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내의 침 결함에 의한 부분방전 특성 연구 LG Industrial Systems. UHV CFT Teams.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적화, 적과를 할 때 액화, 액과 따기의 중요성 前 이바라기현 과수협회장 구로다 야스마사.
Advertisements

어르신 생활 지혜 ( 사 ) 과 우 회 과우봉사단 ( 사 ) 과 우 회 과우봉사단 1 녹색성장을 위한 생활과학.
전자공학과 7 조 조장 이정원 조원 현유영 ( 발표 ) 이인지.
전북대학교 IT 응용시스템공학과 김 형 진 교수 RFID/USN 기술 및 사례. 22 목 차 I.RFID/USN 개요 II.RFID/USN 적용사례.
Hanyang University 1/16 무선전력전송 (Wireless Power Transfer) 기술 동향 Wonhong Jeong
7. 가전기기 생활속의 전기 위덕대학교 이수형. 생활속의 전기 2 위덕대학교 7 장. 가전기기 전자레인지 전자레인지 에어컨과 냉장고 에어컨과 냉장고 선풍기 선풍기 세탁기 세탁기 진공청소기 진공청소기 전기제품의 주파수와 정격 전기제품의 주파수와 정격.
매니지먼트 WS 1 - 김아중을 파헤치다.- 김아중 그녀는 누구인가 ? 담 당 교 수 : 이 승용 제 출 자 : 구 형석 오 유나 유 원희 이 형정 학 번 : 학 과 : 연예매니지먼트과 학 년 : 1.
5 학년 6 반 김진석.  애니메이션은 라틴어의 아니마 에서 온 것이다. 아니마 는 생명 영혼 정신을 가르키는 것리다.  애니메이션의 원리는 그림을 움직이는 환등기로 만드는데, 환등기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눈의 잔상 을 이용해 만들어 졌다.  최초의 애니메이션 작품은.
대장암의 검진과 예방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대전지역본부 교육정보센터 전 이 구 목 차 대장암 이란 대장암 발생현황 발생원인 대장의 구조 대장내시경 검사 예방을 위한 건강관리 7 질의 및 응답.
세강병원 고정자산 재물조사 총무 UNIT. 1 차 : 2015 년 11 월 10 일 전체공지 2 차 : 2015 년 11 월 11 일 ~2015 년 11 월 18 일 까지 부서별 자료 취합 서면 및 엑셀 파일 작성 3 차 : 2015 년 11 월 19 일 ~ 12 월.
Data Communications 제 5 장 신호 정보보호학과 양 계 탁.
체험학습 권지헤 박설화 하희연.
여러가지 멸종위기 동물과 세계5대 희귀동물에대한 조사 5학년 1반 13번 이채원
2 정보통신시스템.
G 중간계획서 LTE 대역을 포함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설계 및 구현 전자공학과 7조 조장 이정원
회사소개서
김 형 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정보통신의 기본원리 Chapter 김 형 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일 시 : (목) 장 소 : 1층 도서관 대 상 : 3학년 4반 (36명) 지도교사 : 박 병 진
지구온난화란? 지구 표면의 평균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이다. 땅이나 물에 있는 생태계가 변화하거나 해수면이 올라가서 해안선이 달라지는 등 기온이 올라감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를 포함하기도 한다.
MMIC’s for mm-wave Application
보호구는 왜 착용하여야 하는가? 유해요인(가스,분진,소음) 위험요인(추락,낙하,비래,충돌 등) 근본적인 안전대책 강구
개포 주공아파트 재건축 현황 행복한 부자교실 16기 5조 강희진, 김대중. 김성남 김세정, 김순진, 김지숙
미디어법 통과에 따른 삼성전자 SWOT 분석 도출
100MHz PLL Frequency Synthesizer
Vacuum I ( 진공 기초 ) PJ KODIVAC Ltd..
Ⅴ. 건설 기술과 환경.
누벨바그 이후 현대 영화의 전개 뉴 이탈리안 시네마, 뉴 아메리칸 시네마, 뉴 저먼 시네마
