hyun JW, Lee NH, Elastase and Hyaluron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Phlorotannins Isolated from Ecklonia cava. Kor. J. Pharmacogn. 37(2), 92~96 (2006) Fukuyama Y, Kodama M, Miura I, Kinzyo Z, Mori H, Nakayama Y, Takahashi M. Anti-plasmin inhibitor. VI. Structure of Phlorofucofuroeckol A, a Novel Phlorotannin with Both Dibenzo-1,4-dioxin and Dibenzofuran Elements, from Ecklonia kurome OKAMURA. Chem Pharm Bull (Tokyo) 38:133-135 (1990) Fukuyama Y, Kodama M, Miura I, Kinzyo Z, Mori H, Nakayama Y, Takahashi M. Anti-plasmin inhibitor. V. Structures of novel dimeric eckols isolated from the brown alga Ecklonia kurome OKAMURA. Chem Pharm Bull (Tokyo) 37:2438-40 (1989). Glombitza KW, Vogels HP. (1985) Antibiotics from Algae. XXXV. Phlorotannins from Ecklonia maxima. Planta Med 51:308-12 Hong JH, Son BS, Kim BK, Chee HY, Song KS, Lee BH, Shin HC, and Lee KB, Antihypertensive Effect of Ecklonia cava Extract. Kor. J. Pharmacogn. 37(3), 200-205 (2006) Hwang H, Chen T, Nines RG, Shin HC, Stoner GD. (2006) Photochemoprevention of UVB-induced skin carcinogenesis in SKH-1 mice by brown algae polyphenols. Int J Cancer 119:2742-2749. Hwang H, Chen T, Stoner GD, Lee KB, Yoo YC, Shin HC, Suppression of iNOS Expression by Phlorotannins in Chronic Exposure of Skin to UVB Radiation. Lab. Anim. Res. 21(4), 385-389 (2005) Nagai T, Suzuki N, Nagashima T,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of beverages made from sea algae and commercially available tea extracts. Journal of Food, Agriculture & Environment Vol.4 (3&4) : 17-19 (2006) Nakayama Y, Takahashi M, Fukuyama Y. Kinzyo Z, An Anti-plasmin Inhibitor, Eckol, Isolated from the Brown Algae Ecklonia kurome OKAMURA. Agric. Biol. Chem. 53:3025-3030 (1989) Jung WK, Ahn YW, Lee SH, Choi YH, Kim SK, Yea SS, Choi I, Park AG, Seo SK, Lee SW, Choi IW, Ecklonia cava ethanolic extracts inhibit lipopolysaccharide-induced cyclooxygenase-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in BV2 microglia via the MAP kinase and NF-kB pathways. Food Chem Tox. Epub (2009) Joe MJ, Kim SN, Choi HY, Shin WS, Park GM, Kang DW, Kim YK. (2006) The inhibitory effects of eckol and dieckol from Ecklonia stolonifera on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in human dermal fibroblasts. Biol Pharm Bull 29:1735-1739. Kang KA, Lee KH, Chae S, Zhang R, Jung MS, Lee Y, Kim SY, Kim HS, Joo HG, Park JW, Ham YM, Lee NH, Hyun JW, Eckol isolated from Ecklonia cava attenuates oxidative stress induced cell damage in lung fibroblast cells. FEBS Letters 579 :6295–6304 (2005) Kang K, Park YJ, Hwang HJ, Kim SH, Lee JG, Shin HC. Antioxidative properties of brown algae polyphenolics and their perspectives as chemopreventive agents against vascular risk factors. Arch Pharm Res 26:1-8 (2003). Kim MM, Ta QV, Mendis E, Rajapakse N, Jung WK, Byun HG, Jeon YJ, Kim SK, Phlorotannins in Ecklonia cava extract inhibit matrix metalloproteinase activity. Life Sciences 79:1436-1443 (2006) Li Y, Lee SH, Le AT, Kim MM, Kim SK, Anti-allergic Effects of Phlorotannins on Histamine Release via Binding Inhibition between IgE and FcεRI. J. Agric Food Chem 56:12073-12080 (2008) Nagayama K, Iwamura Y, Shibata T, Hirayama I, Nakamura T. Bactericidal activity of phlorotannins from the brown alga Ecklonia kurome. J Antimicrob Chemother 50:889-893 (2002). Ryu B, Li Y, Qian ZJ, Kim MM, Kim SK.Differentiation of human osteosarcoma cells by isolated phlorotannins is subtly linked to COX-2, iNOS, MMPs, and MAPK signaling: implication for chronic articular disease. Chem Biol Interact. 179:192-201 (2009) Senevirathne M, Kim SH, Siriwardhana N, Ha JH, Lee KW Jeon YJ, Antioxidant Potential of Ecklonia cava on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Metal Chelating, Reducing Power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Food Sci Tech Int 12(1):27–38 (2006)
REFERENCES Shim SY, Quang-To L, Lee SH, Kim SK. Ecklonia cava extract suppresses the high-affinity IgE receptor, FcepsilonRI expression. Food Chem Toxicol. 47:555-60. (2009) Shibata T, Nagayama K, Tanaka R, Yamaguchi K, Nakamura T, Inhibitory effects of brown algal phlorotannins on secretory phospholipase A2s, lipoxygenases and cyclooxygenases. J. Appl. Phycol. 15:61-66 (2003) Shibata T, Fujimoto K, Nagayama K, Yamaguchi K, Nakamura T. Inhibitory activity of brown algal phlorotannins against hyaluronidase. Int. J. Food Sci. Tech. 37:703-709 (2002) Shin HC, Hwang HJ, Kang KJ, Lee BH “An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gent for Potential Treatment of Osteoarthritis from Ecklonia cava” Arch Pharm Res 29:165-171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