학습목표   첨단 영상 진단 장치의 종류 및 기능과 작동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정보체계론 행정학과 정철현 교수.
유비쿼터스 환경의 RFID/USN.
제2부 각론: 사회복지법률 제15장 국민기초생활보장법.
Air Interface Frequency Band Computer Engineering Sejin Oh.
2 정보통신시스템.
Application of Acoustic Sensing and Signal Processing for PD Detection in GIS 20003년 05월 10일 이 찬 영.
Head End System 특징 - 수신설비와 HE구성이 따로 되어있다. HE는 관리사무소에 있는 경우 대다수
11. 전자기파 변하는 전기장은 자기장을, 그리고 변하는 자기장은 전기장을 유도한다. 이 관계는 진공상태에서도 성립한다. 또한 이들은 전자기파의 형태로서 극한의 속도로 공간을 가로지를 수 있다. 이들 전자기파는 우리 주위에 존재하면서 통신기술과 열복사 등의 기초가 된다.
2018-2학기 캡스톤디자인 실습지원비 사용설명회
차세대 및 무선 인터넷 (Next Generation & Wireless Internet)
전자 컴퓨터 공학 개론 무선통신의 이해 이 행 선.
전파의 주파수대역 분포도 3KHz 3000GHz 108GHz 1010GHz 1012GHz 가청파 광 파 X 선 감마선 우주선
(Bandwidth Utilization: Multiplexing and Spreading)
전자파 차폐공사 1. MRI실 전자파 차폐 - 목적 - 차폐성능 - 차폐 재질 및 방법 항목 주파수대역 차폐성능
“식자재 구매카드” 서비스 제안내용 에/듀/빌 1. 제안 개요
발의 12경맥과 경혈.
전파의 주파수대역 분포도 3KHz 3000GHz 108GHz 1010GHz 1012GHz 가청파 광 파 X 선 감마선 우주선
1 [1] 매체 자료의 표현 방식 02 괴물.
RADIO SPECIFICATION 건국대학교 통신망 연구실 석사 2 학기 장 기천.
지하탱크저장소 1. 정의 지하에 매설된 탱크에 위험물을 저장하는 장소 2. 특징
주파수대 frequency band 전자기파(이하 전파)를 주파수에 의하여 분류할 경우, 유사한 성질을 나타내는 주파수를 일괄하는 범위. 전파의 성질은 주파수에 따라 큰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편의상 30 kHz를 기점으로 하고 주파수 10배마다 구분하여, 그 사이의 주파수.
안전보호구 교육교재 대우조선해양주식회사 (HSE지원팀).
Fourier 변환 영상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디지털 영상을 변환하는 방법
Company LOGO 잔류 전류 감지기 소하119안전센터 소방위 안방우.
태양의 크기 지구, 달, 태양 누가 가장 클까? 태양의 크기 측정 지구, 달, 태양의 크기 비교.
생체현상계측 ․ 기록장비 이봉준.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경인지역 성공적 실시전략
프리즘 볼록렌즈는 프리즘의 작용과 유사하다..
제조사: Australian Monitor
잔류전류감지기 광명소방서 광명119안전센터 정대성.
여러가지운동 신나는 과학 이원숙.
2018학년도 2학기 상담심리대학원 학위청구논문 진행 절차
2019-1학기 캡스톤디자인 실습지원비 사용설명회
실험 목적 회전축에 대한 물체의 관성모멘트를 측정하고 이론적인 값과 비교한다 .
가을에 만날 수 있는 곤충.
▣ LINE SOURCE SPEAKER 장비 사양서 제조국 독일 제조사 FOHHN Audio AG. 모델 LX-150 용도
주유취급소 마) 설치위치 고정주유설비 : 도로경계선 - 4m 부지경계선,담,건축물 벽 - 2m(개구부 없는 벽1m)
심장이 하는 일에 대하여 알아보기 6학년 1학기 과학 3.우리 몸의 생김새 ( 4 /10 ) [ 활용방법 및 유의점 ]
세포는 어떻게 분열할까? 학습 주제 <들어가기> 양파를 물이 담긴 유리컵에 기르면 뿌리가
제조사: Australian Monitor
현대의 대중 미술 팝아트 선산여자중학교 김유미.
아프타성 구내염- 환자 교육용.
Presentation transcript:

GIS내의 침 결함에 의한 부분방전 특성 연구 LG Industrial Systems. UHV CFT Teams

연구 배경 초고압 전력기기의 사고는 - 사회적, 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 발생 시킴 - 복구에 장시간 소요 - 사회적, 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 발생 시킴 - 복구에 장시간 소요 특히, 초고압 GIS 에서의 사고 발생 대책 예비설비 확보 : 시설투자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 증가 사고의 징후 진단 기술확립 : 사전 조치, 계획보수 가장 효과적인 진단방법 : 부분방전 검출

연구 목표 및 내용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여 초고압 GIS의 결함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 구축 - 경남 의령 변전소154kV on-line system 구축 (PSDTEC) - 서울 구리 야탑 변전소

GIS내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방법 전기적 방법 UHF부분방전 검출법 - UHF대역의 안테나 센서를 GIS에 내장, 외장시켜 내부의 부분방 전에 의한 전자파 검출 방전전류 검출법 - CT센서를 이용한 접지에 흐르는 부분방전전류검출 비전기적 방법 초음파 검출법 - AE (Acoustic Emission)센서로 부분방전에 의한 초음파 신호검 출

실험장치 GIS 챔버 구성 점검창 4개, 붓싱, ES, 파티클 챔버 알루미늄 내부도체 (반경 60mm), 외함 (반경 150mm) 실험장치구성도 센서측정위치와 침 결함 위치

실험방법 내부 알루미늄도체에 ogura 침 고정(6cm, 10um) GIS내부를 진공 펌프로 진공 후(360mmHg) SF6 gas (3kgf/cm2) 주입 주파수 스펙트럼 비교 : 외부 노이즈 & 부분방전발생에 의한 신호 UHF, AE, CT센서 이용 부분방전 검출 및 측정 침 결함 위치에 따른 부분방전 특성 측정 위치에 따른 부분방전 특성 전송 매질에 따른 부분방전 특성 센서 성능 비교 ( 자체제작센서 : 상용센서 PD사 ) 1 atm =1013 mbar=760 mmHg=1013 Pa 1 kgf/cm2=980.7 mbar

PD 검출 센서 UHF센서 AE센서 450MHz 150KHz CT 실험용 GIS 2-25MHz 구성 형태

PD 검출 센서 PD사 센서 H.Y. Lab 센서 (300MHz~1.5GHz) (300MHz~2GHz)

100kV인가 시 실험실내 외부 노이즈: Frequency Domain Marker1-2: 174MHz~216MHz (VHF-TV대역) Marker2-3: 54~450MHz (CATV순방향 Analog 대역) Marker4: 869~894MHz (Digital cellular기지국 송신용대역)

100kV인가 시 실험실내 외부 노이즈 : Time Domain CT UHF센서 AE센서 PRPDA 패턴 오실로 스코프 파형 (2ms, 1V/div)

GIS내 부분방전 신호: Time Domain 35kV 인가 시 70-80pC 방전량 발생 CT 2ms, 1V/div 로 측정 CT와 UHF센서로 검출된 신호 UHF센서 : 동일위상에서 발생 AE센서로 검출된 신호 AE센서 : 시간지연 발생 40kV 인가 시 0.7-1nC 방전량 발생 CT Ch1 : 2ms, 5V/div Ch3,4 : 2ms, 1V/div UHF센서 펄스 수와 크기 증가 전자파와 초음파의 전파속도 차이에 의한 시간지연 발생 AE센서

GIS내 부분방전 신호: Frequency Domain Marker1: 448MHz Marker2: 653MHz Marker3: 803MHz Marker4: 935MHz 653MHz에서 935MHz 대역 : 부분방전에 의한 전자파 발생

침 결함 위치에 따른 부분방전 특성 동일전압 인가 시(40kV) 검출되는 부분방전 신호 측정 내부도체(H.V)에 침 고정 : 70~860MHz, 1.3~1.5GHz 외함(L.V)에 침 고정 : 65~420MHz 40kV 동일전압 인가 시 침 결함 위치에 따른 스펙트럼 비교

침 결함 위치에 따른 부분방전 특성 내부도체에 침 고정(H.V) 외함에 침 고정(L.V) 주파수 영역 UHF 센 서 시 간 영 PRPDA UHF 센 서

침 결함 위치에 따른 부분방전 특성 내부도체에 침 고정(H.V) 외함에 침 고정(L.V) 주파수 영역 C T 센 서 시 간 영 PRPDA

침 결함 위치에 따른 부분방전 특성 내부도체에 침을 고정시킨 경우가 외함에 고정 시킨 경우 보다 출력 파워가 최대 7.1dBm, 출력전압은 약 9배 높게 측정 내부 도체 고정( H. V ) 외 함 고정 ( L. V ) UHF 분 류 70~860 MHz 1.3~1.5 GHz CT 110~140 MHz 310 MHz 650 MHz 65 MHz 140 MHz 300 MHz 420 MHz 20~30 MHz -45.21 -51.4 -52.3 -49.5 102 부극성 발생 -> 정극성, 부극성 모두발생 -> 정극성 발생 10 11 정극성 발생 -> 정극성, 부극성 모두발생 -> 부극성 발생 측정주파수대역 ( Hz ) SPEC dBm OSCI mV 방전형태 침 위치 40kV 동일전압 인가 시 침 결함 위치에 따른 부분방전 특성 비교

전송매질에 따른 부분방전 특성 점검창이 없는 경우( =1) 와 점검창이 있는 경우( = 5.5)를 진행할 때 측정되는 주파수 대역 비교 점검창 有 : 600MHz ~ 1GHz, -36dBm 점검창 無 : 1~1.5GHz, -30dBm 전자파는 유전율이 다른 매질 통과 시 측정 주파수대역의 차이가 발생됨 다른 매질 통과 시 부분방전신호 검출

측정 위치에 따른 부분방전 특성 점검창에서 측정 : 800MHz~1GHz 스페이서에서 측정 : 500~700MHz 도파관 구조에 따라 차단주파수 결정전자파 신호는 차단주파수 이하 대역에서 감쇄 발생 측정위치에 따른 주파수 특성

센서성능비교 자체 제작한 UHF센서와 상용 UHF센서 (PD사) HFSS를 이용한 안테나 AGP시뮬레이션

센서성능비교 자체 제작한 UHF센서와 상용 UHF센서 (PD사)의 이득(Gain) S11 : PD사 센서의 이득 200MHz~400MHz, 0.8GHz~1GHz : 자체제작 센서이득 우수 600MHz, 1.1GHZ, 1.5GHz : PD사 센서이득 우수 네트워크 분석기를 이용한 센서 특성 비교

센서성능비교 자체 제작한 UHF센서와 상용 UHF센서 (PD사)를 이용한 부분방전 신호 측정 100MHz~500MHz : 자체제작센서 감도(5~10dBm) 우수 500~600MHz, 700~800MHz : PD사 센서 감도(5~8dBm) 우수 다른 대역에서 : 비슷한 감도 GIS내 부분방전 신호측정을 통한 센서성능 비교

센서성능비교 자체 제작한 UHF센서와 상용 CT(PD사)를 이용한 부분방전 신호 측정 UHF센서 : 70MHz~1.5GHz, 광대역 측정 CT센서 : 3MHz~30MHz , 110~200MHz, 협대역 측정 UHF센서와 CT센서로 측정한 부분방전 주파수 비교

Background 노이즈에 많은 간섭 없음 센서성능비교 자체 제작한 UHF센서와 상용 CT(PD사)를 이용한 부분방전 신호 측정 센서구분 전체측정주파수대역 (Hz) 파워(Spectrum) (dBm) 전압OSC) (mV) UHF CT 70MHz~1.5GHz -48.14 77.5 5~30M ,110~200M -50.48 11.5 내 용 전자파 측정 Background 노이즈에 많은 간섭 없음 측정결과 CT보다 감도가 좋다 OSC : 77.5 mV Spectrum : -48.14 dBm 차단주파수 이하의 신호는 감쇄가 심함 광대역 70 MHz ~ 1.5 GHz 접지전류 측정 Background 노이즈에 영향 많음 협대역 OSC : 11.5 mV Spectrum : -50.48 dBm 다중 접지일 경우 5~30 MHz, 110~140 MHz

결 론 GIS구조를 고려한 차단 주파수는 다음과 같으며 계산값과 실험값의 오차는 근소하였다. 결 론 GIS구조를 고려한 차단 주파수는 다음과 같으며 계산값과 실험값의 오차는 근소하였다. - GIS 챔버 : 계산값 - 460MHZ, 측정값 - 500MHZ - 점검창 : 계산값 – 416 MHZ, 측정값 - 500MHZ 차단주파수 이하에서는 신호 감쇄가 커지므로 센서 설계 시 차단 주파수 이상의 신호검출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결함의 위치에 따라 검출되는 부분방전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다르므로 절연진단을 위한 주파수 분석 시 결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 내부도체 : 70~860MHz, 1.3~1.5GHz - 외함 : 65, 140, 300, 420MHZ

결 론 GIS 챔버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 신호는 센서의 측정위치에 따라 검출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다르므로 절연진단을 위한 주파수 분석 시 센서의 취부 위치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 스페이서 : 500 - 700MHZ, -40dBm - 점검창 : 800~1GHz, -35dBm 자체 제작한 UHF센서가 PD사 센서보다 전체적인 감도면에서는 우수(약10dBm) 하나 특정 주파수 대역(600MHz, 1.1GHz 및 1.5GHZ)에서는 낮은 이득(10dB) 특성을 보인다. 광대역에 걸친 감도개선은 향후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다. GIS내부에서 발생되어지는 부분방전신호는 측정센서의 형태 및 취부 위치, 결함의 종류와 발생위치, GIS의 구조에 따라 그 신호의 전파 특성과 방전패턴을 달리 한다. 따라서 다양한 결함과 서로 다른 형태의 센서를 이용하여 보다 많은 Database를 구축하는 것이 GIS내부 결함을 더욱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라 여겨진다.